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740U -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740U
KR19980061740U KR2019970006007U KR19970006007U KR19980061740U KR 19980061740 U KR19980061740 U KR 19980061740U KR 2019970006007 U KR2019970006007 U KR 2019970006007U KR 19970006007 U KR19970006007 U KR 19970006007U KR 19980061740 U KR19980061740 U KR 199800617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pening
stopper
contain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6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문기철
Original Assignee
서문기철
아성프라스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문기철, 아성프라스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문기철
Priority to KR2019970006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740U/ko
Publication of KR199800617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740U/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에 유해한 약품 등이 수용된 약품용기나 화장품, 식용유, 샴프 용기 등과 같은 용기의 마개를 어린이들이 불필요하게 열지 못하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함과 동시에 마개 개방시 안전성을 요하는 용기의 경우 사용자의 경각심을 유발시키도록 한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용기 주둥이에 나사조립되는 암나사(11)가 형성된 속마개(10)와; 속마개(10)의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겉마개(20)와; 속마개(10)와 겉마개(20)의 상,하부 중앙에 돌출되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0)(31)과; 겉마개(20)와 속마개(10)이 내,외주연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분리방지턱(40)(41)과; 속마개(10)의 상부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턱(50)과; 겉마개(20)의 저면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마개 폐쇄시 걸림턱(50)에 접촉되는 닫음단턱(60)과; 닫음단턱(60)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평상시 걸림턱(5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되, 마개 개방시 겉마개(20)의 누름에 의해 걸림턱(50)에 접촉되는 열림단턱(70)과; 닫음단턱(60)과 열림단턱(70)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안내경사면(8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본 고안은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체에 유해한 약품 등이 수용된 약품용기나 화장품, 식용유, 샴프 용기 등과 같은 용기의 마개를 어린이들이 불필요하게 열지 못하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함과 동시에 마개 개방시 안전성을 요하는 용기의 경우 사용자의 경각심을 유발시키도록 한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용기 마개는 용기의 주둥이부에 마개를 나사조립으로 결합하는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용기 마개는 어린이들이 쉽게 돌려서 열 수 있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염산, 농약 등과 같은 인체에 매우 유해한 약품 등이 수용된 약품용기의 경우 어린이들이 부주의, 호기심 등으로 불필요하게 마개를 열고 내용물을 마시거나 엎지르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가정에서 쉽게 취급하는 화장품, 식용유, 샴프용기 등의 경우에는 유아들이 마개를 열고 내용물을 쏟아 버릭 되어 불필요하게 내용물을 소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개 개방시 취급안정을 요하는 용기의 경우 마개가 단순하게 열리기 때문에 취급시 사용자의 부주의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약품 등이 수용된 약품용기나 화장품, 식용유, 샴프 용기 등과 같은 용기의 마개를 어린이들이 불필요하게 열지 못하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함과 동시에 마개 개방시 안전성을 요하는 용기의 경우 사용자의 경각심을 유발시키도록 한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용기 주둥이에 나사조립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속마개의 외부에 겉마개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속마개와 겉마개의 상,하부 중앙에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을 돌출시키며, 상기 겉마개와 속마개의 내,외주연 하부에 분리방지턱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속마개의 상부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걸림턱을 돌출시키며, 상기 겉마개의 저면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마개 폐쇄시 상기 걸림턱에 접촉되는 닫음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닫음단턱 보다 높은위치에 평상시에는 걸림턱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마개 개방시 겉마개의 누름에 의해 걸림턱에 접촉되는 열림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닫음단턱과 열림단턱의 하단에 안내경사면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의 (가)는 속마개의 평면도.
(나)는 겉마개의 저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는 닫음단턱이 걸림턱에 접촉된 상태의 예시도.
(나)는 열림단턱이 걸림턱에 접촉된 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속마개11 : 암나사
20 : 겉마개30, 31 : 회전축
40, 42 : 분리방지턱50 : 걸림턱
60 : 닫음단턱70 : 열림단턱
80 : 안내경사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기 주둥이에 나사조립되는 암나사(11)가 형성된 속마개(10)와; 상기 속마개(10)의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겉마개(20)와; 속마개(10)와 겉마개(20)의 상,하부 중앙에 돌출되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0)(31)과; 상기 겉마개(20)와 속마개(10)이 내,외주연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분리방지턱(40)(41)과; 속마개(10)의 상부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턱(50)과; 상기 겉마개(20)의 저면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마개 폐쇄시 걸림턱(50)에 접촉되는 닫음단턱(60)과; 상기 닫음단턱(60)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평상시 걸림턱(5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되, 마개 개방시 겉마개(20)의 누름에 의해 걸림턱(50)에 접촉되는 열림단턱(70)과; 닫음단턱(60)과 열림단턱(70)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안내경사면(80)으로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0), 분리방지턱(41) 및 걸림턱(50)은 합성수지재인 속마개(10)에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회전축(31), 분리방지턱(40), 닫음단턱(60), 열림단턱(70) 및 안내경사면(80)은 합성수지재인 겉마개(20)에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속마개(10)와 겉마개(20)를 결합시키면 도 2에서와 같이, 회전축(30)이 회전축(31)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겉마개(20)는 속마개(10)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분리방지턱(41)은 분리방지턱(40)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속마개(10)와 겉마개(2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속마개(10)와 겉마개(2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겉마개(20)의 자중에 의해 겉마개(20)가 밑으로 내려와 겉마개(20)에 형성된 닫음단턱(60)은 속마개(10)에 형성된 걸림턱(50)에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열림단턱(70)은 닫음단턱(60)보다 상부에 위치하므로 열림단턱(70)은 걸림턱(5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 마개를 막기 위해 속마개(20)를 용기 주둥이에 끼운상태에서 겉마개(2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겉마개(20)에 형성된 다수개의 닫음단턱(60)이 도 4의 (가)에서와 같이 걸림턱(50)에 걸려 일체로 회전하므로, 이에 의해 속마개(10)는 겉마개(20)와 일체로 회전하기 때문에 속마개(10)의 내주연에 형성된 암나사(11)가 용기 주둥이에 형성된 수나사에 나사결합되어 용기를 밀폐시킨다.
즉,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겉마개(20)의 자중에 의해 겉마개(20)에 형성된 닫음단턱(60)은 항상 걸림턱(50)과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용기 마개를 막기 위해 겉마개(2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속마개(10)는 일체로 회동하여 용기 주둥이에 나사결합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용기 마개가 나사결합으로 용기 주둥이에 체결된 상태에서 용기 마개를 열기 위해 단순하게 겉마개(20)를 잡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겉마개(20)에 형성된 열림단턱(70)은 걸림턱(50)으로부터 이격되었기 때문에, 안내경사면(80)이 걸림턱(50)을 타고 넘으면서 공회전한다. 즉, 겉마개(20)를 마개가 열리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열림단턱(70)이 걸림턱(50)에 걸리지 않고 단지 안내경사면(80)이 걸림턱(50)을 타고 넘으면서 공회전하기 때문에 속마개(10)는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기 마개를 열기 위해 종래와 같이 단순하게 겉마개(20)를 잡고 돌리는 작업으로는 겉마개(20)가 속마개(10)의 외부에서 공회전하기 때문에 속마개(10)가 열리지 않아 특히, 어린이들이 속마개(10)를 열 수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용기 마개를 열기 위해서는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약간의 힘을 가해 겉마개(20)를 밑으로 누르면 겉마개(20)가 밑으로 밀리고, 이에 의해 열림단턱(70)이 걸림턱(5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강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겉마개(20)를 누르면서 겉마개(2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열림단턱(70)이 걸림턱(50)에 걸려 일체로 걸림턱(50)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속마개(10)가 겉마개(20)와 일체로 회전하면서 쉽게 열린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특히 용기 마개의 개방시 안전을 요하는 용기의 경우 일단 겉마개(20)를 밑으로 눌러 열림단턱(70)이 걸림턱(50)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겉마개(20)를 돌려서 열어야 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취급자의 경각심을 한층 더 높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는 인체에 유해한 약품 등이 수용된 약품용기나 화장품, 식용유, 샴프 용기 등과 같은 용기의 마개를 어린이들이 불필요하게 열지 못하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함과 동시에 마개 개방시 안전성을 요하는 용기의 경우 사용자의 경각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용기 주둥이에 나사조립되는 암나사(11)가 형성된 속마개(10)와; 속마개(10)의 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겉마개(20)와; 속마개(10)와 겉마개(20)의 상,하부 중앙에 돌출되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0)(31)과; 겉마개(20)와 속마개(10)이 내,외주연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분리방지턱(40)(41)과; 속마개(10)의 상부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턱(50)과; 겉마개(20)의 저면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되어 마개 폐쇄시 걸림턱(50)에 접촉되는 닫음단턱(60)과; 닫음단턱(60)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평상시 걸림턱(5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되, 마개 개방시 겉마개(20)의 누름에 의해 걸림턱(50)에 접촉되는 열림단턱(70)과; 닫음단턱(60)과 열림단턱(70)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안내경사면(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19970006007U 1997-03-27 1997-03-27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199800617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007U KR19980061740U (ko) 1997-03-27 1997-03-27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6007U KR19980061740U (ko) 1997-03-27 1997-03-27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740U true KR19980061740U (ko) 1998-11-16

Family

ID=6968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6007U KR19980061740U (ko) 1997-03-27 1997-03-27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74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402B1 (ko) * 2007-08-17 2009-06-18 주식회사 다린 용기용 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402B1 (ko) * 2007-08-17 2009-06-18 주식회사 다린 용기용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4904B1 (en) Reversible child resistant closure
US3339770A (en) Container closure
US4544063A (en) Closure for receptacle
JPH0220501B2 (ko)
US6202869B1 (en) Child-resistant/senior-friendly container
US5971154A (en) Dispensing containers
US3809272A (en) Safety bottle closure
US2921705A (en) Safety closure
CA3051743A1 (en) Container assembly with child resistant closure
US11208241B1 (en) Dispensing cap
US4042105A (en) Safety closure for a container and method for opening the closure
JPH08268452A (ja) チャイルドプル−フ機構付ボトルキャップ
US5921417A (en) Large diameter safety closure
KR100646378B1 (ko) 안전용기
KR20030063325A (ko) 열림방지용 마개구조
US3744654A (en) Safety closure device
US2964206A (en) Cap
KR200398918Y1 (ko) 안전마개
KR19990012295U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19980061740U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318864Y1 (ko) 어린이 개방 방지용 용기 조립체
KR200385312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385310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100563989B1 (ko) 어린이 보호용 캡
KR200385311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