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826U - 고전압 퓨즈 - Google Patents

고전압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826U
KR20150001826U KR2020130009086U KR20130009086U KR20150001826U KR 20150001826 U KR20150001826 U KR 20150001826U KR 2020130009086 U KR2020130009086 U KR 2020130009086U KR 20130009086 U KR20130009086 U KR 20130009086U KR 20150001826 U KR20150001826 U KR 201500018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fuse body
branch
connection terminal
branch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528Y1 (ko
Inventor
김민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9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528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8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8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5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퓨즈몸체(10)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연결단자(22)가 다수개의 분지부(26,28)를 가진다. 상기 분지부(26,28)는 각각 별도의 상대 단자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데, 분지부(26,28)에 의해 용량이 분배되어 상대 단자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연결단자(22)는 퓨즈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연직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도록 구성되므로 상대 단자와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된다.

Description

고전압 퓨즈{High voltage fuse}
본 고안은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단자의 분지부를 통해 용량을 나누어 전달할 수 있는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배터리 등의 전원공급원에서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전장부품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신속하게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퓨즈에는 용단부를 구비한 퓨즈엘레멘트가 구비된다.
고전압 퓨즈에서 상기 퓨즈엘레멘트의 양단에는 퓨즈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연결단자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단자는 상대 단자와 결합되어 전원측 및 전장부품측과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전기자동차가 상용화되면서 상대적으로 고전압이 자동차에서 사용되므로 이에 적합한 고전압 퓨즈들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고전압 퓨즈는 퓨즈엘레멘트를 통과하는 전원의 용량이 커지면서 고전압퓨즈의 연결단자와 결합되는 상대 단자도 고전압용이 사용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대 단자의 경우 고전압용을 새롭게 설계하여 제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전압 퓨즈는 퓨즈엘레멘트의 양단에 구비되는 연결단자가 퓨즈몸체의 양단에 하나씩만 있으므로 상대 단자와의 결합상태가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연결단자가 상대 단자와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퓨즈몸체가 상기 연결단자를 중심으로 해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6527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전압 퓨즈에서 연결단자에 다수개의 분지부를 두어 사용되는 상대 단자의 용량이 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단자가 상대 단자와 다수 곳에서 결합하여 외력이 퓨즈몸체에 작용하더라도 연결단자에 대해 퓨즈몸체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퓨즈몸체와, 상기 퓨즈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용단부와 상기 용단부의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퓨즈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대 단자와 결합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퓨즈엘레멘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에는 상대 단자와 각각 결합하는 분지부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퓨즈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연직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게 구성된다.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퓨즈엘레멘트에 연결되어 상기 퓨즈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퓨즈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게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양단에 각각 직교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분지부와 제2분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퓨즈엘레멘트에 연결되어 상기 퓨즈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퓨즈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게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양단에 각각 직교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분지부와 제2분지부, 그리고 상기 절곡부에서 상기 제1분지부 및 제2분지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분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분지부와 제2분지부는 상기 가장의 연직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게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3분지부는 상기 가상의 연직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게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고전압 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연결단자에 각각 구비된 다수개의 분지부가 상대 단자들과 각각 결합하도록 되므로, 상대 단자의 용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어 기존에 개발된 상대적으로 용량이 낮은 상대 단자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연결단자에 구비된 다수개의 분지부가 퓨즈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 연결단자와 상대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퓨즈몸체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고전압 퓨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퓨즈엘레멘트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퓨즈엘레멘트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고전압 퓨즈의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전압 퓨즈의 외관을 퓨즈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퓨즈몸체(10)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퓨즈몸체(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퓨즈몸체(10)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우징(12)이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본 실시례에서는 2개가 서로 결합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2)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2)은 일반적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엘레멘트(20)의 용단부(20')가 위치한다. 물론, 상기 내부공간(14)에는 용단부(20')에서 발생하는 아크의 전달을 방지하는 소호사(도시되지 않음)가 채워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하우징(12)의 양단에는 결합링(16)이 장착되어 2개의 하우징(12)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링(16)은 링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상기 하우징(12)의 외관형상에 따라 상기 결합링(16)의 형상도 결정된다. 도면부호 18은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엘레멘트(20)의 연결단자(22)가 퓨즈몸체(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관통슬롯이다.
참고로, 상기 퓨즈몸체(10)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퓨즈몸체(10)가 반드시 하우징(12)과 결합링(16)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엘레멘트(20)의 용단부(2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퓨즈엘레멘트(2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퓨즈엘레멘트(20)에는 용단부(20')가 있다. 상기 용단부(20')는 과부하가 흐를 경우에 녹아서 끊어지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용단부(20')는 그 두께와 폭 등이 부하용량에 맞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퓨즈엘레멘트(20)의 양단에는 연결단자(22)가 있다. 상기 연결단자(22)는 각각 전원측과 전장부품측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단자(22)는 상기 퓨즈본체(10)의 양단으로 상기 관통슬롯(18)을 통해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자(22)에는 절곡부(24)가 있고, 상기 절곡부(24)는 상기 관통슬롯(18)을 통해 퓨즈몸체(10)외부로 연장된 부분이 절곡되어 퓨즈몸체(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절곡부(24)의 양단에는 각각 제1분지부(26)와 제2분지부(28)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분지부(26)와 제2분지부(28)는 상기 퓨즈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있는 가상의 연직평면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이 되게 위치된다. 즉, 연결단자(22)의 구성이 상기 퓨즈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있는 가상의 연직평면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이 되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분지부(26)와 제2분지부(28)는 각각 상기 절곡부(24)의 양단에 절곡부(24)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각각의 연장방향은 상기 절곡부(24)가 연장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분지부(26)와 제2분지부(28)는 일종의 탭 단자 형상으로 만들어져 상대 단자, 즉 리셉터클 단자와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분지부(26)와 제2분지부(28)가 있음으로 해서 연결단자(22)는 전원을 전달하는 용량이 나누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분지부(26)와 제2분지부(28)에 각각 결합되는 상대 단자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30은 퓨즈엘레멘트(20)가 상기 관통슬롯(18)에 걸어지도록 하는 걸이홈(30)이다. 상기 걸이홈(30)에 상기 관통슬롯(18)의 양단에 해당되는 하우징(12)의 부분이 걸어져서 상기 퓨즈엘레멘트(20)가 하우징(1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도 6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고전압 퓨즈의 외관을 퓨즈몸체(110)가 형성한다. 상기 퓨즈몸체(110)는 본 실시례에서도 원통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위의 실시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퓨즈몸체(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퓨즈몸체(110)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우징(112)이 있다. 상기 하우징(112)은 본 실시례에서는 2개가 서로 결합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2)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2)은 일반적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1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엘레멘트(120)의 용단부(120')가 위치한다. 상기 내부공간(114)에는 용단부(120')에서 발생하는 아크의 전달을 방지하는 소호사(도시되지 않음)가 채워진다.
상기 하우징(112)의 양단에는 결합링(116)이 장착되어 2개의 하우징(112)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링(116)은 상기 하우징(112)의 외관형상에 따라 형상이 결정된다.
상기 퓨즈몸체(110)의 양단에는 각각 관통슬롯(1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슬롯(118)은 퓨즈엘레멘트(120)의 연결단자(122)가 퓨즈몸체(1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퓨즈엘레멘트(12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퓨즈엘레멘트(120)에는 용단부(120')가 있다. 상기 용단부(120')는 과부하가 흐를 경우에 녹아서 끊어지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용단부(120')는 그 두께와 폭 등이 부하용량에 맞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퓨즈엘레멘트(120)의 양단에는 연결단자(122)가 있다. 상기 연결단자(122)는 각각 전원측과 전장부품측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단자(122)는 상기 퓨즈본체(110)의 양단으로 상기 관통슬롯(118)을 통해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자(122)에는 절곡부(124)가 있고, 상기 절곡부(124)는 상기 관통슬롯(118)을 통해 퓨즈몸체(110)외부로 연장된 부분이 절곡되어 퓨즈몸체(1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절곡부(124)에는 제1에서 제3 분지부(126,128,1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분지부(126)와 제2분지부(128)는 상기 퓨즈몸체(1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있는 가상의 연직평면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이 되게 위치된다. 즉, 상기 제1분지부(126)와 제2분지부(128)는 각각 상기 절곡부(124)의 양단에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분지부(126)와 제2분지부(128)의 연장방향은 상기 절곡부(124)의 연장방향과 같은 방향이다.
한편, 상기 제3분지부(129)는 상기 절곡부(124)에서 그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상의 연직평면에 의해 대칭되게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제1에서 제3분지부(126,128,129)의 형상에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122)의 구성이 상기 퓨즈몸체(1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있는 가상의 연직평면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이 되게 만들어진다.
상기 제1에서 제3분지부(126,128,129)는 일종의 탭 단자 형상으로 만들어져 상대 단자, 즉 리셉터클 단자와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에서 제3분지부(126,128,129)가 있음으로 해서 연결단자(122)는 전원을 전달하는 용량이 나누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에서 제3분지부(126,128,129)에 각각 결합되는 상대 단자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130은 퓨즈엘레멘트(120)가 상기 관통슬롯(118)에 걸어지도록 하는 걸이홈(130)이다. 상기 걸이홈(130)에 상기 관통슬롯(118)의 양단에 해당되는 하우징(112)의 부분이 걸어져서 상기 퓨즈엘레멘트(120)가 하우징(11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고전압 퓨즈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실시례를 기초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고전압 퓨즈는 퓨즈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어 각각 전원측과 전장부품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22)가 다수개의 분지부(26,28)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22)에는 제1분지부(26)에 하나의 상대 단자가 결합되고 제2분지부(28)에 또 하나의 상대 단자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연결단자(22)에 상기 분지부(26,28)의 갯수에 대응되는 상대 단자가 결합되는데, 상기 상대 단자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각각의 분지부(26,28)와 상대 단자들을 통해 나누어져 전원이 흘러서 전체 용량을 분리하여 전달하는 결과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전압 퓨즈는 전기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는데, 전원에서부터 전장부품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중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에 과부하가 걸릴 때는 상기 용단부(20')가 녹아서 끊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용단부(20')가 녹아서 끊어짐에 의해 상기 전장부품으로 계속하여 과부하가 가해져 전장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연결단자(22)에 다수개의 분지부(26,28)가 있음으로 해서, 연결단자(22)에 결합되는 상대 단자도 상기 분지부(26,28)와 대응되는 갯수만큼이 있게 된다. 따라서, 연결단자(22)와 상대 단자의 결합에 있어서 전달되는 전원의 용량이 분산되면서 상대 단자를 상대적으로 낮은 용량을 가지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단자(22)의 구성이 상기 퓨즈몸체(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연직평면에 대해서 대칭으로 되어 있어 연결단자(22)가 상대 단자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연결단자(22)를 중심으로 퓨즈몸체(10)가 회전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된다. 즉, 고전압 퓨즈가 설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 도 6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분지부(126,128,129)가 3개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의 분지부(126,128,129)를 통해 전달되는 용량이 더 작아지고 설치상태의 안정성이 더 높아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퓨즈몸체 12: 하우징
14: 내부공간 16: 결합링
18: 관통슬롯 20: 퓨즈엘레멘트
22: 연결단자 24: 절곡부
26: 제1분지부 28: 제2분지부
30: 걸이홈 110: 퓨즈몸체
112: 하우징 114: 내부공간
116: 결합링 118: 관통슬롯
120: 퓨즈엘레멘트 122: 연결단자
124: 절곡부 126: 제1분지부
128: 제2분지부 129: 제3분지부
130: 걸이홈

Claims (5)

  1. 퓨즈몸체와,
    상기 퓨즈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용단부와 상기 용단부의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퓨즈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대 단자와 결합되는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퓨즈엘레멘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단자에는 상대 단자와 각각 결합하는 분지부가 다수개 형성되는 고전압 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퓨즈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포함하는 가상의 연직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게 구성되는 고전압 퓨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퓨즈엘레멘트에 연결되어 상기 퓨즈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퓨즈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게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양단에 각각 직교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분지부와 제2분지부를 포함하는 고전압 퓨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퓨즈엘레멘트에 연결되어 상기 퓨즈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퓨즈몸체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게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양단에 각각 직교하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분지부와 제2분지부, 그리고 상기 절곡부에서 상기 제1분지부 및 제2분지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분지부를 포함하는 고전압 퓨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지부와 제2분지부는 상기 가장의 연직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게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3분지부는 상기 가상의 연직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게 구성되는 고전압 퓨즈.
KR2020130009086U 2013-11-05 2013-11-05 고전압 퓨즈 KR200484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086U KR200484528Y1 (ko) 2013-11-05 2013-11-05 고전압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086U KR200484528Y1 (ko) 2013-11-05 2013-11-05 고전압 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826U true KR20150001826U (ko) 2015-05-13
KR200484528Y1 KR200484528Y1 (ko) 2017-09-18

Family

ID=5343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086U KR200484528Y1 (ko) 2013-11-05 2013-11-05 고전압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5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4022B2 (en) 2015-10-28 2018-08-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inger proof fuse reten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8544U (ko) * 1985-04-10 1986-10-18
JP2010244921A (ja) * 2009-04-08 2010-10-28 Taiheiyo Seiko Kk 高電圧用ヒューズ
KR20130076527A (ko) 2011-12-28 2013-07-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8544U (ko) * 1985-04-10 1986-10-18
JP2010244921A (ja) * 2009-04-08 2010-10-28 Taiheiyo Seiko Kk 高電圧用ヒューズ
KR20130076527A (ko) 2011-12-28 2013-07-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4022B2 (en) 2015-10-28 2018-08-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inger proof fuse reten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528Y1 (ko) 2017-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2191B (zh) 用於匯流及非匯流之電力連接之通用雙螺栓模組保險絲座總成
JP2017517095A (ja) 小型の高圧電力ヒューズ及び製造方法
US9472914B2 (en) Rotary connector hav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US8471670B2 (en) Fusible link unit
KR20130024244A (ko) 고전압 퓨즈
US9691581B2 (en) Fuse arrangement
US9224564B2 (en) Fuse with counter-bore body
KR200455204Y1 (ko) 고압 퓨즈용 하우징 장치
JP2015207393A (ja) 電池接続体、及び、それを備えたバッテリパック
KR20150041036A (ko) 퓨즈 유닛
KR200484528Y1 (ko) 고전압 퓨즈
US9548176B2 (en) Fuse terminal for use with an electrical fuse assembly
US20150155125A1 (en) Fuse unit
JP2016071937A (ja) バッテリ端子
JP6309303B2 (ja) 電気接続箱
KR101720617B1 (ko) 인터락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979226B1 (ko) 멀티퓨즈용 버스바
KR20170071936A (ko) 고전압 퓨즈
KR102228859B1 (ko) 고전압 퓨즈
KR20140029786A (ko) 고전압 퓨즈
CA2826448C (en) Insertion-type connector having a contact-making member
KR102361578B1 (ko) 고전압 퓨즈
KR101482213B1 (ko) 전원분배기용 커넥터
JP6093260B2 (ja) ヒューズ
KR102654073B1 (ko) 플러그-소켓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