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022B1 - 볼트 풀림방지용 캡 - Google Patents

볼트 풀림방지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022B1
KR102140022B1 KR1020190022345A KR20190022345A KR102140022B1 KR 102140022 B1 KR102140022 B1 KR 102140022B1 KR 1020190022345 A KR1020190022345 A KR 1020190022345A KR 20190022345 A KR20190022345 A KR 20190022345A KR 102140022 B1 KR102140022 B1 KR 102140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using body
fixing
loosen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영모
유동석
서덕규
정지웅
Original Assignee
(주)메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티스 filed Critical (주)메티스
Priority to KR1020190022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32Locking by means of a pawl or pawl-like tongu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6End pieces terminating in a screw clamp,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01R13/6215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using one or more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림방지용 캡이 접속볼트(B)의 체결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으로 인한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볼트고정부의 상면에 변온판이 설치되되, 하우징 몸체에 내부 온도를 변온판에 전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기공들이 형성됨으로써 관리자가 육안을 통해 접속볼트(B)의 과열 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고,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끼움 방식으로 풀림방지용 캡을 설치공간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 및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풀림방지용 캡의 볼트고정부의 하부 개구부가 접속볼트(B)의 헤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되, 볼트고정부의 외측면에 톱날부가 형성되고, 하우징 몸체의 내면에 볼트고정부의 톱날부에 치합되면서 이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체결고정부들이 형성됨으로써 접속볼트(B)의 체결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볼트 풀림방지용 캡{Cap for preventing loosening bolt}
본 발명은 볼트 풀림방지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단자대 및 차단기 등의 전기접속장치의 부스바에 체결되는 접속볼트(B)의 체결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온도상태에 따라 대응되는 색상을 외부로 표출함으로써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으로 인한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의 단자함, 작업현장 등과 같이 다수의 전선류가 사용되는 장소 및 공간에는 효과적인 전선 배선을 위한, 단자대 및 차단기 등의 전기접ㅈ속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접속장치는 인입측 전선 및 부하측 전선을 부스바에 접속시킨 후, 접속볼트(B)를 부스바에 체결시킴으로써 다양한 전선들을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상호 접속시켜 전선을 접속, 분기 및 중계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전기접속장치에 사용되는 접속볼트(B)는 전기적 스트레스나 또는 기계적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체결이 해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접속볼트(B)의 풀림 현상은 대형 화재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접속볼트(B)의 체결상태를 점검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나, 이러한 작업은 불필요한 인력 및 시간소모를 유발함과 동시에 점검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전기접속장치의 접속볼트(B)의 체결을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756716호(발명의 명칭 : 볼트 풀림 방지기능을 갖춘 단자대 블록)에 개시된 단자대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의 단자대 블록(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센터 프레임(100a)의 양측에 대칭되도록 구획벽(100c)에 의해 분리되는 너트 결합홀(103)과, 센터 프레임(100a)의 저면을 통해 양너트 결합홀이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통로와, 단자대 블록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구멍을 형성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너트 결합홀(103)에 분리되지 않도록 압입되어 결합되는 너트(104)와, 통로를 통해 너트(104)의 상면에 위치되는 구멍을 갖춘 버스바(106)와, 버스바(106)의 구멍을 관통하여 너트(104)에 나선 체결되는 볼트(101)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너트(104)의 암나사 일부구간에 환형 수지 링(104b)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저항열이 발생하여 볼트(101)로 전도되었을 때 전도열에 의해 너트(104)의 수지 링(104b)이 용융되면서 볼트(101) 표면에 수지가 들러붙어 볼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너트(104)의 내부 암 나사산에 별도의 수지(104b)가 도포되어야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수지 링(104b)이 용융되어 볼트(101)의 표면에 한번 둘러붙게 되면, 이후 전선교체 등과 같이 볼트(101) 해제 시 용융된 수지를 별도로 제거해야함에 따라 작업성 및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즉 작업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접속볼트의 체결상태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 풀림방지자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풀림방지용 캡이 접속볼트(B)의 체결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으로 인한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볼트고정부의 상면에 변온판이 설치되되, 하우징 몸체에 내부 온도를 변온판에 전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기공들이 형성됨으로써 관리자가 육안을 통해 접속볼트(B)의 과열 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끼움 방식으로 풀림방지용 캡을 설치공간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 및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풀림방지용 캡의 볼트고정부의 하부 개구부가 접속볼트(B)의 헤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되, 볼트고정부의 외측면에 톱날부가 형성되고, 하우징 몸체의 내면에 볼트고정부의 톱날부에 치합되면서 이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체결고정부들이 형성됨으로써 접속볼트(B)의 체결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이 부스바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비점검 및 교체가 간단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볼트고정부의 톱날부의 톱날의 경사각도를 변경하여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으로 인한 회전운동 발생 시 발생된 회전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힘을 발생시켜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접속볼트(B)의 체결에 따라 인입측 전선 및 부하측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기접속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볼트(B)의 체결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풀림방지용 캡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용 캡은 하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하우징 몸체를 포함하는 캡 하우징; 상하부가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캡 하우징의 하부 개구부로 삽입되며, 내측면이 상기 접속볼트(B)의 헤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 톱날 형상의 톱날부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원호를 따라 반복되게 형성되는 볼트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몸체는 내부 공간에 상기 볼트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트고정부는 상기 접속볼트(B)가 삽입될 때, 내측면들이 상기 접속볼트(B)의 헤드부의 외측면에 긴밀하게 대접되고, 상기 접속볼트(B)는 상면에 홈이 형성되는 다각기둥 형상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수직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고정부는 내주면이 상기 헤드부에 대응되는 각면들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 몸체의 대향되는 내측면들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고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고정부들은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되,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하우징 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동일한 원호를 갖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며, 중앙을 향하는 일면에 톱날부가 형성되는 탄발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발지지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볼트고정부 안착홈이라고 할 때, 상기 탄발지지부의 톱날부는 볼트고정부 안착홈으로 삽입된 볼트고정부의 톱날부에 치합되면서 상기 볼트고정부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 몸체의 대향되는 내측면들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강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벽들은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인접하는 내측면들에 각각 연결되되,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하우징 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동일한 원호를 갖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고정부 안착홈으로 상기 볼트고정부가 삽입될 때, 내측을 향하는 일면이 상기 볼트고정부의 톱날부와 소정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풀림방지용 캡은 변온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몸체는 상면에 상기 변온판이 안착되는 변온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몸체의 변온판 안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공들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변온판은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판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볼트고정부의 톱날부는 체결방향을 정방향이라고 할 때, 정방향을 향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역방향을 향하는 면은 해당 위치의 접선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풀림방지용 캡이 접속볼트(B)의 체결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으로 인한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고정부의 상면에 변온판이 설치되되, 하우징 몸체에 내부 온도를 변온판에 전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기공들이 형성됨으로써 관리자가 육안을 통해 접속볼트(B)의 과열 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끼움 방식으로 풀림방지용 캡을 설치공간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 및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풀림방지용 캡의 볼트고정부의 하부 개구부가 접속볼트(B)의 헤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되, 볼트고정부의 외측면에 톱날부가 형성되고, 하우징 몸체의 내면에 볼트고정부의 톱날부에 치합되면서 이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체결고정부들이 형성됨으로써 접속볼트(B)의 체결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 풀림방지용 캡이 부스바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비점검 및 교체가 간단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볼트고정부의 톱날부의 톱날의 경사각도를 변경하여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으로 인한 회전운동 발생 시 발생된 회전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힘을 발생시켜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756716호(발명의 명칭 : 볼트 풀림 방지기능을 갖춘 단자대 블록)에 개시된 단자대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볼트 풀림방지용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도 3의 볼트고정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b)는 (a)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c)는 (a)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캡 하우징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체결고정부를 나타내는 저면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볼트고정부가 하우징 몸체에 결합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2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이 적용되는 터미널 블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자 블록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볼트 풀림방지용 캡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지지체 및 접속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접속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이 설치되는 차단기를 나타내는 실사진이다.
도 17은 도 16의 차단기에 본 발명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볼트 불림방지용 캡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캡 하우징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이 설치되는 부스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B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볼트 풀림방지용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볼트 풀림방지용 캡(1)은 후술되는 도 10 내지 15의 터미널 블록(200)의 단자 블록체(201) 또는 후술되는 도 16과 17의 차단기(700)에 설치되어 단자 블록체(201)의 접속볼트(B)들의 체결을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세하게로는 후술되는 도 10 내지 16의 단자 블록체(201) 또는 후술되는 도 17과 18의 차단기(700)와 같이, 설치되는 공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격벽이 설치되는 전기접속장치에 적용된다.
또한 볼트 풀림방지용 캡(1)은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구되며 외주면에 톱날형상의 톱날부(51)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볼트고정부(5)와, 하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내부 수용공간으로 볼트고정부(5)가 장착되는 육면체 형상의 캡 하우징(3)과, 캡 하우징(3)의 상면에 설치되어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써모 컬러(Thermo-color)로 형성되어 측정온도를 외부로 표출하는 판재 형상의 변온판(7)으로 이루어진다.
도 4의 (a)는 도 3의 볼트고정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b)는 (a)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c)는 (a)의 평면도이다.
도 4의 (a), (b), (c)를 참조하여 볼트고정부(5)를 살펴보면, 볼트고정부(5)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볼트고정부(5)의 외측면에는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톱날 형상의 톱날부(51)들이 원호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톱날부(51)는 체결방향을 정방향이라고 할 때, 정방향을 향하는 면(5111)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역방향을 향하는 면(5113)은 해당 위치의 접선과 수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볼트고정부(5)의 하부면에는 헤드부 삽입홈(53)이 형성된다.
또한 볼트고정부(5)의 상부면에는 헤드부 삽입홈(53)에 연결되는 노출공(55)이 형성된다.
또한 볼트고정부(5)는 헤드부 삽입홈(53)에 연결되는 내측면(531)이 육각면으로 형성, 상세하게로는 헤드부 삽입홈(53)의 내부면이 후술되는 도 15의 접속볼트(B)의 헤드부(81)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헤드부 삽입홈(53)으로는 접속볼트(B)의 헤드부(81)가 삽입되게 된다. 이때 헤드부(81)의 외측면은 볼트고정부(5)의 헤드부 삽입홈(53)의 내측면(531)과 긴밀하게 대접되고, 헤드부(81)이 상면은 노출공(5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때 만약 헤드부(81)의 상면이 볼트고정부(5)에 의해 밀폐되게 되면, 접속볼트(B)로부터의 열교환이 차단되어 변온판(7)으로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 5는 도 3의 캡 하우징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체결고정부를 나타내는 저면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5의 정면도이다.
캡 하우징(3)은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몸체(31)와,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어 하우징 몸체(31)의 하부 개구부에 대향되는 상벽(313)의 내면인 상벽내면(314)에 수직 연결되는 걸림부(33), (33’)들과, 하우징 몸체(31)의 인접하는 내측면들에 양단부가 연결되되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보강벽(37), (37’)들과, 하우징 몸체(31)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체결고정부(35), (35‘)들로 이루어진다.
하우징 몸체(31)는 하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몸체(31)는 하부 개구부에 대향되는 상벽(313)의 외면에 사각형상의 변온판 안착홈(3131)이 형성되고, 변온판 안착홈(3131)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노출공(3132)이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 몸체(31)의 변온판 안착홈(3131)은 변온판(7)과 동일한 면적 및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조립 시 변온판 안착홈(3131)으로는 변온판(7)이 안착되며, 노출공(3132)을 통해 접속볼트(B)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안착된 변온판(7)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변온판(7)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하우징 몸체(31)의 변온판 안착홈(3131)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방출공(3133)들이 형성됨으로써 하우징 몸체(31)의 내부 온도가 변온판(7)으로 더욱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하우징 몸체(31)의 변온판 안착홈(3131)에 안착되는 변온판(7)은 온도에 따라 색상을 가변되는 판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접속볼트(B)가 가열될 때, 색상이 가변되기 때문에 관리자가 변온판(7)의 색상을 육안으로 간단하게 확인하여 접속볼트(B)의 풀림으로 인한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변온판(7)은 연질 합성수지재인 연질염화비닐 70 ~ 99 중량%와, 온도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써모 컬러(Thermo-color)인 카멜레온 도료 1 ~ 3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온판(7)을 형성하는 재료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하우징 몸체(31)의 측벽(317)들의 하단부에는 상측으로 통과공(315)들이 형성되어 조립 시, 통과공(315)들을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립 시 내부에 배치되는 접속볼트(B)의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 몸체(31)는 조립 시, 측벽(317)들 중 걸림부(33), (33‘)들이 형성되는 측벽(이하 기준측벽이라고 함)(3171)이 단자 블록체의 폭 방향에서의 외측을 향하도록 결합된다.
걸림부(33), (33‘)들은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하우징 몸체(31)의 상벽내면(314)으로부터 수직 연결되되, 일측면이 하우징 몸체(31)의 기준측벽(3171)과 연결되게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33), (33‘)들은 해당 기준측벽(3171)을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걸림부(33), (33‘)들은 하우징 몸체(31)의 높이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됨에 따라 하단부가 하우징 몸체(31)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하향 돌출되게 된다.
또한 걸림부(33), (33‘)들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삽입부(331)가 형성되고, 삽입부(331)의 상단부에는 걸림돌부(332)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걸림부(33), (33‘)들은 조립 시, 하우징 몸체(31)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영역의 내측면이 후술되는 도 11 내지 14의 지지체(213)의 접속판 안착부(2135)의 제1, 4 안착플레이트(21351), (21354)들의 외측면에 대접되며, 삽입부(331)들이 제1, 4 안착플레이트(21351), (21354)들의 단턱부(21356)로 삽입되고, 걸림돌부(332)가 단턱부(21356)의 고정돌부(21357)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걸림돌부(332) 및 고정돌부(21357)의 간단한 끼움작업만으로 캡 하우징(3)을 단자 블록체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 몸체(31)의 대향되는 내측면들에는 체결고정부(35), (35‘)들이 결합된다.
체결고정부(3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몸체(31)의 측벽(317)의 내면(3173)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연결부(351)와, 연결부(351)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되,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외측을 향할수록 하우징 몸체(31)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는 동일한 원호를 갖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탄발지지부(353)로 이루어진다.
이때 탄발지지부(353)의 단부와 인접한 일측면에는 톱날형상의 톱날부(3531)가 형성되고, 톱날부(3531)는 조립 시, 전술하였던 도 4의 볼트고정부(5)의 톱날부(51)에 치합됨으로써 볼트고정부(5)의 내부에 삽입된 접속볼트(B)의 체결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탄발지지부(353)는 연결부(351)에 의해 하우징 몸체(31)의 측벽(317)의 내면(3173)에 연결되되,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외측으로 압력을 받을 때 탄성복원력이 발생하여, 내측에 배치된 볼트고정부(5)를 탄발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 몸체(31)의 대향되는 내측면들에는 보강벽(37), (37‘)들이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 몸체(31)의 체결고정부(35), (35‘)들 및 보강벽(37), (37‘)들은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원 형상을 형성하게 되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볼트고정부 안착홈(3141)으로는 전술하였던 도 4의 볼트고정부(5)가 삽입됨으로써 보강벽(37), (37‘)들이 볼트고정부(5)의 외측면의 외측에 소적 이격되게 설치됨과 동시에 체결고정부(35), (35‘)들의 톱날부(3531)들은 볼트고정부(5)의 외측면의 톱날부(51)와 치합되어 이들을 탄발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보강벽(37), (37‘)들은 인접하는 하우징 몸체(31)의 내면들에 양단부가 연결되되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하우징 몸체(31)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는 동일한 원호를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볼트고정부가 하우징 몸체에 결합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볼트 풀림방지용 캡(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고정부(5)가 하우징 몸체(31)의 캡 하우징(3)의 하우징 몸체(31)의 볼트고정부 안착홈(3141)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때 하우징 몸체(31)의 보강벽(37), (37‘)들은 볼트고정부(5)의 외측면과 소정 이격되나, 하우징 몸체(31)의 체결고정부(35), (35‘)들의 톱날부(3531)들은 볼트고정부(5)의 톱날부(51)에 치합된 상태로 이들을 탄발 지지하기 때문에 볼트고정부(5)의 내부에 장착된 접속볼트(B)의 체결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약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풀리고자 하는 접속볼트(B)의 회전운동은 볼트고정부(5) -> 톱날부(51) -> 체결고정부(35)의 톱날부(3531)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풀림현상으로 발생되는 회전력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방향을 향하게 되고, 접속볼트(B)들의 톱날부(51)는 해당 위치의 접선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면(5113)이 체결고정부(35)의 톱날부(3531)의 톱날면에 치합됨으로써 볼트고정부(5)의 회전운동은 그대로 체결고정부(35)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체결고정부(35)는 -Y축의 직선운동이 발생하는 경우 -X축으로 압축될 수 있으나, +Y축의 직선운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압축 없이 직선운동을 지지하게 된다.
즉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으로 회전운동은 체결고정부(35)로 +Y축의 직선운동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체결고정부(35)는 이러한 풀림현상으로 인한 회전을 방지하여 접속볼트(B)의 체결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도 2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이 적용되는 터미널 블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의 터미널 블록(200)은 후술되는 도 11의 단자 블록체(201)들이 블록단위로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자 블록체(201)들이 적용되는 터미널 블록(200)의 형상 및 구조가 도 10에서와 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터미널 블록(200)의 형상 및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형상 및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터미널 블록(2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조립되는 복수의 단자 블록체(201)들로 이루어지는 터미널부(203)와, 터미널부(203)의 상부를 밀폐시키듯이 설치되는 커버(205)와, 터미널부(203)의 단자 블록체(201)들을 관리 및 제어하는 제어부(209)로 이루어진다.
이때 터미널 블록(20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209) 및 터미널부(203)의 하부에 결합되어 이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브라켓(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도 11은 도 10의 단자 블록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볼트 풀림방지용 캡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단자 블록체(201)는 도 11과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수단들을 고정 및 지지하는 지지체(213)와, 지지체(213)에 안착되는 접속판(217)과, 한 쌍의 접속볼트(B)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1), (1‘)들은 지지체(213)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접속볼트(B)들의 체결을 지지하여 접속볼트(B)들의 풀림현상을 방지한다.
도 13은 도 12의 지지체 및 접속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A를 확대한 정면도이다.
지지체(21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재로 평평한 판재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단자 블록체(201)들을 분리시키는 수직플레이트(2131)와, 수직플레이트(2131)의 일면(2131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단자 블록체(201)의 접속볼트(B)들을 차단시키는 분리벽(2133)과, 복수개의 판재들의 조립으로 이루어지며 수직플레이트(2131)의 일면(21311)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에 접속판(217)이 안착되는 접속판 안착부(2135)로 이루어진다.
즉 단자 블록체(201)의 본 발명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1)이 설치되는 공간은 지지체(213), 분리벽(2133) 및 인접한 단자블록체의 지지체로 이루어지는 3개의 격벽으로 인해 밀폐되는 특성을 갖고, 본 발명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1)은 설치공간이 3개의 격벽들로 밀폐될 때 설치되도록 설계되었다.
수직플레이트(2131)는 면적을 갖는 평평한 판재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전술하였던 도 10의 터미널부(201)와 같이 조립될 때, 길이 방향으로 인접한 접속볼트(B)들을 분리시킴으로써 접속볼트(B)의 체결 또는 풀림 작업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호 간섭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수직플레이트(2131)는 상단부와 인접한 양측부에는, 하부를 향할수록 내측을 향하는 제1 경사부(21313)와, 수직플레이트(2131)의 측부와 평행하도록 제1 경사부(21313)에 연결되는 평부(21314)와, 평부(21314)에 연결되어 하부를 향할수록 외측을 향하는 제2 경사부(21315)가 형성된다. 이때 전술하였던 도 10의 커버(205)의 양측부는 수직플레이트(2131)의 양측부의 제1 경사부(21313)들로 삽입되어 평부(21314)들에 각각 안착됨으로써 터미널부(203)에 결합된다.
또한 수직플레이트(2131)의 일면(21311)의 상부에는 분리벽(2133)이 돌출 형성되며, 수직플레이트(2131)의 일면(21311)의 하부에는 접속판 안착부(2135)가 돌출 형성된다.
분리벽(2133)은 하단부가 접속판 안착부(2135)의 상단부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상세하게로는 분리벽(2133)의 하단부는 접속판 안착부(2135)에 안착된 접속판(217)의 상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수직플레이트(2131)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다.
또한 분리벽(2133)은 단자 블록체(201)의 접속볼트(B)들을 분리시킴으로써 고정볼(B)의 체결 또는 풀림 작업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호 간섭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접속판 안착부(2135)는 수직플레이트(2131)의 일면(2131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판재들의 조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접속판 안착부(2135)는 수직플레이트(2131)의 일면(21311)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바닥판(21350)과, 바닥판(21350)의 상면 및 수직플레이트(2131)의 일면(21311)에 연결되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부에 접속판(217)이 안착되는 제1, 2, 3, 4 안착플레이트(21351), (21352), (21353), (21354)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2 안착플레이트(21351), (21352)들 사이의 간격 및 제3, 4 안착플레이트(21353), (21354)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2 안착플레이트(21351), (21352)들 및 수직플레이트(2131) 사이의 공간을 제1 공간(S1)이라고 하고, 제3, 4 안착플레이트(21353), (21354)들 및 수직플레이트(2131) 사이의 공간을 제2 공간(S2)이라고 할 때, 접속판 안착부(2135)의 제1, 2 공간(S1), (S2)들로는 접속판(217)을 통과한 접속볼트(B)들 각각의 단부가 배치되게 된다.
또한 제1, 2, 3, 4 안착플레이트(21351), (21352), (21353), (21354)들의 상단부에는 접속판(217)이 안착되게 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플레이트(21351), (21352), (21353), (21354)들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1 안착플레이트(21351) 및 제4 안착플레이트(21354)들의 외측면(21355)에는 외측면(21355)에 수직으로 내측으로 연결되는 단턱부(21356)가 형성되고, 외측면(21355)과 연결되는 지점의 단턱부(21356)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돌부(21357)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4 안착플레이트(21354)의 단턱부(21356)로는 전술하였던 도 5 내지 7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1)의 캡 하우징(3)의 걸림부(33), (33‘)들의 삽입부(331)가 삽입되고, 고정돌부(21357)는 걸림부(33), (33‘)들의 걸림돌부(332)에 걸려 이들을 지지함으로써 볼트 풀림방지용 캡(1)이 지지체(213)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4 안착플레이트(21354)의 고정돌부(21357)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1)의 걸림부(33), (33‘)들의 걸림돌부(332)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외측은 곡면으로 형성되되, 내측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4 안착플레이트(21354)는 외측면(21355)에 단턱부(21356) 및 고정돌부(21357)가 형성되어 볼트 풀림방지용 캡(1)의 결합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안착플레이트(21351), (21352), (21353), (21354)들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제1 안착플레이트(21351)는 제4 안착플레이트(21354)와 동일한 형상 및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접속판(217)은 사각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며, 도 11과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판 안착부(2135)의 상부, 상세하게로는 제1, 2, 3, 4 안착플레이트(21351), (21352), (21353), (21354)들의 상단부에 안착된다.
또한 접속판(217)은 상하부면을 관통하는 삽입공(2171)들이 양측에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때 접속판(217)의 삽입공(2171)들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접속판(217)의 삽입공(2171)들로는 접속볼트(B)들이 각각 체결된다.
도 15는 도 12의 접속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접속볼트(B)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십자홈(810)이 형성되는 헤드부(81)와, 헤드부(81)의 하부에 수직 연결되어 외주면에 나사산(831)이 형성되는 나사부(831)로 이루어진다. 이때 접속볼트(B) 조립 시 제1, 2 와셔(W1), (W2)들이 사용될 수 있다.
헤드부(81)는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십자홈(810)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헤드부(81)가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헤드부(8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헤드부(81)는 전술하였던 도 2 내지 9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1)과 조립될 때, 볼트 풀림방지용 캡(1)의 볼트고정부(5)의 헤드부 삽입홈(537)으로 삽입되게 된다.
나사부(83)는 헤드부(81)의 하면에 수직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나사부(83)는 조립 시 전술하였던 도 13의 접속판(217)의 삽입공(2171)과 나사산 체결되어 접속판(217)에 결합된다. 이때 접속볼트(B)의 나사부(83)는 접속판(217)을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이 설치되는 차단기를 나타내는 실사진이고, 도 17은 도 16의 차단기에 본 발명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차단기(700)를 살펴보면, 차단기(700)는 상하부에 3개의 접속볼트(B)들이 접속판(710)에 체결되고, 이에 따라 볼트 풀림방지용 캡(1)들이 설치되는 공간(730)이 상하부에 3개씩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차단기(700)의 각 설치공간(730)은 3개의 격벽(720)들에 의해 밀폐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1)들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700)의 각 설치공간(7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단기(700)의 접속판(710)을 지지하는 판재에는 도 14에서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볼트 풀림방지용 캡(1)의 삽입부(331)들이 삽입되는 단턱부(미도시)와 걸림돌부(332)를 지지하는 고정돌부(미도시)가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걸림돌부(332) 및 고정돌부의 간단한 끼움작업만으로 볼트 풀림방지용 캡(1)을 해당 설치공간(730)에 간단하고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볼트 불림방지용 캡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900)은 설치공간의 외측에 격벽들이 형성되지 않은 환경에 설치되도록 설계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전술하였던 도 2 내지 10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1)의 볼트고정부(5) 및 변온판(7)과 동일한 구성 및 형상의 볼트고정부(905) 및 변온판(907)을 포함한다.
또한 볼트 풀림방지용 캡(900)은 설치공간의 특성에 맞춰 변경된 캡 하우징(3)을 더 포함한다.
도 19는 도 18의 캡 하우징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정면도이다.
캡 하우징(903)은 도 19 내지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몸체(931)와, 보강벽(937), (937‘)들, 체결고정부(935), (935’)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캡 하우징(903)의 하우징 몸체(931), 보강벽(937), (937‘)들 및 체결고정부(935), (935’)들은 전술하였던 도 5 내지 8의 캡 하우징(3)의 하우징 몸체(31), 보강벽(37), (37‘)들 및 체결고정부(35), (35’)들과 동일한 구조 및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캡 하우징(903)은 하우징 몸체(931)의 상벽(9311)의 내면인 상벽내면(9312)에 수직 연결되는 걸림부(933), (933‘), (933’‘), (933’‘’)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한 쌍의 걸림부(933), (933‘)들 및 다른 한 쌍의 걸림부(933’‘), (933’‘’)들은 하우징 몸체(931)의 대향되는 측벽들에 각각 인접하게 설치되고, 각 쌍의 걸림부들은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걸림부(933), (933‘), (933’‘), (933’‘’)들은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하우징 몸체(931)의 상벽내면(9312)으로부터 수직 연결되되, 일측면이 인접한 하우징 몸체(931)의 내측면에 연결되게 형성된다.
또한 걸림부(933), (933‘), (933’‘), (933’‘’)들은 하우징 몸체(931)의 높이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됨에 따라 하당부가 하우징 몸체(931)의 하부 개구부를 통과하여 하향 돌출되게 된다.
또한 걸림부(933), (933‘), (933’‘), (933’‘’)들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삽입부(9331)가 형성되고, 삽입부(9331)의 상단부에는 걸림돌부(9332)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900)은 하우징 몸체(931)의 하단부로부터 4개의 걸림부(933), (933‘), (933’‘), (933’‘’)들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설치공간이 적어도 2개 이하의 격벽들이 형성되는 환경에 설치되도록 설계되었다.
도 22는 도 19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이 설치되는 부스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B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분해사시도이다.
전술하였던 도 19 내지 21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900)은 도 22 내지 24의 차단기(700), (700‘), (700’‘)들의 부스바(740)들에 설치된다.
즉 볼트 풀림방지용 캡(900)은 전기접속대상인 부스바(740)들의 교차되는 구간에 설치되어 부스바(740)들의 접속볼트(B)의 체결을 고정시킨다.
부스바(740)들은 차단기(700)들의 단자에 일단부 또는 양단부가 연결되며, 서로 교차되는 지점들에는 볼트 풀림방징용 캡(900)이 설치된다.
또한 부스바(740)들의 교차되는 지점에는 접속볼트(B)가 체결되어 부스바(740)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그 하부에는 지지판(941) 및 너트(N)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부스바(740)들의 교차지점에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740)이 설치되고, 볼트 풀림방지용 캡(740)의 걸림부(933), (933‘), (933’‘), (933’‘’)들은 지지판(941)의 하부면으로 삽입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설치됨으로써 볼트 풀림방지용 캡(740)을 해당 교차지점에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1), (900)들은 접속볼트(B)의 체결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으로 인한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1), (900)들은 볼트고정부의 상면에 변온판이 설치되되, 하우징 몸체에 내부 온도를 변온판에 전달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통기공들이 형성됨으로써 관리자가 육안을 통해 접속볼트(B)의 과열 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1), (900)들은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끼움 방식으로 풀림방지용 캡을 지지체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립성 및 작업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1), (900)들은 볼트고정부의 하부 개구부가 접속볼트(B)의 헤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되, 볼트고정부의 외측면에 톱날부가 형성되고, 하우징 몸체의 내면에 볼트고정부의 톱날부에 치합되면서 이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체결고정부들이 형성됨으로써 접속볼트(B)의 체결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1), (900)들은 터미널 블록, 차단기 및 부스바 등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장비점검 및 교체가 간단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볼트 풀림방지용 캡(1), (900)들은 볼트고정부의 톱날부의 톱날의 경사각도를 변경하여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으로 인한 회전운동 발생 시 발생된 회전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힘을 발생시켜 접속볼트(B)의 풀림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단자 블록체 3:몸체 5:볼트고정부
7:접속판 9:브라켓 B:접속볼트
51:머리부 53:핀부 55:걸림부
31:수직플레이트 33:볼트고정부 설치부 35:접속판 안착부
71:제1 삽입공 72:제2 삽입공 73:제3 삽입공
81:헤드부 83:나사부 91:수직판
93:상부 수평판 95:하부 수평판 331:지지판
333:테두리부 341, 342, 343, 344:지지바들
350:바닥판 351, 352, 353, 354:제1, 2, 3, 4 안착플레이트
551:고정판 552, 553:연결부들 554, 555:걸림날개들
700:차단기 720:격벽 730:설치공간
740:부스바들 741:지지판 N:너트
900:볼트 풀림방지용 캡의 제2 실시예 903:캡 하우징
905:볼트 고정부 907:변온판
933, 933‘, 933’‘, 933’‘’:걸림부들 5541, 5551:톱날부

Claims (6)

  1. 접속볼트(B)의 체결에 따라 인입측 전선 및 부하측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기접속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볼트(B)의 체결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풀림방지용 캡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용 캡은
    하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하우징 몸체를 포함하는 캡 하우징;
    상하부가 개구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캡 하우징의 하부 개구부로 삽입되며, 내측면이 상기 접속볼트(B)의 헤드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면에 톱날 형상의 톱날부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되 원호를 따라 반복되게 형성되는 볼트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몸체는 내부 공간에 상기 볼트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트고정부는 상기 접속볼트(B)가 삽입될 때, 내측면들이 상기 접속볼트(B)의 헤드부의 외측면에 긴밀하게 대접되고,
    상기 접속볼트(B)는
    상면에 홈이 형성되는 다각기둥 형상의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면에 수직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고정부는 내주면이 상기 헤드부에 대응되는 각면들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 몸체의 대향되는 내측면들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체결고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고정부들은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직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되,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하우징 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동일한 원호를 갖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며, 중앙을 향하는 일면에 톱날부가 형성되는 탄발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발지지부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볼트고정부 안착홈이라고 할 때, 상기 탄발지지부의 톱날부는 볼트고정부 안착홈으로 삽입된 볼트고정부의 톱날부에 치합되면서 상기 볼트고정부를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우징 몸체의 대향되는 내측면들에 각각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강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벽들은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인접하는 내측면들에 각각 연결되되, 평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하우징 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동일한 원호를 갖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고정부 안착홈으로 상기 볼트고정부가 삽입될 때, 내측을 향하는 일면이 상기 볼트고정부의 톱날부와 소정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용 캡은 변온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몸체는 상면에 상기 변온판이 안착되는 변온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몸체의 변온판 안착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공들이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변온판은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판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고정부의 톱날부는
    체결방향을 정방향이라고 할 때, 정방향을 향하는 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되, 역방향을 향하는 면은 해당 위치의 접선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풀림방지용 캡.
KR1020190022345A 2019-02-26 2019-02-26 볼트 풀림방지용 캡 KR102140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345A KR102140022B1 (ko) 2019-02-26 2019-02-26 볼트 풀림방지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345A KR102140022B1 (ko) 2019-02-26 2019-02-26 볼트 풀림방지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022B1 true KR102140022B1 (ko) 2020-07-31

Family

ID=7183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345A KR102140022B1 (ko) 2019-02-26 2019-02-26 볼트 풀림방지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0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40446A1 (en) * 2020-11-02 2022-05-05 Huizhou Poypow Technology Co., Ltd Positive-and-negative electrode fixture of battery modules
WO2024019464A1 (ko) * 2022-07-20 2024-0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연결단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9747A (ja) * 1992-09-07 1994-03-29 Fujitsu Syst Constr Kk 端子台
KR940009538B1 (ko) * 1985-07-19 1994-10-14 테에르베 유나이티드-카 게엠베하 나사볼트 지지용 지지장치
KR20090018496A (ko) * 2007-08-17 2009-02-20 주식회사 다린 용기용 캡
JP2016109277A (ja) * 2014-12-10 2016-06-20 新電元工業株式会社 固定部材、組合部材及び組立部品
JP2017092015A (ja) * 2015-11-16 2017-05-25 鈴木 康之 端子台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538B1 (ko) * 1985-07-19 1994-10-14 테에르베 유나이티드-카 게엠베하 나사볼트 지지용 지지장치
JPH0689747A (ja) * 1992-09-07 1994-03-29 Fujitsu Syst Constr Kk 端子台
KR20090018496A (ko) * 2007-08-17 2009-02-20 주식회사 다린 용기용 캡
JP2016109277A (ja) * 2014-12-10 2016-06-20 新電元工業株式会社 固定部材、組合部材及び組立部品
JP2017092015A (ja) * 2015-11-16 2017-05-25 鈴木 康之 端子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40446A1 (en) * 2020-11-02 2022-05-05 Huizhou Poypow Technology Co., Ltd Positive-and-negative electrode fixture of battery modules
WO2024019464A1 (ko) * 2022-07-20 2024-0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연결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022B1 (ko) 볼트 풀림방지용 캡
US7862356B1 (en) Busway water resistant joint pack or plug-in unit joint
KR101168785B1 (ko) 전기장치를 벽에 설치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US9603269B2 (en) Modular enclosure and construction method
EP3165810A1 (en) Led luminaire
KR102024686B1 (ko) 터미널 블록의 풀림방지용 캡 및 이를 구비한 단자 블록체
JP6258894B2 (ja) 電子部品ユニット
KR102046904B1 (ko) 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조립식 분전반
EP3340391A1 (en) Sleeve assembly
BR112014024951A2 (pt) Placa frontal, e, painel para aparelho de comutação elétrica
CN108923007B (zh) 一种高效动力电池模组
EP2645487B1 (en) A pole connector for in-series circuit breakers
KR20130133634A (ko)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
US3146298A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KR20160148932A (ko) 멀티퓨즈
KR20170077230A (ko) 플러그 커넥터용 벽 부싱
RU2507656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короб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осветительных кабелей в туннелях
KR102010411B1 (ko) 풀림 방지용 볼트체결구조 및 이를 구비한 단자 블록체
EP0815625A1 (en) Busbar joint with means for attaching a cover
KR20170056877A (ko) 배터리 부착형 퓨즈유니트
KR102002793B1 (ko) 화재방지용 볼트체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단자 블록체
JP2019204635A (ja) 接続部材
KR102149477B1 (ko) 분전반용 분기 어셈블리
JP2004127704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KR100817887B1 (ko) 부스바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