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527A - 고전압 퓨즈 - Google Patents

고전압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527A
KR20130076527A KR1020110145150A KR20110145150A KR20130076527A KR 20130076527 A KR20130076527 A KR 20130076527A KR 1020110145150 A KR1020110145150 A KR 1020110145150A KR 20110145150 A KR20110145150 A KR 20110145150A KR 20130076527 A KR20130076527 A KR 20130076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housing
fuse
housing
high voltag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6527A/ko
Publication of KR20130076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 H01H2085/383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with insulating stationary part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 고전압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전압퓨즈의 외관과 골격을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이 형성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이 협력하여 내부에 퓨즈터미널(50)이 관통하고 소호재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하우징(20,30)의 양단부에는 단부캡(14)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캡(14)을 관통하여 상기 퓨즈터미널(50)의 양단부에 있는 제1 및 제2 연결부(54,56)과 돌출된다. 상기 제1연결부(54)의 일측에는 차폐판(55)이 형성되고, 상기 차폐판(55)은 상기 단부캡(14)에 형성된 투입구(29)를 차폐한다. 상기 차폐판(55)은 상기 단부캡(14)에 고정돌기(29f)에 의해 고정되거나 결합캡(60)에 의해 투입구(29)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퓨즈의 내부에 소호재를 투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전압 퓨즈{High voltage fuse}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소호재가 채워져서 용단부의 절단시에 2차 아크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된 것으로 소호재를 채우는 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는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배터리 등의 전기공급원에서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전장부품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신속하게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퓨즈중에서 고전압이 사용되는 전장부품에서 사용되는 것이 있다.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퓨즈는 과부하에 의해 퓨즈의 용단부가 용융되어 끊어질 때 발생된 아크를 통해 전원이 전장부품으로 전해지면서 전장부품에 2차적으로 충격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퓨즈에는 용단부가 끊어질 때, 발생하는 아크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용단부가 수용되는 공간 내에 모래와 같은 소호재를 채워 용단부를 둘러싸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소호재를 용단부가 수용되는 공간 내에 채워 넣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는 상기 소호재가 모래와 같은 것으로 상기 퓨즈의 내부공간내에 빈틈없이 채워넣기 위해서는 하우징과 퓨즈터미널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하는 것이 좋으나, 종래에는 하우징의 일부가 완전히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소호재를 투입해야 했으므로, 소호재가 하우징의 내부에 완전히 채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와 같은 경우 투입구를 별도의 구조물을 사용하여 막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하우징에서 퓨즈터미널에 인접한 위치에 투입구를 형성하여 소호재를 절연하우징의 내부로 투입하고 상기 투입구를 퓨즈터미널에 일체로 형성된 차폐판을 사용하여 막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입구를 퓨즈터미널의 차폐판으로 막은 상태에서 절연하우징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사용하여 차폐판이 투입구를 견고하게 막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소호재가 채워지는 공간이 구비되는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길이방향 양단부로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돌출되고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과부하시에 녹아 끊어지는 용단부가 구비되는 퓨즈터미널과, 상기 퓨즈터미널이 상기 절연하우징을 관통하는 부분에 형성된 투입구로 상기 소호재가 절연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를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퓨즈터미널에 일체로 형성된 차폐판을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의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차폐판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에는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차폐판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관통하는 돌기공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하우징의 양단부에는 상기 퓨즈터미널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는 단부캡이 구비되는데, 상기 단부캡을 둘러싸고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도록 잠금캡이 상기 단부캡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판이 상기 투입구를 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절연하우징의 양단부에는 상기 퓨즈터미널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는 단부캡이 구비되는데, 상기 단부캡의 외면을 둘러서는 잠금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잠금링의 폭은 상기 단부캡의 단부측벽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절연하우징은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몸통부의 양단부에 제1단부캡이 형성되는 제1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하는 요철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절연하우징에 결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2몸통부의 양단부에 제2단부캡이 형성되는 제2절연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하우징들의 제1 및 제2 단부캡은 각각 상기 몸통부들에 일체로 형성된 지름방향으로 절단된 링형상의 단부측벽과 상기 단부측벽의 끝부분에 구비되는 지름방향으로 절단된 반원판상의 막음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요철결합부는 상기 제1절연하우징의 폭방향 양측의 선단과 이에 대응되는 제2절연하우징의 폭방향 양측 선단에 서로 대응되게 절연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채널과 결합리브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퓨즈터미널의 일부를 사용하여 차폐판을 형성하고 상기 차폐판으로 절연하우징에 형성된 소호재 투입구를 차폐하므로 소호재의 투입이 절연하우징에 퓨즈터미널이 완전히 결합된 후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소호재를 보다 확실하게 채워넣을 수 있게 되고 소호재가 누설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절연하우징의 결합을 위한 역할을 하는 결합캡이 퓨즈터미널에 형성된 차폐판이 투입구에 밀착되어 있도록 하므로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소호재가 투입되는 투입구를 확실하게 차폐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고전압퓨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고전압퓨즈에서 소호재를 채울 수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전압퓨즈의 외관을 절연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은 크게 몸통부(11)와 상기 몸통부(11)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단부캡(14)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통부(11)는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가 빈 사각기둥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몸통부(11)의 형상은 원통형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단부캡(14)은 짧은 원기둥 또는 원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상기 단부캡(14)도 사각기둥이나 납작한 육면체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가장 좋기로는 원판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절연하우징(10) 양단의 단부캡(14)의 외면을 둘러서는 잠금링(16)이 설치된다. 상기 잠금링(16)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을 결합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원통형상의 슬리이브(18)가 설치된다. 상기 슬리이브(18)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내부공간에 채워진 소호재가 제1 및 제2 절연하우징(20,30)과 화학반응하여 절연하우징(20,30)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리이브(18)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은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은 절연하우징(10)을 길이방향으로 나누어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은 상기 절연하우징(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누어 절연하우징(10)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에는 제1몸통부(21)가 구비된다. 상기 제1몸통부(21)는 상기 몸통부(11)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제2몸통부(31)와 협력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터미널(50)이 위치된 상태에서 소호재(도시되지 않음)가 채워진다.
상기 제1몸통부(21)의 폭방향 양측의 선단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채널(2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채널(22)은 상기 제1몸통부(21)의 폭방향 양측 선단 전체를 따라 오목하게 들어가게 형성된다. 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절연하우징(30)의 결합리브(32)가 삽입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양단에는 각각 제1단부캡(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단부캡(24)은 상기 단부캡(14)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1단부캡(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절연하우징(30)의 제2단부캡(34)과 협력하여 상기 단부캡(14)을 형성한다. 상기 제1단부캡(24)은 대략 상기 단부캡(14)의 절반정도를 형성한다.
상기 제1단부캡(24)은 단부측벽(26)과 막음판(28)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부측벽(26)은 상기 제1몸통부(21)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링형상을 지름 방향으로 절단한 형상이다. 상기 단부측벽(26)의 끝부분에 막음판(28)이 일체로 구비되는데, 상기 막음판(28)은 원판을 지름방향으로 자른 반원판 형상이다. 상기 막음판(28)중 일측 단부는 상기 단부측벽(26)을 벗어난 위치까지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단부측벽(26)의 내측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절연하우징(30)과의 길이방향 상대 이동이 가능하면서 서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 양단의 상기 제1단부캡(24)의 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막음판(28)에는 투입구(29)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29)는 상기 제1 및 제2 절연하우징(20,3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공간에 소호재를 투입하는 부분이다. 상기 투입구(29)의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안착단(29')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단(29')중 일측에는 결합돌기(29f)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에는 상기 제1몸통부(21)와 협력하여 몸통부(11)를 형성하는 제2몸통부(31)가 구비된다. 상기 제2몸통부(31)의 폭방향 양측의 선단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결합리브(3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32)는 상기 제2몸통부(31)의 폭방향 양측 선단 전체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32)는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결합채널(22)에 삽입되어 절연하우징(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양단에는 각각 제2단부캡(34)이 형성된다. 상기 제2단부캡(34)은 상기 제1단부캡(24)과 협력하여 상기 단부캡(14)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2단부캡(34)은 대략 상기 단부캡(14)의 절반정도를 형성한다.
상기 제2단부캡(34)도 단부측벽(36)과 막음판(38, 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부측벽(36)은 상기 제2몸통부(31)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링형상을 지름 방향으로 절단한 형상이다.상기 막음판(38)은 원판을 지름방향으로 자른 반원판 형상이다. 상기 막음판(38)의 일측 단부는 상기 단부측벽(36)을 벗어난 위치까지 형성된다. 상기 막음판(38)의 타측 단부는 단부측벽(36)의 끝부분에 있는데, 이는 상기 단부측벽(36)의 일부를 잘라내었기 때문이다. 상기 단부측벽(36)이 일부 잘라내어진 부분에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막음판(28) 부분이 위치되어 더 이상 제2절연하우징(3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제1단부캡(24)에서 막음판(28)이 단부측벽(26)을 벗어난 부분은 상기 제2단부캡(34)에서 단부측벽(36)의 내측에 막음판(38)이 있는 부분의 단부측벽(36)에 의해 덮여지도록 조립된다. 반대쪽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막음판(38)에는 터미널홈(38')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홈(38')은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터미널(50)이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홈(38')은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막음판(28)에 형성될 수도 있다.
퓨즈터미널(5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좋기로는 상기 퓨즈터미널(5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퓨즈터미널(50)의 골격을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판형상의 몸체부(52)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52)의 양단에는 전선이나 다른 커넥터의 터미널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54,5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54,56)에는 각각 관통공(54',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54,56)는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겹으로 겹쳐져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52)에 비해 상기 연결부(54,56)는 두께가 2배로 되는데, 이는 모재를 겹쳐지게 접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상기 연결부(54,56)가 모두 2겹으로 된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는데, 이는 도시의 편의상 그러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54,56)중 어느 일측에는 차폐판(55)이 구비된다. 상기 차폐판(55)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결부(54)의 일부로 만들어진다. 상기 차폐판(55)은 상기 투입구(29)를 막는 것으로, 그 가장자리는 상기 투입구(29)의 안착단(29')에 안착된다. 상기 차폐판(55)의 자유단부 쪽에는 상기 결합돌기(29f)가 관통하는 돌기공(5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돌기(29f)와 돌기공(55')은 각각 2개씩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52)의 중간부분에는 용단부(58)가 형성된다. 상기 용단부(58)는 몸체부(52)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필요한 경우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용단부(58)는 과도한 전류가 흐를 때, 녹아 끊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용단부(58)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편의상 앞의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폐판(55)을 덮도록 결합캡(60)이 사용되는데, 상기 결합캡(60)은 상기 잠금링(16)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차폐판(55)이 투입구(29)를 견고하게 막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캡(60)은 상기 단부캡(14)의 외면을 둘러싸는 것으로 단부측벽(26,36)을 둘러싸는 링부(62)와 막음판(28,38)을 둘러싸는 단부판(64)으로 구성된다. 상기 링부(62)는 링형상이고, 상기 단부판(64)은 원판형상이다. 상기 단부판(64)의 중앙에는 직경방향으로 퓨즈슬롯(66)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퓨즈슬롯(66)은 상기 절연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된 퓨즈터미널(50)의 연결부(54,56)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결합캡(60)은 상기 단부캡(14)에 압입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퓨즈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의 사이에 상기 퓨즈터미널(50)을 놓고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결합채널(22)과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결합리브(32)가 서로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결합채널(22)에 상기 결합리브(32)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리브(32)가 상기 결합채널(22)의 내부에서 안내되도록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을 그들의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절연하우징(20,30) 사이의 상대 이동은 상기 제1 및 제2 절연하우징(20,30)이 서로 일치하게 되어 도 3의 상태가 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퓨즈터미널(50)은 상기 제1 및 제2 절연하우징(20,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어야 한다.
도 3의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29)를 통해서 소호재를 절연하우징(10)의 내부로 주입한다. 상기 투입구(29)를 통한 소호재의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 차폐판(55)을 소성변형시킨다. 즉, 상기 차폐판(55)의 가장자리가 상기 투입구(29)의 입구 가장자리에 있는 안착단(29')에 안착되게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차폐판(55)의 돌기공(55')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돌기(29f)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차폐판(55)은 상기 돌기공(55')과 결합돌기(29f)의 결합에 의해 상기 투입구(29)를 견고하게 차폐한다. 참고로 상기 차폐판(55)을 임의로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결합돌기(29f)의 선단을 용착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결합돌기(29f)의 선단을 녹여 상기 돌기공(55')의 입구 가장자리까지 퍼지게 만들어 빠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입구(29)를 상기 차폐판(55)으로 막은 상태에서 결합캡(60)을 상기 단부캡(14)에 고정한다. 즉, 상기 결합캡(60)의 단부판(64)에 형성된 퓨즈슬롯(66)을 상기 제1연결부(54)가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링부(62)가 단부측벽(26,36)에 압입되도록 하거나 본딩하여 상기 결합캡(60)을 단부캡(14)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차폐판(55)이 상기 단부판(64)에 의해 눌러져 투입구(29)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결합채널(22)과 제2절연하우징(30)의 결합리브(32)는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들 결합채널(22)과 결합리브(32)는 절연하우징(20,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철결합부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잠금링(16)이 사용되어 제1 및 제2 절연하우징(20,30)의 결합상태를 잠금시켰으나, 상기 절연하우징(20,30)들이 서로 상기 결합채널(22)과 결합리브(32)의 결합만에 의해서 결합이 될 수 있다면 잠금링(16)이 사용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절연하우징(20,30)이 서로 결합되어 절연하우징(10)을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절연하우징(1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절연하우징(10)을 관통하여 퓨즈터미널(50)이 설치될 때, 상기 차폐판(50)이 절연하우징(10)에 고정됨에 의해 상기 퓨즈터미널(50)이 절연하우징(10)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된다.
10: 절연하우징 11: 몸통부
14: 단부캡 16: 잠금링
18: 슬리이브 20: 제1절연하우징
21: 제1몸통부 22: 결합채널
24: 제1단부캡 26: 단부측벽
28: 막음판 29: 투입구
29f: 결합돌기 30: 제2절연하우징
31: 제2몸통부 34: 제2단부캡
36: 단부측벽 38: 막음판
38': 터미널홈 50: 퓨즈터미널
52: 몸체부 54: 제1연결부
55: 차폐판 55': 돌기공
56: 제2연결부 58: 용단부

Claims (8)

  1. 내부에 소호재가 채워지는 공간이 구비되는 절연하우징과,
    상기 절연하우징의 길이방향 양단부로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가 돌출되고 상기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과부하시에 녹아 끊어지는 용단부가 구비되는 퓨즈터미널과,
    상기 퓨즈터미널이 상기 절연하우징을 관통하는 부분에 형성된 투입구로 상기 소호재가 절연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를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퓨즈터미널에 일체로 형성된 차폐판을 포함하는 고전압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차폐판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되는 고전압퓨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에는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차폐판의 자유단부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관통하는 돌기공이 형성되는 고전압퓨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하우징의 양단부에는 상기 퓨즈터미널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는 단부캡이 구비되는데, 상기 단부캡을 둘러싸고 상기 연결부가 관통하도록 잠금캡이 상기 단부캡에 설치되어 상기 차폐판이 상기 투입구를 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전압 퓨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하우징의 양단부에는 상기 퓨즈터미널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가 관통하여 돌출되는 단부캡이 구비되는데, 상기 단부캡의 외면을 둘러서는 잠금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잠금링의 폭은 상기 단부캡의 단부측벽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고전압퓨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하우징은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1몸통부의 양단부에 제1단부캡이 형성되는 제1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하는 요철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절연하우징에 결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제2몸통부의 양단부에 제2단부캡이 형성되는 제2절연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고전압 퓨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하우징들의 제1 및 제2 단부캡은 각각 상기 몸통부들에 일체로 형성된 지름방향으로 절단된 링형상의 단부측벽과 상기 단부측벽의 끝부분에 구비되는 지름방향으로 절단된 반원판상의 막음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퓨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결합부는 상기 제1절연하우징의 폭방향 양측의 선단과 이에 대응되는 제2절연하우징의 폭방향 양측 선단에 서로 대응되게 절연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채널과 결합리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퓨즈.
KR1020110145150A 2011-12-28 2011-12-28 고전압 퓨즈 KR20130076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150A KR20130076527A (ko) 2011-12-28 2011-12-28 고전압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150A KR20130076527A (ko) 2011-12-28 2011-12-28 고전압 퓨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527A true KR20130076527A (ko) 2013-07-08

Family

ID=4899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150A KR20130076527A (ko) 2011-12-28 2011-12-28 고전압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65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826U (ko) 2013-11-05 2015-05-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KR20160122602A (ko) * 2015-04-14 2016-10-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826U (ko) 2013-11-05 2015-05-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KR20160122602A (ko) * 2015-04-14 2016-10-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76216B (zh) 烟火式断路器
KR20130024244A (ko) 고전압 퓨즈
JP7413064B2 (ja) 電気回路遮断装置
JP6426056B2 (ja) ヒューズ
US10553387B1 (en) Fuse with arc-suppressing housing walls
JP6605037B2 (ja) ヒューズ部品
KR20150052755A (ko) 배터리 셀 연결보드
KR20140133256A (ko) 고전압 퓨즈
US10056709B2 (en) Rubber plug fixed by a plug holder to a cover fixed to a housing
US9224564B2 (en) Fuse with counter-bore body
KR20190051060A (ko) 보호 플러그
KR20150130691A (ko) 고전압 퓨즈
CN113767445A (zh) 具有防环脱离结构的高压熔断器
KR20130076527A (ko) 고전압 퓨즈
KR20190003083A (ko) 고전압 퓨즈
KR20140083830A (ko) 고전압 퓨즈
KR20130114985A (ko) 고전압 퓨즈
JP2015082406A (ja) 電池集合体と導電路付き端子との接続構造
KR101165328B1 (ko) 고전압 퓨즈
KR102277838B1 (ko) 고전압 퓨즈
KR101243324B1 (ko) 고전압 퓨즈
KR101720617B1 (ko) 인터락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432319B1 (ko) 퓨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7477A (ko) 고전압 퓨즈
KR20170071936A (ko) 고전압 퓨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