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786A - 고전압 퓨즈 - Google Patents
고전압 퓨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29786A KR20140029786A KR1020120095453A KR20120095453A KR20140029786A KR 20140029786 A KR20140029786 A KR 20140029786A KR 1020120095453 A KR1020120095453 A KR 1020120095453A KR 20120095453 A KR20120095453 A KR 20120095453A KR 20140029786 A KR20140029786 A KR 201400297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gh voltage
- insulating housing
- voltage fuse
- connection
- fu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전압 퓨즈는 외관을 절연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은 제1몸통부(11)와 제2몸통부(12)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데, 내부에는 퓨즈엘레먼트(20)와 소호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13)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양측단에는 연통공(14)이 형성되어, 상기 퓨즈엘레먼트(20)의 제1 및 제2 연결부(24,26)가 노출되고, 제1 및 제2 연결단자(30,30')가 상기 연통공(14)에 장착되어 전원 측 및 부하 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단자(30,30')에는 완충부(33)가 형성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연결단자(30,30')는 서로 나란히 연장되거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전압 퓨즈의 호환성이 높아지게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전압 퓨즈의 양단으로 돌출되어 전원측 및 부하측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가 퓨즈엘레먼트와 분리되어 만들어지는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배터리 등의 전기공급원에서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전장부품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신속하게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퓨즈중에서 고전압이 사용되는 전장부품에서 사용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퓨즈를 고전압 퓨즈라고 한다.
이와 같은 고전압 퓨즈에서는 그 양단으로 제1 및 제2 연결단자가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는 각각 전원 측 및 부하 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단자와 상대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에는 다양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연결단자와 상대물을 볼트로 체결할 수 있고, 또한 상대물을 커넥터 형태로 만들어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대물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의 구성은 고전압퓨즈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고전압 퓨즈에서는 용단부를 구비하는 퓨즈엘레먼트와 연결단자가 일체로 되어 있어, 연결단자와 연결되는 상대물에 따라 퓨즈엘레먼트의 구성이 달라져야 한다. 즉, 연결단자의 형태에 따라 퓨즈엘레먼트를 달리 설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퓨즈엘레먼트와 연결단자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전압 퓨즈가 만들어지게 되면, 고전압 퓨즈의 사용처가 정해지게 되어 고전압 퓨즈를 정해진 사용처에만 사용해야 하므로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퓨즈엘레먼트와 연결단자를 별도로 만들어 용단부가 있는 퓨즈엘레먼트를 공용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단자를 절연하우징의 외부에서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전압 퓨즈의 호환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호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절연성 재질의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양단의 제1 및 제2 연결부가 상기 절연하우징의 양단으로 개방되는 연통공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도록 용단부가 구비되는 도전성 재질의 퓨즈엘레먼트와, 상기 절연하우징의 외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측 및 부하 측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하우징은 제1 및 제2 몸통부가 결합하여 형성되는데, 이들 제1몸통부와 제2몸통부는 상기 절연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몸통부와 제2몸통부의 서로 반대쪽 연통공 내측에는 받침판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의 용단부 양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지면에 직교하게 설치하면 상기 용단부가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는 단자몸체의 일단부에 완충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촉판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판의 양단에는 상기 절연하우징의 연통공의 내면에 형성된 걸이턱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의 단자몸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의 단자몸체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절연하우징의 연통공 내에 설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중 적어도 하나에는 투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를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서 지지하는 받침판에는 상기 투입공에 대응되게 투입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연통공을 통해 소호재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투입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퓨즈엘레먼트와 연결단자가 별도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퓨즈엘레먼트를 다른 종류의 연결단자가 사용되는 고전압 퓨즈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고전압 퓨즈의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전압 퓨즈에서는 절연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연결단자가 착탈가능하므로, 필요한 경우에 연결단자를 교체해서 필요한 사용처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분해해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주요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분해해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주요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전압 퓨즈의 외관을 절연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외관은 원기둥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절연하우징(10)의 외관이 사각기둥이나 오각기둥 등 다양한 기둥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하우징(10)이 제1몸통부(11)와 제2몸통부(12)가 서로 결합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몸통부(11,12)는 상기 절연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칭이 되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몸통부(11,12)에 의해 상기 절연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몸통부(11,12)가 각각 반원통형상으로 만들어져 이들이 서로 결합됨에 의해 절연하우징(10)의 내부에 상기 내부공간(13)이 만들어진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양단으로 개방되게 연통공(14)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14)은 각각의 절연하우징(10)의 양단부의 것이 상기 제1 및 제2 몸통부(11,12)에 절반 씩 형성되어 만들어진다. 이는 상기 내부공간(13)이 형성되는 것과 같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몸통부(11,12)가 서로 결합되는 것은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몸통부(11,12)가 서로 초음파용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및 제2 몸통부(11,12)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결합되거나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외면을 감싸는 구조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몸통부(11,12)가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연통공(14)의 내측에는 받침판(16)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16)의 상기 제1 및 제2 몸통부(11,12)에 각각 하나씩 서로 반대 쪽 단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16)은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엘레먼트(20)의 제1 및 제2 연결부(24,26)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24,26)의 강성이 충분하다면 상기 받침판(16)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받침판(16)에는 그 연장방향으로 길게 투입슬릿(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슬릿(17)은 소호재를 투입하기 위한 경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투입슬릿(17)은 통공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공(14)의 입구 양측에는 각각 걸이턱(1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 연결단자(30,30')의 걸림턱(37)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턱(18)은 하나의 연통공(14)에 2개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의 내부공간(13)에는 퓨즈엘레먼트(20)가 위치된다. 물론 상기 내부공간(13)에는 소호재(도시되지 않음)가 채워져 상기 퓨즈엘레먼트(20)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소호재는 퓨즈엘레먼트(20)에서 발생하는 스파크가 주변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20)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퓨즈엘레먼트(20)에는 용단부(22)가 구비된다. 상기 용단부(22)은 상기 내부공간(13)의 중앙측에 위치되도록 되는데, 퓨즈엘레먼트(20)를 통해 전달되는 전류가 정해진 값을 넘을 때 녹아서 끊어지도록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용단부(22)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다. 도면에서는 상기 융단부(22)를 긴 직사각형, 즉 단순히 띠모양으로 제시하고 있다.
상기 퓨즈엘레먼트(20)의 양단에는 제1연결부(24)와 제2연결부(2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부(24)와 제2연결부(26)는 본 실시예에서 각각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되는데, 상기 용단부(22)의 양단에서 각각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4,26)들의 형상 또한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24)와 제2연결부(26)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용단부(22)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용단부(22)는 상기 제1연결부(24)와 제2연결부(26)를 지면에 직립되게 위치시켰을 때, 지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1연결부(24)에는 투입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공(28)은 상기 받침판(16)의 투입슬릿(17)과 일치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투입공(28)을 통해서는 내부공간(13)으로 소호재를 투입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제2연결부(26)에는 투입공(28)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필요시에는 제2연결부(26)에도 투입공(28)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제2연결부(26)에 대응되는 받침판(16)에도 투입슬릿(17)을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제1연결부(24)와 제2연결부(26)는 각각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연통공(14)내에 위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 연결단자(30,30')가 없을 때에는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24)와 상기 제2연결부(26)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절연하우징(10)의 내부공간(13)의 길이와 같게 된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양단에 형성된 연통공(14)에는 각각 제1 및 제2 연결단자(30,3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단자(30,30')는 상기 퓨즈엘레먼트(20)와 같이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연결단자(30,30')와 퓨즈엘레먼트(20)가 반드시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필요는 없다.
상기 연결단자(30,30')는 띠모양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단자몸체(31)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몸체(31)는 본 실시예에서 긴 직사각형 판으로 된다. 상기 단자몸체(31)의 일단부에는 완충부(33)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33)는 연결단자(30,30')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완충부(33)는 중간판(34)의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연결판(35)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단부연결판(35)중의 하나는 상기 단자몸체(31)에 연결된다. 상기 나머지 단부연결판(35)은 아래에서 설명될 접촉판(36)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중간판(34)의 양단에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단부연결판(35)이 형성된 완충부(33)의 구성은 상기 단자몸체(31)와 접촉판(36)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연결판(35)은 각각 상기 단자몸체(31), 중간판(34) 그리고 접촉판(36)에 직교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예각이나 둔각으로 연결되도록 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단자(30,30')에는 접촉판(36)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접촉판(36)은 상기 퓨즈엘레먼트(20)의 제1 연결부(24) 그리고 제2 연결부(26)에 각각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접촉판(36)의 본 실시예에서 사각형 판상인데, 양단에 각각 걸림턱(37)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7)은 상기 걸이턱(18)에 걸어져 연결단자(30,30')가 절연하우징(1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37)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판(36)의 양단에서 상기 완충부(33)쪽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참고로, 상기 걸림턱(37)이 상기 완충부(33), 좋기로는 중간판(34)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간판(34)이 절연하우징(10)에 고정되므로 상대적으로 완충효과는 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걸림턱(37)이 상기 단자몸체(31)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판(36)에는 접촉비드(38)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비드(38)는 상기 완충부(35) 반대쪽으로 반구형으로 돌출된다. 상기 접촉비드(38)는 상기 투입공(28)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접촉비드(38)는 상기 연결부(24,26)와의 전기적 접촉이 보다 확실하게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에는 고전압 퓨즈와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 및 제2 연결단자(130,130')의 구성이 위의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그리고, 절연하우징(11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몸통부(111,112) 등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상기 연결단자(130,130')를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연결단자(130,1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해 연장되고, 특히 볼트체결을 위한 볼트공(139)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고전압 퓨즈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1 몸통부(11)나 제2몸통부(12)의 내부공간에 상기 퓨즈엘레먼트(20)를 설치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20)는 일측 연결부(24,26)가 받침판(16)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면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받침판(16)의 투입슬릿(17)과 상기 제1연결부(24)의 투입공(28)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통공(14)과 상기 내부공간(13)이 상기 투입공(28) 그리고 투입슬릿(17)을 통해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몸통부(11,12)는 상기 퓨즈엘레먼트(20)가 내부공간(13)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 몸통부(11,12)는 서로 초음파용착되거나, 결합구조를 통해 결합되거나, 별도의 구조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몸통부(11,12)가 서로 결합되어 절연하우징(10)이 만들어지면, 상기 연통공(14)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24,26)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공(28)이 형성된 제1연결부(24)가 노출되는 일측 연통공(14)을 통해서는 작업작 소호재를 내부공간(13)으로 투입할 수 있다. 즉, 상기 연통공(14), 투입공(28), 투입슬릿(17)을 통과해서 내부공간(13)으로 소호재가 투입되어 내부공간(13)에 소호재가 채워진다.
다음으로, 상기 연통공(14)에 각각 연결단자(30,30')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연결단자(30,30')는 상기 접촉판(36)의 걸림턱(37)이 상기 연통공(14)의 걸이턱(18)에 걸어지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단자(30,30')의 접촉판(36)을 상기 연통공(14)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걸림턱(37)이 상기 연통공(14)의 걸이턱(18)에 걸어지면 된다.
상기 연통공(14)에 각각 연결단자(30,30')가 장착되면 상기 접촉판(36)이 상기 연결부(24,26)에 각각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접촉판(36)의 접촉비드(38)가 상기 받침판(16)에 지지된 연결부(24,26)에 밀착되므로 전기적 접촉상태가 강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연결단자(30,30')를 절연하우징(10)의 양측단에 각각 장착하게 되면, 퓨즈의 구성이 완성된다. 이와 같은 고전압 퓨즈는 고전압이 사용되는 곳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연결단자(30)의 단자몸체(31)의 구성을 달리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4에는 다른 실시예의 고전압 퓨즈가 도시되어 있는데, 특히 연결단자(130,130')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단자(30,30')가 상기 절연하우징(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해 연장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상대물이 커넥터 형태로 된 것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되어 도 1 및 도 4 등에 도시된 고전압 퓨즈는 각각의 연결단자(30,30')(130,130')에 전원 측과 부하 측을 연결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중에 부하 측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용단부가 녹아 끊어지면서 부하 측으로 더 이상의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부하 측 부품을 과전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단자(30,30')가 서로 나란히 연장되고,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단자(130,1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볼트공(139)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 연결단자(30,30')(130,130')의 구성은 다양한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단자가 서로 나란히 연장되면서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단자의 연장방향이 서로 직교하게 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연결단자의 형상이 가능하다.
10: 절연하우징 11: 제1몸통부
12: 제2몸통부 13: 내부공간
14: 연통공 16: 받침판
17: 투입슬릿 18: 걸이턱
20: 퓨즈엘레먼트 22: 용단부
24: 제1연결부 26: 제2연결부
28: 투입공 30: 제1연결단자
30': 제2연결단자 31: 단자몸체
33: 완충부 34: 중간판
35: 단부연결판 36: 접촉판
37: 걸림턱 38: 접촉비드
110: 절연하우징 111: 제1몸통부
112: 제2몸통부 139: 볼트공
12: 제2몸통부 13: 내부공간
14: 연통공 16: 받침판
17: 투입슬릿 18: 걸이턱
20: 퓨즈엘레먼트 22: 용단부
24: 제1연결부 26: 제2연결부
28: 투입공 30: 제1연결단자
30': 제2연결단자 31: 단자몸체
33: 완충부 34: 중간판
35: 단부연결판 36: 접촉판
37: 걸림턱 38: 접촉비드
110: 절연하우징 111: 제1몸통부
112: 제2몸통부 139: 볼트공
Claims (9)
- 소호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절연성 재질의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고 양단의 제1 및 제2 연결부가 상기 절연하우징의 양단으로 개방되는 연통공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연결하도록 용단부가 구비되는 도전성 재질의 퓨즈엘레먼트와,
상기 절연하우징의 외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측 및 부하 측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단자를 포함하는 고전압 퓨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하우징은 제1 및 제2 몸통부가 결합하여 형성되는데, 이들 제1몸통부와 제2몸통부는 상기 절연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고전압 퓨즈.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통부와 제2몸통부의 서로 반대쪽 연통공 내측에는 받침판이 각각 형성되는 고전압 퓨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엘레먼트의 용단부 양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연결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를 지면에 직교하게 설치하면 상기 용단부가 경사지게 연장되는 고전압 퓨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는 단자몸체의 일단부에 완충부가 구비되고 상기 완충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촉판이 구비되는 고전압 퓨즈.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의 양단에는 상기 절연하우징의 연통공의 내면에 형성된 걸이턱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전압 퓨즈.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의 단자몸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전압 퓨즈.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단자의 단자몸체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전압 퓨즈.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하우징의 연통공 내에 설치되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중 적어도 하나에는 투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를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서 지지하는 받침판에는 상기 투입공에 대응되게 투입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연통공을 통해 소호재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투입되는 고전압 퓨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5453A KR20140029786A (ko) | 2012-08-30 | 2012-08-30 | 고전압 퓨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5453A KR20140029786A (ko) | 2012-08-30 | 2012-08-30 | 고전압 퓨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9786A true KR20140029786A (ko) | 2014-03-11 |
Family
ID=5064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5453A KR20140029786A (ko) | 2012-08-30 | 2012-08-30 | 고전압 퓨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2978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1804U (ko) * | 2016-12-22 | 2019-07-15 | 그룹 탤런트 리미티드 | 퓨즈 |
-
2012
- 2012-08-30 KR KR1020120095453A patent/KR2014002978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01804U (ko) * | 2016-12-22 | 2019-07-15 | 그룹 탤런트 리미티드 | 퓨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24244A (ko) | 고전압 퓨즈 | |
JP6370586B2 (ja) | 電池接続体、及び、それを備えたバッテリパック | |
US9224564B2 (en) | Fuse with counter-bore body | |
KR20130001260A (ko) | 퓨즈 유닛 | |
US20050116805A1 (en) | Fusible link and battery fuse unit containing the fusible link | |
CN106486941A (zh) | 电气接线箱和线束 | |
JP6605037B2 (ja) | ヒューズ部品 | |
KR20140133256A (ko) | 고전압 퓨즈 | |
US20160204555A1 (en) | Battery direct-mounted fusible link | |
JP2011009159A (ja) |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 |
US6456188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a fuse link and external terminals | |
KR20150041036A (ko) | 퓨즈 유닛 | |
KR20140029786A (ko) | 고전압 퓨즈 | |
KR101720617B1 (ko) | 인터락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JP6309303B2 (ja) | 電気接続箱 | |
JP6238873B2 (ja) | 電気接続箱 | |
JP2011070900A (ja) |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 |
KR200484528Y1 (ko) | 고전압 퓨즈 | |
KR102228859B1 (ko) | 고전압 퓨즈 | |
KR20220090320A (ko) | 고전압 퓨즈 | |
KR20170071936A (ko) | 고전압 퓨즈 | |
KR102361578B1 (ko) | 고전압 퓨즈 | |
JP6555889B2 (ja) | ヒューズユニット | |
KR20240048047A (ko) | 고전압 퓨즈 | |
KR20130076527A (ko) | 고전압 퓨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