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402B1 - 용기용 캡 - Google Patents

용기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402B1
KR100903402B1 KR1020070082979A KR20070082979A KR100903402B1 KR 100903402 B1 KR100903402 B1 KR 100903402B1 KR 1020070082979 A KR1020070082979 A KR 1020070082979A KR 20070082979 A KR20070082979 A KR 20070082979A KR 100903402 B1 KR100903402 B1 KR 100903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outer cap
rake
lock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8496A (ko
Inventor
손대식
김응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린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린,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to KR1020070082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4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with ratchet effect between relatively rota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용 캡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용기와 결합하는 내캡; 이 내캡을 회전시켜 내캡을 용기와 결합 또는 풀림시키도록 내캡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캡; 이 외캡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이 내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갈퀴부; 및 외캡의 결합 방향 회전시 갈퀴부의 일측에 걸림되며, 외캡을 누른 후 회전시 갈퀴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걸림되도록 내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린이들이 부주의, 호기심 등으로 불필요하게 마개를 열고 내용물을 마시거나 엎지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이 불필요하게 낭비되거나, 염산, 농약 등과 같은 인체에 매우 유해한 약품 등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스프레이, 용기, 캡

Description

용기용 캡{CAP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용기를 잠금 또는 개방하는 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 스프레이는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펌핑하여 분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용기의 상부에 분무장치가 부설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펌프 스프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펌프 스프레이는,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화장품이나 기타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1)와, 이 용기(1)의 네크(Neck;2)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캡(4)과, 이 캡(4)의 상부에 부설되며 레버(7)의 작동에 의해 액상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펌핑 분무하는 분무장치(6)를 구비한다.
또한, 용기(1)의 네크(2) 부위 외주에는 수나사(3)가 가공되어 있고, 캡(4)의 내부에는 암나사(5)가 가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캡(4)을 일측으로 돌려가면서 용기(1)의 네크(2)에 결합하면, 수 나사(3)와 암나사(5)가 맞물려 잠겨지며,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하여 분무장치(6)는 용기(1) 상부에 부설된다.
이와 반대로, 용기(1) 내의 내용물을 쏟아 버리거나 용기(1) 내에 내용물을 보충하고자 할 경우에는, 캡(4)을 일측 반대 방향으로 돌려주면서 수나사(3)와 암나사(5)의 결합을 해제해주면, 분무장치(6)를 용기(1)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 펌프 스프레이에 따르면, 어린이들이 캡을 쉽게 돌려서 열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부주의, 호기심 등으로 불필요하게 마개를 열고 내용물을 마시거나 엎지르게 됨으로써, 내용물이 불필요하게 낭비됨은 물론, 안전사고의 위험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용기 내의 내용물로서 염산, 농약 등과 같은 인체에 매우 유해한 약품 등이 용기에 수용되어 있을 경우, 어린이들에게 치명적인 위험이 가해질 수도 있다.
또한, 캡 개방시 취급안정을 요하는 용기의 경우, 캡이 단순하게 열리기 때문에 취급시 사용자의 부주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한 용기용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캡은: 용기와 결합하는 내캡; 상기 내캡을 회전시켜 상기 내캡을 상기 용기와 결합 또는 풀림시키도록 상기 내캡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캡; 상기 외캡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내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갈퀴부; 및 상기 외캡의 결합 방향 회전시 상기 갈퀴부의 일측에 걸림되며, 상기 외캡을 누른 후 회전시 상기 갈퀴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걸림되도록 상기 내캡에 형성 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캡에는, 눌려진 상기 외캡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일측이 상기 외캡의 상부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타측이 상기 내캡 상부면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캡이 하부로 눌려지면 변형되었다가 복원되어 상기 외캡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외캡의 결합 방향 회전시 상기 갈퀴부의 일측에 걸림되는 상부 걸림턱; 및 상기 외캡이 눌려지면 상기 외캡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갈퀴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걸림되도록, 상기 상부 걸림턱 하부에 상기 상부 걸림턱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걸림턱 및 상기 하부 걸림턱은, 상기 내캡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갈퀴부는, 상기 외캡의 풀림 방향 회전시 상기 상부 걸림턱 표면을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 걸림턱과의 접점에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걸림턱에는, 상기 외캡의 풀림 방향 회전시 상기 갈퀴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캡에는, 상기 외캡이 눌려지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는, 펌프 스프레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캡에 따르면, 종래 발명과 달리, 용기를 잠그고 있는 내캡이, 통상적인 풀림 조작만으로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추가적인 누름 조작에 의해서만 풀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작법을 숙지하지 못하거나, 누름 조작을 가할만한 힘이 부족한 어린이들이 쉽게 돌려서 열 수 없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캡은, 어린이들이 부주의, 호기심 등으로 불필요하게 마개를 열고 내용물을 마시거나 엎지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이 불필요하게 낭비되거나, 염산, 농약 등과 같은 인체에 매우 유해한 약품 등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용 캡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를 개방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누름 조작과 회전 조작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므로, 개방시 취급안정을 요하는 용기의 경우, 사용자가 좀 더 주의를 갖고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캡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펌프 스프레이에 구비되는 용기용 캡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캡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100)은, 내캡(110)과, 외캡(120)과, 갈퀴부(130) 및 걸림부(140)를 포함한다.
내캡(110)은,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분무장치(10)의 노즐이 삽입되기 위한 홀(1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캡(110)은, 용기(20)의 상단에 결합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 나사산(112)이 형성되어 용기(20)와 나사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용기(20)는, 예를 들면, 펌프 스프레이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용기(20)는, 분무장치(10)를 통해 분사되는 내용물을 수용하게 된다.
외캡(120)은, 내캡(110) 외측에 배치된다. 이 외캡(120)은, 내캡(110)과 마찬가지로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캡(110)을 감싸게 된다. 이러한 외캡(12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 및 홈으로 이루어진 파지부(121)가 그 외주 면에 형성된다.
또한, 외캡(120)은, 그 상부면이 내캡(110)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상하로 이동하여 내캡(110)의 상부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외캡(120)에는, 하부로 이동한 외캡(120)이 다시 상부로 이동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22)가 형성된다.
탄성부(122)는, 일측이 외캡(120)의 상부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며, 타측이 내캡(110) 상부면과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 탄성부(122)는, 외캡(120)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다수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부(122)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외캡(120)이 하부로 이동할 때, 그 누름력에 의해 타측이 내캡(110) 중심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형태로 변형된다. 그 후 그 누름력이 해제되면, 그 변형된 형태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외캡(120)을 상부로 다시 이동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외캡(120)은,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하여, 내캡(110)을 용기(20)와 결합 또는 풀림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외캡(120)에는 갈퀴부(130)가 형성되며, 내캡(110)에는 걸림부(140)가 형성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캡의 결합 방향 회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캡의 풀림 방향 회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캡을 누른 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갈퀴부(130)는, 외캡(120) 내부에 형성된다. 이 갈퀴부(1360)는, 일측이 타측보다 내캡(110)을 향해 더욱 돌출되도록, 그 일측이 내캡(11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갈퀴부(130)는, 외캡(120) 내주면을 따라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40)는, 외캡(120)이 결합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갈퀴부(130)의 일측(131)에 걸림되며, 외캡(120)이 눌려진 후 회전할 때 갈퀴부(130)의 일측(131) 또는 타측(132)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걸림부(140)는, 내캡(110) 외주면을 따라 다수 형성되며, 걸림턱(141) 및 하부 걸림턱(142)을 포함한다.
상부 걸림턱(141)은, 내캡(110) 외주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 걸림턱(141)이 내캡 외주면에 돌출되는 정도는, 갈퀴부(130)와 상부 걸림턱(141)이 수직 일직선상에 놓여졌다고 가정했을 때, 갈퀴부(130)의 일측(131)과 일정 부분 중첩되게 돌출되는 정도이고, 갈퀴부(130)의 일측(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돌출된 갈퀴부(130)의 타측(132)과는 거의 중첩되지 않게 돌출되는 정도가 된다.
이러한 상부 걸림턱(141)은, 상기와 같이 돌출된 형태로 내캡(110)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외캡(120)이 결합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외캡(120)과 함께 회전하는 갈퀴부(130)는, 그 일측(131)이 상부 걸림턱(141)에 걸림된다. 또한, 외캡(120)이 풀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퀴부(130)는 상부 걸림턱(141) 표면을 슬라이딩 이동하여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결합 방향 회전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100)을 용기(20)에 결합시키는 방향의 회전을 가리키는 것이며, 후술할 풀림 방향 회전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100)이 용기(20)로부터 풀림 되는 방향의 회전을 가리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갈퀴부(130)의 일측(131)과 타측(132) 사이, 다시 말해 갈퀴부(130)의 상부 걸림턱(141)과의 접점에는 슬라이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걸림턱(141)에는, 갈퀴부(130)의 타측(132) 또는 슬라이딩부(133)와 맞닿게 되는 부분에 경사면(14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외캡(120)이 풀림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갈퀴부(130)와 걸림부(140) 사이에는 자연스러운 슬라이딩 동작이 일어나면서, 외캡(120)은 내캡(110)을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내캡(110) 상을 헛돌게 된다. 이와 반대로 외캡(120)이 결합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갈퀴부(130)의 일측(131)이 상부 걸림턱(141)에 걸림되며, 이에 따라 내캡(110)은 외캡(1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결합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내캡(110)은, 외캡(120)이 결합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만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고, 외캡(120)이 풀림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외캡(120)이 내캡(110) 상을 헛돌게 됨으로써, 내캡(110)은 용기(20)와의 결합 방향 회전만이 가능하게 되고, 풀림 방향 회전은 불가능하게 된다.
상부 걸림턱(141) 하부에는 하부 걸림턱(142)이 형성된다. 이 하부 걸림 턱(142)은, 내캡(110) 외주면에 상부 걸림턱(141)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 걸림턱(141)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걸림부(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계단 형태를 띠게 된다.
이처럼 하부 걸림턱(142)은, 상부 걸림턱(141) 하부에 상부 걸림턱(141)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외캡(120)이 눌려진 상태로 회전하면, 외캡(120)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갈퀴부(130)의 일측(131) 또는 타측(132)에 걸림되도록 구비된다.
즉, 하부 걸림턱(142)은, 외캡(120)이 눌려진 상태에서, 외캡(120)이 결합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갈퀴부(130)의 일측(131)에 걸림되며, 외캡(120)이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갈퀴부(130)의 타측(132)에 걸림되도록 상부 걸림턱(141)의 하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캡(110)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부 걸림턱(142)에 의해, 외캡(120)이 눌려진 상태에서 회전하는 상태에서는, 결합 방향 또는 풀림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외캡(1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하게 됨으로써, 용기(20)와의 결합 및 해제 모두가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캡을 누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B-B 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100)에 구비되는 외캡(120)에는 걸림홈(12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걸림홈(123)은, 외캡(120)의 내부 상단에 외캡(12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형성된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내캡(110)에는, 돌기(1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돌기(113)는, 내캡(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외캡(120)에 형성된 걸림홈(123)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113)는, 걸림홈(123)과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외캡(120)이 눌려지면 걸림홈(123)에 삽입되어 내캡(110)과 외캡(120)을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돌기(113)와 걸림홈(123)의 결합으로 인해 결정되는 내캡(110)과 외캡(120)의 결합 위치는, 걸림부(140)의 하부 걸림턱(142)과 갈퀴부(130)의 타측(132)이 걸림되는 위치와 대략 동일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100)은, 사용자가 외캡(120)을 누른 후 회전 조작을 행할 경우, 갈퀴부(130)와 걸림부(140)의 걸림력에 더하여, 돌기(113)와 걸림홈(123)의 걸림력이 더해지게 되므로, 외캡(120)이 내캡(110) 상을 헛돌게 될 염려 없이 정확하고 안전하게 풀림 또는 결합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와 다르게, 갈퀴부(130) 및 걸림부(140) 구성을 제외하고, 상기와 같은 돌기(113) 및 걸림홈(123)의 구성만으로 갈퀴부(130) 및 걸림부(140)의 역할을 대신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100)은, 예 를 들면 펌프 스프레이에 구비되는 용기(20)를 잠금 또는 개방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분부장치(10)와 용기(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용 캡(100)에 따르면, 내캡(110)을 통해 용기(20)의 상단에 결합하며, 내캡(110) 외측에는 외캡(120)이 내캡(110)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용기용 캡(100)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캡(120)을 잡고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퀴부(130) 일측(131)이 걸림부(140)의 상부 걸림턱(141)에 걸리면서, 내캡(110)과 외캡(120)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내캡(110)은, 외캡(120)을 따라 결합 방향으로 회전하여 용기(20) 상단을 잠그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캡(120)을 잡고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갈퀴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타측(132)이 상부 걸림턱(141)의 경사면(141a)에 맞닿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퀴부(130)의 슬라이딩부(133)와 상부 걸림턱(141)의 경사면(141a) 사이에 슬라이딩 동작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외캡(120)은 내캡(110)을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내캡(110) 상을 헛돌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용기용 캡(100)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캡(120)을 잡고 하부로 누를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퀴부(130)가 하부로 이동하여 하부 걸림턱(142) 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내캡(110)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113)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외캡(120)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캡(110)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113)가 외캡(120)의 내부 상단에 형성된 걸림홈(123)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외캡(120)을 잡고 하부로 누른 상태에서, 외캡(120)을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캡(120)을 따라 하부로 이동한 갈퀴부(130)의 타측(132)이 걸림부(140)의 하부 걸림턱(142)에 걸리면서, 내캡(110)과 외캡(120)이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내캡(110)은, 외캡(120)을 따라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여 용기(20) 상단을 개방하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외캡(120)을 잡고 하부로 누른 상태에서, 외캡(120)을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갈퀴부(130)의 일측(131)이 하부 걸림턱(142)에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내캡(110)은, 사용자가 외캡(120)을 하부로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와 마찬가지로, 외캡(120)을 따라 결합 방향으로 회전하여 용기(20) 상단을 개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조작을 완료하고 외캡(120)을 놓게 되면, 외캡(120)은, 탄성부(1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용기용 캡(100)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작동에 의해, 용기(20)를 잠그고 있는 내캡(110)이, 통상적인 풀림 조작만으로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추가적인 누름 조작에 의해서만 풀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작법을 숙지하지 못하거나, 누름 조작을 가할만한 힘이 부족한 어린이들이 쉽게 돌려서 열 수 없게 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100)은, 어린이들이 부주 의, 호기심 등으로 불필요하게 마개를 열고 내용물을 마시거나 엎지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이 불필요하게 낭비되거나, 염산, 농약 등과 같은 인체에 매우 유해한 약품 등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용기용 캡(100)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용기(20)를 개방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누름 조작과 회전 조작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므로, 개방시 취급안정을 요하는 용기의 경우, 사용자가 좀 더 주의를 갖고 취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펌프 스프레이에 구비되는 용기용 캡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펌프 스프레이가 아닌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도 1은 종래 펌프 스프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캡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캡의 결합 방향 회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캡의 풀림 방향 회전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캡을 누른 후 풀림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캡을 누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B-B 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용기용 캡 110 : 내캡
111 : 홀 112 : 나사산
113 : 돌기 120 : 외캡
121 : 파지부 122 : 탄성부
123 : 걸림홈 130 : 갈퀴부
133 : 슬라이딩부 140 : 걸림부
141 : 상부 걸림턱 142 : 하부 걸림턱

Claims (9)

  1. 용기와 결합하는 내캡;
    상기 내캡을 회전시켜 상기 내캡을 상기 용기와 결합 또는 풀림시키도록 상기 내캡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캡;
    상기 외캡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내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갈퀴부; 및
    상기 외캡의 결합 방향 회전시 상기 갈퀴부의 일측에 걸림되고 상기 외캡을 누른 후 회전시 상기 갈퀴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걸림되도록 상기 내캡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캡에는, 상기 외캡이 눌려지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에는, 눌려진 상기 외캡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일측이 상기 외캡의 상부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타측이 상기 내캡 상부면과 맞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캡이 하부로 눌려지면 변형되었다 가 복원되어 상기 외캡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외캡의 결합 방향 회전시 상기 갈퀴부의 일측에 걸림되는 상부 걸림턱; 및
    상기 외캡이 눌려지면 상기 외캡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갈퀴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 걸림되도록, 상기 상부 걸림턱 하부에 상기 상부 걸림턱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하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걸림턱 및 상기 하부 걸림턱은, 상기 내캡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갈퀴부는, 상기 외캡의 풀림 방향 회전시 상기 상부 걸림턱의 표면을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상부 걸림턱과의 접점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걸림턱의 표면에는, 상기 외캡의 풀림 방향 회전시 상기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펌프 스프레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KR1020070082979A 2007-08-17 2007-08-17 용기용 캡 KR100903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979A KR100903402B1 (ko) 2007-08-17 2007-08-17 용기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979A KR100903402B1 (ko) 2007-08-17 2007-08-17 용기용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96A KR20090018496A (ko) 2009-02-20
KR100903402B1 true KR100903402B1 (ko) 2009-06-18

Family

ID=4068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979A KR100903402B1 (ko) 2007-08-17 2007-08-17 용기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4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824A (ko) * 2016-10-17 2018-04-25 (주)연우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022B1 (ko) * 2019-02-26 2020-07-31 (주)메티스 볼트 풀림방지용 캡
KR102232448B1 (ko) * 2019-08-30 2021-03-26 (주)바이브록 드론 비행체의 프로펠러 고정용 체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960A (ja) * 1994-12-16 1996-06-25 Shibasaki Seisakusho:Kk 閉止装置及び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19980061740U (ko) * 1997-03-27 1998-11-16 서문기철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342898Y1 (ko) * 2003-11-22 2004-02-19 임성근 안전기능이 있는 병마개 구조
KR200398918Y1 (ko) 2005-08-04 2005-10-17 김용진 안전마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960A (ja) * 1994-12-16 1996-06-25 Shibasaki Seisakusho:Kk 閉止装置及び合成樹脂製キャップ
KR19980061740U (ko) * 1997-03-27 1998-11-16 서문기철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342898Y1 (ko) * 2003-11-22 2004-02-19 임성근 안전기능이 있는 병마개 구조
KR200398918Y1 (ko) 2005-08-04 2005-10-17 김용진 안전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824A (ko) * 2016-10-17 2018-04-25 (주)연우 잠금장치가 구비된 트리거식 분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96A (ko) 200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6493B2 (en) Safety closure with lock, and attachment system for safety closure
US4366921A (en) Child-resistant closure device
US9821127B2 (en) Child-resistant closure systems for containers
JP4756496B2 (ja) ポンプ付き注出容器
US3263869A (en) Liquid dispenser with overcap
CA2117433C (en) Adult friendly child-resistant attachment for containers used to store potentially dangerous materials
EP1091884B1 (en) Device for expressing substances from a deformable tube
US20050205607A1 (en) Child-resistant flip-top closure
US9227027B2 (en) Three-point child resistant lid
US6202869B1 (en) Child-resistant/senior-friendly container
JPS5892479A (ja) 加圧式噴射容器の把手構造体
JP2013545681A (ja) 安全キャップ
US20120104054A1 (en) Fluid safety dispenser
US8584903B2 (en) Child resistant container with inverting cap bottom lift for vertical nozzle push container
KR100903402B1 (ko) 용기용 캡
WO2008048039A1 (en) Container device with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loss of closure plug
BR112020004895A2 (pt) acionador de aerossol resistente a crianças
KR100737537B1 (ko) 어린아이에게 안전한 방아쇠 구동 액체 분사기 및 그 작동방법
US20160236832A1 (en) Device For Closing A Container Comprising Secure Closure Means
KR100792475B1 (ko) 안전마개
CA3066447A1 (en) Child resistant container with pump actuator
US6220482B1 (en) Controlled product dispensing system
KR100646378B1 (ko) 안전용기
JP2018034822A (ja) ねじユニット及びねじ容器
HUE025272T2 (en) Top seal for an adapter intended for a pressurized dispensing container comprising a viscous foamable solution and an adapter provided with such a top s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