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817B1 -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817B1
KR102644817B1 KR1020237004960A KR20237004960A KR102644817B1 KR 102644817 B1 KR102644817 B1 KR 102644817B1 KR 1020237004960 A KR1020237004960 A KR 1020237004960A KR 20237004960 A KR20237004960 A KR 20237004960A KR 102644817 B1 KR102644817 B1 KR 10264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external
bus bar
termina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스케 기무라
후미유키 가와세
Original Assignee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2197768A external-priority patent/JP7412035B1/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헤요 세코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9/02Manufacture of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65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with base contacts adapted or adaptable to fuses of different lenghts; bases with self-aligning contacts; intermediate adaptation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외부 퓨즈를 부착 가능하더라도, 저배화를 실현한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입력 단자(110)와, 외부 단자(120)와, 입력 단자(110)와 외부 단자(120) 사이에 형성된 회로부(200) 및 용단부(113)를 가지는 버스바(100)와, 버스바(100)를 덮는 하우징(500)을 구비하는 퓨즈(600)로서, 회로부(200)는 용단부(730)와 접속 단자(720)를 구비한 외부 퓨즈(700)를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
본원 발명은, 주로 자동차용 전기 회로 등에 이용되는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퓨즈는 자동차 등에 탑재되어 있는 전기 회로나, 전기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각종 전장품을 보호하기 위해서 이용되어 왔다. 상세하게는, 전기 회로 중에 의도하지 않은 과전류가 흐른 경우에, 용단부(溶斷部)가 과전류에 의한 발열에 의해 용단되어, 각종 전장품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보호하고 있다.
그리고, 이 퓨즈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퓨즈는 입력 단자와, 외부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형성된 용단부를 구비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를 덮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버스바에 연결된 퓨즈 접속 단자와, 상기 퓨즈 접속 단자와 쌍을 이루는 퓨즈측 외부 단자를, 버스바의 상방에 구비하고 있어, 그 퓨즈 접속 단자와 퓨즈측 외부 단자에 꽂아 넣도록 하여, 외부 퓨즈를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차종이나 각종 전장품의 부하가 변경되었을 때는, 정격이 다른 외부 퓨즈를 갈아끼움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하고 있었다. 다만, 외부 퓨즈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퓨즈측 외부 단자 등)가 버스바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퓨즈의 배치 개소를 설계 변경하는 경우에는, 버스바측의 구조와 외부 퓨즈를 부착하기 위한 구조의 양쪽 모두를 설계 변경해야 하므로, 큰 일이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010768호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외부 퓨즈의 배치 개소를, 용이하고 유연하게 설계 변경 가능한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퓨즈는, 입력 단자와, 외부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형성된 회로부 및 용단부를 가지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퓨즈로서, 상기 회로부는, 용단부와 접속 단자를 구비한 외부 퓨즈가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외부 퓨즈를 회로부에 직접 부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회로부의 구성을 설계 변경함으로써, 외부 퓨즈의 배치 개소를 용이하고 유연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부를 평탄한 판 형상의 구성으로 하면, 외부 퓨즈는 외부 단자와 상하로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부를, 절곡부(折曲部)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면, 회로부의 높이가 낮아져, 외부 퓨즈의 배치 개소도 낮아지기 때문에, 저배화(低背化)에 기여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부를, 대략 U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마주하는 본체부와 측벽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회로부의 높이가 보다 낮아져, 외부 퓨즈의 배치 개소도 더욱 낮아지기 때문에, 저배화에 기여한다.
본원 발명의 퓨즈는, 상기 회로부의 일부에는, 상기 외부 퓨즈를 부착 가능한 부착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외부 퓨즈의 위치 자세가 보다 안정된 상태로, 외부 퓨즈는 회로부에 접속된다.
본원 발명의 퓨즈는, 상기 회로부가, 마주하는 본체부와 측벽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회로부가, 마주하는 본체부와 측벽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회로부의 높이가 보다 낮아져, 외부 퓨즈의 배치 개소도 더욱 낮아지기 때문에, 퓨즈의 저배화에 기여한다.
본원 발명의 퓨즈는 상기 회로부의 상단측이 접어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본체부와 상기 측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본체부와 측벽부는, 회로부의 상단부측을 접어 구부려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퓨즈와 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별체의 접속 구조(예를 들면, 종래 기술의 퓨즈측 외부 단자 등)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부품 점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억제하여,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퓨즈는, 상기 측벽부는, 상기 부착용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판 형상의 수형(male)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접속 단자는 상기 외부 퓨즈의 암형(female) 접속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외부 퓨즈와 퓨즈의 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분의 구조가 간소하게 되어, 제조 비용을 억제함과 동시에,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퓨즈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외부 퓨즈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외부 퓨즈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퓨즈의 제조 방법은, 입력 단자와, 외부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형성된 회로부 및 용단부를 구비하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퓨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회로부의 상단측을 접어 구부려, 마주하는 본체부와 측벽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측벽부를 연결하는 상벽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로부의 일부를 노치하여, 개구시킨 부착용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부착용 개구는 용단부와 접속 단자를 구비한 외부 퓨즈가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외부 퓨즈를 회로부에 직접 부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회로부의 구성을 설계 변경함으로써, 외부 퓨즈의 배치 개소를 용이하고 유연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한, 외부 퓨즈를 꽂아 넣어 부착하는 부착용 개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회로부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외부 퓨즈를 부착한 상태라도, 퓨즈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원 발명의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외부 퓨즈의 배치 개소를, 용이하고 유연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퓨즈의 버스바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a)는 버스바의 정면도, 도 2(b)는 버스바의 배면도이다.
도 3(a)는 버스바의 평면도, 도 3(b)는 버스바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퓨즈의 하우징의 하우징 분할편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5(a)는 하우징 분할편의 정면측의 전체 사시도, 도 5(b)는 하우징 분할편의 이면측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6(a)는 하우징 분할편의 이면도, 도 6(b)는 하우징 분할편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외부 퓨즈의 전체 사시도, 도 7(b)는 A-A 단면도이다.
도 8은 퓨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조립된 퓨즈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0(a)는 퓨즈의 정면도, 도 10(b)는 퓨즈의 평면도이다.
도 11(a)는 도 10(b)의 B-B 단면도, 도 11(b)는 도 10(b)의 C-C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버스바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버스바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버스바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원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퓨즈의 각 부재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 내지 도 3은,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퓨즈(600)의 버스바(10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은 버스바(100)의 전체 사시도, 도 2(a)는 버스바(100)의 정면도, 도 2(b)는 버스바(100)의 배면도, 도 3(a)는 버스바(100)의 평면도, 도 3(b)는 버스바(100)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스바(100)는 구리나 그 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균일한 평탄한 판 형상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기 등으로 구멍을 뚫어, 배터리 등과 통전 가능한 입력 단자(110)와, 복수의 외부 단자(120)와, 회로부(2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입력 단자(110)는 회로부(200)에 연결되고, 외부 단자(120)는 용단부(113)를 통하여, 회로부(20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 단자(110)에 접속된 배터리 등의 전원측으로부터 과전류가 흐른 경우에는, 용단부(113)가 용단됨으로써, 외부 단자(120)에 연결된 각종 전장품 등의 부하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회로부(200)는, 버스바(100)의 제조 시에, 두께가 균일한 평탄한 판 형상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기 등으로 구멍을 뚫은 후에, 굴곡 성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평탄한 판 형상의 회로부(200)의 상단부측을, 대략 U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본체부(210)와, 측벽부(220)와, 본체부(210)와 측벽부(220)를 연결하는 상벽부(230)를 형성하고 있다. 마주하는 본체부(210)와 측벽부(220)는 서로 이간함과 동시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10)에는, 입력 단자(110)가 접속됨과 동시에, 용단부(113)를 통하여 외부 단자(12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측벽부(220)에는 고정 구멍(201)이 형성되고, 본체부(210)에는 고정 구멍(20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하우징의 고정축이 관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로부(200)의 상단측의 일부를 노치하여, 상방으로 개구한 부착용 개구(240)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착용 개구(240)는 회로부(200) 상벽부(230)를 노치하여 개구시킨 상부 개구(241)와, 측벽부(220)를 노치하여 개구시킨 측부 개구(242)를 구비하고, 상부 개구(241)와 측부 개구(242)는 연속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용 개구(240)는 후술하는 외부 퓨즈(700)를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용 개구(240)의 측부 개구(242)의 하측에 연속하는 부분은 판 형상의 측벽부(220)가 노치되지 않고 남은 부분이며, 이 부분은 외부 퓨즈(700)와 접속되는 판 형상의 수형 접속 단자(250)가 된다.
또한, 회로부(200)는 평탄한 상벽부(230)를 구비하도록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주하는 본체부(210)와 측벽부(220)를 구비하고 있다면, 대략 V자 형상 등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 또, 마주하는 본체부(210)와 측벽부(22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210)와 측벽부(220)는 서로 이간하고 있다면, 임의의 자세로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회로부(200)는 한 장의 평탄한 판 형상 부재를 굴곡 성형함으로써, 본체부(210)와 측벽부(220)와 상벽부(230)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210)와 측벽부(220)와 상벽부(230)의 각각을 개별적으로 형성해 두고, 본체부(210)와 측벽부(220)와 상벽부(230)를 서로 연결 고정함으로써, 대략 U자 형상의 회로부(200)를 구성해도 좋다.
그럼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퓨즈(600)의 하우징(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우징(500)은 한 쌍의 하우징 분할편(300)과 하우징 분할편(40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는 하우징 분할편(300)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분할편(300)은 합성 수지제로 대략 장방형 형상을 하고 있고, 버스바(100)의 회로부(200)를 수용하는 상단측 수용부(310)와, 버스바(100)의 용단부(113)를 수용하는 중앙측 수용부(320)와, 버스바(100)의 외부 단자(120)의 상단측(용단부(113)와 연결되어 있는 측)을 수용하는 하단측 수용부(330)를 구비한다. 또한, 상단측 수용부(310) 상벽(311)에는 후술하는 외부 퓨즈(700)를 꽂아 넣을 수 있는 개구(3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단측 수용부(310)에는 고정 구멍(313)이 형성되고, 하단측 수용부(330)에는 고정 구멍(3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분할편(300) 내에 수용된 버스바(100)의 용단부(113)를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중앙측 수용부(320)에는 투명한 수지로 만든 시인창(301)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하우징 분할편(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a)는 하우징 분할편(400)의 정면측의 전체 사시도, 도 5(b)는 하우징 분할편(400)의 이면측의 전체 사시도, 도 6(a)는 하우징 분할편(400)의 이면도, 도 6(b)은 하우징 분할편(400)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분할편(400)은 합성 수지제로 대략 장방형 형상을 하고 있고, 하우징 분할편(300)에 수용된 버스바(100)를 사이에 끼우고 덮을 수 있도록, 하우징 분할편(300)과 대응한 형상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스바(100)의 회로부(200)를 수용하는 상단측 수용부(410)와, 버스바(100)의 용단부(113)를 수용하는 중앙측 수용부(420)와, 버스바(100)의 외부 단자(120)의 상단측(용단부(113)와 연결되어 있는 측)을 수용하는 하단측 수용부(430)를 구비한다. 또한, 상단측 수용부(410)의 정면측에는, 상단측 수용부(410)로부터 연속하도록 정면측에 오목한 수용부(4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450)는 후술하는 외부 퓨즈(7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수용부(450)의 사이에는 벽부(4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450)에는 수용된 외부 퓨즈(700)가 부주의하게 빠지지 않도록, 외부 퓨즈(700)에 계지(係止)하여 고정하는 손톱 형상의 고정부(4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단측 수용부(410)에는 하우징 분할편(300)의 고정 구멍(313)에 연결되는 고정축(413)이 설치되고. 하단측 수용부(430)에는 하우징 분할편(300)의 고정 구멍(333)에 연결되는 고정축(433)이 설치되어 있다.
그럼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퓨즈(600)에 부착할 수 있는 외부 퓨즈(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a)는 외부 퓨즈(700)의 전체 사시도, 도 7(b)은 A-A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퓨즈(700)는 합성 수지제로 대략 장방형 형상의 하우징(710)과, 하우징(710)의 내부에 수용된 한 쌍의 접속 단자(720)와, 접속 단자(720)의 사이에 형성된 용단부(730)를 구비한다. 하우징(710)에는 접속 단자(720)를 노출시킨 삽입홈(7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형 단자 형상의 접속 단자(암형 접속 단자)(7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퓨즈(600)의 수형 접속 단자(250)가 삽입홈(740)에 꽂아 넣어졌었을 때에, 수형 접속 단자(250)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퓨즈(600)의 수형 접속 단자(250)와 접속 단자(720)와 용단부(730)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그럼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퓨즈(600)를 조립하는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은 퓨즈(600)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조립된 퓨즈(600)의 전체 사시도, 도 10(a)는 퓨즈(600)의 정면도, 도 10(b)는 퓨즈(600)의 평면도, 도 11(a)는 도 10(b)의 B-B 단면도, 도 11(b)은 도 10(b)의 C-C 단면도이다.
우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스바(100)를, 앞뒤로부터 한 쌍의 하우징 분할편(300) 및 하우징 분할편(400)에 의해 사이에 끼우도록 수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버스바(100)의 회로부(200)를 하우징 분할편(300)의 상단측 수용부(310)에 수용하고, 버스바(100)의 용단부(113)를 하우징 분할편(300)의 중앙측 수용부(320)에 수용하고, 버스바(100)의 외부 단자(120)의 고정 구멍(123)측을 하우징 분할편(300)의 하단측 수용부(330)에 수용한다. 그리고, 버스바(100)의 정면측을 덮도록 하여 하우징 분할편(400)을 부착한다. 그 때, 버스바(100)의 회로부(200)를 하우징 분할편(400)의 상단측 수용부(410)에 수용하고, 버스바(100)의 용단부(113)를 하우징 분할편(400)의 중앙측 수용부(420)에 수용하고, 버스바(100)의 외부 단자(120)의 고정 구멍(123)측을 하우징 분할편(400)의 하단측 수용부(430)에 수용한다. 하우징 분할편(400)의 고정축(413)은 버스바(100)의 고정 구멍(201)과 고정 구멍(202)을 관통하여, 하우징 분할편(300)의 고정 구멍(313)에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 분할편(400)의 고정축(433)은 버스바(100)의 외부 단자(120)의 고정 구멍(123)을 관통하여, 하우징 분할편(300)의 고정 구멍(333)에 연결된다. 따라서, 하우징 분할편(300)과 하우징 분할편(400)은 서로 강고하게 연결 고정된다. 이와 같이, 버스바(100)는 하우징 분할편(300)과 하우징 분할편(400)을 구비한 하우징(500)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버스바(100)가 하우징 분할편(300)과 하우징 분할편(400)으로 수용될 때에, 외부 퓨즈(700)를 버스바(100)에 조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퓨즈(700)가 버스바(100)의 부착용 개구(240)에 꽂아 넣어지고, 또한 부착용 개구(24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형 접속 단자(250)가 외부 퓨즈(700)의 삽입홈(740)에 삽입될 때까지, 외부 퓨즈(700)를 밀어 넣는다. 그 후, 하우징 분할편(300)의 개구(312)와 하우징 분할편(400)의 수용부(450)에서, 외부 퓨즈(700)의 앞뒤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외부 퓨즈(700)를 하우징(500) 내에 수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퓨즈(600)의 하우징(500)에는 외부 퓨즈(700)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45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퓨즈(700)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러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퓨즈(600)가 조립되어 완성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퓨즈(600)에서는, 외부 퓨즈(700)를 임의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뿐, 퓨즈(600) 자체는 외부 퓨즈(700)를 필수 구성 요건으로 하지 않는다. 또, 도 9 및 도 10에서는, 외부 퓨즈(700)를 퓨즈(600)에 조립한 상태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앞쪽의 수용부(450)에는 외부 퓨즈(700)를 부착하지 않았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단자(110)의 선단측은 하우징(50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외부 단자(120)의 선단측도 하우징(50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부 단자(120)에는 각종 전장품 등에 접속된 접속 단자가 연결되게 된다. 통상시는,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단자(110)에 접속된 배터리 등의 전원측에서의 전류가 입력 단자(110)로부터 회로부(200)의 본체부(210)로 흐르고, 또한, 용단부(113)를 통하여 외부 단자(120) 및 각종 전장품으로 흘러 간다. 또한, 입력 단자(110)에 접속된 배터리 등의 전원측으로부터 과전류가 흐른 경우는, 용단부(113)가 용단됨으로써, 외부 단자(120)에 연결된 각종 전장품 등의 부하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퓨즈(600)의 수용부(450) 내에는, 회로부(200)의 일부(측벽부(220)측)가 배치되어 있고, 회로부(200)의 부착용 개구(240)가 수용부(450)의 상방의 개구로 향하고 있다. 또한, 수용부(45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 접속 장치(900)의 수형 외부 단자(910)를 꽂아 넣을 수 있도록, 개구부(45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450) 내에 외부 퓨즈(700)가 수용된 상태에서는, 회로부(200)의 부착용 개구(240)에 외부 퓨즈(700)가 삽입되고, 회로부(200)의 수형 접속 단자(250)가 외부 퓨즈(700)의 삽입홈(740) 내의 접속 단자(720)에 꽂아 넣어져 접속된다. 또한, 퓨즈(600)는 퓨즈 박스 등의 외부 접속 장치(900)에 부착되어 이용되지만, 외부 접속 장치(900)의 수형 외부 단자(910)가 개구부(454)로부터 외부 퓨즈(700)의 삽입홈(740)에 꽂아 넣어져, 접속 단자(720)와 접속된다. 또한, 외부 접속 장치(900)의 수형 외부 단자(910)는 각종 전장품에 접속되어 있다.
통상시는,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력 단자(110)에 접속된 배터리 등의 전원측에서의 전류가 입력 단자(110)로부터 회로부(200)의 수형 접속 단자(250)로 흐르고, 또한, 수형 접속 단자(250)와 접속된 외부 퓨즈(700)의 한쪽의 접속 단자(720)로부터 용단부(730)를 통하여, 다른 한쪽의 접속 단자(720)로 흐른다. 그리고, 전류는 다른 한쪽의 접속 단자(720)와 접속된 수형 외부 단자(910)로부터, 수형 외부 단자(910)에 접속된 각종 전장품으로 흘러 간다. 또한, 입력 단자(110)에 접속된 배터리 등의 전원측으로부터 과전류가 흐른 경우는, 외부 퓨즈(700)의 용단부(730)가 용단됨으로써, 수형 외부 단자(910)에 연결된 각종 전장품 등의 부하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수형 외부 단자(910)에 연결된 각종 전장품 등의 부하의 크기가 변경된 경우에는, 정격이 다른 용단부(730)를 구비한 다른 외부 퓨즈(700)로 바꾸면 되므로, 버스바(100)의 용단부(113)를 변경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버스바(100)의 금형의 변경 등이 필요없어,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퓨즈(600)에 의하면, 회로부(200)가, 마주하는 본체부(210)와 측벽부(220)를 구비하고, 또한, 외부 퓨즈(700)를 꽂아 넣어 부착하는 부착용 개구(24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회로부(200)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 퓨즈(700)를 부착한 상태라도, 퓨즈(600)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퓨즈(700)를 부착용 개구(240)에 꽂아 넣어 부착하고 있으므로, 외부 퓨즈(700)의 용단부(730)나 접속 단자(720) 등의 전기 회로 부분은, 퓨즈(600)의 회로부(20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대략 평행하게, 또는, 거의 같은 높이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 퓨즈(700)가 퓨즈(600)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외부 퓨즈(700)가 퓨즈(600)로부터 상방으로 튀어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외부 퓨즈(700)를 포함한 퓨즈(600) 전체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퓨즈(600)의 본체부(210)와 측벽부(220)와 상벽부(230)는, 회로부(200)의 상단부측을 접어 구부려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퓨즈(700)와 퓨즈(600)의 회로부(2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별체의 접속 구조(예를 들면, 종래 기술의 퓨즈측 외부 단자 등)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부품 점수를 줄이고 제조 비용을 억제하여,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로부(200)의 측벽부(220)는 수형 접속 단자(250)를 구비하고, 수형 접속 단자(250)는 외부 퓨즈(700)의 접속 단자(720)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외부 퓨즈(700)와 퓨즈(600)의 회로부(2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분의 구조가 간소하게 되어, 제조 비용을 억제함과 동시에,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로부(200)의 측벽부(220)는 수형 접속 단자(250)를 구비하고, 수형 접속 단자(250)는 외부 퓨즈(700)의 접속 단자(720)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퓨즈(700)와 퓨즈(600)의 회로부(2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면, 그 외의 임의의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회로부(200)의 측벽부(220)를 더욱 접어 구부려 홈 형상의 암형 단자 구조를 형성하고, 외부 퓨즈(700)에는 대응하는 수형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수형 단자를 회로부(200)의 암형 단자 구조에 꽂아 넣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여도 좋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퓨즈(600A)의 버스바(100A)를 도 12에 도시한다. 도 12는 버스바(100A)의 전체 사시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 2에 따른 퓨즈(600A)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퓨즈(600)와 버스바(100A)의 회로부(200A)의 구성이 다를 뿐,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퓨즈(6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스바(100A)는 구리나 그 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균일한 평탄한 판 형상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기 등으로 구멍을 뚫어, 배터리 등과 통전 가능한 입력 단자(110A)와, 용단부(113A)와, 복수의 외부 단자(120A)와, 회로부(200A)를 구비한다.
또한, 회로부(200A)는, 버스바(100A)의 제조 시에, 두께가 균일한 평탄한 판 형상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기 등으로 구멍을 뚫은 것이다. 이 판 형상의 회로부(200A)의 상단(290A)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상단(290A)은 외부 퓨즈(700)와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판 형상의 수형 접속 단자(250A)가 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부(200A)의 상단(290A)은 외부 퓨즈(700)의 삽입홈(740) 내의 접속 단자(720)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퓨즈(600B)의 버스바(100B)를 도 13에 도시한다. 도 13은 버스바(100B)의 전체 사시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 3에 따른 퓨즈(600B)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퓨즈(600)와 버스바(100B)의 회로부(200B)의 구성이 다를 뿐,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퓨즈(6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스바(100B)는 구리나 그 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균일한 평탄한 판 형상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기 등으로 구멍을 뚫어, 배터리 등과 통전 가능한 입력 단자(110B)와, 용단부(113B)와, 복수의 외부 단자(120B)와, 회로부(200B)를 구비한다.
또, 회로부(200B)는 버스바(100B)의 제조 시에, 두께가 균일한 평탄한 판 형상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기 등으로 구멍을 뚫은 것이다. 이 판 형상의 회로부(200B)의 상단(290B)에는, 상기 상단(290B)의 일부를 노치하여, 상방으로 개구한 부착용 개구(240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용 개구(240B)의 하측에 연속하는 부분은, 판 형상의 상단(290B)이 노치되지 않고 남은 부분이며, 이 부분은, 외부 퓨즈(700)와 접속되는 판 형상의 수형 접속 단자(250B)가 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부(200A)의 상단(290A)의 부착용 개구(240B)에 외부 퓨즈(700)가 삽입되고, 수형 접속 단자(250B)는 외부 퓨즈(700)의 삽입홈(740) 내의 접속 단자(720)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이와 같이, 부착용 개구(240B)를 회로부(200B)에 형성함으로써, 외부 퓨즈(700)의 위치 자세가 보다 안정된 상태로, 외부 퓨즈(700)는 회로부(200B)에 접속된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퓨즈(600C)의 버스바(100C)를 도 14에 도시한다. 도 14는 버스바(100C)의 전체 사시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 4에 따른 퓨즈(600C)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퓨즈(600)와 버스바(100C)의 회로부(200C)의 구성이 다를 뿐,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퓨즈(600)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스바(100C)는, 구리나 그 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균일한 평탄한 판 형상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기 등으로 구멍을 뚫어, 배터리 등과 통전 가능한 입력 단자(110C)와, 용단부(113C)와, 복수의 외부 단자(120C)와, 회로부(200C)를 구비한다.
또한, 회로부(200C)는 버스바(100C)의 제조 시에, 두께가 균일한 평탄한 판 형상 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프레스기 등으로 구멍을 뚫어, 상하 방향으로 단(段)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절곡부(280C)를 성형한 것이다. 이 회로부(200C)의 상단(290C)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판 형상의 상단(290C)은 외부 퓨즈(700)와 접속되는 판 형상의 수형 접속 단자(250C)가 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부(200C)의 상단(290C)은, 외부 퓨즈(700)의 삽입홈(740) 내의 접속 단자(720)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또, 회로부(200C)는 단 형상의 절곡부(280C)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회로부(200C)의 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그 높이가 낮아져, 퓨즈(600C)의 저배화에 기여한다.
이와 같이, 외부 퓨즈(700)를 회로부(200C)에 직접 부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회로부(200C)의 구성을 설계 변경함으로써, 외부 퓨즈(700)의 배치 개소를, 용이하고 유연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부(200A)를 평탄한 판 형상의 구성으로 하면, 외부 퓨즈(700)는 외부 단자(120A)와 상하로 직선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부(200C)를, 절곡부(280C)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면, 회로부(200C)의 높이가 낮아져, 외부 퓨즈(700)의 배치 개소도 낮아지기 때문에, 저배화에 기여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부(200)를, 대략 U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마주하는 본체부(210)와 측벽부(22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회로부(200)의 높이가 보다 낮아져, 외부 퓨즈(700)의 배치 개소도 더욱 낮아지기 때문에, 저배화에 기여한다.
또한, 회로부(200C)의 상단(290C)에, 도 13에 도시하는 부착용 개구(240B)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회로부(200C)는 수형 접속 단자(250C)를 구비하고, 수형 접속 단자(250C)는 외부 퓨즈(700)의 접속 단자(720)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퓨즈(700)와 퓨즈(600C)의 회로부(200C)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면, 그 외의 임의의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회로부(200C)의 상단(290C)을 접어 구부려 홈 형상의 암형 단자 구조를 형성하고, 외부 퓨즈(700)에는 대응하는 수형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수형 단자를 회로부(200C)의 암형 단자 구조에 꽂아 넣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조여도 좋다.
또한, 본원 발명의 퓨즈, 및 퓨즈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 실시형태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예, 조합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예, 조합도 그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00: 버스바
110: 입력 단자
120: 외부 단자
113: 용단부
200: 회로부
210: 본체부
220: 측벽부
230: 상벽부
240: 부착용 개구
500: 하우징
600: 퓨즈
720: 접속 단자
730: 용단부
700: 외부 퓨즈

Claims (7)

  1. 입력 단자와, 외부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형성된 회로부 및 용단부를 가지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퓨즈로서,
    상기 회로부는 용단부(溶斷部)와 접속 단자를 구비한 외부 퓨즈가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회로부의 일부에는, 상기 외부 퓨즈의 하우징의 일부를 삽입하여 상기 외부 퓨즈를 부착 가능한 부착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마주하는 본체부와 측벽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의 상단측이 접어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본체부와 상기 측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부착용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판 형상의 수형(male)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수형 접속 단자는 상기 외부 퓨즈의 암형(female) 접속 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외부 퓨즈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6. 입력 단자와, 외부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와 상기 외부 단자 사이에 형성된 회로부 및 용단부를 가지는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퓨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회로부의 상단측을 접어 구부려, 마주하는 본체부와 측벽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측벽부를 연결하는 상벽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로부의 일부를 노치하여, 개구시킨 부착용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부착용 개구는, 용단부와 접속 단자를 구비한 외부 퓨즈의 하우징의 일부를 삽입하도록, 상기 외부 퓨즈가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의 제조 방법.
  7. 삭제
KR1020237004960A 2022-12-12 2023-01-19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 KR102644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97768 2022-12-12
JP2022197768A JP7412035B1 (ja) 2022-12-12 2022-12-12 ヒューズ、及び当該ヒューズの製造方法
PCT/JP2023/001421 WO2024127680A1 (ja) 2022-12-12 2023-01-19 ヒューズ、及び当該ヒューズ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817B1 true KR102644817B1 (ko) 2024-03-06

Family

ID=9024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960A KR102644817B1 (ko) 2022-12-12 2023-01-19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8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932A (ko) * 2015-06-17 2016-1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퓨즈
KR20170002450U (ko) * 2015-12-29 2017-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퓨즈
JP2017135799A (ja) * 2016-01-26 2017-08-0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ユニット、及び電気接続箱
JP2018010768A (ja) 2016-07-13 2018-01-18 太平洋精工株式会社 多連型ヒュー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932A (ko) * 2015-06-17 2016-12-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퓨즈
KR20170002450U (ko) * 2015-12-29 2017-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멀티퓨즈
JP2017135799A (ja) * 2016-01-26 2017-08-0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ユニット、及び電気接続箱
JP2018010768A (ja) 2016-07-13 2018-01-18 太平洋精工株式会社 多連型ヒューズ
US20180019085A1 (en) * 2016-07-13 2018-01-18 Pacific Engineering Corporation Multiple fus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2892B2 (en) Fusible link unit accommodated in in-vehicle electrical connection box
CA2428612C (en) Blade fuse
US7612647B2 (en) Fusible link
EP1130616B1 (en) Fuse and fuse support
US20080061920A1 (en) Fuse cavity structure and electric connection box
US9716325B1 (en) Electronic component unit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EP2715765B1 (en) Fusible link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ical junction box
WO2012144569A1 (ja) ヒューズ
US8471670B2 (en) Fusible link unit
US9490095B2 (en) Fusible link unit
JP6510482B2 (ja) 導体ユニットの固定構造
KR102644817B1 (ko) 퓨즈, 및 상기 퓨즈의 제조 방법
JP2022108113A (ja) ヒューズユニット
KR20110076581A (ko) 멀티 퓨즈
JP7412035B1 (ja) ヒューズ、及び当該ヒューズの製造方法
JP3760799B2 (ja) ヒューズボックス
WO2024127804A1 (ja) ヒューズ
KR20110107169A (ko) 멀티퓨즈
US6734780B2 (en) Fuse assembly
JP7572247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CN111223730A (zh) 盖和壳体之间的安装结构以及可熔断连接单元
JP7041185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JP7426088B2 (ja) ヒューズ
JP3994908B2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KR20220127233A (ko) 퓨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