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163A - 퓨즈유니트 - Google Patents

퓨즈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163A
KR20130014163A KR1020110076114A KR20110076114A KR20130014163A KR 20130014163 A KR20130014163 A KR 20130014163A KR 1020110076114 A KR1020110076114 A KR 1020110076114A KR 20110076114 A KR20110076114 A KR 20110076114A KR 20130014163 A KR20130014163 A KR 20130014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unting
fuse
bus bar
fu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6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4163A/ko
Publication of KR2013001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5Electric connections to contacts on the base
    • H01H2085/2055Connections to bus bars in an installation with screw in type fuses or knife blade fuse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퓨즈유니트는 퓨즈본체(10)와 장착퓨즈부(20)가 서로 별개로 만들어져 결합된다. 상기 퓨즈본체(10)는 평판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장착퓨즈부(20)는 제1평판부(22)와 제2평판부(23)가 서로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평판부(22)가 상기 퓨즈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1평판부(22)에는 상기 퓨즈본체(10)에 형성된 결합포켓(50)에 결합되는 결합리브(5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포켓(50)에 인접하여 상기 본체연결편(14)이 위치되고, 상기 결합리브(54)가 형성된 제1평판부(22)의 일측면에서 상기 장착연결편(26)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본체연결편(14)과 장착연결편(26)을 동시에 관통하여 배터리터미널(40)의 결합볼트(48)가 관통하고 상기 결합볼트(48)에 체결너트(49)가 체결되어 퓨즈본체(10)와 장착퓨즈부(2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퓨즈부(20)를 다양한 사양으로 만들어 퓨즈유니트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고, 퓨즈본체(10)가 평판상으로 만들어지므로 상대적으로 보관과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퓨즈유니트{Fuse unit}
본 발명은 퓨즈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에 접속되어 전원을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선으로 공급하는 퓨즈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에서 나온 전원은 퓨즈유니트를 거쳐서 각각 전선을 통해 부하로 공급된다. 상기 전선은 배터리에 결합된 퓨즈유니트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퓨즈유니트에는 전선이 연장되는 방향이 다양한 방향으로 될 수 있도록 커넥터부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퓨즈유니트 전체를 L자 형상으로 만들어 서로 직교하는 부분에 각각 커넥터부를 두어 다양한 방향으로 전선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퓨즈유니트를 L자 형상이 되게, 즉 퓨즈유니트의 일부가 다른 부분에 대해 직교하게 만드는 것은 여러가지 어려운 점이 많다. 특히 전체 퓨즈유니트를 L자 형상으로 만드는 것은 정밀도의 유지가 매우 어렵다.
그리고, 퓨즈유니트 전체가 일체로 만들어지므로, 일단 만들어진 퓨즈유니트는 특정한 사양에서만 사용될 수 있어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퓨즈유니트의 횡단면이 L자 형상으로 됨으로 인해 포장에 많은 공간이 소요된다. 이와 같이 되면 운반이나 보관시에 많은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직교하는 부분을 가지는 퓨즈유니트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사양에 사용할 수 있는 퓨즈유니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이나 운반을 위한 포장에 소요되는 공간이 최소화된 퓨즈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전성 재질로 된 본체버스바와 상기 본체버스바가 내부에 구비되고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평판상으로 만들어진 본체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버스바에 전원공급을 위한 본체연결편, 과부하시 용융되어 끊어지는 용단부, 전장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본체부터미널부가 형성되는 퓨즈본체와, 상기 퓨즈본체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전성 재질로 된 장착부버스바와 상기 장착부버스바가 내부에 구비되고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제1평판부와 제2평판부가 서로 직교하게 형성되어 만들어진 장착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버스바에 상기 본체연결편과 체결되어 전원공급을 위한 장착연결편, 과부하시 용융되어 끊어지는 용단부, 전장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장착부터미널부가 형성되는 장착퓨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본체와 장착퓨즈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결합포켓과 상기 결합포켓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연결편은 상기 본체하우징의 일측 단부의 표면에 직교하게 돌출되고, 상기 본체연결편이 구비된 본체하우징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결합포켓이나 결합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연결편을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포켓은 상기 본체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장착퓨즈부의 제1평판부에 형성된다.
상기 본체연결판과 장착연결판은 각각의 용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버스바의 본체터미널부 그리고 상기 장착버스바의 장착부터미널부의 반대쪽에 구비된다.
상기 장착퓨즈부의 장착부버스바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터미널볼트가 설치되는데, 상기 터미널볼트는 상기 제1평판부의 외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터미널볼트의 주변에 해당되는 상기 제1평판부 상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퓨즈유니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퓨즈유니트를 구성하는 퓨즈본체가 평판상으로 만들어지므로, 그 본체하우징의 사출성형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고 내부의 본체버스바의 제작 또한 쉽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장착퓨즈부를 다양한 종류를 구비하면 다양한 형태의 조합을 만들어낼 수 있어 퓨즈유니트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퓨즈본체가 평판상으로 만들어지므로 보관과 운반을 위한 공간사용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퓨즈본체와 장착퓨즈부 사이의 위치관계를 결합포켓과 결합리브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퓨즈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유니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하우징의 형상을 보인 저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퓨즈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퓨즈유니트는 퓨즈본체(10)와 장착퓨즈부(20)를 구비한다. 상기 퓨즈본체(10)의 일측에 상기 장착퓨즈부(20)가 직교하게 장착되어 퓨즈유니트를 구성한다.
상기 퓨즈본체(10)는 외관과 골격을 본체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본체하우징(12)은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본체하우징(12)의 내부에는 본체버스바(14)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버스바(14)는 금속재질의 판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본체버스바(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다양한 구성들이 형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버스바(14)의 일측에는 본체연결편(15)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연결편(15)의 중앙에는 본체체결공(15')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본체체결공(15')은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볼트(48)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연결편(15)은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터리터미널(40)이 연결되어 전원을 본체버스바(14)로 공급하는 부분이다.
상기 본체연결편(15)은 상기 본체하우징(12)의 양측 표면중 일측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실제로 상기 본체버스바(14)의 일단부에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연결편(15)은 상기 본체하우징(12)의 일단부, 즉, 아래에서 설명될 본체커넥터부(18)가 구비되는 반대쪽 단부에 직교하게 돌출된다. 상기 본체연결편(15)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하우징(12)에 지지리브(12')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버스바(14)에는 용단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용단부는 과부하가 걸렸을 경우에 녹아서 끊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용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본체용단부윈도부(16)에 의해 차폐되는 본체용단부공간 내에 위치된다.
상기 본체버스바(14)에는 또한 본체터미널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터미널부는 상기 용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연결편(15)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상기 본체터미널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본체커넥터부(18)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본체하우징(12)의 일측에는 본체용단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용단부공간에는 상기 본체버스바(14)의 용단부가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용단부가 형성되는데, 4개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용단부공간은 본체용단부윈도우(16)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본체용단부윈도우(16)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용단부공간을 외부와 차폐하면서도 상기 용단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하우징(12)에는 상기 본체용단부윈도부(16)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연결편(15)의 반대쪽에 본체커넥터부(18)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커넥터부(18)는 상기 본체하우징(12)과 일체로 구성되는데, 상기 본체하우징(12)과 일체인 부분이 하우징의 역할을 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본체버스바(14)의 본체터미널부가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본체커넥터부(18)는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로 되어 있으나 다수개가 나누어져, 즉 다수개의 커넥터로 나누어져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퓨즈부(20)는 외관과 골격을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장착하우징(21)이 형성한다. 상기 장착하우징(21)은 서로 직교하는 제1평판부(22)와 제2평판부(23)가 일체로 되어 구성된다. 상기 평판부(22,23)들은 각각 평판형상으로 서로는 직교하게 연결된다.
상기 장착하우징(21)의 내부에는 장착부버스바(24)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버스바(24)는 금속재질의 판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다양한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부버스바(24)에는 장착연결편(2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연결편(26)은 상기 제1평판부(22)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장착연결편(26)은 상기 본체연결편(15)과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장착연결편(26)에는 상기 본체체결공(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체결공(26')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버스바(24)에는 또한 용단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용단는 상기 장착하우징(21)의 용단부공간(32') 내에 위치된다. 상기 용단부는 과부하가 걸렸을 경우에 녹아서 끊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부버스바(24)에는 또한 장착부터미널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터미널부는 상기 용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장착연결편(26)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상기 장착부터미널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장착커넥터부(34)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평판부(22)의 상면으로는 상기 장착부버스바(24)를 관통하여 터미널볼트(28)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볼트(28)에는 별도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터미널볼트(28)가 구비되는 상기 제1평판부(22)의 주변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리브(3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30)는 상기 터미널볼트(28)에 장착되는 터미널의 삽입과 장착시에 안내역할을 한다.
상기 장착하우징(21)의 제2평판부(23) 내측에는 용단부공간(32')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버스바(24)의 용단부가 위치된다. 상기 용단부공간(32')은 장착용단부윈도우(32)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장착용단부윈도우(3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평판부(23)의 일측에는 장착커넥터부(34)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커넥터부(34)는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장착부버스바(24)의 장착부터미널부가 내부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퓨즈본체(10)의 본체연결편(15)과 배터리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터리터미널(40)의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배터리터미널(40)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터리터미널(40)은 전체적으로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배터리터미널(40)의 일단부에는 배터리의 스터드볼트가 관통하는 스터드연결부(42)가 일측이 개방된 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터드연결부(42)의 내경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44)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부(44)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터드연결부(4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연장편(46)이 구비되고, 상기 연장편(46)의 끝부분에는 결합볼트(4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볼트(48)는 상기 본체연결편(15)의 본체체결공(15')과 상기 장착연결편(26)의 장착체결공(26')을 관통하여 체결너트(49)와 체결되어 상기 배터리터미널(40), 본체연결편(15), 장착연결편(26)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퓨즈본체(10)와 장착퓨즈부(20) 사이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퓨즈본체(10)의 본체하우징(12)의 외면에는 결합포켓(5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포켓(50)의 내부에는 삽입공간(5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52)은 적어도 일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하우징(12)의 외면이 결합포켓(50)의 삽입공간(52)의 일측 내면을 형성하고, 본체하우징(12)의 외면과 마주보는 결합포켓(50)의 일측벽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결합포켓(50)은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으로 된다.
상기 결합포켓(50)은 상기 지지리브(12')를 기준으로 현재 도시된 위치의 반대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결합포켓(50)이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본체연결편(15)을 지지하는 지지리브(12')를 기준으로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결합포켓(50)이 현재의 위치의 반대쪽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장착퓨즈부(20)에는 상기 결합포켓(50)과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된다. 즉, 상기 장착연결편(26)이 상기 본체연결편(15)과 결합되었을 때, 상기 결합포켓(5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리브(54)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리브(54)는 상기 장착연결편(26)이 장착하우징(21)의 일측면을 통해 돌출된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하우징(21)의 제1평판부(22)에 상기 결합리브(5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54)는 상기 삽입공간(52)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상과 치수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된다.
한편, 상기 결합포켓(50)과 상기 결합리브(54)는 그 형성위치가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결합포켓(50)이 상기 장착하우징(21)의 제1평판부(22)에 있고, 상기 결합리브(54)가 상기 퓨즈본체(10)의 본체하우징(12)일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유니트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퓨즈유니트는 상기 퓨즈본체(10)와 장착퓨즈부(20)가 각각 별개로 제작되고, 서로 결합되어 사용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퓨즈본체(10)와 상기 장착퓨즈부(20)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사용된다.
상기 퓨즈본체(10)와 장착퓨즈부(20) 사이의 결합은 상기 결합리브(54)가 결합포켓(50)의 삽입공간(52)내에 압입됨에 의해 일차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볼트(48)와 체결너트(49)에 의해 상기 본체연결편(15)과 장착연결편(26)이 체결됨에 의해 완전히 체결된다.
참고로, 상기 장착퓨즈부(20)는 그 용량, 즉 상기 용단부의 용량을 달리한 것 또는 상기 용단부의 갯수가 다른 것 등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장착퓨즈부(20)를 다양한 용량과 사양을 가지는 것을 만들어 두고 필요한 것을 채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퓨즈부(20)의 장착 위치는 상기 본체연결편(15)의 양측 모두 또는 적어도 어느 일측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퓨즈부(20)를 필요한 위치에 필요한 갯수만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일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본체(10)에 장착퓨즈부(20)가 장착되고 상기 배터리터미널(40)이 상기 본체연결편(15)의 본체체결공(15')과 장착연결편(26)의 장착체결공(26')을 관통하여 체결너트(49)와 체결되게 하면 상기 배터리터미널(40)을 통해 전원이 상기 장착연결편(26)을 통해 퓨즈본체(1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연결편(26)을 통해서는 상기 장착퓨즈부(20)로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퓨즈본체(10)의 본체커넥터부(18)와 상기 장착퓨즈부(20)의 장착커넥터부(34)에는 각각 커넥터들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이들 커넥터들에서 나온 전선들은 각각의 전장부품, 즉 부하들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예를 들어, 상기 퓨즈본체(10)의 본체커넥터부(18)에 결합된 커넥터에서 나온 전선이 연결된 전장부품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이에 해당되는 용단부에 과전류가 흐르면서 용융되어 끊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전장부품으로는 더 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연결편(15)을 통해 공급된 전원은 상기 퓨즈본체(10)에 있는 본체버스바(14)를 통해 각각의 용단부로 전달되고, 각각의 용단부를 거쳐 각각의 본체터미널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터미널부에 연결된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을 통해 각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연결편(26)으로 공급된 전원은 상기 장착부버스바(24)를 통해 용단부를 거쳐 상기 장착커넥터부(34)의 장착부터미널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커넥터부(34)에 결합된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이 상기 장착부터미널부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퓨즈본체 12: 본체하우징
14: 본체버스바 15: 본체연결편
15': 본체체결공 16: 본체용단부윈도우
18: 본체커넥터부 20: 장착퓨즈부
21: 장착하우징 22: 제1평판부
23: 제2평판부 24: 장착부버스바
26: 장착연결편 26': 장착체결공
28: 터미널볼트 30: 가이드리브
32: 장착용단부윈도우 32': 용단부공간
34: 장착커넥터부 40: 배터리터미널
42: 스터드연결부 44: 조절부
46: 연장편 48: 결합볼트
49: 체결너트 50: 결합포켓
52: 삽입공간 54: 결합리브

Claims (7)

  1. 도전성 재질로 된 본체버스바와 상기 본체버스바가 내부에 구비되고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평판상으로 만들어진 본체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버스바에 전원공급을 위한 본체연결편, 과부하시 용융되어 끊어지는 용단부, 전장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본체부터미널부가 형성되는 퓨즈본체와,
    상기 퓨즈본체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전성 재질로 된 장착부버스바와 상기 장착부버스바가 내부에 구비되고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제1평판부와 제2평판부가 서로 직교하게 형성되어 만들어진 장착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버스바에 상기 본체연결편과 체결되어 전원공급을 위한 장착연결편, 과부하시 용융되어 끊어지는 용단부, 전장부품과의 연결을 위한 장착부터미널부가 형성되는 장착퓨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본체와 장착퓨즈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결합포켓과 상기 결합포켓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되는 퓨즈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연결편은 상기 본체하우징의 일측 단부의 표면에 직교하게 돌출되고, 상기 본체연결편이 구비된 본체하우징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결합포켓이나 결합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연결편을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상기 본체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유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포켓은 상기 본체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장착퓨즈부의 제1평판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유니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연결판과 장착연결판은 각각의 용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버스바의 본체터미널부 그리고 상기 장착버스바의 장착부터미널부의 반대쪽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유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퓨즈부의 장착부버스바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터미널볼트가 설치되는데, 상기 터미널볼트는 상기 제1평판부의 외면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유니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볼트의 주변에 해당되는 상기 제1평판부 상에는 다수개의 가이드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유니트.
KR1020110076114A 2011-07-29 2011-07-29 퓨즈유니트 KR20130014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14A KR20130014163A (ko) 2011-07-29 2011-07-29 퓨즈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14A KR20130014163A (ko) 2011-07-29 2011-07-29 퓨즈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63A true KR20130014163A (ko) 2013-02-07

Family

ID=4789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114A KR20130014163A (ko) 2011-07-29 2011-07-29 퓨즈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41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948A1 (en) * 2017-02-09 2018-08-1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ocking and retaining structure for attaching fuse box to battery tr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948A1 (en) * 2017-02-09 2018-08-1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ocking and retaining structure for attaching fuse box to battery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1190B2 (en) Fuse unit
US8721367B2 (en) Fuse unit
US8471670B2 (en) Fusible link unit
US8723038B2 (en) Plate metal member, bus bar, and electrical junction box having the bus bar
US9236724B2 (en) Busbar unit
US20160204555A1 (en) Battery direct-mounted fusible link
WO2013187056A1 (en) Bus bar module
CN102870281B (zh) 电气接线盒的组装结构
US20130120101A1 (en) Fuse block device
JP2015082406A (ja) 電池集合体と導電路付き端子との接続構造
KR20110076581A (ko) 멀티 퓨즈
JP6238873B2 (ja) 電気接続箱
CN203942236U (zh) 电气接线箱
KR20130014163A (ko) 퓨즈유니트
KR200474439Y1 (ko) 멀티 퓨즈
KR100830698B1 (ko) 멀티퓨즈를 구비한 퓨즈박스
KR20110107169A (ko) 멀티퓨즈
JP2020188533A (ja) 電気接続箱
KR20120017372A (ko) 멀티 퓨즈
JP2014230328A (ja) 電気接続箱
WO2021020255A1 (ja) 電子モジュール
KR101462663B1 (ko) 차량용 박스
JP7123482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US20160079027A1 (en) Fuse unit
KR20140029786A (ko) 고전압 퓨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