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909B1 -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1909B1
KR101921909B1 KR1020180060455A KR20180060455A KR101921909B1 KR 101921909 B1 KR101921909 B1 KR 101921909B1 KR 1020180060455 A KR1020180060455 A KR 1020180060455A KR 20180060455 A KR20180060455 A KR 20180060455A KR 101921909 B1 KR101921909 B1 KR 101921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stator core
conveyor
moving
dimensional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빈
Original Assignee
임형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빈 filed Critical 임형빈
Priority to KR1020180060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9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of objects while mov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3차원 측정장치의 전방 일측으로 운송시키고 상기 3차원 측정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배출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상기 운송되는 스테이터 코어 도는 로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 룸;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정방향을 맞춰주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로부터 옮겨진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상기 3차원 측정장치로 출입시키는 인스펙터;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작동을 통해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로봇;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에 정품을 확인하기 위한 마킹을 형성하는 마커;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작동을 통해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척 암;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제조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면서 냉각, 3차원 측정, 선별, 마킹 등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Three-dimensional measurement system for motor stator cores}
본 발명은 전동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 또는 로터의 제조 후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냉각, 3차원 측정, 선별, 마킹을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동 모터를 구성하는 스테이터 코어(Stator core: 고정자 철심)는 얇은 강판을 여러 장 겹쳐 고정하고 그 안쪽에는 코일을 끼우는 홈이 다수 개 마련되어 스테이터 코일을 지지하며, 로터 자극에서 나오는 자력선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3343호(2013.04.30. 공개)에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는 매우 정밀한 규격에 따라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 후 반드시 간격, 높이, 두께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고, 그 과정에서 정품만을 선별하여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3차원 측정과정을 살펴보면 제조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냉각시키는 과정, 냉각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3차원 측정 시스템으로 운반하는 과정, 측정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로부터 정품과 불량품을 분별하는 과정 등이 각각 별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이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조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면서 냉각, 3차원 측정, 선별, 마킹 등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3차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3차원 측정장치의 전방 일측으로 운송시키기 위한 공급구간과 상기 3차원 측정장치의 전방 타측으로부터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3차원 측정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정품과 불량품으로 분리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2 배출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공급구간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송되는 스테이터 코어 도는 로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 룸; 상기 3차원 측정장치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공급구간으로부터 옮겨진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샤프트 패드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정방향을 맞춰주는 로테이터; 상기 3차원 측정장치의 전방에 설치되고, 로테이터로부터 옮겨진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무빙 패드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일정거리 전후진을 통해 상기 3차원 측정장치로 출입시키는 인스펙터; 상기 컨베이어의 공급구간, 로테이터, 인스펙터 및 컨베이어의 제1,2 배출구간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작동을 통해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로봇; 상기 컨베이어의 제1 배출구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에 정품을 확인하기 위한 마킹을 형성하는 마커; 및 상기 컨베이어의 제1,2 배출구간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작동을 통해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척 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의 공급구간은 직각으로 절곡된 1지점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이송되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이송 방향을 직각으로 전환하기 위한 다이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이버터는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하단을 받친 상태에서 구동을 통해 일측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칼라-풀리 어셈블러; 및 상기 칼라-풀리 어셈블러를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제1 리프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쿨링 룸은 블로어를 이용한 자연풍의 공급을 통해 자연 냉각시키는 제1 섹션; 및 에어 컨디셔너를 이용한 냉각풍의 공급을 통해 강제 냉각시키는 제2 섹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봇은 상기 컨베이어의 공급구간, 로테이터, 인스펙터 및 컨베이어의 제1,2 배출구간 상에 설치되는 무빙 샤프트; 상기 무빙 샤프트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무빙 플레이트; 상기 무빙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업/다운 플레이트; 및 상기 업/다운 플레이트 하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한편, 외경의 확대 또는 축소를 통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잡거나 풀어주는 제1 익스텐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커는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승강하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전방을 가로막는 블록; 및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양측을 잡아주는 푸셔;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척 암은 상기 컨베이어의 제1,2 배출구간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암; 상기 제1 암의 하단을 축으로 좌우 회전하는 제2 암; 상기 제2 암의 단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한편, 외경의 확대 또는 축소를 통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잡거나 풀어주는 제2 익스텐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에 의하면 제조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면서 냉각, 3차원 측정, 선별, 마킹 등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신뢰성이 더욱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테이터 코어를 도시한 예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의 컨베이어 및 다이버터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의 로테이터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의 인스펙터를 도시한 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의 로봇을 도시한 구성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의 마커를 도시한 구성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의 척 암을 도시한 구성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3차원 측정장치의 전방 일측으로 운송시키고 상기 3차원 측정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배출시키기 위한 컨베이어(100); 상기 운송되는 스테이터 코어 도는 로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 룸(200);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정방향을 맞춰주는 로테이터(300); 상기 로테이터로부터 옮겨진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상기 3차원 측정장치로 출입시키는 인스펙터(400);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작동을 통해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로봇(500);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에 정품을 확인하기 위한 마킹을 형성하는 마커(600);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작동을 통해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척 암(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100)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를 3차원 측정장치(20)의 전방 일측으로 운송시키기 위한 공급구간(110)과 상기 3차원 측정장치(20)의 전방 타측으로부터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3차원 측정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정품과 불량품으로 분리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2 배출구간(120, 130)으로 이루어지다. 따라서 컨베이어(100)는 자체 동력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구동하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를 3차원 측정장치로 공급 및 배출시킨다.
상기 컨베이어(100)의 공급구간(110)은 실시 예로서 후술하는 쿨링 룸(200)의 설치를 위해 길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때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직각으로 절곡된 1지점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이송되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의 이송 방향을 직각으로 전환하기 위한 다이버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100)의 다이버터(140)는 실시 예로서 상기 컨베이어(1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의 하단을 받친 상태에서 구동을 통해 일측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칼라-풀리 어셈블러(141) 및 상기 칼라-풀리 어셈블러(141)를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제1 리프트(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체인이나 풀리로 연결되어 동시에 구동하는 다수개의 롤 샤프트로 구성되는 바, 상기 다이버터(140)는 상기 컨베이어(100)의 각 말단 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리프트(142)에 의해 칼라-풀리 어셈블러(141)가 상기 롤 샤프트 사이로 출입하면서 이송 중인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의 하단을 받쳐 올린 상태에서 일측 직각방향으로 밀어내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다이버터(14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상기 컨베이어(100)의 절곡부에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센서의 감지에 의해 다이버터(140)가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쿨링 룸(200)은 상기 컨베이어(100)의 공급구간(110)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송되는 스테이터 코어 도는 로터를 냉각시킨다. 즉, 상기 쿨링 룸(200)은 제조 직후 뜨거워진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의 온도를 상온 또는 측정을 위한 적정 온도로 낮춰줌으로써 열팽창 등으로 인한 오차 없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쿨링 룸(200)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의 갑작스런 열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기나 바람의 분위기를 이용하여 서서히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한 실시 예로서 블로어를 이용한 자연풍의 공급을 통해 자연 냉각시키는 제1 섹션(210) 및 에어 컨디셔너를 이용한 냉각풍의 공급을 통해 강제 냉각시키는 제2 섹션(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테이터(300)는 상기 3차원 측정장치(20)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공급구간으로부터 옮겨진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샤프트 패드(31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정방향을 맞춰준다. 즉, 상기 로테이터(300)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가 상기 컨베이어(100)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3차원 측정장치(20)로 진입해야할 방향이 틀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300)는 상기 샤프트 패드(310)에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가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고, 회전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정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작동을 멈춘다.
상기 인스펙터(400)는 상기 3차원 측정장치(20)의 전방에 설치되고, 로테이터(300)로부터 옮겨진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를 무빙 패드(41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일정거리 전후진을 통해 상기 3차원 측정장치(20)로 출입시키다. 이때, 상기 인스펙터(400)는 상기 무빙 패드(410)에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가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전진 작동하고, 상기 3차원 측정장치(20)에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의 진입을 감지후 측정이 완료되면 다시 후진작동하는 것이다.
상기 로봇(500)은 상기 컨베이어(100)의 공급구간(110), 로테이터(300), 인스펙터(400) 및 컨베이어(100)의 제1,2 배출구간(120, 130)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를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작동을 통해 단계적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로봇(500)은 상기 컨베이어(100)를 통해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가 공급구간(110) 말단에 도착하면 센서를 통해 이를 감지한 후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들어올려서 상기 로테이터(300)로 이송 후 내려놓고, 상기 로테이터(300)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다시 들어올려서 상기 인스펙트(400)로 이송 후 내려놓으며, 상기 3차원 측정장치(20)에서 측정을 통해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가 정품인지 불량품인지 확인 후 인스펙트(500)의 후진이 완료되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를 다시 들어올린 상태에서 정품인지 불량품인지에 따라 컨베이어(100)의 제1 배출구간(120) 또는 제2 배출구간(130)에 내려놓는 일련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로봇(500)은 실시 예로서 상기 컨베이어(100)의 공급구간(110), 로테이터(300), 인스펙터(400) 및 컨베이어(100)의 제1,2 배출구간(120, 130) 상에 설치되는 무빙 샤프트(510), 상기 무빙 샤프트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무빙 플레이트(520), 상기 무빙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업/다운 플레이트(530) 및 상기 업/다운 플레이트 하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한편, 외경의 확대 또는 축소를 통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잡거나 풀어주는 제1 익스텐드(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익스텐드(5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패드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작동을 통해 외경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경이 축소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익스텐드(540)가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내부로 출입하고, 상기 외경이 확대되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내면과 밀착하기 때문에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은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작동을 통해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로봇(500)를 포함한 익스텐드는 공정의 속도가 빠라지면 다열배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면서 냉각, 3차원 측정, 선별, 마킹 등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로봇 또는 익스텐드를 추가 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마커(600)는 상기 컨베이어의 제1 배출구간(12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에 정품을 확인하기 위한 마킹을 형성한다. 즉, 상기 컨베이어(100)의 제1 배출구간(120)으로 배출되는 정품에 대해서만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는 표시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마커(600)는 실시 예로서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승강하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전방을 가로막는 블록(610) 및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양측을 잡아주는 푸셔(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체인이나 풀리로 연결되어 동시에 구동하는 다수개의 롤 샤프트로 구성되는 바, 상기 블록(610)은 상기 컨베이어(100)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블록(610)이 상기 롤 샤프트 사이로 출입하면서 이송 중인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를 가로막고, 상기 푸셔(620)는 좌우로부터 밀착하여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양측을 압착 고정한다. 이때, 상기 블록(610) 및 푸셔(62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상기 컨베이어(100)의 제1 배출구간(120) 상에는 상기 정품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센서의 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한다.
상기 척 암(700)은 상기 컨베이어(100)의 제1,2 배출구간(120, 130)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를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작동을 통해 설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척 암(700)은 정품으로 마킹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나 불량품으로서 마킹이 없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를 각각 분리하여 정해진 위치에 적재하는 것이다.
상기 척 암(700)은 실시 예로서 상기 컨베이어(100)의 제1,2 배출구간(120, 130)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암(710), 상기 제1 암의 하단을 축으로 좌우 회전하는 제2 암(720), 상기 제2 암의 단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한편, 외경의 확대 또는 축소를 통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잡거나 풀어주는 제2 익스텐드(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익스텐드(7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패드가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작동을 통해 외경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경이 축소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익스텐드(730)가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내부로 출입하고, 상기 외경이 확대되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내면과 밀착하기 때문에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은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된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1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면서 냉각, 3차원 측정, 선별, 마킹 등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신뢰성이 더욱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10: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
20: 3차원 측정장치
100: 컨베이어 110: 공급구간
120: 제1 배출구간 130: 제2 배출구간
140: 다이버터 141: 칼라-풀리 어셈블러
142: 제1 리프트
200: 쿨링 룸 210: 제1 섹션
220: 제2 섹션
300: 로테이터 310: 샤프트 패드
400: 익스펙터 410: 무빙 패드
500: 로봇 510: 무빙 샤프트
520: 무빙 플레이트 530: 업/다운 플레이트
540: 제1 익스텐드
600: 마커 610: 블록
620: 푸셔
700: 척 암 710: 제1 암
720: 제2 암 730: 제2 익스텐드

Claims (7)

  1. 3차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3차원 측정장치의 전방 일측으로 운송시키기 위한 공급구간과 상기 3차원 측정장치의 전방 타측으로부터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3차원 측정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정품과 불량품으로 분리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2 배출구간으로 이루어지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공급구간은 직각으로 절곡된 1지점 이상의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는 이송되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이송 방향을 직각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하단을 받친 상태에서 구동을 통해 일측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칼라-풀리 어셈블러; 및 상기 칼라-풀리 어셈블러를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서 승강시키는 제1 리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이버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베이어의 공급구간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운송되는 스테이터 코어 도는 로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 룸; 상기 3차원 측정장치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고, 컨베이어의 공급구간으로부터 옮겨진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샤프트 패드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회전을 통해 정방향을 맞춰주는 로테이터; 상기 3차원 측정장치의 전방에 설치되고, 로테이터로부터 옮겨진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무빙 패드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일정거리 전후진을 통해 상기 3차원 측정장치로 출입시키는 인스펙터; 상기 컨베이어의 공급구간, 로테이터, 인스펙터 및 컨베이어의 제1,2 배출구간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작동을 통해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로봇; 상기 컨베이어의 제1 배출구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에 정품을 확인하기 위한 마킹을 형성하는 마커; 및 상기 컨베이어의 제1,2 배출구간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작동을 통해 설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척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쿨링 룸은,
    블로어를 이용한 자연풍의 공급을 통해 자연 냉각시키는 제1 섹션; 및
    에어 컨디셔너를 이용한 냉각풍의 공급을 통해 강제 냉각시키는 제2 섹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봇은,
    상기 컨베이어의 공급구간, 로테이터, 인스펙터 및 컨베이어의 제1,2 배출구간 상에 설치되는 무빙 샤프트;
    상기 무빙 샤프트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무빙 플레이트;
    상기 무빙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업/다운 플레이트; 및
    상기 업/다운 플레이트 하단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한편, 외경의 확대 또는 축소를 통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잡거나 풀어주는 제1 익스텐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승강하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전방을 가로막는 블록; 및
    상기 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된 상태로 좌우 이동을 통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양측을 잡아주는 푸셔;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척 암은,
    상기 컨베이어의 제1,2 배출구간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암;
    상기 제1 암의 하단을 축으로 좌우 회전하는 제2 암;
    상기 제2 암의 단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한편, 외경의 확대 또는 축소를 통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를 잡거나 풀어주는 제2 익스텐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KR1020180060455A 2018-05-28 2018-05-28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KR101921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455A KR101921909B1 (ko) 2018-05-28 2018-05-28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455A KR101921909B1 (ko) 2018-05-28 2018-05-28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909B1 true KR101921909B1 (ko) 2018-11-26

Family

ID=6460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455A KR101921909B1 (ko) 2018-05-28 2018-05-28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9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8693A (zh) * 2019-02-28 2019-05-07 横店集团英洛华电气有限公司 定子与转子压装装置
KR102058135B1 (ko) * 2019-08-09 2019-12-20 임형빈 스테이터 코어용 3차원 자동 측정 시스템
KR102618032B1 (ko) * 2023-06-19 2023-12-27 에스엠에이티(주) 로터검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59B1 (ko) * 2013-12-16 2015-03-31 (주)항남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529138B1 (ko) * 2014-04-28 2015-06-29 (주) 엔텍인더스트리 타이어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59B1 (ko) * 2013-12-16 2015-03-31 (주)항남 고효율 모터용 스파이럴 스테이터 코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529138B1 (ko) * 2014-04-28 2015-06-29 (주) 엔텍인더스트리 타이어 공급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8693A (zh) * 2019-02-28 2019-05-07 横店集团英洛华电气有限公司 定子与转子压装装置
CN109728693B (zh) * 2019-02-28 2023-11-10 浙江联宜电机有限公司 定子与转子压装装置
KR102058135B1 (ko) * 2019-08-09 2019-12-20 임형빈 스테이터 코어용 3차원 자동 측정 시스템
CN112344898A (zh) * 2019-08-09 2021-02-09 任形彬 用于定子铁芯的三维自动测量系统
CN112344898B (zh) * 2019-08-09 2022-03-04 任亨彬 用于定子铁芯的三维自动测量系统
KR102618032B1 (ko) * 2023-06-19 2023-12-27 에스엠에이티(주) 로터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909B1 (ko)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CN110998766B (zh) 用于制造变压器芯的方法和机器人系统
JP2000288664A (ja) 押圧成形機のシート搬送装置
KR101429971B1 (ko) 비정질 리본의 연속 권취장치 및 권취방법
JP3668118B2 (ja) 不良品管選別装置
KR101310995B1 (ko)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KR100534065B1 (ko) 키패드 마킹장치
JPH1191930A (ja) ワーク繰出し装置
JP4371617B2 (ja) 抜板搬送装置及び抜板搬送方法
KR101932630B1 (ko) 알루미늄 주조용 철망필터 공급장치
KR100858126B1 (ko)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
KR20200011705A (ko) 선재코일 이송설비
CN205687789U (zh) 一种多模成型玻璃钢化设备
JP2007330986A (ja) 鋼材の位置合わせ方法
JP4122347B2 (ja) 条材搬入設備
JPH11263432A (ja) ワーク供給搬送装置
KR100660196B1 (ko) 주편 미끄러짐 감지장치
JP5548335B2 (ja) 遊技盤の段バラシ装置
JPH11290942A (ja) コイル搬送方法及び装置
ITMO20060020A1 (it) Apparato allineatore
KR101240546B1 (ko) 장방형 구조로 배열된 전자 부품의 이동 방법 및 장치
JP5262782B2 (ja) 枚葉打ち抜き装置
KR100865578B1 (ko)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WO2019187812A1 (ja) タイヤ試験機
KR20040089257A (ko) 엘이디 케이스의 자동 마킹 및 테이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