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233A - 퓨즈 - Google Patents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233A
KR20220127233A KR1020227021097A KR20227021097A KR20220127233A KR 20220127233 A KR20220127233 A KR 20220127233A KR 1020227021097 A KR1020227021097 A KR 1020227021097A KR 20227021097 A KR20227021097 A KR 20227021097A KR 20220127233 A KR20220127233 A KR 20220127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attery
base member
cover member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스케 오타
준혁 양
Original Assignee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7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4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 H01H85/045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cartridg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4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2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s for carrying, holding, or retaining fuse, co-operating with base or fixed holder, and removable therefrom for renewing the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binding post of a storag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배터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하기 쉬운 퓨즈를 제공한다. 배터리 포스트(BP), 또는 배터리 포스트(BP)에 연결된 베이스 부재(500)의 연결 포스트(510)에 고정되는 퓨즈로서, 배터리 포스트(BP) 또는 연결 포스트(510)에 고정되는 입력 단자(110)와, 외부 출력 단자(120)와, 입력 단자(110)와 외부 출력 단자(120)의 사이에 설치된 용단부(130)를 가지는 퓨즈 엘리먼트(100)와, 용단부(130)를 노출시키는 노출창(230)을 가지고, 퓨즈 엘리먼트(100)를 수용하는 하우징(200)과, 노출창(230)을 덮는 커버 부재(300)를 구비하고, 커버 부재(300)는 배터리 포스트(BP)를 구비하는 배터리(BT)측 또는 베이스 부재(500)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340)를 구비하고 있고, 돌출부(340)는 배터리(BT)의 일부 또는 베이스 부재(500)의 일부에 당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퓨즈
본원 발명은, 주로 자동차용 전기 회로 등에 이용되는 퓨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퓨즈는 자동차 등에 탑재되어 있는 전기 회로나, 전기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각종 전장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되어 왔다. 자세한 것은, 전기 회로 중에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가 흘렀을 경우에, 퓨즈에 내장된 퓨즈 엘리먼트의 용단부가 과전류에 의한 발열에 의해 용단되어, 각종 전장품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보호하고 있다.
그리고, 이 퓨즈는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있고,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퓨즈는, 차량 탑재의 배터리에 부착하기 쉽도록, 퓨즈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퓨즈 유닛은 차량 탑재의 배터리와 각종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접속하는 것으로,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되는 입력 단자와, 외부의 전선을 접속하는 복수의 외부 단자와, 입력 단자로부터 각 외부 단자로 전력을 분배하는 전기 회로부와, 상기 전기 회로부에 형성된 복수의 용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이 퓨즈 유닛은 복수의 용단부가 전기 회로부에 일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단부의 정격(定格)을 변경하는 경우나, 용단부의 일부가 용단된 경우는, 퓨즈 유닛 전체를 변경, 또는,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어 불편했다. 그래서, 용단부가 독립된 양태, 즉, 퓨즈 유닛이 아니라, 퓨즈를 개별로 배터리에 부착하는 양태를 채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퓨즈는 퓨즈 유닛과 비교해 소형이기 때문에, 배터리에 직접, 또는 베이스 부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부착할 때에, 퓨즈의 위치나 자세가 어긋나 버려, 부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39965호
그래서, 본원 발명은 배터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하기 쉬운 퓨즈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퓨즈는 배터리 포스트, 또는 상기 배터리 포스트에 연결된 베이스 부재의 연결 포스트에 고정되는 퓨즈로서, 상기 배터리 포스트 또는 상기 연결 포스트에 고정되는 입력 단자와, 외부 출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출력 단자 사이에 설치된 용단부를 가지는 퓨즈 엘리먼트와, 상기 용단부를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노출창을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배터리 포스트를 구비하는 배터리측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 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터리의 일부,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부에 당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퓨즈의 돌출부는 배터리측 또는 베이스 부재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퓨즈의 배터리 또는 베이스 부재로의 부착 시에, 배터리의 일부, 또는, 베이스 부재의 일부에 당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퓨즈를 부착할 때에, 돌출부에 의하여 퓨즈의 위치나 자세가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퓨즈의 부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퓨즈는,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적어도 2개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돌출부가 배터리의 일부, 또는, 베이스 부재의 일부에 2개소에서 당접하기 때문에, 퓨즈를 배터리 또는 베이스 부재에 부착할 때에, 퓨즈의 위치나 자세가 보다 안정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퓨즈는, 상기 외부 출력 단자 및 용단부는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외부 출력 단자 및 용단부가, 입력 단자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대략 역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퓨즈를 베이스 부재 또는 배터리에 부착했을 때에, 퓨즈가 측방으로 튀어 나오지 않고 잘 들어간다.
또한, 본원 발명의 퓨즈는,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와 걸어 맞추는 걸림 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커버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빗나가기 어렵게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퓨즈에 의하면, 배터리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하기 쉽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퓨즈의 퓨즈 엘리먼트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퓨즈의 퓨즈 엘리먼트를 수용한 하우징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원 발명의 퓨즈의 하우징의 평면도, 도 3(b)는 하우징의 측면도, 도 3(c)는 하우징의 정면도, 도 3(d)는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4(a)는 본원 발명의 퓨즈의 커버 부재의 전체 사시도, 도 4(b)는 커버 부재의 평면도, 도 4(c)는 커버 부재의 정면도, 도 4(d)는 커버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5 (a)는 커버 부재를 부착하기 전의 퓨즈의 전체 사시도, 도 5(b)는 커버 부재를 부착한 후의 퓨즈의 전체 사시도, 도 5(c)는 커버 부재를 부착한 후의 퓨즈의 배면도이다.
도 6(a)는 배터리에 부착된 베이스 부재에 퓨즈를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상기 모습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퓨즈를 베이스 부재에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b)는 상기 상태의 측면도, 도 7(c)는 상기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a)는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퓨즈를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상기 모습의 평면도, 도 8(c)는 퓨즈를 배터리 포스트에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퓨즈의 각 부재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본원 발명의 퓨즈의 퓨즈 엘리먼트(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퓨즈 엘리먼트(100)의 전체 사시도이다.
퓨즈 엘리먼트(100)는, 구리나 그 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평탄한 판재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프레스기 등으로 타발(punching)하여 굴곡 성형된 것이며, 배터리 포스트 또는 배터리 포스트에 연결된 베이스 부재의 연결 포스트에 고정되는 입력 단자(110)와, 외부 전선을 접속하는 외부 출력 단자(120)와, 입력 단자(110)와 외부 출력 단자(120) 사이에 설치된 용단부(130)를 구비한다. 이 용단부(130)는, 퓨즈 엘리먼트(100)를 구성하는 판재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여 국소적으로 폭이 좁아진 선 형상의 용단 개소를 구비하고 있어, 전기 회로 등에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가 흘렀을 때에, 발열하여 용단되어 과전류를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용단부(130)는 폭이 좁아진 선 형상의 용단 개소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전기 회로 등에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가 흘렀을 때에, 발열하여 용단되어 과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면, 퓨즈 엘리먼트(100)를 구성하는 판재에 용단되기 쉬운 금속 재료를 국소적으로 배치하는 등의 임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퓨즈 엘리먼트(100)에는 용단부(130)와 용단부(130)에 연결된 외부 출력 단자(120)가 하나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용단부(130)와 용단부(130)에 연결된 외부 출력 단자(120)를 두 개 이상 설치해도 좋다.
또, 입력 단자(110)는, 선단(111) 측에 배터리 포스트 또는 베이스 부재의 연결 포스트를 삽입 통과시키는 연결 구멍(112)을 구비하고 있고, 말단(113) 측은 하방으로 대략 90도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용단부(130)는 굴곡된 말단(113)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용단부(130)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출력 단자(120)도,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용단부(130) 및 외부 출력 단자(120)는 입력 단자(110)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므로, 퓨즈 엘리먼트(100) 전체는 측면에서 봤을 때 역 L자 형상을 하고 있다. 또, 외부 출력 단자(120)는 외부의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고정 가능한 연결 구멍(121)을 구비하고 있다.
그럼 다음으로, 퓨즈 엘리먼트(100)를 하우징(200)에 수용한 상태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는 퓨즈 엘리먼트(100)를 수용한 하우징(200)의 전체 사시도, 도 3(a)는 하우징(200)의 평면도, 도 3(b)는 하우징(200)의 측면도, 도 3(c)는 하우징(200)의 정면도, 도 3(d)는 하우징(200)의 배면도이다.
하우징(200)은, 전체가 절연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퓨즈 엘리먼트(100)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200)은 퓨즈 엘리먼트(100)의 입력 단자(110)를 덮는 입력측 하우징(210)과, 용단부(130)를 노출시키는 노출창(230)을 구비한 용단부 하우징(220)과, 외부 출력 단자(120)를 덮는 출력측 하우징(240)을 구비한다. 입력측 하우징(210)은, 입력 단자(110)의 연결 구멍(112)이 노출되도록, 연결 구멍(112)의 주위는 오목부(211)로 되어 있다.
또, 용단부 하우징(220)의 노출창(230)은 대략 사각형을 하고 있고, 용단부 하우징(220)을 표면측으로부터 안측까지 관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용단부 하우징(220)에 수용된 용단부(130)는, 노출창(230)으로부터 표면측 및 안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용단부 하우징(220)의 두께(L1)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를 끼우기 쉽도록, 다른 하우징(200) 부분보다 얇게 되어 있다. 또한, 용단부 하우징(220)의 표면(221)에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의 걸림 고리가 걸어 맞춰지는 오목 형상의 걸어 맞춤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용단부 하우징(220)의 이면(222)에도, 후술하는 커버 부재의 걸림 고리가 걸어 맞춰지는 오목 형상의 걸어 맞춤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출력측 하우징(240)은, 외부 출력 단자(120)의 연결 구멍(121)에 원주 형상의 접속 단자(Y1)를 관통시킨 상태로, 외부 출력 단자(120)를 수용하고 있고, 또한, 접속 단자(Y1)의 선단측이 출력측 하우징(240)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접속 단자(Y1)의 주위에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움푹 팬 오목부(24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럼 다음으로, 하우징(200)의 노출창(230)을 덮는 커버 부재(30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4(a)는 커버 부재(300)의 전체 사시도, 도 4(b)는 커버 부재(300)의 평면도, 도 4(c)는 커버 부재(300)의 정면도, 도 4(d)는 커버 부재(300)의 배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0)는 전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고, 평탄한 판 형상의 측벽(310) 및 측벽(320)과, 측벽(310)과 측벽(320)을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고 있는 연결벽(330)을 구비한다. 또, 연결벽(330)의 반대측에서는, 측벽(310) 및 측벽(320)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해방되어 있으며, 이 해방된 부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0)를 하우징(200)의 용단부 하우징(220)에 꽂아 넣어 부착하기 위한 삽입구(301)가 된다. 커버 부재(300)의 측벽(310) 및 측벽(320)의 각각은, 용단부 하우징(220)의 노출창(230)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 측벽(320)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340)가 2개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340)는 서로 이간하고 있다. 또, 돌출부(340)는 평면에서 봤을 때 산 모양으로 되어 있고, 각 돌출부(340)의 선단(341)은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또한, 측벽(310)의 상단(311)과 하단(312)의 각각의 내측에는, 걸림 고리(313)가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측벽(320)의 상단(321)과 하단(322)의 각각의 내측에는, 걸림 고리(323)가 서로 상이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0)가 하우징(200)의 용단부 하우징(220)에 부착될 때, 커버 부재(300)의 측벽(310)의 걸림 고리(313)는, 용단부 하우징(220)의 이면(222)측의 걸어 맞춤부(224)와 걸어 맞춰지고, 커버 부재(300)의 측벽(320)의 걸림 고리(323)는, 용단부 하우징(220)의 표면(221)측의 걸어 맞춤부(223)와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커버 부재(300)가 하우징(200)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300)는 전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커버 부재(300)는 임의의 색의 임의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커버 부재(300)의 측벽(320)에는 돌출부(340)가 2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340)를 측벽(320)의 중심에 1개만 형성해도 좋다. 또, 커버 부재(300)의 측벽(320)에, 돌출부(340)를 3개 이상 형성해도 좋다.
그럼 다음으로, 퓨즈 엘리먼트(100)를 수용한 하우징(200)에 커버 부재(300)를 부착한 상태의 퓨즈(400)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a)는 커버 부재(300)를 부착하기 전의 퓨즈(400)의 전체 사시도, 도 5(b)는 커버 부재(300)를 부착한 후의 퓨즈(400)의 전체 사시도, 도 5(c)는 커버 부재(300)를 부착한 후의 퓨즈(400)의 배면도이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 엘리먼트(100)를 수용한 하우징(200)의 용단부 하우징(220)의 측방으로부터, 커버 부재(300)의 삽입구(301)를 용단부 하우징(220)에 꽂아 넣는다. 그러면,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단부 하우징(220)의 표면(221)과 이면(222)이, 커버 부재(300)의 측벽(320)과 측벽(310)으로 끼워 넣어져, 용단부 하우징(220)의 노출창(230)은 커버 부재(300)의 측벽(310)과 측벽(320)으로 덮인다. 그리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300)가 부착된 퓨즈(400)에서는, 커버 부재(300)의 돌출부(340)가 퓨즈(40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400)의 배면측에서는, 커버 부재(300)의 투명 또는 반투명한 측벽(310)을 통하여, 노출창(230) 내의 용단부(130)를 눈으로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용단부(130)가 용단되었는지 아닌지는, 커버 부재(300)를 통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럼 다음으로, 퓨즈(400)의 사용 양태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6(a)는 배터리(BT)에 부착된 베이스 부재(500)에 퓨즈(400)를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b)는 상기 모습의 평면도, 도 7(a)는 퓨즈(400)를 베이스 부재(500)에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b)는 상기 상태의 측면도, 도 7(c)는 상기 상태의 평면도이다.
우선,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탑재의 배터리(BT)의 일부에 설치된 금속제의 배터리 포스트(BP)에, 베이스 부재(500)가 부착되어 있다. 이 베이스 부재(500)는, 금속제의 연결 포스트(510)를 구비하여, 퓨즈(400)가 부착되도록, 퓨즈(400)에 대응한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베이스 부재(500)는,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고, 배터리 포스트(BP)로부터의 전력을 연결 포스트(510)에 공급하고 있다. 이 베이스 부재(500)의 본체부(520)에는, 배터리 포스트(BP)를 삽입 통과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구멍(501)과, 접속 구멍(501)에 접속된 배터리 포스트(BP)와 연결 포스트(5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회로(521)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이 베이스 부재(500)는 퓨즈(400)를 배터리 포스트(BP)에 직접 부착할 수 없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 예를 들면, 퓨즈(400)의 형상과 배터리 포스트(BP) 주변의 형상이 크게 달라, 퓨즈(400)를 배터리 포스트(BP)에 직접 접속하면, 퓨즈(400)의 위치나 자세를 고정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 등은, 베이스 부재(500)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베이스 부재(500)의 연결 포스트(510)에 퓨즈(400)를 부착할 때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400)의 입력 단자(110)의 연결 구멍(112)에, 베이스 부재(500)의 연결 포스트(510)를 삽입 통과시키도록, 퓨즈(400)를 베이스 부재(500)의 상방으로부터 부착한다. 이 베이스 부재(500)는, 평탄한 상면부(523)와, 상기 상면부(52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522)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퓨즈(400)의 입력 단자(110)를 베이스 부재(500)의 상면부(523) 위에 재치함과 더불어, 퓨즈(400)의 커버 부재(300) 주변을 베이스 부재(500)의 측면부(522)에 대도록 부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400)의 연결 구멍(112)을 관통한 베이스 부재(500)의 연결 포스트(510)에, 상방으로부터 볼트 등의 고정 부재(530)를 나사 결합시켜, 퓨즈(400)의 연결 구멍(112)이 연결 포스트(510)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한다. 그러면, 퓨즈(400)는 베이스 부재(50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또,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400)의 접속 단자(Y1)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외부 전선(X1)의 접속 단자(X2)를 접속 단자(Y1)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BT)의 배터리 포스트(BP)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베이스 부재(500)에 내장된 회로(521)로부터 연결 포스트(510)에 전달되고, 연결 포스트(510)에 고정된 퓨즈(400)의 퓨즈 엘리먼트(100)의 입력 단자(110)로부터 외부 출력 단자(120)로 전달된다. 또한, 전력은 퓨즈(400)의 외부 출력 단자(120)로부터 접속 단자(Y1)를 통하여 전선(X1)에 전달되고, 전선(X1)에 접속된 각종 전장품에 공급되는 것이다. 만일, 전기 회로 중에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가 흘렀을 경우는, 퓨즈(400)의 용단부(130)가 과전류에 의한 발열에 의해 용단되어, 각종 전장품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보호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400)를 베이스 부재(500)에 부착할 때, 퓨즈(40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340)가, 베이스 부재(500)의 본체부(520)의 측면부(522)에 당접하고 있다. 즉, 퓨즈(400)의 돌출부(340)는, 베이스 부재(500)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어, 퓨즈(400)의 베이스 부재(500)로의 부착 시에, 베이스 부재(500)의 일부에 당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퓨즈(400)를 베이스 부재(500)에 부착할 때에, 돌출부(340)에 의하여 퓨즈(400)의 위치나 자세가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퓨즈(400)의 부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530)를 나사 결합시켜 퓨즈(400)를 베이스 부재(500)에 부착하는 경우는, 퓨즈(400)의 돌출부(340)가 베이스 부재(500)의 일부에 당접하고 있으므로, 고정 부재(530)의 회전에 수반하여 퓨즈(400)가 연결 포스트(510) 주위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400)는 서로 이간한 2개의 돌출부(34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돌출부(340)가 베이스 부재(500)의 일부에 2개소에서 당접하기 때문에, 퓨즈(400)를 베이스 부재(500)에 부착할 때에, 퓨즈(400)의 위치나 자세가 보다 안정된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530)의 회전에 수반하여 퓨즈(400)가 연결 포스트(51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퓨즈(400)는 서로 이간한 2개의 돌출부(340)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퓨즈(400)는 돌출부(340)를 하나만 구비하거나, 또는, 퓨즈(400)는 3개 이상의 돌출부(340)를 구비해도 좋다.
또, 도 7(b) 및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400)가 베이스 부재(500)에 부착된 상태로, 퓨즈(400)의 돌출부(340)의 선단(341)이 베이스 부재(500)의 측면부(522)에 당접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퓨즈(400)의 돌출부(340)의 선단(341)과 베이스 부재(500)의 사이에 간극이 있어도 좋다. 돌출부(340)와 베이스 부재(500)의 사이에 간극이 있어도, 퓨즈(400)의 베이스 부재(500)로의 부착 시, 퓨즈(400)의 위치나 자세가 어긋났을 때에, 돌출부(340)가 베이스 부재(500)의 일부에 당접 가능하면, 퓨즈(400)의 위치나 자세가 그 이상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퓨즈(400)의 부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퓨즈(400)의 돌출부(340)가 베이스 부재(500)의 측면부(522)에 당접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340)가 당접 가능하면, 측면부(522) 이외에도, 돌출부(340)는 베이스 부재(500)의 임의의 개소에 당접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또, 본원 발명의 퓨즈(400)의 돌출부(340)는, 베이스 부재(500) 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베이스 부재(500)의 일부에 당접 가능한 높이(H1)를 구비한다. 이 돌출부(340)의 높이(H1)는, 베이스 부재(500)의 일부에 당접 가능, 즉, 퓨즈(400)가 베이스 부재(500)에 부착된 상태로, 돌출부(340)가 베이스 부재(500)에 당접하고 있거나, 또는, 돌출부(340)와 베이스 부재(500) 사이에 간극이 있어도, 퓨즈(400)의 위치나 자세가 어긋났을 때에, 돌출부(340)가 베이스 부재(500)의 일부에 당접하면, 임의의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상태보다, 베이스 부재(500)의 측면부(522)가 퓨즈(400) 측으로 더 연장되어 있으면, 돌출부(340)의 높이(H1)를 낮게 해도 좋고, 베이스 부재(500)의 측면부(522)가 퓨즈(400)측으로부터 더욱 떨어져 있으면, 돌출부(340)의 높이(H1)를 높게 해도 좋다.
또, 본원 발명의 퓨즈(400)의 돌출부(340)는 커버 부재(30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돌출부(340)의 형상 변경에 의한 제조 코스트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퓨즈에 있어서도, 커버 부재(300)는 내측에 배치되는 용단부(130)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 수지로, 하우징(200)과는 별체로서 제조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에서는, 커버 부재(300)에 돌출부(340)를 설치함으로써, 돌출부(340)의 형상을 변경하는 경우는, 커버 부재(300)의 형상만을 변경하면 되어, 하우징(200) 전체의 설계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한 것이다. 그 결과, 본원 발명에서는, 돌출부(340)의 형상 변경에 의한 퓨즈(400) 전체의 제조·설계 코스트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퓨즈(400)는 외부 출력 단자(120) 및 용단부(130)가, 입력 단자(110)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대략 역 L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퓨즈(400)를 베이스 부재(500) 또는 배터리(BT)에 부착했을 때에, 퓨즈(400)가 측방으로 튀어 나오지 않고 잘 들어간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퓨즈(400)를 베이스 부재(500)를 통하여 배터리(BT)의 배터리 포스트(BP)에 간접적으로 접속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퓨즈(400)의 형상과 배터리 포스트(BP) 주변의 형상이 대응하고 있으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500)를 통하지 않고, 퓨즈(400)를 배터리 포스트(BP)에 직접 접속해도 좋다. 또한, 도 8(a)는 배터리(BT)의 배터리 포스트(BP)에 퓨즈(400)를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상기 모습의 평면도, 도 8(c)는 퓨즈(400)를 배터리 포스트(BP)에 부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400)의 입력 단자(110)의 연결 구멍(112)에, 배터리(BT)의 배터리 포스트(BP)를 삽입 통과시키도록, 퓨즈(400)를 배터리 포스트(BP) 주변의 부착면(BM)에 부착한다. 이 부착면(BM)은 배터리(BT)의 코너 부근의 측면부(BS)를 노치한 것처럼 형성된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부착면(BM)으로부터는 배터리 포스트(BP)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퓨즈(400)의 입력 단자(110)를 부착면(BM) 위에 재치함과 더불어, 퓨즈(400)의 커버 부재(300) 주변을 배터리(BT)의 측면부(BS)에 대도록 부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400)의 연결 구멍(112)을 관통한 배터리 포스트(BP)에, 상방으로부터 볼트 등의 고정 부재(BB)를 나사 결합시켜, 퓨즈(400)의 연결 구멍(112)이 배터리 포스트(BP)로부터 빠지지 않게 고정한다. 그러면, 퓨즈(400)는 배터리 포스트(BP)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400)를 배터리 포스트(BP)에 부착할 때, 퓨즈(400)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340)가, 배터리(BT)의 측면부(BS)에 당접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돌출부(340)에 의하여 퓨즈(400)의 위치나 자세가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퓨즈(400)의 배터리 포스트(BP)로의 부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고정 부재(BB)를 나사 결합시켜 퓨즈(400)를 배터리 포스트(BP)에 부착하는 경우는, 퓨즈(400)의 돌출부(340)가 배터리(BT)의 일부에 당접하고 있으므로, 고정 부재(BB)의 회전에 수반하여 퓨즈(400)가 배터리 포스트(BP) 주위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400)가 배터리 포스트(BP)에 부착된 상태로, 퓨즈(400)의 돌출부(340)가 배터리(BT)의 측면부(BS)에 당접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퓨즈(400)의 돌출부(340)와 배터리(BT)의 사이에 간극이 있어도 좋다. 돌출부(340)와 배터리(BT)의 사이에 간극이 있어도, 퓨즈(400)의 배터리 포스트(BP)로의 부착 시, 퓨즈(400)의 위치나 자세가 어긋났을 때에, 돌출부(340)가 배터리(BT)의 일부에 당접 가능하면, 퓨즈(400)의 위치나 자세가 그 이상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퓨즈(400)의 부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퓨즈(400)의 돌출부(340)가 배터리(BT)의 측면부(BS)에 당접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340)가 당접 가능하면, 측면부(BS) 이외에도, 돌출부(340)는 배터리(BT)의 임의의 개소에 당접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의 퓨즈는,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실시 형태의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예, 조합이 가능하고, 이들의 변형예, 조합도 그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00: 퓨즈 엘리먼트
110: 입력 단자
120: 외부 출력 단자
130: 용단부
200: 하우징
230: 노출창
300: 커버 부재
340: 돌출부
400: 퓨즈
500: 베이스 부재
510: 연결 포스트
BP: 배터리 포스트
BT: 배터리

Claims (4)

  1. 배터리 포스트, 또는 상기 배터리 포스트에 연결된 베이스 부재의 연결 포스트에 고정되는 퓨즈로서,
    상기 배터리 포스트 또는 상기 연결 포스트에 고정되는 입력 단자와, 외부 출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출력 단자의 사이에 설치된 용단부를 가지는 퓨즈 엘리먼트와,
    상기 용단부를 노출시키는 노출창을 가지고, 상기 퓨즈 엘리먼트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노출창을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배터리 포스트를 구비하는 배터리측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터리의 일부,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부에 당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돌출부를 적어도 2개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단자 및 용단부는 상기 입력 단자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와 걸어 맞추는 걸림 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KR1020227021097A 2020-01-27 2020-12-10 퓨즈 KR202201272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10747A JP7198511B2 (ja) 2020-01-27 2020-01-27 ヒューズ
JPJP-P-2020-010747 2020-01-27
PCT/JP2020/045997 WO2021153025A1 (ja) 2020-01-27 2020-12-10 ヒュー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233A true KR20220127233A (ko) 2022-09-19

Family

ID=7707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1097A KR20220127233A (ko) 2020-01-27 2020-12-10 퓨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38404A1 (ko)
JP (1) JP7198511B2 (ko)
KR (1) KR20220127233A (ko)
CN (1) CN114981913A (ko)
DE (1) DE112020006644T5 (ko)
WO (1) WO202115302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9965A (ja) 2004-05-26 2005-12-08 Taiheiyo Seiko Kk ヒューズユニット及びヒュー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5057B2 (ja) * 2006-08-04 2011-11-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5189920B2 (ja) * 2008-07-25 2013-04-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5147606B2 (ja) * 2008-09-01 2013-02-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ブロック
JP5207533B2 (ja) * 2008-09-05 2013-06-12 矢崎総業株式会社 複合型ヒュージブルリンク、ヒューズボ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5505113B2 (ja) * 2010-06-15 2014-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ッテリー端子直付け用ヒューズユニット
JP2013229213A (ja) * 2012-04-26 2013-11-07 Yazaki Corp ヒューズユニット及び可溶体カバー
JP6007012B2 (ja) * 2012-07-23 2016-10-12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5944788B2 (ja) * 2012-08-10 2016-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6175331B2 (ja) * 2013-09-20 2017-08-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取付構造
JP6385250B2 (ja) 2014-11-10 2018-09-05 マツダ株式会社 ヒューズカバー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JP6262159B2 (ja) * 2015-01-14 2018-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6498533B2 (ja) * 2015-06-05 2019-04-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9965A (ja) 2004-05-26 2005-12-08 Taiheiyo Seiko Kk ヒューズユニット及びヒュー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38404A1 (en) 2023-02-09
CN114981913A (zh) 2022-08-30
DE112020006644T5 (de) 2022-12-15
JP2021118098A (ja) 2021-08-10
WO2021153025A1 (ja) 2021-08-05
JP7198511B2 (ja)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2892B2 (en) Fusible link unit accommodated in in-vehicle electrical connection box
JP2005190735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US7292130B2 (en) Fusible link and battery fuse unit containing the fusible link
US9490095B2 (en) Fusible link unit
JP2018010768A (ja) 多連型ヒューズ
JP6004189B2 (ja) 電気接続箱
JP2010061813A (ja) ヒューズブロック
CN108701979B (zh) 电气连接箱
WO2017209204A1 (ja) 基板ユニット
JP2017022809A (ja) 電子部品ユニ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20220127233A (ko) 퓨즈
KR20110076581A (ko) 멀티 퓨즈
JP2004328939A (ja) 電気接続箱
JP2015126639A (ja) 電気回路装置
JP2020068077A (ja) 端子台、三連端子台、及び車載機器
JP2017022184A (ja) 電子部品ユニット用基板、及び、電子部品ユニット
CN111223730B (zh) 盖和壳体之间的安装结构以及可熔断连接单元
JP2018186629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23001717A (ja) 電源ブロック
JP5264373B2 (ja) ヒューズブロック
JP2012252818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
JP6513959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JP7177502B2 (ja) 多連型ヒューズ、及び当該多連型ヒューズの製造方法
WO2024127804A1 (ja) ヒューズ
KR102644817B1 (ko)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