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932A - 멀티퓨즈 - Google Patents

멀티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932A
KR20160148932A KR1020150085745A KR20150085745A KR20160148932A KR 20160148932 A KR20160148932 A KR 20160148932A KR 1020150085745 A KR1020150085745 A KR 1020150085745A KR 20150085745 A KR20150085745 A KR 20150085745A KR 20160148932 A KR20160148932 A KR 20160148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fusing
leg
replaceme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8932A/ko
Publication of KR2016014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10)에 용단공간(12)이 형성되고, 상기 용단공간(12)에 용단부(24)가 위치하는 버스바(20)가 구비된다. 상기 버스바(20)에는 배터리나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입력부(20)가 있고, 상기 입력부(20)에서 상기 용단부(24)가 다수개 연결되고, 상기 용단부(24) 각각에는 출력부(26)가 있다. 상기 용단부(24)와 대응되는 입력부(20)와 출력부(26)에는 제1레그슬릿(28)과 제2레그슬릿(34)이 형성되어 교체퓨즈(50)의 레그(5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용단부(24)가 설치되는 용단공간(12)을 차폐하는 장착커버(36)가 있다. 상기 장착커버(36)에는 상기 교체퓨즈(5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42)의 쌍들이 상기 용단부(24)와 대응되는 갯수만큼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퓨즈에서 녹아 끊어진 용단부(26)에 교체퓨즈(50)를 설치하여 계속하여 멀티퓨즈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퓨즈{Multi fuse}
본 발명은 멀티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용단부 중에서 하나 이상이 녹아 끊어지더라도 전체 멀티퓨즈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 멀티퓨즈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전원을 사용하는 전장품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모터, 점화플러그, 벌브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전장품들로는 퓨즈박스 등을 통해 배터리나 발전기에서 전원이 공급된다. 이들 각각의 전장품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나 발전기와 전장품의 사이에는 퓨즈가 설치된다.
이들 퓨즈 중에서 다수개의 전장품으로 동일한 세기의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멀티퓨즈가 있다. 멀티퓨즈를 구성하는 버스바는 입력부를 공유하고 각각의 출력부를 가진다. 상기 하나의 입력부와 다수개의 출력부 사이에는 다수개의 용단부가 있어서 각각의 전장품에 과부하가 흐를 때 용단부가 녹아서 끊어져 해당 전장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멀티퓨즈는 버스바에서 입력부를 공유하기 때문에, 하나의 용단부라도 녹아서 끊어지면, 전체 버스바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다양한 해결책을 강구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59868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7658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멀티퓨즈에서 용단된 부분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용단공간이 일측에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용단공간에 위치되고 과부하시에 녹아서 끊어지는 다수개의 용단부와 상기 다수개의 용단부와 연결된 하나의 입력부와 상기 각각의 용단부에서 연장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입력부에는 제1레그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용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인 출력부에는 제2레그슬릿이 형성된 버스바와, 상기 용단부가 안착된 상기 용단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제1 및 제2레그슬릿에 교체퓨즈가 장착되었을 때 교체퓨즈의 퓨즈몸체를 고정하는 장착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레그슬릿의 내면에는 입구에서 내부로 들어갈 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하는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1 및 제2 레그슬릿의 일측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에 형성된다.
상기 장착커버에는 상기 용단공간에서 상기 용단부 사이를 구획하여 용단부가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분리편이 더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배터리나 발전기 등의 전원측과의 연결을 위한 입력장착볼트가 관통하고, 상기 출력부에는 각각 하나씩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전장품 측과의 연결을 위한 출력장착볼트가 관통한다.
상기 장착커버의 커버몸체에는 상기 교체퓨즈의 퓨즈몸체를 고정하는 고정편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편은 상기 커버몸체에서 직립된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선단 일측면에 돌출된 걸이턱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교체퓨즈에 대해 한 쌍의 고정편이 상기 걸이턱이 마주보게 구비된다.
상기 장착커버에는 상기 교체퓨즈의 퓨즈몸체가 안착되는 지지단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단은 상기 몸체판의 양단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에서는 여러 개의 용단부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과부하에 의해 용단되어 끊어지더라도 별도의 보조퓨즈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멀티퓨즈 자체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멀티퓨즈의 유지보수비용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버스바에 형성된 제1레그슬릿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장착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멀티퓨즈가 사용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교체퓨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의 골격을 케이스(10)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케이스(10)이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소정 길이만큼 가로질러 용단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용단공간(12)은 아래에서 설명될 용단부(24)가 위치되는 공간이다. 상기 용단공간(12)은 아래에서 설명될 용단부(24)이 갯수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용단공간(12)을 사용에 두고 상기 케이스(10)에는 제1연결홈(14)과 제2연결홈(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연결홈(14)과 제2연결홈(14')은 아래에서 설명될 교체퓨즈(50)의 레그(54)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제1연결홈(14)과 제2연결홈(14')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용단공간(12) 내에 레그(54)가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제1입력장착볼트(16)와 제2입력장착볼트(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입력장착볼트(16)와 제2입력장착볼트(16')는 상기 용단공간(12)을 기준으로 일측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입력장착볼트(16)에는 제1입력버스바(19)와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20)의 입력부(22)가 연결된다. 상기 제2입력장착볼트(16')에는 제2입력버스바(19')와 버스바(20)의 입력부(22)가 연결된다.
상기 용단공간(12)을 중심으로 상기 제1입력장착볼트(16)와 제2입력장착볼트(16')가 있는 반대쪽에는 다수개의 출력장착볼트(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출력장착볼트(17)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20)의 각각의 출력부(26)와 연결단자(도시되지 않음)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들 출력장착볼트(17)는 상기 케이스(10)에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출력장착볼트(17)가 설치된 위치에서 상기 용단공간(12)의 반대쪽으로는 와이어인출부(18)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인출부(18)는 상기 출력장착볼트(17)에 연결된 링단자에서 연장되는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안내되는 부분이다.
버스바(2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버스바(20)는 크게 입력부(22), 용단부(24) 그리고 출력부(2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단부(24)와 출력부(26)는 다수개이고, 상기 입력부(22)는 하나로 된다. 상기 입력부(22)는 배터리나 발전기 등의 전원 측과 연결되는 부분이고, 상기 용단부(24)는 일단이 상기 입력부(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출력부(26)에 연결되며 연결되는 전장품에 과부하가 걸리면 녹아서 끊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출력부(26)는 상기 용단부(24)에 하나 씩 연결되어 전장품 측과의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입력부(22)는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입력부(22) 양측에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2')은 상기 제1입력장착볼트(16)와 제2입력장착볼트(16')가 각각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입력부(22)에는 또한 상기 용단부(2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레그슬릿(28)이 형성된다. 상기 제1레그슬릿(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교체퓨즈(50)의 레그(54)가 삽입되어 레그(54)와 입력부(2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상기 제1레그슬릿(28)의 직사각형상으로 상기 입력부(22)를 관통하게 형성되는데, 그 내면 일측에는 돌출부(3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0)의 선단면은 제1경사면(32)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30)의 제1경사면(32)과 마주보는 제1레그슬릿(28)의 내면에는 제2경사면(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32)과 제2경사면(33)에 의해 상기 제1레그슬릿(28)은 그 입구에서 내측을 향해 그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출력부(26)는 각각의 용단부(24)에 연결된다. 상기 출력부(26)는 본 실시례에서는 6개가 있는데, 이 갯수는 전장품의 갯수에 따라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26)에는 각각 관통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6')은 전장품과의 연결을 위한 단자의 결합을 위해 상기 출력장착볼트(17)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출력부(26)에는 또한 교체퓨즈(50)의 레그(54)가 삽입되는 제2레그슬릿(34)이 있다. 상기 제2레그슬릿(34)은 교체퓨즈(50)의 타측 레그(54)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레그슬릿(34)의 구성도 상기 제1레그슬릿(28)의 구성과 동일하다. 하지만 제2레그슬릿(34)에 있는 구조에는 편의상 돌출부(30)와 제1경사면(32)과 제2경사면(33)에 대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지 않았다. 제2레그슬릿(34)의 구조는 제1레그슬릿(28)과 비교할 때 돌출부(30)의 위치가 반대로 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용단공간(12)을 차폐하도록 장착커버(36)가 설치된다. 상기 장착커버(36)는 전체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커버(36)는 상기 용단공간(12)을 차폐함과 동시에 다수개로 구획하여 각각의 용단부(24)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장착커버(36)의 골격을 커버몸체(38)가 형성한다. 상기 커버몸체(38)는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되어 상기 용단공간(12)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몸체(38)가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은 별도의 나사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거나 상기 커버몸체(38)가 상기 용단공간(12)에 압입됨에 의해 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38)의 내면, 즉 상기 용단공간(12)을 향하는 표면에는 분리편(4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분리편(40)은 상기 용단공간(12)의 내부에서 용단공간(12)에 위치한 용단부(24)들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편(40)이 형성된 커버몸체(38)의 반대쪽 표면에는 고정편(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편(42)은 교체퓨즈(5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편(42)은 상기 커버몸체(38)에 일체로 직립되게 형성된 몸체판(44)과 상기 몸체판(44)의 선단 일측면에 형성된 걸이턱(4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정편(42)은 2개가 서로 쌍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쌍이 구비된다. 즉, 상기 용단부(24)의 갯수와 같은 갯수의 쌍이 있다. 상기 고정편(42)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교체퓨즈(50)의 퓨즈몸체(52)가 걸어져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된다.
상기 고정편(42)의 폭방향 양측에는 각각 지지단(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단(48)은 아래에서 설명될 교체퓨즈(50)의 퓨즈몸체(52)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단(48)에는 상기 교체퓨즈(50)의 퓨즈몸체(52)가 안착되어 교체퓨즈(50)가 장착되는 위치를 규제하게 된다.
한편, 교체퓨즈(50)는,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절연성 재질의 퓨즈몸체(52)에 퓨즈엘레먼트(도면부호 부여 않음)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퓨즈엘레먼트의 양단부인 레그(54)가 상기 퓨즈몸체(52)의 양단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구성된다. 상기 레그(54)는 상기 퓨즈몸체(52)에서 돌출되어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상기 레그(54)에는 비드(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드(56)는 레그(54)의 일측 표면으로는 오목하게 들어가고 반대쪽 표면으로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비드(56)는 상기 레그(54)의 선단까지 형성될 수 있는데, 레그(54)가 제1 및 제2레그슬릿(28,34)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레그(54)의 선단에 해당되는 부분의 비드(56)에는 안개경사면(58)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60은 장착너트로서, 제1 및 제2입력장착볼트(16,16')와 출력장착볼트(17)에 각각 체결되어 버스바(20)와 제1입력버스바(19), 제2입력버스바(19')의 결합과 상기 출력장착볼트(17)에 전장품 측의 단자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스바(20)는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되는데, 상기 용단부(24)가 상기 용단공간(12) 내에 위치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22)의 관통공(22')을 상기 제1입력장착볼트(16)와 제2입력장착볼트(16')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이에 상기 제1입력버스바(19)와 제2입력버스바(19')가 위치되어 장착너트(6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26)는 각각의 관통공(26')을 상기 출력장착볼트(17)가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이에 도시되지 않은 전장품 측 링단자가 결합된 상태로 장착너트(60)가 출력장착볼트(17)에 체결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터리나 발전기 측에서 상기 입력부(22)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입력부(22)를 통과하여 각각의 용단부(24)를 거쳐서 전원이 출력부(26)에 연결된 전장품으로 전달된다. 사용중에 전장품중 어느 하나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해당 전장품에 대응되는 용단부(24)가 녹아서 끊어지게 된다.
녹아서 끊어진 용단부(24)는 배터리나 발전기 측의 전원이 전장품으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하므로,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교체퓨즈(50)를 녹아 끊어진 용단부(24)에 대응되는 제1레그슬릿(28)과 제2레그슬릿(34)에 양단의 레그(54)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녹아 끊어진 용단부(24) 대신에 교체퓨즈(50)가 전원을 공급하는 경로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교체퓨즈(50)는 녹아 끊어진 용단부(24)와 동일한 용량을 가지는 용단부를 내부에 구비한다. 따라서, 녹아 끊어진 용단부(24)에 대응되는 전장품으로 상기 교체퓨즈(5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해당 전장품에 다시 과부하가 흐르는 경우에는 상기 교체퓨즈(50)의 용단부가 녹아 끊어져 전장품이 과부하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녹아서 끊어진 용단부(24)에 동일한 용량의 교체퓨즈(50)를 설치하면, 전체 버스바(20)를 교체하지 않고도 계속해서 멀티퓨즈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교체퓨즈(50)의 레그(54)에 형성된 비드(56)는 상기 버스바(20)에 형성된 제1레그슬릿(28)과 제2레그슬릿(32)의 제1경사면(32)과 제2경사면(33)을 따라 레그(54)가 삽입될 때 버스바(20)와 레그(54) 사이의 접촉이 보다 밀접하게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교체퓨즈(50)의 레그(54)와 입력부(22) 및 출력부(26)의 전기적 연결이 확실하게 되어 교체퓨즈(50)의 동작이 정확하게 일어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교체퓨즈(50)의 레그(54)가 상기 제1레그슬릿(28)과 제2레그슬릿(34)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퓨즈몸체(52)는 상기 고정편(42)에 의해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편(42)의 걸이턱(46)이 퓨즈몸체(52)의 일면에 걸어져서 교체퓨즈(50)가 유동되거나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케이스 12: 용단공간
14: 제1연결홈 14': 제2연결홈
16: 제1입력장착볼트 16': 제2입력장착볼트
17: 출력장착볼트 18: 와이어인출부
19: 제1입력버스바 19': 제2입력버스바
20: 버스바 22: 입력부
22': 관통공 24: 용단부
26: 출력부 26': 관통공
28: 제1레그슬릿 30: 돌출부
32: 제1경사면 33: 제2경사면
34: 제2레그슬릿 36: 장착커버
38: 커버몸체 40: 분리편
42: 고정편 44: 몸체판
46: 걸이턱 48: 지지단
50: 교체퓨즈 52: 퓨즈몸체
54: 레그 56: 비드
58: 안내경사면 60: 장착너트

Claims (7)

  1. 용단공간이 일측에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용단공간에 위치되고 과부하시에 녹아서 끊어지는 다수개의 용단부와 상기 다수개의 용단부와 연결된 하나의 입력부와 상기 각각의 용단부에서 연장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인 상기 입력부에는 제1레그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용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인 출력부에는 제2레그슬릿이 형성된 버스바와,
    상기 용단부가 안착된 상기 용단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제1 및 제2레그슬릿에 교체퓨즈가 장착되었을 때 교체퓨즈의 퓨즈몸체를 고정하는 장착커버를 포함하는 멀티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레그슬릿의 내면에는 입구에서 내부로 들어갈 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하는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마주보게 형성되는 멀티퓨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제1 및 제2 레그슬릿의 일측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에 형성되는 멀티퓨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커버에는 상기 용단공간에서 상기 용단부 사이를 구획하여 용단부가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분리편이 더 구비되는 멀티퓨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배터리나 발전기 등의 전원측과의 연결을 위한 입력장착볼트가 관통하고, 상기 출력부에는 각각 하나씩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전장품 측과의 연결을 위한 출력장착볼트가 관통하는 멀티퓨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커버의 커버몸체에는 상기 교체퓨즈의 퓨즈몸체를 고정하는 고정편이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편은 상기 커버몸체에서 직립된 몸체판과 상기 몸체판의 선단 일측면에 돌출된 걸이턱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교체퓨즈에 대해 한 쌍의 고정편이 상기 걸이턱이 마주보게 구비되는 멀티퓨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커버에는 상기 교체퓨즈의 퓨즈몸체가 안착되는 지지단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단은 상기 몸체판의 양단에 위치되는 멀티퓨즈.
KR1020150085745A 2015-06-17 2015-06-17 멀티퓨즈 KR20160148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745A KR20160148932A (ko) 2015-06-17 2015-06-17 멀티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745A KR20160148932A (ko) 2015-06-17 2015-06-17 멀티퓨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932A true KR20160148932A (ko) 2016-12-27

Family

ID=5773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745A KR20160148932A (ko) 2015-06-17 2015-06-17 멀티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89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7383A1 (en) * 2017-10-19 2019-04-25 Volvo Truck Corporation FUSE BOX, FUSE BOX ASSEMBLY COMPRISING SUCH FUSE BOX AND VEHICLE
KR102644817B1 (ko) * 2022-12-12 2024-03-06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
WO2024127680A1 (ja) * 2022-12-12 2024-06-20 太平洋精工株式会社 ヒューズ、及び当該ヒューズ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868A (ko) 2007-12-07 2009-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퓨즈박스
KR20110076581A (ko) 2009-12-29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 퓨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868A (ko) 2007-12-07 2009-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퓨즈박스
KR20110076581A (ko) 2009-12-29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 퓨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7383A1 (en) * 2017-10-19 2019-04-25 Volvo Truck Corporation FUSE BOX, FUSE BOX ASSEMBLY COMPRISING SUCH FUSE BOX AND VEHICLE
US11152180B2 (en) 2017-10-19 2021-10-19 Volvo Truck Corporation Fuse box, fuse box assembly comprising such fuse box and vehicle
KR102644817B1 (ko) * 2022-12-12 2024-03-06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
WO2024127680A1 (ja) * 2022-12-12 2024-06-20 太平洋精工株式会社 ヒューズ、及び当該ヒューズ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6811B2 (ja) ねじ締めブロックの接続構造
US9716325B1 (en) Electronic component unit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US10686261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2005190735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US9941086B2 (en) Electrical component unit, fusible link unit, and fixing structure
KR20160148932A (ko) 멀티퓨즈
CN1819094B (zh) 过载电流设备的馈通连接部件
KR101176626B1 (ko) 컴팩트 분전반
KR101417689B1 (ko) 휴즈 블럭 장치
KR20150041036A (ko) 퓨즈 유닛
JP5771439B2 (ja) ヒューズ回路構成体
KR102338879B1 (ko) 퓨즈
KR20200063518A (ko) 원터치 결합형 버스바 키트
KR20170017336A (ko)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인렛 소켓
JPH07254346A (ja) 電源保護具
KR101698569B1 (ko) 삽입형 발열 식별기 커넥터
US6734780B2 (en) Fuse assembly
CN111226302B (zh) 保险丝盒、包括这种保险丝盒的保险丝盒组件和车辆
KR20120017372A (ko) 멀티 퓨즈
KR20130003867U (ko) 점핑기능을 가지는 퓨즈
KR20180075269A (ko) 정션박스용 멀티 퓨즈
KR101435205B1 (ko) 퓨즈 및 이를 포함한 볼트 어셈블리
KR200484268Y1 (ko) 차단기 어셈블리
KR20150049538A (ko) 멀티 퓨즈
JP2004213906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