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260A - 퓨즈 유닛 - Google Patents

퓨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260A
KR20130001260A KR1020127026114A KR20127026114A KR20130001260A KR 20130001260 A KR20130001260 A KR 20130001260A KR 1020127026114 A KR1020127026114 A KR 1020127026114A KR 20127026114 A KR20127026114 A KR 20127026114A KR 20130001260 A KR20130001260 A KR 20130001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onnector
connection
terminal
fu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300B1 (ko
Inventor
노리오 마츠무라
히데노리 키부시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01R13/69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integral with the terminal, e.g. pin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4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4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head of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2001/5877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with provisions for direct mounting on a battery 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binding post of a storag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2085/0555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e.g. multielectrode

Landscapes

  • Fus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퓨즈 유닛은, 전력이 공급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대측 단자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대측 단자가 볼트에 의해 연결되는 볼트 연결부 및 상대측 단자가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커넥터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퓨즈 유닛{FUSE UNIT}
본 발명은 퓨즈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퓨즈 유닛이 PTL 1에 개시된다. 종래의 퓨즈 유닛(1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연결 단자(103)를 통해 배터리(101)의 배터리 포스트(102)에 고정된다. 종래의 퓨즈 유닛(10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인 버스바(busbar)(110), 및 인서트 성형(insert molding)을 통해 버스바(110)의 외부면에 제공되는 절연성 수지부(120)를 포함한다.
배터리 연결 단자(103)는 버스바(110)에 연결된다. 버스바(110)는 배터리 포스트(102)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급전용(power feeding) 연결부(111), 시동 모터(starter motor) 단자(130)가 연결되는 시동 모터용 연결부(112), 교류발전기(alternator) 단자(131)가 연결되는 교류발전기용 연결부(113), 부하 측 단자들(미도시)이 연결되는 복수의 부하용 연결부(114), 급전용 연결부(111)와 교류발전기용 연결부(113) 사이에 배치되는 교류발전기용 가용부(fusible part)(115), 및 급전용 연결부(111)와 복수의 부하용 연결부(114) 각각 사이에 개재되는(interposed) 복수의 부하용 가용부(116)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결부들(111 내지 114) 또는 가용부들(115, 116)의 위치를 제외한 버스바(110)의 외부 둘레는 절연성 수지부(120)로 덮인다. 또한 복수의 부하용 연결부(114)의 외부 둘레를 둘러싸는 커넥터 하우징부(120a)는 절연성 수지부(120)에 의해 형성된다.
복수의 부하용 연결부(114)에는 커넥터 연결을 통해 타측(other) 단자(미도시)가 연결된다.
[PTL 1] JP-A-2002-329457
종래의 퓨즈 유닛(100)에 있어서, 타측 단자는 볼트 연결에 의해 부하용 연결부(114)에 연결될 수 없다.
부하용 연결부(114)를 볼트 연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버스바(110) 및 절연성 수지부(120)의 형태를 변경할 필요가 있고, 버스바(110)의 금형과 인서트 성형의 금형을 신규로 제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볼트 연결 및 커넥터 연결 모두에 대한 사용자의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서, 복수의 종류의 퓨즈 유닛을 마련할 필요가 있고, 전체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는 낮은 비용으로 볼트 연결 및 커넥터 연결 둘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퓨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퓨즈 유닛에 제공되며, 상기 퓨즈 유닛은:
전력이 공급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대측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볼트에 의해 상대측 단자가 연결되는 볼트 연결부; 및
커넥터에 의해 상대측 단자가 커넥터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퓨즈 유닛은, 볼트 연결부 및 커넥터 연결부가 버스바에 제공되고, 절연성 수지부가 버스바 둘레에 제공되고, 볼트 연결부가 볼트 삽입 홀을 갖도록 형성되고, 볼트 삽입 홀에 삽입되는 스터드 볼트가 절연성 수지부에 의해 고정되고, 커넥터 연결부가 버스바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 탭 단자이고, 커넥터 하우징이 절연성 수지부에 의해 탭 단자의 둘레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의 스크류는, 커넥터 하우징이 커넥터 연결부에 대해 돌출된 측에서 돌출되거나, 커넥터 하우징이 커넥터 연결부에 대해 돌출된 측의 반대편 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퓨즈 유닛은, 볼트 연결부 및 커넥터 연결부가 버스바에 제공되고, 절연성 수지부가 버스바 둘레에 제공되고, 볼트 연결부가 볼트 삽입 홀을 갖도록 형성되고, 커넥터 연결부가 버스바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탭 단자이고, 커넥터 하우징이 절연성 수지부에 의해 탭 단자의 둘레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퓨즈 유닛은 볼트 연결 및 커넥터 연결 모두를 수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한가지 타입의 퓨즈 유닛으로 충분하므로 전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퓨즈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볼트 조임에 의해 타측 단자가 연결된 퓨즈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커넥터에 의해 타측 단자가 연결된 퓨즈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퓨즈 유닛의 정면 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퓨즈 유닛의 후면 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볼트 조임에 의해 타측 단자가 연결된 퓨즈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퓨즈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배터리 상에 종래의 퓨즈 유닛이 직접적으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퓨즈 유닛이 접힘 가공(folding processing)되기 전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유닛(1A)은 배터리 연결 단자(미도시)를 통해 배터리(미도시)의 배터리 포스트(미도시)에 고정된다. 퓨즈 유닛(1A)은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인 버스바(2), 및 인서트 성형에 의해 버스바(2)의 외부면 상에 제공되는 절연성 수지부(15)를 포함한다.
버스바(2)는 급전용 연결부(3)(제 1 연결부), 두 개의 단자 연결부(10, 20)(제 2 연결부), 및 가용부(4)를 포함한다. 급전용 연결부(3)는 배터리 포스트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배터리 연결 단자에 연결된다. 단자 연결부(10, 20)는, 예를 들어, 부하 측 타측 단자들에 연결된다. 가용부(4)는 급전용 연결부(3)와 단자 연결부(10) 사이에 개재된다. 볼트 삽입 홀(3a)이 급전용 연결부(3)에 형성된다.
각각의 단자 연결부(10, 20)는 볼트 연결부(11, 21), 및 급전용 연결부(3) 내에서 볼트 연결부(11, 21) 맞은 편에 배치되는 커넥터 연결부(11, 22)를 구비한다. 타측 단자(30)(도 3에 도시)는 볼트에 의해 볼트 연결부(11, 21)에 연결된다. 타측 단자(31)(도 4에 도시)는 커넥터에 의해 커넥터 연결부(12, 22)에 연결된다.
각각의 볼트 연결부(11, 21)에 볼트 삽입 홀(11a, 21a)이 형성된다. 스터드 볼트(13, 23)는 볼트 삽입 홀(11a, 21a)에 삽입된다. 삽입된 스터드 볼트(13, 23)의 헤드부(미도시)는 절연성 수지부(15)에 의해 고정된다. 스터드 볼트(13, 23)의 스크류부(13a, 23a) 각각은 커넥터 하우징부(24)가 커넥터 연결부(12, 22)에 대해 돌출한 측과 동일한 측으로 돌출된다.
커넥터 연결부(12, 22) 각각은 버스바(2)의 일 부분에 의해 형성된 탭 단자이다.
절연성 수지부(15)는 급전용 연결부(3), 두 개의 볼트 연결부(11, 21) 및 가용부(4)를 제외한 버스바(2)의 외부 둘레를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절연성 수지부(15)에 의해, 커넥터 연결부(12, 22) 각각의 외부 둘레를 둘러싸는 커넥터 하우징부들(24)이 각각 형성된다. 즉, 커넥터 하우징부(24)는 절연성 수지부(15)에 의해 탭 단자의 둘레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퓨즈 유닛(1A)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우선, 버스바(2)의 금형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버스바(2)가 만들어진다. 다음으로, 스터드 볼트(13, 23)가 볼트 삽입 홀(11a, 21a) 각각에 삽입된 버스바(2)는, 인서트 성형의 금형(미도시)에 세팅되고, 합성 수지 물질의 인서트 성형이 수행된다. 이러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절연성 수지부(5)는 버스바(2)의 기결정된 외부면에 형성된다. 적어도 각각의 스터드 볼트(13, 23)의 헤드부가 절연성 수지부(15)에 매립되어, 스터드 볼트(13, 23)는 고정된다.
상술한 공정에서 제작된 퓨즈 유닛(1A)에 있어서, 볼트 연결용 타측 단자(30)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타측 단자(30)는 볼트 조임에 의해 볼트 연결부(11, 21)에 연결된다. 각각의 타측 단자(30)는 횡 방향으로 설치되고, 볼트로 조여진다. 타측 단자(30)에 연결되는 전선(W)은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커넥터 연결용 타측 단자(31)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타측 단자(31)는 커넥터 연결에 의해 커넥터 연결부(12, 22)에 연결된다. 타측 단자(31)에 연결된 전선(W)은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에 의해 연결되는 볼트 연결부(11, 21) 및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커넥터 연결부(12, 22)는 모든 단자 연결부(10, 20)에 포함된다. 따라서, 퓨즈 유닛은 볼트 연결 및 커넥터 연결 둘 모두를 수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한가지 타입의 퓨즈 유닛(1A)으로도 충분하므로, 전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볼트 연결부(11, 21) 및 커넥터 연결부(12, 22)가 구비되는 버스바(2), 및 버스바(2)의 외부 둘레에 배치되는 절연성 수지부(15)가 포함되고, 볼트 연결부(11, 21)에는 볼트 삽입 홀(11a, 21a)이 구비되고, 볼트 삽입 홀(11a, 21a)에 삽입된 스터드 볼트(13, 23)는 절연성 수지부(15)에 의해 고정되고, 커넥터 연결부(12, 22)는 버스바(2)의 일 부분에 의해 형성된 탭 단자이며, 커넥터 하우징부(24)는 절연성 수지부(15)에 의해 상기 탭 단자의 외부 둘레에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 연결 및 커넥터 연결 모두를 수용할 수 있는 퓨즈 유닛(1A)은, 한가지 타입의 버스바(2)의 금형과 한가지 타입의 인서트 성형의 금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 금형에 대한 비용이 절감되거나, 금형에 의한 제조 작업이 간소화된다.
스터드 볼트(13, 23)의 스크류부(13a, 23a)는 커넥터 하우징부(24)가 돌출된 측과 동일한 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각각의 타측 단자(30)는, 각각의 타측 단자(30)가 커넥터 하우징부(24)를 간섭하지 않는 방향, 즉, 횡 방향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타측 단자(30)는 볼트로 조여진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 유닛(1B)은 스터드 볼트(13, 23)의 설치 방향이 전후면의 역방향으로 설정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즉, 스터드 볼트(13, 23)의 스크류부(13a, 23a) 각각은 커넥터 하우징부(24)가 돌출되는 측의 반대편 측으로 돌출된다. 즉, 각각의 스크류부(13a, 23a)는 커넥터 하우징(24)이 돌출되지 않은 측에서 돌출된다.
기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구성을 명확히 하였다.
또한, 이러한 제 2 실시예에서, 볼트에 의해 연결되는 볼트 연결부(11, 21) 및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커넥터 연결부(12, 22)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모든 단자 연결부(10, 20)에 포함된다. 따라서, 퓨즈 유닛은 볼트 연결 및 커넥터 연결 둘 모두를 수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한가지 타입의 퓨즈 유닛(1B)으로도 충분하므로, 전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스터드 볼트(13, 23)의 스크류부(13a, 23a)는 커넥터 하우징부(24)가 돌출된 측의 반대편 측에서 돌출된다. 따라서, 각각의 타측 단자(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 방향으로 설치되고, 볼트로 조여진다. 타측 단자(30)에 연결되는 전선(W)은 하방으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전선(W)은, L자 형을 포함한 특별한 형태의 타측 단자가 타측 단자(30)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타측 단자(미도시)와 유사한 방식으로 전선(W)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서, 전선(W)은 볼트 연결 및 커넥터 연결 모두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어, 전선(W)의 케이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 볼트 연결부(11, 21)는 각각의 타측 단자(30)가 절연성 수지부(15)의 격벽(15a)에 의해 종 방향으로만 설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지만, 격벽(15a)의 방향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고, 타측 단자(30)는 요구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격벽(15a)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타측 단자(30) 각각의 설치 방향이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고, 전선(W)이 연장되는 방향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3 실시예의 퓨즈 유닛(1C)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 볼트(13, 23)가 볼트 연결부(11, 21)에 부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즉, 인서트 성형시, 스터드 볼트(13, 23)를 볼트 연결부(11, 21)의 볼트 삽입 홀(11a, 21a)에 부착하지 않고 인서트 성형이 수행된다.
기타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함으로써, 그 구성을 명확히 하였다.
커넥터에 의한 연결을 형성하는 사용자는 볼트 연결부(11, 21)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퓨즈 유닛(1C)을 사용함으로써 부품 비용 및 스터드 볼트(미도시)의 조립 작업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볼트 연결부(11, 21)가 사용되는 경우, 스터드 볼트(미도시)의 스크류부의 돌출 방향은, 전면 측 또는 후면 측으로 설정됨으로써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 연결될 타측 단자가 횡 방향으로 설치되고, 전선이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스터드 볼트의 스크류부는 전면 측으로 돌출된다. 예컨대, 볼트 연결될 타측 단자가 횡 방향이 아닌 종 방향으로 설치되고, 전선이 연장되는 경우, 스터드 볼트의 스크류부는 후면 측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본 발명의 교시를 기초로 만들어질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및 목적 내에 있음이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10년 4월 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0-087700호, 및 2011년 2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1-036989호를 기초로 하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도입된다.
본 발명은 볼트 연결 및 커넥터 연결 둘 모두를 수용할 수 있어, 한 가지 타입의 퓨즈 유닛으로도 충분하고, 전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퓨즈 유닛을 제공하는데 대단히 유용하다.
1A 내지 1C: 퓨즈 유닛
2: 버스바
3: 급전용 연결부
10, 20: 단자 연결부
11, 21: 볼트 연결부
11a, 21a: 볼트 삽입 홀
12, 22: 커넥터 연결부
13, 23: 스터드 볼트
13a, 23a: 스크류부
15: 절연성 수지부
24: 커넥터 하우징부
30: 볼트 연결용 타측 단자
31: 커넥터 연결용 타측 단자

Claims (5)

  1. 전력이 공급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대측(mating) 단자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부는:
    볼트에 의해 상대측 단자가 연결되는 볼트 연결부; 및
    커넥터에 의해 상대측 단자가 연결되는 커넥터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연결부 및 상기 커넥터 연결부는 버스바에 제공되고,
    절연성 수지부가 버스바 둘레에 제공되고,
    상기 볼트 연결부는 볼트 삽입 홀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트 삽입 홀에 삽입되는 스터드 볼트는 절연성 수지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 연결부는 버스바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탭 단자이고,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절연성 수지부에 의해 탭 단지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스터드 볼트의 스크류는, 커넥터 하우징이 커넥터 연결부에 대해 돌출된 측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스터드 볼트의 스크류는, 커넥터 하우징이 커넥터 연결부에 대해 돌출된 측의 반대편 측에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 연결부 및 상기 커넥터 연결부는 버스바에 제공되고,
    절연성 수지부가 상기 버스바 둘레에 제공되고,
    상기 볼트 연결부는 볼트 삽입 홀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연결부는 버스바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탭 단자이고,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절연성 수지부에 의해 탭 단자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유닛.
KR1020127026114A 2010-04-06 2011-04-06 퓨즈 유닛 KR101461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87700 2010-04-06
JPJP-P-2010-087700 2010-04-06
JPJP-P-2011-036989 2011-02-23
JP2011036989A JP5681521B2 (ja) 2010-04-06 2011-02-23 ヒューズユニット
PCT/JP2011/059125 WO2011126140A1 (en) 2010-04-06 2011-04-06 Fuse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260A true KR20130001260A (ko) 2013-01-03
KR101461300B1 KR101461300B1 (ko) 2014-11-13

Family

ID=4420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114A KR101461300B1 (ko) 2010-04-06 2011-04-06 퓨즈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21190B2 (ko)
JP (1) JP5681521B2 (ko)
KR (1) KR101461300B1 (ko)
CN (1) CN102834892B (ko)
DE (1) DE112011101265B4 (ko)
WO (1) WO20111261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8659B2 (en) * 2006-01-17 2020-02-04 Ulthera, Inc. High pressure pre-burst for improved fluid delivery
JP5422424B2 (ja) * 2010-02-03 2014-02-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5486993B2 (ja) * 2010-04-06 2014-05-07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5944788B2 (ja) * 2012-08-10 2016-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5944787B2 (ja) * 2012-08-10 2016-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US8764494B2 (en) * 2012-10-04 2014-07-01 Marathon Special Products Power terminal block
JP6210736B2 (ja) * 2013-05-29 2017-10-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6183701B2 (ja) * 2013-08-26 2017-08-23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ジブルリンク
US20150325934A1 (en) * 2014-02-14 2015-11-12 Royal Die & Stamping Co., Inc. One-piece fusible battery terminal clamp
US9093768B1 (en) * 2014-02-14 2015-07-28 Royal Die & Stamping Co., Inc. One-piece fusible battery terminal clamp
JP6323902B2 (ja) * 2014-03-05 2018-05-1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6247585B2 (ja) * 2014-03-31 2017-12-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接続対象物ユニット、接続対象物ユニット集合体
US10673050B2 (en) 2015-01-05 2020-06-02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module terminal system and method
JP6200439B2 (ja) * 2015-01-14 2017-09-2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部品ユニット、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及び固定構造
DE102015104297B4 (de) * 2015-03-23 2018-10-11 Lisa Dräxlmaier GmbH Fixierelement zum Anbinden einer Platine, Stromschiene und damit ausgestatteter Stromverteiler eines Fahrzeugs
US10276337B2 (en) 2016-10-12 2019-04-30 Littelfuse, Inc. Fuses with integrated metals
CN106710996B (zh) * 2016-12-07 2019-03-01 宁波爱维斯工贸有限公司 扩展式多用途保险座
US10333129B2 (en) * 2017-01-26 2019-06-25 Te Connectivity Corporation Buss bar assembly for a battery system
US10008789B1 (en) 2017-07-10 2018-06-26 Royal Die & Stamping, Llc Angled bolt T-bar battery terminal clamp
EP3698393A1 (en) * 2017-10-19 2020-08-26 Volvo Truck Corporation Fuse box, fuse box assembly comprising such fuse box and vehicle
KR102101454B1 (ko) * 2018-12-18 2020-05-15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 캡
KR102144030B1 (ko) * 2020-03-10 2020-08-12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 캡
KR102144026B1 (ko) * 2020-03-10 2020-08-12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 캡
KR102144027B1 (ko) * 2020-03-10 2020-08-12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 캡
KR102144029B1 (ko) * 2020-03-10 2020-08-12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 캡
KR102144025B1 (ko) * 2020-03-10 2020-08-12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 캡
KR102144028B1 (ko) * 2020-03-10 2020-08-12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 캡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6287B (en) * 1997-06-09 2001-10-24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Fuse assembly
EP0924734B1 (en) * 1997-12-17 2003-11-12 Meccanotecnica Codognese S.p.A. A high-current protection device
JP2001054223A (ja) * 1999-08-06 2001-02-23 Toyota Motor Corp ヒューズ装置
JP4083991B2 (ja) * 2000-02-09 2008-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とその製造方法
US6576838B2 (en) * 2001-03-07 2003-06-10 Yazaki Corporation Protective cover and fuse box
JP3845266B2 (ja) * 2001-05-01 2006-11-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4149698B2 (ja) * 2001-11-06 2008-09-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流検出装置及びこの電流検出装置が用いられた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EP1498927B1 (en) * 2003-07-14 2005-11-30 MTA S.p.A. An improved high-current protection device
JP4805057B2 (ja) * 2006-08-04 2011-11-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DE102006040824B4 (de) * 2006-08-31 2013-03-28 Lisa Dräxlmaier GmbH Stromverteiler zum Ausgleichen einer Toleranz
US7663466B1 (en) * 2007-09-21 2010-02-16 Yazaki North America, Inc. Corner-mounted battery fuse
JP5320940B2 (ja) 2008-09-30 2013-10-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1036989A (ja) 2009-08-11 2011-02-24 Minoru Kanehara パイプ材の加工治具、及び、パイプ材の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1101265B4 (de) 2016-03-24
CN102834892B (zh) 2015-09-02
JP5681521B2 (ja) 2015-03-11
WO2011126140A1 (en) 2011-10-13
US20130095696A1 (en) 2013-04-18
DE112011101265T5 (de) 2013-07-04
JP2011233506A (ja) 2011-11-17
CN102834892A (zh) 2012-12-19
KR101461300B1 (ko) 2014-11-13
US8821190B2 (en) 201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300B1 (ko) 퓨즈 유닛
US767018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7663466B1 (en) Corner-mounted battery fuse
US800256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3934870B2 (ja) 電気接続箱
JP2005190735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2007137389A (ja) 端子金具と該端子金具を備えた電気接続箱
US20160204555A1 (en) Battery direct-mounted fusible link
US9484174B2 (en) Fuse unit
KR101678731B1 (ko) 차량용 전기 센터
WO2014024793A1 (ja) ヒューズユニット
JP5156499B2 (ja) 電気接続箱
JP2004127704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3139303B2 (ja) 電気接続箱の接続構造
JPH0833162A (ja) 電気接続箱の接続構造
JP5915941B2 (ja) 電気接続箱
WO2021006109A1 (ja) 電気接続箱
JP2004186005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4278829B2 (ja) ヒューズボックス
JP2006320132A (ja) 電気接続箱
JP3356117B2 (ja) 電気接続箱
JP2013232370A (ja) ヒューズ付きコネクタ
JP2011101556A (ja) 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