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6581A - 멀티 퓨즈 - Google Patents

멀티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6581A
KR20110076581A KR1020090133327A KR20090133327A KR20110076581A KR 20110076581 A KR20110076581 A KR 20110076581A KR 1020090133327 A KR1020090133327 A KR 1020090133327A KR 20090133327 A KR20090133327 A KR 20090133327A KR 20110076581 A KR20110076581 A KR 20110076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use
coupling
inlet
stepp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3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6581A/ko
Publication of KR2011007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퓨즈(10)는 인입유닛(12), 단위퓨즈(20) 및 마감유닛(40)을 구비한다. 상기 인입유닛(12)의 골격을 형성하는 인입유닛몸체(14)의 일측에는 단차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14')에는 인입단자(16)의 접촉절곡부(17)가 노출되어 위치된다. 상기 단차부(14')의 일측에는 결합요홈(18)이 형성된다. 단위퓨즈(20)의 골격을 형성하는 단위퓨즈몸체(22)에는 상기 인입유닛(12)의 단차부(14')를 차폐하는 결합커버(26)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커버(26)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요홈(18)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8)가 형성된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2)의 일측에도 단차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22')는 버스바(30)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된 접촉절곡부(3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커버(36)의 배면에는 상기 접촉절곡부(17,32)에 밀착되는 밀착박스(32')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유닛(40)은 단위퓨즈(20)의 단차부(22')를 차폐하는 결합커버(4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퓨즈(20)를 원하는 갯수만큼 결합하여 멀티퓨즈(10)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멀티퓨즈(10)의 호환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멀티 퓨즈, 조립, 분리

Description

멀티 퓨즈{Multi fuse}
본 발명은 멀티 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퓨즈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퓨즈를 조립에 의해 다양한 갯수만큼 구비할 수 있는 멀티 퓨즈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전원을 사용하는 전장품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모터, 점화플러그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전장품들은 그 동작을 위해 전원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전장품들로는 퓨즈박스를 통해 배터리나 발전기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퓨즈박스에는 각각의 전장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가 구비된다. 따라서, 각각의 전장품으로는 퓨즈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서,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퓨즈가 끊어지면서 전장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멀티퓨즈(1)는 다수개의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들 각각의 전 장품으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멀티퓨즈(1)는 주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주로 대전류가 필요한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멀티퓨즈(1)는 실제로 다수개의 퓨즈를 합친 것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상기 멀티퓨즈(1)의 골격을 퓨즈몸체(3)가 형성한다. 상기 퓨즈몸체(3)는 대략 납작하고 일방향으로 긴 육면체형상이다. 상기 퓨즈몸체(3)의 내부에는 각각의 전장품으로 과전류가 흐를 때, 전원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퓨즈몸체(3)에서는 다수개의 연결레그(5)가 외부로 돌출되어 연장된다. 상기 연결레그(5)는 각각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레그(5)에는 각각의 전장품과 연결된 커넥터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멀티퓨즈(1)에는 총 9개의 연결레그(5)가 있다.
상기 퓨즈몸체(3)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7,7')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단자(7,7')에는 각각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자(7,7')는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단자(7)는 발전기와 연결되고, 제2 연결단자(7')는 배터리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1)는 퓨즈몸체(3)를 사출성형에 의해 정해진 치수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따라서, 특정한 치수를 가지는 멀티퓨즈(1)는 정해진 곳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이 필요한 전장품의 갯수가 정해지면 그에 맞게 연결레그(5)가 구비되도록 멀티퓨즈(1)를 설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멀티퓨즈(1)가 사용되는 박스가 설계될 때마다 상기 멀티퓨즈(1) 또한 새롭게 설계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한 갯수만큼의 단위퓨즈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퓨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원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입단자가 인입유닛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인입유닛몸체에 형성된 단차부에 접촉절곡부가 상기 인입단자 일측에 형성되어 노출되는 인입유닛과; 부하로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과부하시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단위퓨즈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인입유닛 및 다른 단위퓨즈몸체와 결합되는 결합커버가 형성되고 단위퓨즈몸체의 타측에는 다른 단위퓨즈몸체의 결합커버가 결합되는 단차부가 각각 형성되는 단위퓨즈와;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단차부를 차폐하는 결합커버를 구비하는 마감유닛몸체가 외관을 형성하는 마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결합커버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면 내부에는 용단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차부로 접촉절곡부가 노출되고 상기 결합커버의 배면측에 노출되게 밀착편이 구비되는 버스바가 상기 단위퓨즈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버스바에는 상기 용단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용단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일측으로는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용단부와 일체이고 부하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레그가 구비된다.
상기 인입유닛몸체와 단위퓨즈몸체에 구비되는 단차부에는 결합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퓨즈몸체와 마감유닛몸체의 결합커버에는 상기 결합요홈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인입유닛몸체, 단위퓨즈몸체, 마감유닛몸체의 서로서로 밀착되는 면에는 결합요철이 형성되어 서로 사이의 체결 및 위치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인입유닛몸체의 인입단자에 형성되어 단차부로 노출되는 접촉절곡부와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버스바에 형성되어 단차부로 노출되는 접촉절곡부는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결합커버 배면으로 노출된 버스바의 밀착편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밀착편과 밀착된다.
상기 단위퓨즈를 감싸서 상기 용단공간을 차폐하도록 보호커버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보호커버는 투명재질로 된다.
상기 단위퓨즈의 각 용단공간은 별도의 보호커버에 의해 차폐되는데, 상기 보호커버는 투명재질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티퓨즈는 각각의 전장품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면서 필요시에 과부하를 차단하는 단위퓨즈를 필요한 갯수만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 였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박스에 맞게 단위퓨즈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멀티퓨즈의 호환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 멀티퓨즈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10)는 인입유닛(12), 단위퓨즈(20), 마감유닛(40) 및 보호커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구성들은 서로 조립되어 체결된다.
상기 인입유닛(12)은 발전기나 배터리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절연성 합성수지로 된 인입유닛몸체(14)에 인입단자(16)가 구비된다. 상기 인입단자(16)는 인입유닛몸체(14)에 인서트몰딩에 의해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인입단자(16)중 상기 인입유닛몸체(14)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단자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16')이 형성된다.
상기 인입단자(16)에는 상기 인입유닛몸체(14)의 단차부(14')에 노출되게 접촉절곡부(17)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절곡부(17)는 상기 인입단자(16)의 일부를 절 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단위퓨즈(20)의 버스바(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접촉절곡부(17)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특히 단위퓨즈(20)와 결합될 때, 탄성변형된 상태로 되어 버스바(30)와 밀착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상기 접촉절곡부(17)가 사각박스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될 수있다.
상기 접촉돌부(17)가 구비되는 상기 인입유닛몸체(14)의 단차부분에는 결합요홈(18)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홈(18)은 인입유닛(12)의 정면에서 볼 횡단면이 일정하게 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단위퓨즈(20)의 결합돌기(28)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인입유닛몸체(14)중 단위퓨즈(20)의 단위퓨즈몸체(22)와 밀착되는 부분에는 결합요철(19)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철(19)은 상기 인입유닛몸체(14)의 외면에 돌출 또는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단위퓨즈(20)의 단위퓨즈몸체(22)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단위퓨즈(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단위퓨즈(20)는 각각의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면서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단위퓨즈(20)의 외관과 골격을 단위퓨즈몸체(22)가 형성한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2)는 대략 일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2)도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된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2)의 정면 상단 일측에는 단차부(22')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22')의 일 측 내면에는 결합요홈(28')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2)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용단공간(24)이 형성된다. 상기 용단공간(2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용단부(32)가 위치된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2)의 상단 일측에는 결합커버(26)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결합커버(26)는 상기 인입유닛(12)의 단차부(14'), 즉 상기 접촉절곡부(17)가 구비된 부분을 덮어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커버(26)의 배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요홈(26')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30) 선단의 밀착박스(32')가 위치된다.
물론 단위퓨즈(20)가 다른 단위퓨즈(20)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단위퓨즈(20)에 형성된 단차부(22')를 덮게 된다. 상기 결합커버(26)에는 결합돌기(2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8)는 상기 인입유닛(12)의 결합요홈(18) 또는 단위퓨즈(20)의 결합요홈(28')과 결합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단차부(14',22')에 결합요홈(18,28')이 형성되고 결합커버(26)에 결합돌기(28)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은 서로 반대로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28)와 결합요홈(18,28')은 서로 대응되는 도브테일구조로 된다.
상기 단차부(22')와 결합커버(26)의 배면으로 노출되게 버스바(30)가 구비된다. 상기 버스바(30)는 상기 인입유닛(12)의 인입단자(16)나 다른 단위퓨즈(20)의 버스바(3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단위퓨즈(20)의 버스바(30)에는 상기 단차부(22')에 위치되게 접촉절곡부(32)가 사각통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커버(26)측에는 밀착박스(32')가 횡단면이 'ㄷ' 형상을 되게 절 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밀착박스(32')는 상기 버스바(30)의 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한다. 상기 밀착박스(23')에는 상기 접촉절곡부(17,32)가 삽입되면서 탄성변형되어 그 외면이 밀착박스(23')의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2)의 용단공간(24) 내에는 용단부(33)가 위치된다. 상기 용단부(33)는 과부하가 있을 때 녹아 절단되는 부분이다. 상기 용단부(33)는 상기 버스바(30)와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2)의 하단부로는 연결레그(34)가 돌출된다. 상기 연결레그(34)는 상기 용단부(33)와 일체로 되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30)와 같은 재질인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레그(34)는 전장품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데, 전장품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또는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2)의 외면중 상기 인입유닛(12)과 밀착되는 부분, 다른 단위퓨즈(20)와 밀착되는 부분에는 각각 결합요철(3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철(36)은 돌출 또는 요입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명 단위퓨즈몸체(22)를 정면에서 볼 때 좌측면에 돌출된 결합요철(36)이 있다면 반대쪽 면에는 요입된 결합요철(36)이 있어야 한다.
마감유닛(40)은 멀티퓨즈(10)의 끝부분에 위치되는 단위퓨즈(20)의 단차부(22')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감유닛(40)의 외관과 골격을 마감유닛몸체(42)가 형성하는데, 상기 마감유닛몸체(42)의 재질은 상기 단위퓨즈몸체(22)의 재질과 동일한 것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마감유닛몸체(42)에는 결합커버(44)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커버(44)는 상기 단위퓨즈(20)의 단차부(22')를 차폐하는 역할 을 한다. 상기 결합커버(44)의 선단에는 결합돌기(4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46)는 상기 단위퓨즈(20)의 결합요홈(28')에 결합되는 것으로 역시 도브테일구조로 된다. 상기 마감유닛몸체(42)중 상기 단위퓨즈몸체(22)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역시 결합요철(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한편, 보호커버(50)는 상기 단위퓨즈(20)들을 둘러싸서, 특히 상기 용단공간(24)을 외부와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단공간(24)으로 외부로부터 이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보호커버(50)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사각형 박스 형태인데,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용단공간(24) 내부의 용단부(33)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호커버(50)는 상기 단위퓨즈(20)를 둘러싸서 압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보호커버(50)에도 결합요철(19,36)과 같은 구성을 두어 단위퓨즈몸체(22)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50)의 일단부, 즉 상기 마감유닛(40)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마감유닛(4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벽을 제거한 절결부(52)를 형성한다.
참고로, 상기 보호커버(50)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단위퓨즈(20)에 용단공간(24)을 차폐할 수 있는 투명한 보호커버를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를 조립하고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멀티퓨즈(10)는 장착될 박스에서 필요로 하는 단위퓨즈(20)의 갯 수가 결정되면 조립되어 만들어진다. 필요한 갯수의 단위퓨즈(20)와, 인입유닛(10) 및 마감유닛(40)을 준비하고, 하나씩 조립한다.
먼저, 상기 인입유닛(10)에 단위퓨즈(20)를 결합한다. 상기 단위퓨즈(20)의 결합커버(26)가 상기 인입유닛(12)의 단차부(14')를 덮도록 하는데, 상기 결합커버(26)의 결합돌기(28)가 상기 인입유닛(12)의 결합요홈(18)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버스바(30)의 밀착박스(32')내에 상기 접촉절곡부(17)가 압착되어 밀착되면서 접촉절곡부(17)에 약간의 탄성변형이 발생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접촉절곡부(17)와 밀착박스(32')의 사이는 밀착되고 항상 약간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유닛(10)과 단위퓨즈(2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 졌을 때 상기 결합요철(19,36)사이의 결합도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요철(19,36)의 결합은 인입유닛(10)과 단위퓨즈(20)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나,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만 결합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서로 간의 결합위치가 정확하게 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인입유닛(12)과 단위퓨즈(20)의 결합이 완성되면, 필요한 갯수만큼의 단위퓨즈(20)를 반복하여 결합하면 된다. 즉, 단위퓨즈(20)의 결합커버(26)가 다른 단위퓨즈(20)의 단차부(22')를 차폐하도록 하면서 버스바(3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일측 단위퓨즈(20)의 접촉절곡부(32)와 타측 단위퓨즈(20)의 밀착박스(32')가 서로 밀착되어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단위퓨즈(20)들의 결합이 완성되면 마감유닛(40)을 마지막 단위퓨즈(20)의 단차부(22')를 차폐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마감유닛(40)의 결합커버(44)가 상기 단위퓨즈(20)의 단차부(22')로 노출된 버스바(30)와 절곡접촉부(32)를 차폐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결합커버(44)의 결합돌기(46)가 단위퓨즈(20)의 결합요홈(28')에 결합되게 하고 마감유닛(40)의 결합요철이 단위퓨즈(20)의 결합요철(36)에 결합됨에 의해 이들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단위퓨즈(20)의 용단공간(24)이 각각 별도의 보호커버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보호커버(50)를 상기 단위퓨즈(20)들을 둘러싸도록 결합한다. 상기 보호커버(50)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퓨즈(20)들을 둘러싸면서 상기 용단공간(24)을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멀티퓨즈(10)의 구성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멀티퓨즈(10)는 박스에 설치되고, 상기 인입단자(16)에는 전원측과 연결된 단자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레그(34)에는 부하측과 연결된 단자가 결합되어 전원을 각각의 부하로 공급하면서, 과부하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상기 용단부(33)가 녹아 끊어지도록 하여 보호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멀티퓨즈(10)이기는 하나 단위퓨즈(20)가 하나만 사용될 수도 있 다. 이 경우 단위퓨즈(20)의 결합커버(26)는 인입유닛(12)과 결합되고 마감유닛(40)은 단위퓨즈(20)의 단차부(22')에 결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멀티퓨즈 12: 인입유닛
14: 인입유닛몸체 14': 단차부
16: 인입단자 17: 접촉절곡부
18: 결합요홈 20: 단위퓨즈
22: 단위퓨즈몸체 22': 단차부
24: 용단공간 26: 결합커버
26': 안착요홈 28: 결합돌기
30: 버스바 32: 접촉절곡부
32': 밀착박스 33: 용단부
34: 연결레그 36: 결합요철
40: 마감유닛 42: 마감유닛몸체
44: 결합커버 50: 보호커버
52: 절결부

Claims (7)

  1. 전원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입단자가 인입유닛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인입유닛몸체에 형성된 단차부에 접촉절곡부가 상기 인입단자 일측에 형성되어 노출되는 인입유닛과;
    부하로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과부하시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단위퓨즈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인입유닛 및 다른 단위퓨즈몸체와 결합되는 결합커버가 형성되고 단위퓨즈몸체의 타측에는 다른 단위퓨즈몸체의 결합커버가 결합되는 단차부가 각각 형성되는 단위퓨즈와;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단차부를 차폐하는 결합커버를 구비하는 마감유닛몸체가 외관을 형성하는 마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결합커버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면 내부에는 용단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차부로 접촉절곡부가 노출되고 상기 결합커버의 배면측에 노출되게 밀착편이 구비되는 버스바가 상기 단위퓨즈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버스바에는 상기 용단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용단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일측으로는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용단부와 일체이고 부하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레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유닛몸체와 단위퓨즈몸체에 구비되는 단차부에는 결합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퓨즈몸체와 마감유닛몸체의 결합커버에는 상기 결합요홈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유닛몸체, 단위퓨즈몸체, 마감유닛몸체의 서로서로 밀착되는 면에는 결합요철이 형성되어 서로 사이의 체결 및 위치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유닛몸체의 인입단자에 형성되어 단차부로 노출되는 접촉절곡부와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버스바에 형성되어 단차부로 노출되는 접촉절곡부는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결합커버 배면으로 노출된 버스바의 밀착편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밀착편과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6. 제 2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퓨즈를 감싸서 상기 용단공간을 차폐하도록 보호커버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보호커버는 투명재질로 됨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7. 제 2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퓨즈의 각 용단공간은 별도의 보호커버에 의해 차폐되는데, 상기 보호커버는 투명재질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KR1020090133327A 2009-12-29 2009-12-29 멀티 퓨즈 KR20110076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327A KR20110076581A (ko) 2009-12-29 2009-12-29 멀티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327A KR20110076581A (ko) 2009-12-29 2009-12-29 멀티 퓨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581A true KR20110076581A (ko) 2011-07-06

Family

ID=4491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327A KR20110076581A (ko) 2009-12-29 2009-12-29 멀티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658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39Y1 (ko) * 2010-01-29 2014-09-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 퓨즈
KR20160148932A (ko) 2015-06-17 2016-1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퓨즈
KR101859731B1 (ko) * 2018-04-18 2018-05-18 주식회사 경신 분리형 멀티퓨즈
KR101859732B1 (ko) * 2018-04-18 2018-05-18 주식회사 경신 분리형 멀티퓨즈
KR101859728B1 (ko) * 2018-04-18 2018-05-18 주식회사 경신 분리형 멀티퓨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39Y1 (ko) * 2010-01-29 2014-09-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 퓨즈
KR20160148932A (ko) 2015-06-17 2016-1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퓨즈
KR101859731B1 (ko) * 2018-04-18 2018-05-18 주식회사 경신 분리형 멀티퓨즈
KR101859732B1 (ko) * 2018-04-18 2018-05-18 주식회사 경신 분리형 멀티퓨즈
KR101859728B1 (ko) * 2018-04-18 2018-05-18 주식회사 경신 분리형 멀티퓨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300B1 (ko) 퓨즈 유닛
US8382525B2 (en) Direct-connect fuse unit for battery terminal
US800256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7292130B2 (en) Fusible link and battery fuse unit containing the fusible link
US6830482B2 (en) Fusible link and method of producing said fusible link
US8471670B2 (en) Fusible link unit
JP6770358B2 (ja) 多連型ヒューズ
US9553434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ical junction box
KR20110076581A (ko) 멀티 퓨즈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2011234588A (ja) 電気接続箱の組立構造
JP5757892B2 (ja) 電気接続箱
US8507809B2 (en) Component-equipped-holder mounting structure
KR200474439Y1 (ko) 멀티 퓨즈
CN108233733B (zh) 一种逆变器用集成式直流母排接线座总成
KR100830698B1 (ko) 멀티퓨즈를 구비한 퓨즈박스
KR20110107169A (ko) 멀티퓨즈
JP5888801B1 (ja) 電気接続箱
WO2021020255A1 (ja) 電子モジュール
KR20130014163A (ko) 퓨즈유니트
KR20120017372A (ko) 멀티 퓨즈
JP4115209B2 (ja) 電気接続箱
KR20220127233A (ko) 퓨즈
JP2020080587A (ja) バスバー組み付け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20190023623A (ko) 퓨즈 및 퓨즈가 장착되는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