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439Y1 - 멀티 퓨즈 - Google Patents

멀티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439Y1
KR200474439Y1 KR2020100001073U KR20100001073U KR200474439Y1 KR 200474439 Y1 KR200474439 Y1 KR 200474439Y1 KR 2020100001073 U KR2020100001073 U KR 2020100001073U KR 20100001073 U KR20100001073 U KR 20100001073U KR 200474439 Y1 KR200474439 Y1 KR 200474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use
bus bar
lead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778U (ko
Inventor
이재섭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1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43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7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4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6Magazin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2085/0233Details with common casing for fusible elements inserted in more than one phase or more than one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퓨즈로서 인입유닛(10), 단위퓨즈(20) 및 마감유닛(30)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모두 과부하가 흐를 때 차단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입유닛몸체(11), 단위퓨즈몸체(21) 및 마감유닛몸체(31)는 모두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인입유닛몸체(11)와 단위퓨즈몸체(21)의 일측면에는 각각 결합공(18,28)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퓨즈몸체(21) 및 마감유닛몸체(31)에는 상기 결합공(18,28)에 삽입되는 결합보스(29,3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인입유닛몸체(11), 단위퓨즈몸체(21) 및 마감유닛몸체(31)에는 각각 인입버스바(14), 단위버스바(24) 및 마감버스바(34)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인입버스바(14)의 일측에는 배터리 측과 연결되는 인입단자(19)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단위퓨즈(20)의 갯수를 조절하여 전체 멀티퓨즈의 퓨즈의 갯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사양의 박스에서 멀티퓨즈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 퓨즈{Multi fuse}
본 고안은 멀티 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퓨즈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퓨즈를 조립에 의해 다양한 갯수만큼 구비할 수 있는 멀티 퓨즈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서 전원을 사용하는 전장품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모터, 점화플러그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전장품들은 그 동작을 위해 전원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전장품들로는 퓨즈박스를 통해 배터리나 발전기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퓨즈박스에는 각각의 전장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퓨즈가 구비된다. 따라서, 각각의 전장품으로는 퓨즈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서,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퓨즈가 끊어지면서 전장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멀티퓨즈(1)는 다수개의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이들 각각의 전장품으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멀티퓨즈(1)는 주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주로 대전류가 필요한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멀티퓨즈(1)는 실제로 다수개의 퓨즈를 합친 것과 동일한 역할을 한다. 상기 멀티퓨즈(1)의 골격을 퓨즈몸체(3)가 형성한다. 상기 퓨즈몸체(3)는 대략 납작하고 일방향으로 긴 육면체형상이다. 상기 퓨즈몸체(3)의 내부에는 각각의 전장품으로 과전류가 흐를 때, 전원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퓨즈몸체(3)에서는 다수개의 연결레그(5)가 외부로 돌출되어 연장된다. 상기 연결레그(5)는 각각의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레그(5)에는 각각의 전장품과 연결된 커넥터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멀티퓨즈(1)에는 총 9개의 연결레그(5)가 있다.
상기 퓨즈몸체(3)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7,7')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단자(7,7')에는 각각 체결공(도시되지 않음)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자(7,7')는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단자(7)는 발전기와 연결되고, 제2 연결단자(7')는 배터리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1)는 퓨즈몸체(3)를 사출성형에 의해 정해진 치수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따라서, 특정한 치수를 가지는 멀티퓨즈(1)는 정해진 곳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이 필요한 전장품의 갯수가 정해지면 그에 맞게 연결레그(5)가 구비되도록 멀티퓨즈(1)를 설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멀티퓨즈(1)가 사용되는 박스가 설계될 때마다 상기 멀티퓨즈(1) 또한 새롭게 설계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한 갯수만큼의 퓨즈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멀티퓨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를 관통하는 인입버스바의 일측에 인입단자가 형성되고 내부에 용단부가 위치되는 용단공간이 형성된 인입유닛몸체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인입단자가 구비된 반대쪽의 상기 인입유닛몸체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인입유닛몸체의 외부로 상기 용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레그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인입유닛과, 상기 인입유닛의 인입유닛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용단부가 위치되는 용단공간이 형성된 단위퓨즈몸체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퓨즈몸체를 관통하는 단위버스바의 일측단에는 접촉돌부가 타측단에는 접촉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일측면에는 결합공이 반대측면에는 상기 인입유닛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외부로 상기 용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레그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단위퓨즈와, 상기 단위퓨즈의 단위퓨즈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용단부가 위치되는 용단공간이 형성된 마감유닛몸체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마감유닛몸체를 관통하는 마감버스바의 일측단에는 상기 단위버스바의 접촉돌부와 결합되는 접촉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유닛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유닛몸체의 외부로 상기 용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레그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마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위퓨즈몸체 및 마감유닛몸체의 일측면으로는 상기 단위버스바 및 마감버스바의 일단부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단위버스바 및 마감버스바에는 접촉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퓨즈몸체 및 인입유닛몸체의 타측면으로는 상기 단위버스바 및 인입버스바의 타단부가 노출되는데 상기 단위버스바 및 인입버스바에는 접촉돌부가 형성된다.
상기 인입버스바, 단위버스바 및 마감버스바는 각각 몸체편의 일측에 직교하게 직교편이 형성되는데, 상기 접촉돌부 및 접촉홈부는 상기 몸체편과 직교편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단위퓨즈몸체와 마감유닛몸체에는 각각 상기 인입유닛몸체 및 단위퓨즈몸체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결합보스가 구비되는데, 상기 결합보스는 보스몸체의 선단에 상기 보스몸체보다 크기가 큰 걸이헤드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보스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따라서는 절결슬롯이 형성되어 결합보스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단위퓨즈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인입유닛에 하나의 단위퓨즈가 결합되고 이 후에는 각각의 단위퓨즈에 차례로 단위퓨즈가 결합된다.
본 고안에 의한 멀티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멀티퓨즈는 각각의 전장품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면서 필요시에 과부하를 차단하는 인입유닛, 단위퓨즈 및 마감유닛중에서 단위퓨즈를 필요한 갯수만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박스에 맞게 멀티퓨즈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멀티퓨즈의 호환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 멀티퓨즈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퓨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멀티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위버스바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위퓨즈몸체가 결합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멀티퓨즈는 인입유닛(10), 단위퓨즈(20) 및 마감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구성들은 서로 조립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이들 인입유닛(10), 단위퓨즈(20) 및 마감유닛(30)은 각각의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는데,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입유닛(10)은 발전기나 배터리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입단자(19)를 구비하는 부분이다. 상기 인입유닛(10)의 외관과 골격을 인입유닛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인입유닛몸체(11)는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인입유닛몸체(11)의 내부에는 용단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용단공간(12)은 본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용단공간(12)은 별도의 커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단공간(12)을 차폐하는 커버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인입유닛몸체(11)에는 인입버스바(14)가 인서트몰딩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인입버스바(14)는 상기 인입유닛몸체(11)의 내부 및 외부에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용단공간(12)에도 일부가 위치된다. 상기 인입버스바(14)에는 판상의 몸체편(15)의 일측에 직교하게 형성된 직교편(15')이 구비된다. 상기 인입버스바(14)는 상기 인입유닛몸체(11)를 양측방향으로 관통되게 위치된다. 상기 인입버스바(14)는 상기 인입유닛몸체(11)의 일측으로는 돌출되고 타측으로는 돌출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인입버스바(14)가 돌출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인입유닛몸체(11)의 일측면중 요입된 부분 내부에 단부가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에는 접촉돌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돌부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접촉돌부(26)와 같이 돌기형상으로 된다. 상기 접촉돌부는 상기 인입버스바(14)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선단부분의 폭이 인입버스바(14)에 연결된 부분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상기 인입유닛몸체(11)의 일단부로는 연결레그(17)가 돌출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레그(17)는 용단부(17')를 통해 상기 인입버스바(14)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레그(17)는 상기 용단부(17')와 일체로 되는 것으로, 상기 인입버스바(14)와 같은 재질인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레그(17)는 전장품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데, 전장품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또는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입유닛몸체(11)의 일측면에는 결합공(18)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18)중 일부는 상기 용단공간(12)의 내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8)은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보스(29)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공(18)은 다수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버스바(14)의 몸체편(15)에는 인입단자(19)가 형성된다. 상기 인입단자(19)는 상기 결합공(18)이 형성되어 있는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입버스바(14)의 일측에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인입단자(19)는 배터리나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인입단자(19)에는 체결공(19')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단위퓨즈(20)는 상기 인입유닛(10) 및 다른 단위퓨즈(20)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단위퓨즈(20)의 외관과 골격을 단위퓨즈몸체(21)가 형성한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1)는 일방향으로 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는데, 상기 인입유닛몸체(11)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1)도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된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1)의 내부에는 용단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용단공간(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용단부(27')가 위치된다. 상기 용단공간(22)은 본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용단공간(22)은 별도의 커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폐되는 것이 좋다. 상기 용단공간(22)을 차폐하는 커버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되는 것이 좋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1)에는 퓨즈버스바(24)가 인서트몰딩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퓨즈버스바(24)는 상기 단위퓨즈몸체(21)의 내부 및 외부에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용단공간(22)에도 일부가 위치된다. 상기 퓨즈버스바(24)에는 판상의 몸체편(25)의 일측에 직교하게 형성된 직교편(25')이 구비된다. 상기 퓨즈버스바(24)는 상기 단위퓨즈몸체(21)를 양측방향으로 관통되게 위치된다. 상기 퓨즈버스바(24)는 상기 단위퓨즈몸체(21)의 일측으로는 돌출되고 타측으로는 돌출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퓨즈버스바(24)가 돌출되지 않은 부분은 상기 단위퓨즈몸체(21)의 일측면중 요입된 부분 내부에 단부가 위치되는데, 이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돌부(26)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접촉돌부(26)는 몸체편(25)과 직교편(25')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상기 퓨즈버스바(24)가 단위퓨즈몸체(21)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접촉홈부(26')가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홈부(26')도 상기 몸체편(25)과 직교편(25')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접촉홈부(26')는 상기 퓨즈버스바(24)의 일면 가장자리에 요입되게 형성되는데, 퓨즈버스바(24)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부분의 폭이 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돌부(26)가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퓨즈몸체(21)의 일단부로는 연결레그(27)가 돌출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레그(27)는 용단부(27')를 통해 상기 퓨즈버스바(24)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레그(27)는 상기 용단부(27')와 일체로 되는 것으로, 상기 퓨즈버스바(24)와 같은 재질인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레그(27)는 전장품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데, 전장품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또는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1)의 일측, 즉 본 실시예에서는 퓨즈버스바(24)가 돌출되지 않은 쪽 측면에 결합공(28)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28)은 일부가 상기 용단공간(22)의 내부까지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8)은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보스(29)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공(28)은 다수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퓨즈몸체(21)중 상기 결합공(28)이 형성된 반대쪽 측면에는 결합보스(2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보스(29)는 상기 인입유닛(10)의 결합공(18) 또는 다른 단위퓨즈(20)의 결합공(28)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보스(29)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몸체(29')의 선단에 걸이헤드(29")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걸이헤드(29")는 그 크기가 상기 보스몸체(29')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8,28)에 삽입되어 걸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보스(29)는 그 길이방향 중간부분을 따라 절결슬롯(293)이 형성되어 결합보스(29)가 두 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절결슬롯(293)의 폭이 줄어들도록 결합보스(29)가 탄성변형되면 결합공(18,28)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29)는 상기 결합공(18,28)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가 형성된다.
상기 마감유닛(30)은 멀티퓨즈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일 마지막 단위퓨즈(20)에 결합된다. 상기 마감유닛(30)의 외관과 골격을 마감유닛몸체(31)가 형성한다. 상기 마감유닛몸체(31)는 일방향으로 긴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되는데, 상기 인입유닛몸체(11)나 단위퓨즈몸체(21)의 형상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마감유닛몸체(31)도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된다. 상기 마감유닛몸체(31)의 내부에는 용단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용단공간(3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용단부(37')가 위치된다. 상기 용단공간(32)은 본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용단공간(32)은 별도의 커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폐되는 것이 좋다. 상기 용단공간(32)을 차폐하는 커버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되는 것이 좋다.
상기 마감유닛몸체(31)에는 마감버스바(34)가 인서트몰딩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마감버스바(34)는 상기 마감유닛몸체(31)의 내부 및 외부에 존재하게 되는데, 상기 용단공간(32)에도 일부가 위치된다. 상기 마감버스바(34)에는 판상의 몸체편(35)의 일측에 직교하게 형성된 직교편(35')이 구비된다. 상기 마감버스바(34)는 상기 마감유닛몸체(31)를 양측방향으로 관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마감버스바(34)는 상기 마감유닛몸체(31)의 일측으로는 돌출되고 타측으로는 노출되지는 않는다.
상기 마감버스바(34)가 마감유닛몸체(31)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접촉홈부(36')가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촉홈부(36')도 상기 몸체편(35)과 직교편(35')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접촉홈부(36')는 상기 마감버스바(34)의 일면 가장자리에 요입되게 형성되는데, 마감버스바(34)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부분의 폭이 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돌부(36)가 안착되어 걸어진다.
상기 마감유닛몸체(31)의 일단부로는 연결레그(37)가 돌출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레그(37)는 용단부(37')를 통해 상기 마감버스바(34)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레그(37)는 상기 용단부(37')와 일체로 되는 것으로, 상기 마감버스바(34)와 같은 재질인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레그(37)는 전장품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데, 전장품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자 또는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감유닛몸체(31)중 일 측면에는 결합보스(3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보스(39)는 상기 단위퓨즈(20)의 결합공(28)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보스(39)는 도 3에 잘 도시된 결합보스(29)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진다. 상기 결합보스(39)는 상기 단위퓨즈(20)의 결합공(28)의 갯수와 대응되는 갯수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퓨즈를 조립하고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멀티퓨즈는 장착될 박스에서 필요로 하는 퓨즈의 갯수에 맞게 인입유닛(10), 단위퓨즈(20) 및 마감유닛(30)을 준비한다. 상기 인입유닛(10)과 마감유닛(30)도 각각 하나의 퓨즈의 역할을 하므로 인입유닛(10)과 마감유닛(30)에 단위퓨즈(20)의 갯수를 합한 갯수가 필요로 하는 퓨즈의 갯수이다.
실제 사용에서는 하나의 퓨즈가 필요한 경우에는 인입유닛(10)만을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2개의 퓨즈가 필요한 경우에는 인입유닛(10)과 마감유닛((30)을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3개 이상의 퓨즈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인입유닛(10), 마감유닛(30)에 하나 이상의 단위퓨즈(20)를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단위퓨즈(20)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즉, 총 5개의 퓨즈가 필요한 경우이다. 상기 인입유닛(10)의 결합공(18)에 상기 단위퓨즈(20)의 결합보스(29)를 삽입하여 단위퓨즈몸체(21)와 인입유닛몸체(11)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결합의 과정에서 상기 인입유닛(10)의 인입버스바(14)에 형성된 돌기형상의 접촉돌부는 상기 단위퓨즈(20)의 퓨즈버스바(24)에 홈형상으로 형성된 접촉홈부(26')에 안착되어 걸어진다. 이는 상기 접촉홈부(26')의 입구보다 내측이 폭이 더 넓기 때문인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인입유닛(10)과 단위퓨즈(20) 사이의 분리가 방지된다. 상기 돌기형상의 접촉돌부가 홈형상의 접촉홈부(26')에 삽입되는 것은 상기 돌기형상의 접촉돌부가 약간 탄성변형되면서 이루어진다.
상기 인입유닛(10)과 하나의 단위퓨즈(20)의 결합이 완성되면, 상기 단위퓨즈(20)에 차례로 다른 단위퓨즈(20)들을 결합한다. 이들 사이의 결합은 결합보스(29)가 결합공(28)에 삽입되는 것과 접촉돌부(26)는 접촉홈부(26')에 결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기적 연결은 상기 퓨즈버스바(24)들 사이의 접촉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퓨즈(20)의 결합이 완성되면, 마지막으로 마감유닛(30)을 마지막 단위퓨즈(20)에 결합한다. 상기 마감유닛(30)을 상기 단위퓨즈(20)에 결합하는 것은, 상기 결합보스(39)를 상기 결합공(28)에 삽입함과 상기 마감버스바(34)의 접촉홈부(36')와 상기 단위퓨즈(20)의 접촉돌부(26)사이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멀티퓨즈의 결합이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위퓨즈(20)는 원하는 갯수만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멀티퓨즈가 사용되는 박스의 사양에 따라 단위퓨즈(20)의 갯수를 달리하면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멀티퓨즈는 박스에 설치되고, 상기 인입단자(19)에는 전원측과 연결된 단자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레그(17,27,37)에는 부하측과 연결된 단자가 결합되어 전원을 각각의 부하로 공급하면서, 과부하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상기 용단부(17',27',37')가 녹아 끊어지도록 하여 보호작용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돌부(26)와 접촉홈부(26')의 형성위치는 도시된 실시예의 그것과 반대로 되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접촉돌부(26)가 형성된 부분이 단위퓨즈몸체(21)나 인입유닛몸체(11)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으나 반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10: 인입유닛 11: 인입유닛몸체
12: 용단공간 14: 인입버스바
15: 몸체편 15': 직교편
17: 연결레그 17': 용단부
18: 결합공 19: 인입단자
19': 체결공 20: 단위퓨즈
21: 단위퓨즈몸체 22: 용단공간
24: 단위버스바 25: 몸체편
25': 직교편 26: 접촉돌부
26': 접촉홈부 27: 연결레그
27': 용단부 28: 결합공
29: 결합보스 29': 보스몸체
29": 걸이헤드 293: 절결슬롯
30: 마감유닛 31: 마감유닛몸체
32; 용단공간 34: 마감버스바
35: 몸체편 35': 직교편
37: 연결레그 37': 용단부
38: 결합공 39: 결합보스

Claims (5)

  1. 내부를 관통하는 인입버스바의 일측에 인입단자가 형성되고 내부에 용단부가 위치되는 용단공간이 형성된 인입유닛몸체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 인입단자가 구비된 반대쪽의 상기 인입유닛몸체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인입유닛몸체의 외부로 상기 용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레그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인입유닛과,
    상기 인입유닛의 인입유닛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용단부가 위치되는 용단공간이 형성된 단위퓨즈몸체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단위퓨즈몸체를 관통하는 단위버스바의 일측단에는 접촉돌부가 타측단에는 접촉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일측면에는 결합공이 반대측면에는 상기 인입유닛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외부로 상기 용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레그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단위퓨즈와,
    상기 단위퓨즈의 단위퓨즈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용단부가 위치되는 용단공간이 형성된 마감유닛몸체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마감유닛몸체를 관통하는 마감버스바의 일측단에는 상기 단위버스바의 접촉돌부와 결합되는 접촉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유닛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단위퓨즈몸체의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보스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유닛몸체의 외부로 상기 용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레그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마감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퓨즈몸체 및 마감유닛몸체의 일측면으로는 상기 단위버스바 및 마감버스바의 일단부가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단위버스바 및 마감버스바에는 접촉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퓨즈몸체 및 인입유닛몸체의 타측면으로는 상기 단위버스바 및 인입버스바의 타단부가 노출되는데 상기 단위버스바 및 인입버스바에는 접촉돌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버스바, 단위버스바 및 마감버스바는 각각 몸체편의 일측에 직교하게 직교편이 형성되는데, 상기 접촉돌부 및 접촉홈부는 상기 몸체편과 직교편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퓨즈몸체와 마감유닛몸체에는 각각 상기 인입유닛몸체 및 단위퓨즈몸체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결합보스가 구비되는데, 상기 결합보스는 보스몸체의 선단에 상기 보스몸체보다 크기가 큰 걸이헤드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보스의 길이방향 중간부를 따라서는 절결슬롯이 형성되어 결합보스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퓨즈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인입유닛에 하나의 단위퓨즈가 결합되고 이 후에는 각각의 단위퓨즈에 차례로 단위퓨즈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퓨즈.
KR2020100001073U 2010-01-29 2010-01-29 멀티 퓨즈 KR200474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73U KR200474439Y1 (ko) 2010-01-29 2010-01-29 멀티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073U KR200474439Y1 (ko) 2010-01-29 2010-01-29 멀티 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78U KR20110007778U (ko) 2011-08-04
KR200474439Y1 true KR200474439Y1 (ko) 2014-09-17

Family

ID=4559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073U KR200474439Y1 (ko) 2010-01-29 2010-01-29 멀티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4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728B1 (ko) * 2018-04-18 2018-05-18 주식회사 경신 분리형 멀티퓨즈
KR101859732B1 (ko) * 2018-04-18 2018-05-18 주식회사 경신 분리형 멀티퓨즈
KR101859731B1 (ko) * 2018-04-18 2018-05-18 주식회사 경신 분리형 멀티퓨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139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차량용 퓨즈 상호결합구조
KR200338455Y1 (ko) 2003-10-07 2004-01-16 한범수 자동차용 휴즈 홀더
KR20110076581A (ko) * 2009-12-29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 퓨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139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차량용 퓨즈 상호결합구조
KR200338455Y1 (ko) 2003-10-07 2004-01-16 한범수 자동차용 휴즈 홀더
KR20110076581A (ko) * 2009-12-29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 퓨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778U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525B2 (en) Direct-connect fuse unit for battery terminal
US7292130B2 (en) Fusible link and battery fuse unit containing the fusible link
US8573987B1 (en) Power distribution box assembly
US9716325B1 (en) Electronic component unit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US8471670B2 (en) Fusible link unit
KR200474439Y1 (ko) 멀티 퓨즈
US20130120101A1 (en) Fuse block device
KR20110076581A (ko) 멀티 퓨즈
JP5946023B2 (ja) 電気回路装置
US9174593B2 (en) Connecting block assembly
JP2009183031A (ja) 電気接続箱
KR20160116425A (ko) 퓨즈를 구비한 단자
KR100830698B1 (ko) 멀티퓨즈를 구비한 퓨즈박스
JP7226190B2 (ja) 電気接続箱
KR20110107169A (ko) 멀티퓨즈
KR100988788B1 (ko) 조립형 버스바
KR100952434B1 (ko) 다방향 조인트장치
KR20160081061A (ko) 멀티 퓨즈
JP6513959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KR100804264B1 (ko) 부품집적박스
JP7412035B1 (ja) ヒューズ、及び当該ヒューズの製造方法
KR100804265B1 (ko) 부품집적박스
JP2013084453A (ja) ヒューズセット及び電気接続箱
US10756458B2 (en) Bus bar assembling structure,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KR101462663B1 (ko) 차량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