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169A - 멀티퓨즈 - Google Patents

멀티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169A
KR20110107169A KR1020100026377A KR20100026377A KR20110107169A KR 20110107169 A KR20110107169 A KR 20110107169A KR 1020100026377 A KR1020100026377 A KR 1020100026377A KR 20100026377 A KR20100026377 A KR 20100026377A KR 20110107169 A KR20110107169 A KR 20110107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ead
connector
fus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6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7169A/ko
Publication of KR2011010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멀티퓨즈는 하우징(10)의 연결판(18)의 양측 표면에 각각 제1단자유닛(30)과 제2단자유닛(30')의 용단부(40)들이 각각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연결판(18)에 각각 헤드부(12)와 커넥터연결부(24)가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판(18)의 표면에 형성되는 용단공간(22)은 관통슬롯을 통해 상기 헤드부(12) 내부의 헤드공간(12')과 커넥터연결부(24) 내부의 커넥터공간(24')과 동시에 연통된다. 상기 단자유닛(30,30')의 버스바(34)중 용단부(40)에서 연장된 출력단자(42)는 상기 헤드공간(12'), 용단공간(22)을 관통하여 커넥터공간(24')에 위치되어 전장품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커넥터와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멀티퓨즈가 사용되는 퓨즈박스의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멀티퓨즈 및 퓨즈박스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퓨즈{Multi fuse}
본 발명은 멀티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하우징의 양측 표면에 용단부를 다수개 씩 배열하여 각각의 전장품에서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멀티퓨즈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전원을 사용하는 전장품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모터, 점화플러그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전장품들은 그 동작을 위해 전원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전장품들로는 퓨즈박스를 통해 배터리나 발전기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퓨즈박스에는 각각의 전장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가 구비된다. 따라서, 각각의 전장품으로는 퓨즈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서,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퓨즈가 끊어지면서 전장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멀티퓨즈(1)는 다수개의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들 각각의 전장품으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멀티퓨즈(1)는 주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주로 대전류가 필요한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멀티퓨즈(1)는 실제로 다수개의 퓨즈를 합친 것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상기 멀티퓨즈(1)의 골격을 퓨즈몸체(3)가 형성한다. 상기 퓨즈몸체(3)는 대략 납작하고 일방향으로 긴 육면체형상이다. 상기 퓨즈몸체(3)의 내부에는 각각의 전장품으로 과전류가 흐를 때, 전원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퓨즈몸체(3)에서는 다수개의 연결레그(5)가 외부로 돌출되어 연장된다. 상기 연결레그(5)는 각각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레그(5)에는 각각의 전장품과 연결된 커넥터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멀티퓨즈(1)에는 총 9개의 연결레그(5)가 있다.
상기 퓨즈몸체(3)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7,7')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단자(7,7')에는 각각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자(7,7')는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단자(7)는 발전기와 연결되고, 제2 연결단자(7')는 배터리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퓨즈박스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야할 전장품이 많은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멀티퓨즈(1)를 다수개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멀티퓨즈(1)가 다수개 사용되는 경우에는 퓨즈박스에 멀티퓨즈(1)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필요하여 퓨즈박스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멀티퓨즈(1)의 연결레그(5)에는 각각 상대 터미널, 예를 들면 F-F 터미널이 연결되고, 다시 상기 F-F터미널에 별도의 커넥터가 연결되어야 하므로 퓨즈박스에서 사용되는 부품수가 많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퓨즈를 일체로 만든 멀티퓨즈에서 퓨즈의 갯수에 비해 멀티퓨즈 전체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장품측과의 연결이 보다 용이한 멀티퓨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헤드공간이 형성되는 헤드부와 내부에 커넥터공간이 형성되는 커넥터연결부를 용단공간을 형성하는 연결판이 연결하여 구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헤드부의 헤드공간에 위치되는 헤드바아에 전원측과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상기 용단공간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용단부 및 상기 용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연결부의 커넥터공간에 위치되는 출력단자로 구성되는 버스바가 일체로 구비되는 단자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용단공간을 외부와 차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판의 양측 표면에는 각각 상기 헤드부의 헤드공간 및 상기 커넥터연결부의 커넥터공간과 관통슬롯을 통해 연통되는 용단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의 양측 표면에 각각 그 용단부가 위치하게 상기 단자유닛은 제1 및 제2단자유닛으로 된다.
상기 단자유닛의 헤드바아는 상기 헤드부의 헤드공간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단자유닛과 제2단자유닛의 헤드바아가 상기 헤드공간을 채우도록 되고, 상기 헤드부의 입구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헤드바아의 부분에는 걸이단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의 입력단자는 상기 헤드바아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용단부는 버스바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전장품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녹아 끊어지며, 상기 출력단자는 상기 용단부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연결부에 삽입되고 상기 전장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용단공간을 외부와 차폐하는데, 상기 연결판의 일측 표면을 차폐하는 공간차폐부와 상기 공간차폐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판에 장착되는 측면장착부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판과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용단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구획리브가 구비되는데, 상기 구획리브는 상기 연결판이나 커버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헤드바아에는 걸이턱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과 대응되는 상기 헤드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멀티퓨즈는 하나의 하우징의 양측면을 따라 용단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하였으므로 퓨즈의 갯수에 비해 하우징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멀티퓨즈가 소형화되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퓨즈박스에서 멀티퓨즈의 설치를 위해 사용되는 공간이 최소화되어 멀티퓨즈를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멀티퓨즈에서 전장품 측과 연결되는 부분에 다수개의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직접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멀티퓨즈와 전장품 사이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 간소하게 되어 퓨즈박스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단순화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퓨즈를 사용하는 퓨즈박스는 상대적으로 적은 숫자의 멀티퓨즈를 사용하게 되므로 퓨즈박스의 구성이 단순하게 되어 퓨즈박스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하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멀티퓨즈를 조립하는 과정으로 하우징에 제2단자유닛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멀티퓨즈를 조립하는 과정으로 하우징에 제1 및 제2 단자유닛이 삽입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멀티퓨즈의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는데, 상부에는 좌우로 긴 육면체 형상의 헤드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12)는 그 내부에 헤드공간(12')이 형성되는데, 상기 헤드공간(12')은 하우징(10)의 상부로 개방된다. 상기 헤드공간(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자유닛(30,30')의 헤드바아(32)가 위치된다.
상기 헤드부(12)의 측벽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공(14)은 헤드부(12)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헤드부(12)의 헤드공간(12') 내벽에 요입되게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헤드부(12)의 측벽중 양단부의 것에는 버스바슬롯(16)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버스바슬롯(16)은 아래에서 설명될 단자유닛(30,30')의 입력단자(34)측이 관통하여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헤드부(12)의 헤드공간(12')과 아래에서 설명될 용단공간(22)을 연통시키기 위해 관통슬롯(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헤드부(12)의 바닥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12)의 하부에서 연장되게 연결판(18)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판(18)은 대략 사각형의 판상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연결부(24)와 헤드부(12) 사이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판(18)의 양측 표면에는 구획리브(20)가 다수개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구획리브(20)에 의해 상기 연결판(18)의 양측 표면에는 용단공간(22)이 구획되어 만들어진다. 상기 용단공간(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용단부(40)가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커넥터연결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연결부(24)는 상기 헤드부(12)와 유사한 직육면체 형상인데, 그 내부의 커넥터공간(24')이 하우징(10)의 하부로 개방된다. 상기 커넥터공간(2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커넥터(50)가 위치된다.
상기 용단공간(22)과 커넥터공간(24')을 연통시키도록 관통슬롯(26)이 상기 커넥터연결부(24)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롯(26)은 상기 각각의 용단공간(22)에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관통슬롯(26)을 관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출력단자(42)가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공간(24')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커넥터연결부(24)의 외면에는 상기 연결커넥터(5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인 걸이홈(26)이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홈(26)에는 상기 연결커넥터(50)의 걸이레버(도시되지 않음)가 걸어질 수 있다. 상기 걸이홈(26)은 연결커넥터(50)가 사용되는 갯수만큼 상기 커넥터연결부(24)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 단자유닛(30,30')이 설치된다. 상기 단자유닛(30,30')의 골격을 헤드바아(32)가 형성한다. 상기 헤드바아(32)는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각각의 단자유닛(30,30')의 것이 상기 헤드공간(12')에 나란히 삽입되어 헤드공간(12') 내부를 채운다. 상기 헤드바아(32) 역시 좌우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제1 및 제2 단자유닛(30,30')의 것이 상기 헤드공간(12')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헤드공간(12')을 완전히 채우게 된다. 상기 헤드바아(32)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이단(33')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단(33')은 상기 헤드바아(32)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상기 헤드부(12)의 상단에 안착된다. 상기 걸이단(33')은 제1 및 제2 단자유닛(30,30')의 헤드바아(32)가 서로 접촉되는 가장자리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헤드바아(32)에는 버스바(34)가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34)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버스바(34)의 일측에는 입력단자(35)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단자(35)는 전원측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헤드바아(3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선단에는 결합편(36)이 나머지 부분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편(36)에는 체결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단자유닛(30,30')의 체결공(38)은 서로 일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단자유닛(30)의 결합편(36)은 제2단자유닛(30')의 결합편(36)보다 짧게 만들어진다.
상기 버스바(34)에는 또한 용단부(40)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용단부(40)는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용단공간(22)마다 하나씩 위치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용단부(40)는 전장품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해당 전장품에 대응되는 것이 녹아 절단되어 전장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단부(40)에서 연장되어서는 출력단자(42)가 형성된다. 상기 출력단자(42)는 상기 관통슬롯(26)을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연결부(24)의 커넥터공간(24')에 위치된다. 상기 출력단자(42)는 연결커넥터(50)의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용단공간(22)을 외부와 차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에는 커버(44)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44)는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었을 때, 그 외면이 상기 헤드부(12) 및 커넥터연결부(24)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커버(44)는 각각 상기 연결판(18)의 양측 표면에 형성된 용단공간(22)을 차폐하도록 2개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연결판(18)의 양측을 차폐하기 위한 상기 커버(44)는 공간차폐부(46)와 측면장착부(48)로 구성된다. 상기 공간차폐부(46)는 상기 연결판(18)의 표면과 대응되는 부분으로 상기 구획리브(20)가 형성된 연결판(18)의 표면측을 차페하고, 상기 공간차폐부(46)의 양단에 직교하게 구비되는 측면장착부(48)는 상기 커버(44)를 상기 연결판(18)에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장착부(48)에는 예를 들어 반구형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18)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반구형상의 돌기와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되면 상기 커버(44)를 연결판(18)에 장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공간차폐부(46)의 내면에 상기 구획리브(20)가 끼워질 수 있는 구성이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커버(44)는 투명 또는 적어도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용단공간(22)에 있는 용단부(40)의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자유닛(30')을 상기 하우징(10)에 설치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출력단자(42)를 상기 헤드부(12)의 헤드공간(12')으로 삽입하고, 상기 헤드부(12)의 관통슬롯(26)을 통해 상기 출력단자(42)가 용단공간(22)을 통과하고, 다시 상기 관통슬롯(26)을 통과해서 상기 커넥터연결부(24)의 커넥터공간(24')에 위치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되었을 때, 상기 헤드바아(32)는 상기 헤드공간(12')내에 위치되고, 상기 걸이단(33')은 상기 헤드부(12)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상기 걸이단(33')이 상기 헤드부(12)의 입구 가장자리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제2단자유닛(30')이 하우징(10)에 삽입되는 위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12)의 결합공(14)에 상기 헤드바아(32)의 걸이턱(33)이 걸어짐에 의해 상기 헤드바아(32)가 상기 헤드부(12)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2단자유닛(30')을 하우징(10)에 설치한 후에는 상기 제1단자유닛(30)을 상기 하우징(10)내에 설치한다. 상기 제1단자유닛(30)의 경우도 상기 제2단자유닛(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출력단자(42)가 상기 헤드공간(12') 및 용단공간(22)을 통과하여 상기 커넥터공간(24')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단자유닛(30)의 헤드바아(32)는 상기 하우징(10)의 헤드부(12)의 헤드공간(12')에 안착되는데, 상기 제2단자유닛(30')의 헤드바아(32)의 일면과 상기 헤드부(12)의 내면에 각각 밀착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1 및 제2 단자유닛(30,30')의 상기 입력단자(42)의 결합편(36)은 서로 겹치게 되고, 각각의 체결공(38)은 일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44)를 상기 하우징(10)에 장착하는데, 상기 커버(44)가 장착됨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용단공간(22)은 외부와 차폐되고, 상기 용단공간(22) 내에 설치된 용단부(40)는 인접한 다른 용단부(40)와 완전히 구획된 공간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멀티퓨즈는 퓨즈 박스 등에 형성된 설치부에 장착되는데, 상기 퓨즈박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커넥터(50)가 상기 커넥터연결부(2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물론 도면에서는 하나의 연결커넥터(5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상기 커넥터연결부(24)의 커넥터공간(24')을 모두 채우도록 연결커넥터(50)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커넥터(50)에서 연장된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단자(34)는 배터리나 발전기 등과 같은 전원 측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버스바(34)를 통해 각각의 전장품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즉, 상기 입력단자(34), 용단부(40) 및 출력단자(42)를 거쳐 연결커넥터(50)로 전원이 전달되어 전장품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차량의 사용중에 상기 전장품중 하나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그 전장품에 대응되는 용단부(40)가 녹아서 끊어지게 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판(18)에 구획리브(20)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커버(44)의 공간차폐부(46)에 구획리브(20)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리브(20)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단자유닛(30, 30')은 반드시 동시에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시에는 하나의 단자유닛(30,30')만을 설치하여 멀티퓨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10: 하우징 12: 헤드부
12': 헤드공간 14: 결합공
16: 버스바슬롯 18: 연결판
20: 구획리브 22: 용단공간
24: 커넥터연결부 24': 커넥터공간
26: 관통슬롯 28: 걸이홈
30: 제1단자유닛 30': 제2단자유닛
32: 헤드바아 33: 걸이턱
33': 걸이단 34: 버스바
35: 입력단자 36: 결합편
38: 체결공 40: 용단부
42: 출력단자 44: 커버
46: 공간차폐부 48: 측면장착부

Claims (7)

  1. 내부에 헤드공간이 형성되는 헤드부와 내부에 커넥터공간이 형성되는 커넥터연결부를 용단공간을 형성하는 연결판이 연결하여 구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헤드부의 헤드공간에 위치되는 헤드바아에 전원측과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상기 용단공간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용단부 및 상기 용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연결부의 커넥터공간에 위치되는 출력단자로 구성되는 버스바가 일체로 구비되는 단자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용단공간을 외부와 차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양측 표면에는 각각 상기 헤드부의 헤드공간 및 상기 커넥터연결부의 커넥터공간과 관통슬롯을 통해 연통되는 용단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의 양측 표면에 각각 그 용단부가 위치하게 상기 단자유닛은 제1 및 제2단자유닛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유닛의 헤드바아는 상기 헤드부의 헤드공간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단자유닛과 제2단자유닛의 헤드바아가 상기 헤드공간을 채우도록 되고, 상기 헤드부의 입구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헤드바아의 부분에는 걸이단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입력단자는 상기 헤드바아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용단부는 버스바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전장품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녹아 끊어지며, 상기 출력단자는 상기 용단부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연결부에 삽입되고 상기 전장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용단공간을 외부와 차폐하는데, 상기 연결판의 일측 표면을 차폐하는 공간차폐부와 상기 공간차폐부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판에 장착되는 측면장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과 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용단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구획리브가 구비되는데, 상기 구획리브는 상기 연결판이나 커버중 어느 일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바아에는 걸이턱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과 대응되는 상기 헤드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KR1020100026377A 2010-03-24 2010-03-24 멀티퓨즈 KR20110107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377A KR20110107169A (ko) 2010-03-24 2010-03-24 멀티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377A KR20110107169A (ko) 2010-03-24 2010-03-24 멀티퓨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169A true KR20110107169A (ko) 2011-09-30

Family

ID=4495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377A KR20110107169A (ko) 2010-03-24 2010-03-24 멀티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71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871A (ko) * 2012-06-29 2014-01-10 타이코에이엠피(유) 퓨즈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8126A (ko) * 2012-07-23 2015-04-08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퓨즈 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871A (ko) * 2012-06-29 2014-01-10 타이코에이엠피(유) 퓨즈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8126A (ko) * 2012-07-23 2015-04-08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퓨즈 유닛
US9460878B2 (en) 2012-07-23 2016-10-04 Yazaki Corporation Fuse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300B1 (ko) 퓨즈 유닛
US7612647B2 (en) Fusible link
JP5836811B2 (ja) ねじ締めブロックの接続構造
US9716325B1 (en) Electronic component unit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US8257097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20050153583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8471670B2 (en) Fusible link unit
US20110299229A1 (en)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EP2715765B1 (en) Fusible link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ical junction box
GB2493058A (en) Bus bar designed to reduce wastage of material
KR101344231B1 (ko) 전기 정션박스의 조립구조
US20130120101A1 (en) Fuse block device
KR20110076581A (ko) 멀티 퓨즈
KR20110107169A (ko) 멀티퓨즈
JP7420205B2 (ja) 電気接続箱
KR200474439Y1 (ko) 멀티 퓨즈
KR100830698B1 (ko) 멀티퓨즈를 구비한 퓨즈박스
JP6296875B2 (ja) 電子部品ユニット
KR20120017372A (ko) 멀티 퓨즈
KR20100084891A (ko) 퓨즈박스
KR20130014163A (ko) 퓨즈유니트
JP7410094B2 (ja) 電気接続箱
KR100796031B1 (ko) 정션박스
KR200426342Y1 (ko) 정션박스
KR20120077479A (ko) 전원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