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031B1 -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031B1
KR100796031B1 KR1020060105844A KR20060105844A KR100796031B1 KR 100796031 B1 KR100796031 B1 KR 100796031B1 KR 1020060105844 A KR1020060105844 A KR 1020060105844A KR 20060105844 A KR20060105844 A KR 20060105844A KR 100796031 B1 KR100796031 B1 KR 100796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ot
main cover
boss
undercover
jun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bstract

본 발명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품안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두개의 파일럿트홀이 천공되는 메인커버와, 부품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커버와 결합되고 메인커버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커버의 파일럿트홀과 연통되는 파일럿트홀이 천공되는 언더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와 언더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고 버스바의 일부가 상기 부품안착부로 연장되는 버스바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파일럿트홀과 언더커버의 파일럿트홀은 메인커버와 언더커버가 형성하는 공간 외부와만 연통된다. 상기 메인커버의 파일럿트홀은 상기 메인커버에 형성된 연결보스를 관통하고, 상기 언더커버의 파일럿트홀은 상기 언더커버에 형성된 파일럿트보스를 관통하며, 상기 연결보스와 파일럿트보스는 선단이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에 의하면 메인커버와 언더커버의 파일럿트홀을 통해 정션박스의 내부로 물이 침투할 수 없게 되므로 정션박스의 방수성이 높아져 정션박스의 내구성과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정션박스를 조립함에 있어 별도의 파일럿트핀이 없어도 되어 조립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정션박스, 방수, 물배출, 파일럿트홀,

Description

정션박스{Junction box}
도 1은 일반적인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메인커버 22: 부품안착부
24: 퓨즈 26: 파일럿트홀
28: 연결보스 28': 결합링홀
30: 언더커버 31: 부품장착부
32: 파일럿트홀 34: 파일럿트보스
36: 스컷트단 38: 결합링
40: 버스바조립체 42: 와이어플레이트
44: 버스바 46: 연통홀
48: 파일럿트스컷트 50: 절연플레이트
52: 연통홀
본 발명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서 각종 부품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정션박스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전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하거나 각 부품으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면 어떤 명칭을 쓰더라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정션박스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정션박스의 외관과 골격을 메인커버(1)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커버(1)의 상면에는 부품안착부(1')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부품안착부(1')에는 릴레이(3)나 퓨즈(5)와 같은 부품이 안착된다. 상기 메인커버(1)를 관통하여서는 파일럿트홀(7)이 천공된다. 상기 파일럿트홀(7)은 정션박스의 조립시 각 구성요소 사이의 상대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파일럿트핀(도시되지 않음)이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메인커버(1)의 하부에는 언더커버(9)가 장착된다. 상기 언더커버(9)는 상기 메인커버(1)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조립체(11)가 안착되게 한다. 상기 언더커버(9)에도 다수개의 부품안착부(9')가 형성된다. 상기 언더커버(9)에도 상기 메인커버(1)의 파일럿트홀(7)과 대응되는 위치에 파일럿트홀(도시되지 않음)이 천공된다.
버스바조립체(11)는 와이어플레이트(13)와 절연플레이트(15)에 각각 버스 바(17,17')가 안착되어 적층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버스바(17,17')들은 각각 와이어플레이트(13)와 절연플레이트(15)에 안착된 상태에서 직립된 그 일부가 상기 메인커버(1)나 언더커버(9)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부품안착부(1',9')에 안착된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메인커버(1)의 파일럿트홀(7)과 대응되는, 상기 와이어플레이트(13)와 절연플레이트(15)에도 파일럿트핀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정션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메인커버(1)에 형성된 파일럿트홀(7)과 언더커버(9)에 형성된 파일럿트홀은 정션박스의 조립시에는 구성요소들 사이의 상대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지만, 실제 정션박스가 차량 등에서 사용될 때에는, 그 부분을 통해 내부로 물이 들어갈 수 있다. 상기 파일럿트홀(7)을 통해 정션박스의 내부로 물이 들어가면 상기 버스바(17,7')사이의 단락문제와 부식문제가 대두된다.
그리고, 종래의 정션박스를 조립할 때에는 반드시 파일럿트핀을 사용하여 메인커버(1), 언더커버(9) 및 버스바조립체(11)사이의 상대 위치를 맞추어 주어야 하므로 파일럿트핀을 구비한 조립라인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일럿트홀을 통해 정션박스의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션박스의 구성요소 자체에 파일럿트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두어 정션박스의 조립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품안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두개의 파일럿트홀이 천공되는 메인커버와, 부품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커버와 결합되고 메인커버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커버의 파일럿트홀과 연통되는 파일럿트홀이 천공되는 언더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와 언더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고 버스바의 일부가 상기 부품안착부로 연장되는 버스바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파일럿트홀과 언더커버의 파일럿트홀은 메인커버와 언더커버가 형성하는 공간 외부와만 연통된다.
상기 메인커버의 파일럿트홀은 상기 메인커버에 형성된 연결보스를 관통하고, 상기 언더커버의 파일럿트홀은 상기 언더커버에 형성된 파일럿트보스를 관통하며, 상기 연결보스와 파일럿트보스는 선단이 서로 결합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를 구성하는 와이어플레이트와 절연플레이트에는 상기 파일럿트보스가 관통하는 연통홀이 각각 천공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를 구성하는 와이어플레이트에는 상기 파일럿트보스의 외면에 형성된 스컷트단을 둘러싸는 파일럿트스컷트가 언더커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메인커버의 파일럿트홀은 상기 메인커버에 형성된 파일럿트보스를 관통하고, 상기 언더커버의 파일럿트홀은 상기 언더커버에 형성된 연결보스를 관통하며, 상기 연결보스와 파일럿트보스는 선단이 서로 결합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를 구성하는 와이어플레이트와 절연플레이트에는 상기 파일럿트보스가 관통하는 연통홀이 각각 천공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를 구성하는 와이어플레이트에는 상기 파일럿트보스의 외면에 형성된 스컷트단을 둘러싸는 파일럿트스컷트가 언더커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파일럿트보스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보스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링홀에 압입되는 결합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에 의하면 메인커버와 언더커버의 파일럿트홀을 통해 정션박스의 내부로 물이 침투할 수 없게 되므로 정션박스의 방수성이 높아져 정션박스의 내구성과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정션박스를 조립함에 있어 별도의 파일럿트핀이 없어도 되어 조립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부분단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확대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커버(20)는 정션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메인커버(20)의 상면에는 부품안착부(2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부품안착부(22)에는 예를 들면, 퓨즈(24)가 장착된다. 상기 퓨즈(24)외에도 릴레이(도시되지 않음) 등이 장착되는 부품안착부도 있다.
상기 메인커버(20)를 관통하여서는 파일럿트홀(26)이 천공된다. 상기 파일럿트홀(26)은 정션박스의 조립시에 구성요소들 사이의 상대 위치를 안내하는 파일럿트핀(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메인커버(20)의 내면에 해당되는 파일럿트홀(26)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원통형상의 연결보스(28)가 형성된다. 상기 파일럿트홀(26)은 상기 연결보스(28)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연결보스(28)에는 결합링홀(28')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링홀(28')은 링형상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보스(28)의 선단으로 개구된다. 상기 결합링홀(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링(38)이 삽입된다.
참고로, 상기 파일럿트홀(26)은 상기 메인커버(20)에 적어도 2곳에 형성된다. 상기 파일럿트홀(26)의 갯수는 상기 정션박스의 크기 등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언더커버(30)는 상기 메인커버(20)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메인커버(20)의 하면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언더커버(30)와 메인커버(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조립체(40)가 설치된다.
상기 언더커버(30)도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하면에는 부품 안착부(31)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안착부(31)는 상기 메인커버(20)에서와 같이 퓨즈나 릴레이 등의 부품이 장착된다.
상기 언더커버(30)에도 상기 메인커버(20)의 파일럿트홀(26)과 대응되는 위치에 파일럿트홀(32)이 형성된다. 상기 언더커버(30) 내면에 해당되는 상기 파일럿트홀(3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파일럿트보스(34)가 형성된다. 상기 파일럿트보스(34)는 상기 메인커버(20)의 연결보스(28)를 향해 연장되는 것으로, 선단이 상기 연결보스(28)와 결합된다.
상기 파일럿트보스(34)는 원통형상으로, 그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파일럿트공(32)이 형성된다. 상기 파일럿트보스(34)의 외면을 둘러서는 스컷트단(36)이 형성된다. 상기 스컷트단(36)은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플레이트(42)의 파일럿트스컷트(48)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스컷트단(36)는 파일럿트보스(34)의 외면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파일럿트보스(34)에서 상기 스컷트단(36) 부분만이 실질적으로 언더커버(30)에서 돌출된 것으로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언더커버(30)의 내면에서 상기 스컷트단(36)까지의 부분은 언더커버(30)를 구성하는 다른 부분의 형상과 일체로 되고, 상기 스컷트단(36)부분 부터 실질적으로 파일럿트보스(34)가 될 수 있다.
상기 파일럿트보스(34)의 선단에는 상기 메인커버(20)의 연결보스(28)에 형성된 결합링홀(28')에 삽입되는 결합링(38)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링(38)은 그 내경이 상기 파일럿트홀(3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링홀(28')에 압입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좋다. 참고로, 상기 파일럿트보스(34)를 관통 하는 파일럿트홀(32)과 상기 연결보스(28)를 관통하는 파일럿트홀(26)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파일럿트홀(26,34) 내부를 물이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버스바조립체(40)는 상기 메인커버(20)와 언더커버(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버스바조립체(40)에는 상기 부품안착부(22,31)에 안착된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버스바조립체(40)는 정션박스 외부의 전원 및 부하부분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조립체(40)는 와이어플레이트(42)를 구비한다. 상기 와이어플레이트(42)에는 버스바(44)가 배치된다. 물론, 상기 와이어플레이트(42)에는 와이어와 포선단자도 배치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플레이트(42)에는 상기 파일럿트홀(26,32)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홀(46)이 천공된다. 상기 와이어플레이트(42)중 상기 언더커버(30)와 마주보는 면에 해당되는 연통홀(46)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파일럿트스컷트(48)가 형성된다. 상기 파일럿트스컷트(48)는 상기 파일럿트보스(34)를 둘러 감싸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파일럿트스컷트(48)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연통홀(46)의 직경은 상기 파일럿트보스(34)의 외경과 같도록 형성된다.
절연플레이트(50)는 상기 와이어플레이트(42) 상에 적층되는 것이다. 상기 절연플레이트(50)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다수개가 적층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플레이트(50)에도 각각 버스바(44)가 배치된다. 상기 버스바(44)는 상기 와이어플레이트(42)나 절연플레이트(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절곡된 일부가 상기 와이어플레이트(42)나 절연플레이트(50)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커버(20)나 언더커버(30)의 부품안착부(22)(31)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절연플레이트(50)에도 상기 파일럿트홀(26,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통홀(52)이 천공된다. 상기 연통홀(52)을 상기 파일럿트보스(34)가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파일럿트보스(34)의 외경과 상기 절연플레이트(50)의 연통홀(52)의 내경이 같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편의를 위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요부분만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커버(120)의 내면에 파일럿트보스(128)가 언더커버(130)를 향해 길게 연장되고, 언더커버(130)에는 상기 파일럿트보스(128)와 결합되는 연결보스(13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물론, 상기 파일럿트보스(128)와 연결보스(134)를 각각 관통하여서는 파일럿트홀(126,13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파일럿트보스(128)의 선단에는 결합링(128')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보스(134)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링(128')이 압입되는 결합링홀(134')이 형성되어 있다. 그외의 다른 구성은 위에서 설명될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션박스를 조립하는 것은 일단 상기 언더커버(30)를 먼저 조립대 상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언더커버(30)의 파일럿보 스(34)가 상부를 향하도록 언더커버(30)를 설치한다. 참고로 상기 조립대는 컨베이어벨트와 같이 일관작업이 가능하게 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립대에 파일럿트핀(도시되지 않음)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파일럿트핀이 상기 언더커버(30)의 파일럿트홀(32)에 삽입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조립체(40)를 상기 언더커버(30) 상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버스바조립체(40)의 연통홀(46,52)을 상기 파일럿트보스(34)가 관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파일럿트스컷트(48)는 상기 파일럿트보스(34)의 스컷트단(36)에 안착된다. 즉, 상기 파일럿트스컷트(48)가 상기 파일럿트보스(34)를 둘러싸게 된다.
참고로, 상기와 같이 버스바조립체(40)를 언더커버(30)에 장착하면, 상기 버스바조립체(40)의 와이어플레이트 하부로 연장된 단자나 버스바의 부분이 상기 언더커버(30)의 부품안착부(31) 내부로 연장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커버(20)를 상기 언더커버(30)와 조립한다. 상기 메인커버(20)를 언더커버(30)에 조립하게 되면, 상기 버스바조립체(40)가 상기 메인커버(20)와 언더커버(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조립체(40)의 상부로 돌출된 단자와 버스바의 부분이 상기 메인커버(20)의 부품안착부(22) 내부로 연장된다.
한편, 이와 같이 메인커버(20)와 언더커버(30)가 결합됨에 의해 상기 파일럿트보스(34)와 연결보스(28)가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보스(28)의 결합링홀(28')에 상기 파일럿트보스(34)의 결합링(38)이 압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메인커버(20)의 파일럿트홀(26)과 상기 언더커버(30)의 파일럿트홀(32)이 서로 연통되고, 상기 파일럿트홀(26,32)들은 정션박스의 내부와는 연통되지 않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럿트핀을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파일럿트보스(34)가 파일럿트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반드시 파일럿트핀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메인커버(120)를 먼저 조립대상에 안착시키고 버스바조립체(40)와 언더커버(30)를 차례로 조립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조립과정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정션박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커버와 언더커버에 형성되는 파일럿트홀이 파일럿트보스와 연결보스를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정션박스의 내부와 파일럿트홀이 서로 연통되지 않아 파일럿트홀을 통해 정션박스의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정션박스의 방수성이 높아져 정션박스의 내구성과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메인커버나 언더커버에 형성되는 파일럿트보스가 파일럿트핀의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파일럿트핀이 구비된 작업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정션박스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정션박스를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조립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부품안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두개의 파일럿트홀이 천공되는 메인커버와,
    부품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커버와 결합되고 메인커버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커버의 파일럿트홀과 연통되는 파일럿트홀이 천공되는 언더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와 언더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고 버스바의 일부가 상기 부품안착부로 연장되는 버스바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파일럿트홀과 언더커버의 파일럿트홀은 메인커버와 언더커버가 형성하는 공간 외부와만 연통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파일럿트홀은 상기 메인커버에 형성된 연결보스를 관통하고, 상기 언더커버의 파일럿트홀은 상기 언더커버에 형성된 파일럿트보스를 관통하며, 상기 연결보스와 파일럿트보스는 선단이 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조립체를 구성하는 와이어플레이트와 절연플레이트에는 상기 파일럿트보스가 관통하는 연통홀이 각각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조립체를 구성하는 와이어플레이트에는 상기 파일럿트보스의 외면에 형성된 스컷트단을 둘러싸는 파일럿트스컷트가 언더커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5. 부품안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두개의 파일럿트홀이 천공되는 메인커버와,
    부품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커버와 결합되고 메인커버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커버의 파일럿트홀과 연통되는 파일럿트홀이 천공되는 언더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와 언더커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고 버스바의 일부가 상기 부품안착부로 연장되는 버스바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파일럿트홀과 언더커버의 파일럿트홀은 메인커버와 언더커버가 형성하는 공간 외부와만 연통되고,
    상기 메인커버의 파일럿트홀은 상기 메인커버에 형성된 파일럿트보스를 관통하고, 상기 언더커버의 파일럿트홀은 상기 언더커버에 형성된 연결보스를 관통하며, 상기 연결보스와 파일럿트보스는 선단이 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조립체를 구성하는 와이어플레이트와 절연플레이트에는 상기 파일럿트보스가 관통하는 연통홀이 각각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조립체를 구성하는 와이어플레이트에는 상기 파일럿트보스의 외면에 형성된 스컷트단을 둘러싸는 파일럿트스컷트가 언더커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8.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트보스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보스의 선단에 형성된 결합링홀에 압입되는 결합링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
KR1020060105844A 2006-10-30 2006-10-30 정션박스 KR100796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844A KR100796031B1 (ko) 2006-10-30 2006-10-30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844A KR100796031B1 (ko) 2006-10-30 2006-10-30 정션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031B1 true KR100796031B1 (ko) 2008-01-21

Family

ID=3921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844A KR100796031B1 (ko) 2006-10-30 2006-10-30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0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921A (ja) * 1995-12-28 1997-07-15 Yazaki Corp スイッチの排水構造
JPH1051932A (ja) 1996-07-29 1998-02-20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電気接続箱
JP2003226346A (ja) 2001-11-30 2003-08-12 Yazaki Corp 電子部品収納箱の防水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921A (ja) * 1995-12-28 1997-07-15 Yazaki Corp スイッチの排水構造
JPH1051932A (ja) 1996-07-29 1998-02-20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電気接続箱
JP2003226346A (ja) 2001-11-30 2003-08-12 Yazaki Corp 電子部品収納箱の防水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8303B2 (en)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KR20130001260A (ko) 퓨즈 유닛
US1060115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0796031B1 (ko) 정션박스
JP7420205B2 (ja) 電気接続箱
JP6238873B2 (ja) 電気接続箱
KR100830698B1 (ko) 멀티퓨즈를 구비한 퓨즈박스
JP2014011929A (ja) 電気接続箱
KR200400294Y1 (ko) 정션박스용 인쇄회로기판 연결장치
JP5838950B2 (ja) 接続ユニット
CN105849978A (zh) 测试电缆和用于测试电缆的插座适配器
JP6551338B2 (ja) コイル組立体、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KR100703899B1 (ko) 천정배선 분기구
KR20120017372A (ko) 멀티 퓨즈
KR20100084891A (ko) 퓨즈박스
KR20110107169A (ko) 멀티퓨즈
KR102455570B1 (ko) 기판실장형 조인트장치
KR200426342Y1 (ko) 정션박스
JP6499409B2 (ja) 電源分岐構造
KR100814935B1 (ko) 부품박스의 부품장착장치 및 방법
JP5915941B2 (ja) 電気接続箱
JP5700725B1 (ja) 電子制御ユニット搭載型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
KR100804265B1 (ko) 부품집적박스
JP4470989B2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KR101833444B1 (ko) 퓨즈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