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691A - 고전압 퓨즈 - Google Patents

고전압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691A
KR20150130691A KR1020140057580A KR20140057580A KR20150130691A KR 20150130691 A KR20150130691 A KR 20150130691A KR 1020140057580 A KR1020140057580 A KR 1020140057580A KR 20140057580 A KR20140057580 A KR 20140057580A KR 20150130691 A KR20150130691 A KR 20150130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ver
fuse
inner space
fus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덕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0691A/ko
Publication of KR20150130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2)을 관통하고 양단이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게 퓨즈엘레먼트(16)가 있다. 상기 퓨즈엘레먼트(16)에는 내부공간(12)에 위치되는 용단부(17)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부(18)가 있다. 상기 퓨즈엘레먼트(16)에 일체로 만들어지는 제1커버(20)와 내부마개(26)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양측을 막게 된다. 상기 내부마개(26)에는 주입공(28)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소호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부마개(26)가 있는 쪽의 하우징(10)의 단부에는 제2커버(30)가 결합된다. 상기 제1커버(20)와 제2커버(30)는 각각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구성부품수가 최소화되고 조립공정수가 줄어들고 외부와 내부공간 사이의 밀폐가 확실하게 되어 고전압퓨즈의 제조원가가 낮아지고 동작특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전압 퓨즈{High voltage fuse}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고전압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배터리 등의 전기공급원에서 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부품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신속하게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퓨즈중에서 고전압이 사용되는 전장부품에서 사용되는 것이 있다.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퓨즈는 과부하에 의해 퓨즈의 용단부가 용융되어 끊어질 때 발생된 아크를 통해 전원이 전장부품으로 전해지면서 전장부품에 2차적으로 충격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퓨즈에는 용단부가 끊어질 때, 발생하는 아크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선행문헌에 제시된 바와 같이, 용단부가 수용되는 공간 내에 모래와 같은 소호재를 채워 용단부를 둘러싸도록 한다.
하지만, 선행문헌에서는 용단부를 형성하는 하우징이 2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져 있어 이들 사이가 정확하게 밀착되지 않게 되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들어가면서 아크발생시에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에서는 하우징이 2개의 조각으로 나누어져 있어 이들을 결합하기 위해 금속으로 된 별도의 캡체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 부품수가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하우징이 2개로 나누어져 있어 하우징의 내부에 별도로 원통형의 슬리이브를 추가로 넣어야 하는 등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허 제 41922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소호재가 채워지는 고전압 퓨즈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소호재가 채워지는 고전압 퓨즈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완전히 차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호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이 적어도 일측 단부로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관통하여 위치되고 상기 소호재 내에 위치하는 용단부와 상기 용단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퓨즈엘레먼트와, 상기 퓨즈엘레먼트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융착되어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을 차폐하는 제1커버와, 상기 퓨즈엘레먼트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부에 융착되어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타측을 차폐하는 제2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커버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소호재가 주입되는 주입공이 구비되는 내부마개가 더 구비된다.
상기 내부마개에서 상기 퓨즈엘레먼트가 관통하는 부분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커버에 형성된 관통부에 위치된다.
상기 주입공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입구리브가 링형상으로 만들어고, 상기 제2커버에는 상기 주입공에 삽입되는 막음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막음돌기와 소정의 틈새를 두고 상기 입구리브의 외면에 내면이 밀착되는 밀폐리브가 구비된다.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둘러 밀착되는 제1내부스컷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에도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둘러 밀착되는 제2내부스컷트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마개와 제1커버는 상기 퓨즈엘레먼트와 일체로 된다.
상기 제1커버와 하우징의 결합을 위한 제1융착부와 상기 제2커버와 하우징의 결합을 위한 제2융착부는 서로 대응되는 일측은 돌기형상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채널형상으로 구성되어 돌기형상이 채널형상에 삽입된 상태에서 초음파융착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전압퓨즈는 그 구성이 간단하여 구성부품의 숫자가 줄어들고 조립공수가 줄어들게 되어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금속재질의 부품을 퓨즈엘레먼트를 제외하고는 없앨 수 있어 전체적으로 무게도 줄어들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통형상으로 된 일체형 하우징의 양단에 제1 및 제2커버가 융착되어 고정되므로 고전압퓨즈의 내부와 외부가 밀폐될 수 있어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소호작용 시간을 단축시켜 안정적인 회로보호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전압퓨즈의 내부가 외부와 완전히 외부에서 내부로 먼지나 물 등의 이물질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고전압 퓨즈의 동작신뢰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전압퓨즈를 제조함에 있어서 치수를 관리해야 하는 부분이 융착부를 제외하고는 없어지므로 제조시에 불량발생이 줄어들고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퓨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커버의 내측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고전압퓨즈의 내부에 소호재를 충진하기 위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전압퓨즈의 대부분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반드시 원통형상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사각통형상 등 다각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부공간(12)은 상기 하우징(10)의 양단으로 개방된다. 하지만, 상기 내부공간(12)이 반드시 양단으로 개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일단으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엘레먼트(16)가 관통할 수 있는 부분만 개방되면 된다. 즉, 아래에서 설명될 제1커버(20)가 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양단부에는 하우징융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융착부(14)는 상기 하우징(10)의 양단부에서 돌출되어 있다. 즉, 하우징(10)의 단부를 둘러 링형상으로 상기 하우징융착부(14)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하여서는 퓨즈엘레먼트(16)가 설치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16)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내부공간(12)에 위치되는 용단부(17)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연결부(18)로 구성된다. 상기 용단부(17)는 과부하가 걸릴 때, 녹아서 끊어지는 부분이고, 상기 연결부(18)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상대물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부(18)가 상기 용단부(17)와 같이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대물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일단부를 막기 위한 제1커버(20)가 있다. 상기 제1커버(20)는 상기 하우징(10)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절연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상기 제1커버(20)를 만든다. 상기 제1커버(20)는 상기 퓨즈엘레먼트(16)와 일체로 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1커버(20)를 만드는 금형내에 상기 퓨즈엘레먼트(16)를 삽입하여 인서트몰딩을 하면 된다. 상기 제1커버(2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단부에 조립되어 초음파융착에 의해 일체로 된다.
상기 제1커버(20)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판형상의 단부판(22)과 상기 단부판(2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링형상의 둘레벽(23)으로 구성된다. 상기 둘레벽(23)은 상기 하우징(10)의 단부에 직접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융착부(14)와 대응되는 구성이 있어 서로 융착된다. 즉, 상기 둘레벽(23)의 선단을 따라서는 커버융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버융착부(24)는 채널형상이다. 상기 커버융착부(24)의 내부에 상기 하우징융착부(14)가 삽입된 상태로 초음파 융착작업이 진행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커버융착부(24)와 나란히 제1내부스컷트(25)가 있다. 상기 제1내부스컷트(25)는 상기 둘레벽(23)의 선단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데, 전체적으로는 링형상이다. 상기 제1내부스컷트(25)의 외경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의 내경과 같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내부스컷트(25)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 내면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커버(20)는 상기 퓨즈엘레먼트(16)의 일측 단부에 있는 연결부(18)에 위치되는데, 반대쪽 단부에 있는 연결부(18)에는 내부마개(26)가 설치된다. 상기 내부마개(26)도 상기 제1커버(20)와 유사한 형상으로 되는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의 내면에 가장자리에 틈새없이 밀착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다. 상기 내부마개(26)는 원판형상의 단부판(27)과 상기 단부판(27)의 가장자리를 둘러 링형상으로 되는 둘레벽(29)으로 구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내부마개(26)는 상기 제1커버(20)에 비해 그 치수가 약간 작고 전체 형상은 거의 유사하다.
상기 내부마개(26)의 단부판(27)도 상기 퓨즈엘레먼트(16)와 일체로 되도록 인서트몰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커버(20)와 내부마개(26)를 동시에 인서트몰딩을 통해 퓨즈엘레먼트(16)에 일체로 되도록 하거나 순차적으로 만들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20)와 내부마개(26)를 반드시 퓨즈엘레먼트(16)에 일체로 할 필요는 없는데, 별개로 만들어 조립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상기 제1커버(20)와 내부마개(26)의 중앙에 상기 퓨즈엘레먼트(16)의 대응되는 위치의 횡단면 형상과 같은 관통부가 형성되면 된다.
상기 내부마개(26)의 단부판(27)에는 돌출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7')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버(30)의 관통부(32')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27')의 선단에는 관통부(32')에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27")은 상기 돌출부(27')의 선단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마개(26)의 단부판(27)에는 주입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입공(28)은 상기 내부마개(26)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의 일측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내부공간(12)으로 소호재를 주입하는 부분이다. 상기 주입공(28)의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입구리브(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리브(28')는 소호재가 상기 주입공(28)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과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버(30)의 밀폐리브(38)와 협력하여 소호재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커버(3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12)을 외부와 차폐하는 것이다. 상기 제2커버(30)는 상기 제1커버(20)가 설치된 하우징(10)의 반대쪽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커버(30)의 구성은 상기 제1커버(20)의 구성과 유사하다.
상기 제2커버(30)도 단부판(32)과 둘레벽(33)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부판(32)은 원판형상이고, 상기 둘레벽(33)은 링형상이다. 상기 단부판(32)에는 상기 퓨즈엘레먼트(16)가 관통하고 상기 내부마개(26)의 돌출부(27')가 위치되는 관통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부(32')는 상기 돌출부(27')의 횡단면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둘레벽(33)의 선단에는 커버융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융착부(34)는 원형상의 채널이다. 상기 커버융착부(34)에는 상기 하우징(10)의 하우징융착부(14)가 삽입되어 융착된다.
상기 커버융착부(34)와 나란히 제2내부스컷트(35)가 형성된다. 상기 제2내부스컷트(35)는 상기 제1커버(20)의 제1내부스컷트(25)와 같은 구성으로 그 외경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의 내경과 같다. 따라서, 상기 제2내부스컷트(35)의 외면이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커버(30)의 단부판(32)에는 막음돌기(36)가 있다. 상기 막음돌기(36)는 상기 내부마개(26)의 주입공(28)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막음돌기(36)를 둘러서는 소정의 거리를 떨어져서 밀폐리브(38)가 있다. 상기 밀폐리브(38)도 링형상으로 된다. 상기 밀폐리브(38)의 내면에 상기 내부마개(26)의 입구리브(28') 외면이 밀착되도록 치수가 설계된다.
한편, 상기 제1커버(20)와 하우징(10), 제2커버(30)와 하우징(10)의 결합은 초음파 융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커버(20)와 하우징(10)의 사이에는 제1융착부(40)가 있고, 상기 제2커버(30)와 하우징(10)의 사이에는 제2융착부(42)가 있다.
상기 제1융착부(40)는 상기 하우징(10)의 하우징융착부(14)와 상기 제1커버(20)의 커버융착부(24)로 구성된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우징융착부(14)가 돌기형상이고 상기 커버융착부(24)가 채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하우징융착부(14)가 채널형상이고 상기 커버융착부(24)가 돌기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융착부(42)는 상기 하우징(10)의 하우징융착부(14)와 상기 제2커버(30)의 커버융착부(34)로 구성되는데, 이들 하우징융착부(14)와 커버융착부(34)의 형상은 상기 제1융착부(40)의 것과 동일하다. 여기서도 상기 하우징융착부(14)와 커버융착부(34)의 형상이 반대로 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 퓨즈를 만드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 퓨즈엘레먼트(16), 제1커버(20), 내부마개(26) 그리고 제2커버(30)는 각각 별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커버(20)와 내부마개(26)가 상기 퓨즈엘레먼트(16)와 별개로 만들어져 조립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퓨즈엘레먼트(16)를 먼저 만들고, 상기 제1커버(20)와 내부마개(26)를 만들기 위한 금형 내에 퓨즈엘레먼트(16)를 삽입하여 인서트몰딩에 의해 상기 제1커버(20)와 내부마개(26)가 퓨즈엘레먼트(16)와 일체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에 나와 있다.
상기 퓨즈엘레먼트(16)에 일체로 된 상기 제1커버(20)와 내부마개(26)를 상기 하우징(10)에 조립하면,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1커버(2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단부에 조립되고 상기 내부마개(26)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으로 들어가서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면에 그 둘레벽(29)이 밀착되어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커버(20)를 상기 하우징(10)에 초음파융착으로 결합한다. 상기 제1융착부(4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초음파를 가해 상기 하우징융착부(14)와 커버융착부(24)가 녹아서 서로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공간(1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단지 상기 주입공(28)을 통해서만 상기 내부공간(12)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주입공(28)을 통해서는 소호재가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주입된다.
상기 내부공간(12)에 소호재의 주입이 끝나면, 상기 제2커버(30)를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한다. 상기 제2커버(30)의 관통부(32')를 상기 내부마개(26)에서 돌출되어 있는 퓨즈엘레먼트(16)의 연결부(18)가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제2커버(30)의 커버융착부(34)가 상기 하우징(10)의 하우징융착부(14)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2커버(30)의 커버융착부(34)와 상기 하우징(10)의 하우징융착부(14)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마개(26)의 돌출부(27')가 상기 관통부(32')를 관통하여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융착부(34)와 하우징융착부(14)를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하여 제2융착부(42)가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의 일단부에 결합되면 상기 막음돌기(36)가 상기 내부마개(26)의 주입공(28)을 막아서 상기 주입공(28)을 통해서 소호재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을 차폐하는 제1커버(20)와 제2커버(30)를 상기 하우징(10)에 각각 초음파융착에 의해 융착되도록 한다. 즉, 상기 하우징(10)과 제1커버(20)가 제1융착부(40)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0)과 제2커버(30)가 제2융착부(42)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융착부(40)와 제2융착부(42)가 형성됨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은 외부와는 완전히 밀폐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외부의 이물이나 공기 등이 들어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고전압퓨즈는 상기 하우징(10)의 양단에 결합된 제1커버(20)와 제2커버(30)를 관통하여 나온 퓨즈엘레먼트(16)의 연결부(18)를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결합한다. 즉, 상기 연결부(18)에 형성된 체결공(18')과 대응되는 체결공을 가진 상대물에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상기 연결부(18)를 물리적으로 체결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대물과 고전압퓨즈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전원측에서 나온 전원이 부하쪽으로 전달되는데, 부하쪽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상기 용단부(17)가 녹아서 끊어져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내부마개(26)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주입공(28)이 형성된 상기 내부마개(26)가 있음으로 해서 상기 제2커버(30)를 결합하기 전까지의 제조공정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채워지는 소호재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10: 하우징 12: 내부공간
14: 하우징융착부 16: 퓨즈엘레먼트
17: 용단부 18: 연결부
18': 체결공 20: 제1커버
22: 단부판 23: 둘레판
24: 커버융착부 25: 제1내부스컷트
26: 내부마개 27: 단부판
27': 돌출부 27": 경사면
28: 주입공 28': 입구리브
30: 제2커버 32: 단부판
32': 관통부 33: 둘레벽
34: 커버융착부 35: 제2내부스컷트
36: 막음돌기 38: 밀폐리브
40: 제1융착부 42: 제2융착부

Claims (7)

  1. 소호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이 적어도 일측 단부로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관통하여 위치되고 상기 소호재 내에 위치하는 용단부와 상기 용단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퓨즈엘레먼트와,
    상기 퓨즈엘레먼트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융착되어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을 차폐하는 제1커버와,
    상기 퓨즈엘레먼트가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부에 융착되어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타측을 차폐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는 고전압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커버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차폐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소호재가 주입되는 주입공이 구비되는 내부마개가 더 구비되는 고전압퓨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에서 상기 퓨즈엘레먼트가 관통하는 부분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커버에 형성된 관통부에 위치되는 고전압퓨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입구리브가 링형상으로 만들어고, 상기 제2커버에는 상기 주입공에 삽입되는 막음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막음돌기와 소정의 틈새를 두고 상기 입구리브의 외면에 내면이 밀착되는 밀폐리브가 구비되는 고전압퓨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둘러 밀착되는 제1내부스컷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에도 상기 하우징의 내면을 둘러 밀착되는 제2내부스컷트가 형성되는 고전압퓨즈.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마개와 제1커버는 상기 퓨즈엘레먼트와 일체로 되는 고전압퓨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와 하우징의 결합을 위한 제1융착부와 상기 제2커버와 하우징의 결합을 위한 제2융착부는 서로 대응되는 일측은 돌기형상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채널형상으로 구성되어 돌기형상이 채널형상에 삽입된 상태에서 초음파융착에 의해 형성되는 고전압퓨즈.
KR1020140057580A 2014-05-14 2014-05-14 고전압 퓨즈 KR20150130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80A KR20150130691A (ko) 2014-05-14 2014-05-14 고전압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80A KR20150130691A (ko) 2014-05-14 2014-05-14 고전압 퓨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691A true KR20150130691A (ko) 2015-11-24

Family

ID=5484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580A KR20150130691A (ko) 2014-05-14 2014-05-14 고전압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06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1899A (zh) * 2016-02-26 2016-05-04 广东中贝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熔断器一体式接线端子的制造工艺
KR20180017477A (ko) * 2016-08-09 2018-0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KR102066173B1 (ko) * 2019-05-14 2020-01-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링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고전압 퓨즈
KR20220148962A (ko) 2021-04-29 2022-11-08 주식회사 한국전자재료(케이.이.엠) 고전력 퓨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1899A (zh) * 2016-02-26 2016-05-04 广东中贝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熔断器一体式接线端子的制造工艺
KR20180017477A (ko) * 2016-08-09 2018-02-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KR102066173B1 (ko) * 2019-05-14 2020-01-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링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고전압 퓨즈
WO2020231012A1 (ko) * 2019-05-14 2020-11-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링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고전압 퓨즈
CN113767445A (zh) * 2019-05-14 2021-12-07 韩国端子工业株式会社 具有防环脱离结构的高压熔断器
JP2022531365A (ja) * 2019-05-14 2022-07-06 コリア・エレクトリック・ターミナル・コーポレイション・リミテッド リングの離脱防止構造を有する高電圧ヒューズ
EP3971936A4 (en) * 2019-05-14 2022-07-13 Korea Electric Terminal Co., Ltd. HIGH VOLTAGE FUSE HAVING A R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CN113767445B (zh) * 2019-05-14 2024-03-26 韩国端子工业株式会社 具有防环脱离结构的高压熔断器
US11996253B2 (en) 2019-05-14 2024-05-28 Korea Electric Terminal Co., Ltd. High voltage fuse having ring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KR20220148962A (ko) 2021-04-29 2022-11-08 주식회사 한국전자재료(케이.이.엠) 고전력 퓨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9696B2 (en) Waterproof case for electrical apparatus
KR20150130691A (ko) 고전압 퓨즈
KR102574712B1 (ko) 전기 회로 차단 장치
US10056709B2 (en) Rubber plug fixed by a plug holder to a cover fixed to a housing
US10553387B1 (en) Fuse with arc-suppressing housing walls
US20140137845A1 (en) Corona ignition device
EP2577703B1 (en) Fuse with counter-bore body
JP2012041088A (ja) 液体の移送用および貯蔵用容器のためのタップ取付部品、ならびに、このタップ取付部品を備える移送用および貯蔵用容器
KR20190113230A (ko) 고전압 퓨즈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3083A (ko) 고전압 퓨즈
CN113767445A (zh) 具有防环脱离结构的高压熔断器
KR20140083830A (ko) 고전압 퓨즈
US20090053935A1 (en) Lamp socket
KR101707143B1 (ko) 가스켓이 구비된 기판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09476091B (zh) 形成激光焊接连接的方法和复合部件
KR20130114985A (ko) 고전압 퓨즈
KR20130076527A (ko) 고전압 퓨즈
KR20170071936A (ko) 고전압 퓨즈
KR102432319B1 (ko) 퓨즈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17477A (ko) 고전압 퓨즈
KR102277838B1 (ko) 고전압 퓨즈
US11444410B2 (en) Waterproof structure for multicore wire
US20220324411A1 (en) Igniter holding structure
KR102228859B1 (ko) 고전압 퓨즈
KR102517163B1 (ko) 고전압 퓨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