KR200414636Y1 -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4636Y1 KR200414636Y1 KR2020060003047U KR20060003047U KR200414636Y1 KR 200414636 Y1 KR200414636 Y1 KR 200414636Y1 KR 2020060003047 U KR2020060003047 U KR 2020060003047U KR 20060003047 U KR20060003047 U KR 20060003047U KR 200414636 Y1 KR200414636 Y1 KR 20041463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igger
- locking
- coupling
- cylinder
- 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27—Means for neutralising the actuation of the sprayer ; 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sprayer actuat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록킹 상태를 해제해야만 트리거를 당길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 등이 분무장치를 함부로 작동시킬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30)의 록킹수단(90)에 의하면; 실린더(51)의 개방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플런저(52)의 선단이 여유있게 관통하는 결합-링(91)과, 이 결합-링(91)의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트리거(80)가 전진된 상태에서 이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경우 트리거(80)의 당김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록킹-노브(93A)(93B)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전체적인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리거 록킹수단과 실린더본체의 결합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수단의 배면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 - Ⅴ선에 따른 단면도로, 록킹수단의 결합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Ⅵ - Ⅵ선에 따른 단면도로, 록킹수단의 록킹작동 시 위치고정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의 정면도로, 트리거 록킹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8과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의 트리거 록킹 해제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분무장치 40..밸브하우징
50..펌핑수단 51..실린더
52..플런저 60..실린더본체
70..분무노즐 80..트리거
90..록킹수단 91..결합-링
92..결합홈 93A,93B..록킹-노브
94..걸림턱
본 고안은 소형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리거의 반복 작동에 의해 액체가 펌핑 분무되며 이것을 록킹 상태로도 유지시킬 수 있는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분무기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펌핑하여 분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용기의 상부에는 분무장치가 부설된다. 즉, 종래 소형 분무기는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화장품이나 기타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와, 이 용기의 네크(neck)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캡과, 이 캡의 상부에 부설되며 트리거의 작동에 의해 액상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펌핑 분무하는 트리거식 분무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종래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캡 상부에 설치되며 선단부에 분무노즐이 마련된 본체와, 이 본체내에 마련되며 용기내의 액체를 흡입 펌핑하도록 플런저를 구비한 펌프기구와, 이 펌프기구의 플런저를 반복 작동시키기 위해 본체의 선단부위에 힌지 결합된 트리거와, 이 트리거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스프링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트리거를 반복적으로 당김에 따라 용기내의 액체는 펌프기구내로 흡입되며, 계속하여 분무노즐을 통해 분무형태로 압출된다.
이와 같이, 종래 트리거식 분무장치에서는 단순하게 트리거를 반복적으로 당기면 액체가 분무되기 때문에,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아이 또는 정신 지체아 등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용기에 담겨진 액체가 유해성인 경우에도 어린아이 등은 주의력 없이 트리거를 당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어린아이의 안전성에 상당한 허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록킹 상태를 해제해야만 트리거를 반복적으로 당길 수 있도록 구성하여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 등이 분무장치를 함부로 작동시킬 수 없도록 한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에 담겨진 액체를 흡입 펌핑할 수 있도록 플런저가 진퇴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실린더를 구비한 실린더본체와, 이 실린더본체의 선단에 설치된 분무노즐과, 실린더본체의 선단부위에 힌지 장착되어 반복적으로 당김 동작이 가능하며 배면에 플런저의 선단이 결합된 트리거와, 이 트리거를 록킹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있어서,
록킹수단은 실린더의 개방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플런저의 선단이 여유있게 관통하는 결합-링과, 이 결합-링의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트리거가 전진된 상태에서 이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경우 트리거의 당김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록킹-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링의 외주에 원주방향으로 띠 형태의 결합홈이 마련되며, 실린더의 개방단부 내벽에 결합홈에 결합되어 결합-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띠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록킹수단이 록킹-노브를 트리거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위치고정부재가 실린더의 개방단부 하측에 마련된 걸림홈과, 결합-링의 회전 시 실린더의 개방단부 벽면과 밀착되며 록킹-노브가 트리거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경우 걸림홈에 수용되어 걸리도록 결합-링측에 돌출되게 마련된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걸림턱의 일측면이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률면으로 이루어지고 이의 타측면은 수직면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걸림턱이 걸림홈에 수용되어 걸린 상태에서는 결합-링을 일측방향으로만 회전시켜 걸린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록킹-노브가 결합-링의 전면부에서 대략 180도 간격을 이루도록 2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분무장치가 소형 분무기에 적용된 것을 예로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의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수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이 적용된 소형 분무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10)와, 이 용기(10)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캡(20)과, 이 캡(20)에 부설되어 액체 내용물을 펌핑하여 스프레이 타입으로 분무하는 분무장치(30)를 갖추고 있다.
용기(10)는 액체 내용물이 직접 저장되는 합성수지 용기이며, 이의 상부에는 소정의 내경을 갖는 네크(11;neck)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용기(10)의 네크(11) 외주에는 캡(20)과의 결합을 위해 수나사가 가공된다.
캡(20)은 분무장치(30)를 용기(10)의 네크(11)에 착탈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를 통해 원통 형태로 성형되며 내벽에는 암나사가 일체로 가공된다.
그리고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분무장치(30)는 용기(10)내의 내용물을 흡입하여 펌핑 분무하는 것으로, 용기(10)의 네크(11)부에 장착되는 밸브하우징(40)과, 이 밸브하우징(40)의 상부가 수용 결합되며 액체(내용물)를 흡입하여 펌핑할 수 있도록 펌핑수단(50)이 내장된 실린더본체(60)와, 이 실린더본체(60)의 선단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분무노즐(70)과, 반복적인 당김 동작으로 펌핑수단(50) 을 구동시키기 위한 트리거(80)와, 사용을 마친 후 트리거(80)를 록킹(locking)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록킹수단(90)을 갖추고 있다.
밸브하우징(40)은 용기(10)의 네크(11)부에 캡(20)을 통해 직접 장착되며, 여기에는 볼 타입의 1차 체크밸브(43)가 안착되도록 밸브시트(42)가 마련된 흡입유로(41)와, 이 밸브시트(42)의 하부에서 용기(10)의 저부까지 연장되게 배치된 흡입튜브(44)가 구성된다. 흡입유로(41)의 상류측에 배치된 1차 체크밸브(43)는 트리거(80)의 당김 동작 시 폐쇄되어 실린더본체(60)내의 액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복귀 동작 시 개방되어 흡입튜브(44)를 통한 액체흡입을 허용하게 된다.
또한, 흡입유로(41) 하류측에는 2차 체크밸브(63)가 안착되도록 밸브시트(62)가 구성되며, 2차 체크밸브(63)는 분무동작 시 개방되고 실린더(51)내로의 액체 흡입 시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폐쇄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실린더본체(60)는 밸브하우징(40)의 상부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에는 흡입유로(41)를 통해 액체를 흡입하여 소정압력으로 내보내는 펌핑수단(50)과, 이 펌핑수단(50)에서 내보내어지는 액체를 분무노즐(70)측으로 안내하는 토출유로(61)를 갖추고 있다. 펌핑수단(50)은 흡입유로(43)와 연계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실린더(51)와, 이 실린더(51)의 내부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며 코일스프링(53)을 통해 탄성 지지된 플런저(52)를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53)을 압축시키면서 플런저(52)가 후진 동작하면 실린더(51)내의 액체는 가압되면서 토출유로(61)로 내보내지게 되며, 코일스프링(5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52)가 전진 동작하면 액체가 실린더(51)내로 흡입되어 일시 저장되게 된 다.
그리고 토출유로(61)는 실린더(51)의 상부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이루어지면서 흡입유로(41) 및 실린더(51)와 연계되어 있다. 이러한 토출유로(61)의 선단부에는 분무노즐(70)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된다. 즉, 분무노즐(70)은 실린더본체(60)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액체를 분무형태로 토출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64"는 액체가 실린더(51)내로 흡입될 때 외부공기가 용기(10)내로 들어가도록 실린더(51) 벽면에 형성된 부압홀이다.
한편, 트리거(80)는 배면에 플런저(52)의 선단이 결합되어 플런저(52) 코일스프링(53)의 탄성 복원력으로 반복적인 당김 동작이 가능한 것으로, 분무노즐(70)이 배치된 실린더본체(60)의 선단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81)와, 이 힌지부(81)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손잡이부(82)로 정의된다.
또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록킹수단(90)은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아이 등이 트리거(80)를 함부로 작동시킬 수 없게 하는 것으로, 실린더(51)의 개방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링(91)과, 이 결합-링(91)의 전면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트리거 당김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록킹-노브(93A)(93B)와, 이 록킹-노브(93A)(93B)를 트리거(80)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재(51b)(94)를 갖추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링(91)은 실린더(51) 개방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플런저(52)의 선단이 여유있게 관통하는 도넛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결합-링(91) 직경은 실린더(51) 개방단부 내경과 동일 하며, 이의 외주에는 원주방향으로 띠 형태의 결합홈(9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51)의 개방단부 내벽에는 결합홈(92)에 결합되어 결합-링(9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돌기(51a)가 띠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홈(92)과 결합돌기(51a)는 반원형 단면을 갖도록 이루어져 있어서, 결합-링(91)을 실린더(51) 개방단부에 끼워 조립하면 결합홈(92)에 결합돌기(51a)가 요철 결합방식으로 결합되며, 이로 인해 결합-링(91)은 이탈됨이 없이 실린더(51) 개방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록킹-노브(93A,93B;Locking-Knob)는 결합-링(91)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트리거(80)가 전진된 상태에서 트리거(80)의 손잡이부(82) 배면과 대향되어 당접하는 경우 트리거(80) 당김 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록킹-노브(93A)(93B)는 결합-링(91)의 전면부에서 대략 180도 간격을 이루도록 2개가 돌출되게 마련된다. 따라서 2개의 록킹-노브(93A)(93B)가 트리거(80)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경우에는 트리거(80) 당김 동작이 록킹-노브(93A)(93B)로 인해 제한되게 되며, 록킹-노브(93A)(93B)가 트리거(80) 배면과 어긋나야만 트리거(80) 당김 동작이 허용되게 된다. 이 때, 하측에 위치된 록킹-노브(93B)는 트리거(80)와 대향되어 당접하는 경우에도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것은 결합-링(91)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 역할도 병행하게 된다.
한편, 위치고정부재(51b)(94)는 록킹-노브(93A)(93B)를 트리거(80)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과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51) 개방단부에 마련된 걸림홈(51b)과, 이 걸림홈(51b)에 수용되어 걸리도록 결합-링(91)측에 마련된 걸림턱(94)을 이루어져 있다. 걸림홈(51b)은 실린더(51) 개방단부 하측에 오목하게 패인 것으로, 이것에 의해 결합-링(91)을 실린더(51) 개방단부에 억지 끼움 시 실린더(51) 개방단부가 반지름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이들의 조립을 허용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턱(94)은 결합-링(91)의 회전 시 실린더(51)의 개방단부 벽면과 밀착되면서 미끄러지도록 결합-링(91)측에 돌출되게 마련되되, 록킹-노브(93A)(93B)가 트리거(80)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경우 걸림홈(51b)에 수용되어 걸리도록 구성된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걸림턱(94)의 일측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률면(94a)으로 이루어지고, 걸림턱(94)의 타측면은 수직면(94b)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걸림턱(94)이 걸림홈(51a)에 수용되어 걸린 상태에서는 결합-링(91)을 일측방향으로만 회전(도 2와 도 6의 화살표 A 방향 참조)시켜 걸린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걸림턱(94)이 걸림홈(51b)에 수용된 상태에서 결합-링(91)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걸림턱(94)의 곡률면(94a)이 실린더(51) 개방단부를 약간 탄성 변형되면서 빠져나와 결합-링(91)의 회전을 허용하는 반면에, 결합-링(91)을 타측 방향(화살표 A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턱(94)의 수직면(94b)이 걸림홈(51b) 벽면에 걸려 결합-링(91)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록킹수단(90)을 이루는 결합-링(91)과 록킹-노브(93A)(93B) 및 위치고정부재의 걸림턱(94)은 합성수지를 통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으로, 분무장치(30)의 조립 라인에서 실린더본체(60)의 실린더(51)에 플런저(52) 및 코일스프링(53)을 조립한 후 록킹수단(90)의 결합-링(91)을 실린더(51) 개방단부에 끼워 조립하면 트리거(80)를 선택적으로 록킹 시킬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분무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도 7을 참조하면, 펌핑수단(50)의 코일스프링(53)에 의해 트리거(80) 및 플런저(52)가 전진된 상태에서 록킹-노브(93A)(93B)가 트리거(80) 배면과 대향되어 당접한 경우에는 트리거(80)는 록킹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결합-링(91)측의 걸림턱(94)은 결합홈(51a)에 수용되어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도 6참조),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트리거(80) 록킹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러한 록킹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트리거(80)를 당기려 하더라도, 이것은 록킹-노브(93A)(93B)에 의해 간섭되어 후진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면에,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측의 록킹-노브(93B)를 잡고서 결합-링(91)을 일측 방향으로 소정각도(70 내지 90도 정도) 회전시키면, 록킹-노브(93A)(93B)의 위치가 트리거(80) 배면과 어긋나며 이로 인해 트리거(80) 록킹이 해제된다. {이 때, 록킹 상태에서 결합-링(91)은 일측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데, 걸림턱(94)이 일측 곡률면(94a)을 통해 실린더(51) 개방단부를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키면서 걸림홈(51b)을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트리거(80)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트리거(80)의 손잡이부(82)를 당겨 후진시키면, 코일스프링(53)이 압축되면서 플런저(52)가 실린더 (51) 내부로 들어간다. 따라서 실린더(51)에 채워진 액체는 2차 체크밸브(63)를 개방시키면서 토출유로(61)와 분무노즐(7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이 때, 1차 체크밸브(43)는 흡입유로(41)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실린더(51)내의 액체는 분무노즐(70)측으로만 가압된다.
한편, 사용자가 트리거(80)의 손잡이부(82)를 놓으면, 코일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52)가 다시 돌출됨과 동시에 트리거(80)의 손잡이부(82)가 초기상태로 복원되며, 실린더(51)내에는 진공압이 걸린다. 따라서 실린더(51)와 용기(10)내의 기압차에 의해 1차 체크밸브(43)가 상측으로 올라가 흡입유로(41)가 개방되며, 이로 인해 용기(10)내의 액체가 흡입튜브(44)를 통해 실린더(51)내로 흡입된다. 이 때, 2차 체크밸브(63)에는 토출유로(6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걸리기 때문에 누액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액체 일부가 빠져나간 용기(10)내에는 부압홀(64)을 통해 그 체적만큼의 외부공기가 들어와 채워져, 분무장치(30)는 초기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분무장치(30) 사용을 마친 후 록킹-노브(93B)를 잡고 결합-링(91)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록킹-노브(93A)(93B)를 트리거(80) 배면과 접하도록 위치시키면, 트리거(80)는 다시 록킹 상태로 유지되며 이로 인해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아이 등이 함부로 분무장치(30)를 작동시킬 수 없다.
즉, 록킹 해제상태에서 록킹-노브(93B)를 하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록킹-노브(93A)(93B)가 트리거(80) 배면과 당접하며, 이로 인해 트리거(80) 록킹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트리거(80) 록킹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서는 이를 당길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아이 등이 분무장치(30)를 함부로 작동시킬 수 없게 된다. 이 때, 결합-링(91)측의 걸림턱(94)은 실린더(51) 개방단부의 걸림홈(51b)에 수용되어 걸리기 때문에,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트리거(80) 록킹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장치의 록킹수단에 의하면; 실린더의 개방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플런저의 선단이 여유있게 관통하는 결합-링과, 이 결합-링의 전면부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트리거가 전진된 상태에서 이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경우 트리거의 당김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록킹-노브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록킹-노브가 트리거 배면과 대향되어 트리거 록킹 상태로 유지된 경우에는 트리거를 당길 수 없으며, 이것에 의해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아이들에게도 보다 안전한 제품으로 다가갈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록킹수단에 의하면 실린더의 개방단부에 록킹-노브가 마련된 결합-링을 끼워 조립하는 것으로, 록킹수단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 용기(10)에 담겨진 액체를 흡입 펌핑할 수 있도록 플런저(52)가 진퇴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실린더(51)를 구비한 실린더본체(60)와, 상기 실린더본체(60)의 선단에 설치된 분무노즐(70)과, 상기 실린더본체(60)의 선단부위에 힌지 장착되어 반복적으로 당김 동작이 가능하며 배면에 상기 플런저(52)의 선단이 결합된 트리거(80)와, 상기 트리거(80)를 록킹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록킹수단(90)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에 있어서,상기 록킹수단(90)은;상기 실린더(51)의 개방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52)의 선단이 여유있게 관통하는 결합-링(91)과;상기 결합-링(91)의 전면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트리거(80)가 전진된 상태에서 이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경우 상기 트리거(80)의 당김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록킹-노브(93A)(9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결합-링(91)의 외주에는 원주방향으로 띠 형태의 결합홈(92)이 마련되며;상기 실린더(51)의 개방단부 내벽에는 상기 결합홈(92)에 결합되어 상기 결 합-링(9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턱(51a)이 띠 형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록킹수단(90)은 상기 록킹-노브(93A)(93B)를 상기 트리거(80)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재(51b)(9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위치고정부재는;상기 실린더(51)의 개방단부에 마련된 걸림홈(51b)과;상기 결합-링(91)의 회전 시 상기 실린더(51)의 개방단부 벽면과 밀착되며 상기 록킹-노브(93A)(93B)가 상기 트리거(80)의 배면과 대향되게 위치된 경우 상기 걸림홈(51b)에 수용되어 걸리도록 상기 결합-링(91)측에 돌출되게 마련된 걸림돌기(9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걸림턱(94)의 일측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률면(94a)으로 이루어지고 이의 타측면은 수직면(94b)으로 이루어져 있어서;상기 걸림턱(94)이 상기 걸림홈(51b)에 수용되어 걸린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 -링(91)을 일측방향으로만 회전시켜 걸린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록킹-노브(93A)(93B)는 상기 결합-링(91)의 전면부에서 대략 180도 간격을 이루도록 2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3047U KR200414636Y1 (ko) | 2006-02-03 | 2006-02-03 |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3047U KR200414636Y1 (ko) | 2006-02-03 | 2006-02-03 |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0401A Division KR100685741B1 (ko) | 2006-02-03 | 2006-02-03 |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4636Y1 true KR200414636Y1 (ko) | 2006-04-21 |
Family
ID=4448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3047U KR200414636Y1 (ko) | 2006-02-03 | 2006-02-03 |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4636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1824A (ko) * | 2016-10-17 | 2018-04-25 | (주)연우 |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
-
2006
- 2006-02-03 KR KR2020060003047U patent/KR20041463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1824A (ko) * | 2016-10-17 | 2018-04-25 | (주)연우 |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54889B2 (en) | Sprayer for liquids with precompression chamber | |
US6223746B1 (en) | Metered dose inhaler pump | |
JP3916998B2 (ja) | トリガー式流体吐出器 | |
US20170173616A1 (en) | Casing with liquid dispenser | |
JPH0849649A (ja) | ポンプ及びそのポンプを具備する分配装置 | |
FR2658081A1 (fr) | Dispositif d'automatisation et synchronisation des appareils aerosols a pompe doseuse. | |
WO1996017690A1 (fr) | Atomiseur | |
WO2015182041A1 (ja) |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 |
KR100632143B1 (ko) | 트리거식 분무장치 | |
JP2008030798A (ja) | 噴出装置、ポンプ式噴出器、およびエアゾール式噴出器 | |
US20090308896A1 (en) | Venting System for Battery Operated Sprayer | |
KR200438751Y1 (ko) |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 |
KR200414636Y1 (ko) |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
CA2286645A1 (en) | Child-resistant pump dispenser | |
KR100685741B1 (ko) |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
JPH05507423A (ja) | 少なくとも1つの媒体用の排出装置 | |
JP4377097B2 (ja) | 手持ち可能なポンプ噴霧装置 | |
WO2017208630A1 (ja) | トリガー式噴出器 | |
US8316897B2 (en) | Water gun assembly | |
US5722569A (en) | Trigger sprayer with discharge port blocking mechanism | |
KR200413934Y1 (ko) |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
KR200419568Y1 (ko) | 트리거식 분무장치 | |
KR200414616Y1 (ko) | 록킹수단을 갖춘 트리거식 분무장치 | |
KR200424514Y1 (ko) |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 |
JP6851857B2 (ja) | トリガー式噴霧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