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995B1 -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 Google Patents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995B1
KR101310995B1 KR1020110063257A KR20110063257A KR101310995B1 KR 101310995 B1 KR101310995 B1 KR 101310995B1 KR 1020110063257 A KR1020110063257 A KR 1020110063257A KR 20110063257 A KR20110063257 A KR 20110063257A KR 101310995 B1 KR101310995 B1 KR 10131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lling
thick plate
thi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190A (ko
Inventor
백인철
이성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3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9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2045/0212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gaseous coo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를 제공한다. 상기 멀티 압연 설비는 양측부에 공냉 영역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이송되는 후판을 압연하는 압연부와; 상기 각 공냉 영역에 노출되도록 상기 압연부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후판을 이송하는 후판 이송부와; 상기 각 후판 이송부의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판 이송부로 이송된 후판을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공냉시키는 보조 냉각부; 및 상기 암연된 후판을 상기 후판 이송부 및 상기 보조 냉각부 각각에 이송 배치고, 일정 시간 공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MULTI ROLLING EQUIPMENT HAVING A SUB COOLING PORTION}
본 발명은 멀티 압연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판 TMCP강은 제어 압연 및 가속냉각 과정을 거쳐 고인성화, 고 장력화 및 용접성을 향상시킨 고급 강재이다.
상기 후판 TMCP강은 제어 압연 시 재결정 영역에서 1차 압연을 실시하고, 재결정 종료온도까지 대기하며, 미 재결정영역에서 2차 압연을 실시하여 제조한다.
극후물의 결우 (60t 이상) 공냉 대기 시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멀티 압연을 적용한다.
멀티 압연시, 압연 대상물인 후판의 증가에 따른 생산성을 확보하고, 후판과 롤러 테이블과의 접촉 시간을 짧게 하여, 설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압연이 진행되는 후판들의 공냉 영역을 롤러 테이블 영역과 롤러 테이블 근방의 영역을 구분하여 공냉시킬 수 있는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러 테이블 상에서 공냉이 진행되는 후판들의 공냉 반복 이동 구간을 증가시켜 개별 롤러 테이블과의 접촉 시간을 줄이고, 이에 따라, 롤러 테이블 자체 및 롤러 테이블 모터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양측부에 공냉 영역이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이송되는 후판을 압연하는 압연부와; 상기 각 공냉 영역에 노출되도록 상기 압연부의 양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후판을 이송하는 후판 이송부와; 상기 각 후판 이송부의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판 이송부로 이송된 후판을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공냉시키는 보조 냉각부; 및 상기 암연된 후판을 상기 후판 이송부 및 상기 보조 냉각부 각각에 이송 배치고, 일정 시간 공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각 후판 이송부는, 상기 압연부의 측부로부터 상기 후판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롤러 테이블과, 상기 각 롤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다수의 회전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 냉각부는, 상기 이송 경로의 근방에 배치되며, 후판이 안착되는 안착대와,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후판을 상기 안착대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와, 상기 이송 경로에 배치되며, 후판이 이송됨을 감지하는 제 1센서와, 상기 안착대에 배치되며, 상기 안착대에 안착되는 후판을 감지하는 제 2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롤러 테이블들 사이로 인입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프레임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작동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한 쌍의 이송 프레임을 길이 방향 및 승강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센서와 상기 제 2센서로부터 후판의 존재 유무에 대한 감지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압연부에서 압연되는 다수의 후판을 상기 롤러 테이블 및 상기 안착대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다수의 회전 모터 및 상기 이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공냉 시간이 더 설정된다.
상기 공냉 시간 범위는 상기 압연기에서 이루어지는 다수의 압연 시기들 사이의 시간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냉 시간 범위 동안 상기 다수의 후판을 상기 롤러 테이블 및 상기 안착대 상에서 대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회전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롤러 테이블 상에 안착되는 후판들 각각을 왕복 이동 범위 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왕복 이동 범위는, 상기 후판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더 길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멀티 압연이 진행되는 후판들의 공냉 영역을 롤러 테이블 영역과 롤러 테이블 근방의 영역을 구분하여 공냉시킬 수 있고, 후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 테이블 상에서 공냉이 진행되는 후판들의 공냉 반복 이동 구간을 증가시켜 개별 롤러 테이블과의 접촉 시간을 줄이고, 이에 따라, 롤러 테이블 자체 및 롤러 테이블 모터의 과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보조 냉각부에서의 이송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에서, 보조 냉각부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를 보여준다.
도 1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멀티 압연 설비는, 압연부(100)와, 상기 압연부(100)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후판 이송부(200,200')와, 각 후판 이송부(200,200')의 근방에 배치되는 보조 냉각부(300,300')와,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압연부(100)는 이송되는 후판 TMCP강(10)을 압연하는 장치이다.
상기 후판 이송부(200,200')는 압연부(1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상기 후판 이송부(200,200')는 제 1후판 이송부(200)와 제 2후판 이송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2후판 이송부(200,200')의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제 1후판 이송부(200)는 가속 냉각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따르는 이송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 2후판 이송부(200')는 가열로 방향을 따르는 이송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 1,2후판 이송부(200,200')는 각 공냉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 1,2후판 이송부(200,200')는 각 이송 경로를 따르는 다수의 롤러 테이블(210)과, 상기 각 롤러 테이블(210)을 제어부(400)로부터 신호를 전송 받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220)를 구비한다.
상기 롤러 테이블(210)에는 후판(10)이 안착된다.
상기 보조 냉각부(300,300')는 제 1보조 냉각부(300)와 제 2보조 냉각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보조 냉각부(300)는 제 1후판 이송부(200)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보조 냉각부(300')는 제 2후판 이송부(200')의 근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1,2보조 냉각부(300,300')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이룬다.
상기 제 1,2보조 냉각부(300,300')는, 롤러 테이블(210)의 근방에 배치되는 안착대(310)와, 상기 롤러 테이블(210) 상에 안착되어 이송되는 후판(10)을 상기 안착대(310)로 이송하여 안착시키거나, 안착대(310)에 안착된 후판(10)을 롤러 테이블(210)로 이송하여 안착시키는 이송 장치(320)를 구비한다.
도 3은 이송 장치의 작동 과정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이송 장치(320)는 제어부(400)로부터 작동 신호를 전송 받아 작동된다.
상기 이송 장치(320)는 이송 프레임(321)과, 제어부(400)로부터 작동신호를 전송 받아 이송 프레임(321)을 길이 방향으로 신축시키고, 승강시키는 작동부(322)를 구비한다.
상기 작동부(322)는 이송 프레임(321)을 길이 방향으로 신축시키는 제 1실린더(322a)와, 상기 제 1실린더(322a)를 승강시키는 제 2실린더(322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 프레임(321)은 롤러 테이블들(210)의 하부에서 롤러 테이블들(210) 사이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송 프레임(321) 상에 후판(10)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이송 프레임(321)은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이송 경로 하부에는 롤러 테이블(210)에서 이송되는 후판(10)을 감지하는 제 1센서(33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안착대(310)의 하부에는 안착대(310)에 안착되는 후판(10)을 감지하는 제 2센서(34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제 1,2센서(330,340)는 후판(10)의 감지 유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 1,2센서(330,340)는 광센서와 거리 감지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 1센서(330)와 상기 제 2센서(340)로부터 후판(10)의 존재 유무에 대한 감지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압연부(100)에서 압연되는 다수의 후판(10)을 상기 롤러 테이블(210) 및 상기 안착대(310)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다수의 회전 모터(220) 및 상기 이송 장치(3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에는, 공냉 시간 범위가 더 설정된다.
상기 공냉 시간 범위는 상기 압연기(100)에서 이루어지는 다수의 압연 시기들 사이의 시간 범위로 설정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공냉 시간 범위 동안 상기 다수의 후판(10)을 상기 롤러 테이블(210) 및 상기 안착대(310) 상에서 대기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다수의 회전 모터(22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롤러 테이블(210) 상에 안착되는 후판들(10) 각각을 왕복 이동 범위(CP) 내에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왕복 이동 범위(CP)는, 상기 후판(10)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더 길게 설정되는 것이 좋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멀티 압연 설비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보조 냉각부를 사용하기 전의 상태로, 4장의 후판을 공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2는 보조 냉각부를 사용하여, 4장의 후판 중 2장은 공냉 영역에서, 나머지 2장은 보조 공냉 영역에서 공냉하는 과정을 보여 준다.
상기 후판들을 ①,②,③,④로 표시한다.
도 2를 참조 하면, 4장의 후판(①,②,③,④)은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압연부(100)를 통하여 1차 압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설명 예로서, 4장의 후판(①,②,③,④)을 설명하고, 그 이상의 후판 적용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4장의 후판(①,②,③,④)은 압연부(100)로부터 후판 이송부(200) 측으로 순차적으로 인출된다. 상기 후판 이송부(200)는 제 1후판 이송부(200)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한다.
여기서, 롤러 테이블(210) 인근, 예컨대 룰러 테이블(210) 하부에 배치되는 제 1센서(330)는 롤러 테이블(210)을 통하여 이송되는 제 1후판(①)과 제 2후판(②)을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상기 제 1센서(330)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되어 다수의 위치에서 후판들(10)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각 안착대(310)에는 다른 후판이 안착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제어부(400)는 이송 장치(320)를 사용하여, 상기 제 1,2후판(①,②)을 각각의 안착대(310)로 이송하여 안착시킨다.
따라서, 제 1,2후판(①,②)은 보조 냉각 영역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센서(330)는 롤러 테이블(210)에서 이송되는 제 3,4후판(③,④)을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이 감지 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제 3,4후판(③,④)을 미리 설정된 왕복 이동 범위(CP)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다수의 회전 모터(220)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여, 롤러 테이블(210)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제 3,4후판(③,④)은 공냉 영역에 노출되고, 왕복 이동 범위(CP) 내에서 왕복 이동되면서 공냉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 제 1,2후판(①,②)은 각 안착대(310)에 안착되어 보조 공냉 영역에 노출되는 상태로 공냉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 3,4후판(③,④)은 롤러 테이블(210) 상에 안착되어 공냉 영역에서 왕복 이동되면서 공냉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왕복 이동 범위(CP)는 후판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더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 3,4후판(③,④)과 각 롤러 테이블(210)과의 접촉되는 시간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냉 시, 롤러 테이블(21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 모터(220)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설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공냉 시간은 제어부(400)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400)에는 1차 압연과 2차 압연 사이의 공냉 시간 범위가 설정된다.
상기 공냉 시간의 측정은 도시되지 않은 타이머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의 시간 측정 개시 시점은 제 1,2센서(330,340)에 의하여 제 1,2후판(①,②) 및 제 3,4후판(③,④)이 롤러 테이블(210) 및 각 안착대(310)에 안착된 시점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공냉 시간이 공냉 시간 범위에 이르면, 각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제 3,4 후판(③,④)을 압연부(100)로 이송하여 2차 압연을 실시한다.
이와 아울러, 제어부(400)는 이송 장치(320)를 사용하여 제 1,2후판(①,②)을 롤러 테이블(210)로 이송하여, 상기와 같은 2차 압연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후판 극후물 제어 압연시 멀티 압연을 적용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와 같이 왕복 이동 범위를 후판의 폭 보다 더 길에 형성함으로써, 롤러 테이블 및 히전 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연부와 후속 설비간의 거리로 제한된 멀티 압연 최대 매수를 증가시켜 극후물 제어압연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0 : 압연부 200 : 제 1후판 이송부
200' : 후판 이송부 210 : 롤러 테이블
220 : 회전 모터 300 : 제 1보조 냉각부
300' : 제 2보조 냉각부 310 : 안착대
320 : 이송 장치 321 : 이송 프레임
322 : 작동부 322a : 제 1실린더
322b : 제 2실린더 330 : 제 1센서
340 : 제 2센서 400 : 제어부

Claims (9)

  1. 양측부에 공냉 영역이 각각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이송되는 후판을 압연하는 압연부;
    각각의 상기 공냉 영역에 노출되도록 상기 압연부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후판을 이송하는 후판 이송부;
    각각의 후판 이송부의 근방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후판 이송부로 이송된 후판을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공냉시키는 보조 냉각부; 및
    상기 압연된 후판을 상기 후판 이송부 및 상기 보조 냉각부 각각에 이송 배치하고, 이송 배치되는 상기 압연된 후판을 공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후판 이송부는, 상기 압연부의 측부로부터 상기 후판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롤러 테이블과, 상기 각 롤러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다수의 회전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 냉각부는, 상기 이송 경로의 근방에 배치되며, 후판이 안착되는 안착대와,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후판을 상기 안착대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와, 상기 이송 경로에 배치되며, 후판이 이송됨을 감지하는 제 1센서와, 상기 안착대에 배치되며, 상기 안착대에 안착되는 후판을 감지하는 제 2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롤러 테이블들 사이로 인입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프레임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작동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한 쌍의 이송 프레임을 길이 방향 및 승강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센서와 상기 제 2센서로부터 후판의 존재 유무에 대한 감지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압연부에서 압연되는 다수의 후판을 상기 롤러 테이블 및 상기 안착대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다수의 회전 모터 및 상기 이송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공냉 시간이 더 설정되되,
    상기 공냉 시간 범위는 상기 압연부에서 이루어지는 다수의 압연 시기들 사이의 시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냉 시간 범위 동안 상기 다수의 후판을 상기 롤러 테이블 및 상기 안착대 상에서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회전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롤러 테이블 상에 안착되는 후판들 각각을 왕복 이동 범위 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이동 범위는,
    상기 후판의 길이 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KR1020110063257A 2011-06-28 2011-06-28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KR10131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257A KR101310995B1 (ko) 2011-06-28 2011-06-28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257A KR101310995B1 (ko) 2011-06-28 2011-06-28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90A KR20130002190A (ko) 2013-01-07
KR101310995B1 true KR101310995B1 (ko) 2013-09-24

Family

ID=4783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257A KR101310995B1 (ko) 2011-06-28 2011-06-28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758A1 (ko) * 2016-12-22 2018-06-28 주식회사 포스코 후판 멀티 롤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078336A (ko)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분리가 가능한 후판 멀티 롤링 장치 및 후판 멀티 롤링 장치의 슬라브 분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626A (ja) 2001-01-10 2002-07-31 Nkk Corp 厚鋼板の加工熱処理装置
JP2005066690A (ja) 2003-08-28 2005-03-17 Jfe Steel Kk 熱延コイルの製造方法
JP2007098414A (ja) * 2005-09-30 2007-04-19 Kobe Steel Ltd 圧延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2626A (ja) 2001-01-10 2002-07-31 Nkk Corp 厚鋼板の加工熱処理装置
JP2005066690A (ja) 2003-08-28 2005-03-17 Jfe Steel Kk 熱延コイルの製造方法
JP2007098414A (ja) * 2005-09-30 2007-04-19 Kobe Steel Ltd 圧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90A (ko)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36310A1 (en) Milling apparatus for aluminium ingots
KR101507984B1 (ko) 단조용 봉상 소재의 가열 공급 장치
KR101310995B1 (ko) 보조 냉각부를 갖는 멀티 압연 설비
KR101921909B1 (ko) 스테이터 코어 또는 로터용 3차원 측정 시스템
JP2017148934A (ja) ビレットの両端面研削装置
KR100946103B1 (ko) 슬래브 터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압연방법
WO2008053522A1 (fr) Dispositif de laminage à chaud
KR101355565B1 (ko) 슬라브 냉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75827A (ko) 가열로의 스라브 이송장치
JP2007216278A (ja) 鋼材の圧延設備
KR101311062B1 (ko) 슬라브 공랭 대기 장치
SE523237C2 (sv) Anordning för uppvärmning med hjälp av induktion
JP4910387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熱間圧延設備
KR101746486B1 (ko) 단조용 볼트 소재의 가열 공급 장치
KR101290395B1 (ko) 보조 공랭 경로를 갖는 제어 압연 설비 및 제어 압연재의 공랭 방법
KR200236678Y1 (ko) 금속 판상 소재 자동 공급 장치
KR101411874B1 (ko) 소재 폭 측정장치
JP6466154B2 (ja) 熱処理装置
JP4561614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
KR101277994B1 (ko) 열처리 설비
KR101786259B1 (ko) 유도가열기 분해조립장치
JP2887734B2 (ja) 鍛造素材の加熱装置
KR101553468B1 (ko) 제어 압연용 공랭 장치 및 이를 제어 압연 설비
JP4935420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熱間圧延設備
KR101353965B1 (ko) 후판 전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