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578B1 -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578B1
KR100865578B1 KR1020060075591A KR20060075591A KR100865578B1 KR 100865578 B1 KR100865578 B1 KR 100865578B1 KR 1020060075591 A KR1020060075591 A KR 1020060075591A KR 20060075591 A KR20060075591 A KR 20060075591A KR 100865578 B1 KR100865578 B1 KR 100865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witch box
plate
punch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216A (ko
Inventor
이명걸
Original Assignee
대명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578B1/ko
Publication of KR20080014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판을 공급하여 프레스성형장치에 의해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 박스로 성형하고, 성형된 스위치박스의 외면과 저면에 절취편을 형성하며,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탭공을 형성하며, 성형이 완료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를 배출시켜 포장상자에 담아 포장하도록 된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시켜 주므로 성형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롤 타입으로 된 철판을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를 성형하는 프레스성형장치에 공급할 때에 상하로 장착된 롤러에 의해 지지하여 주므로 프레싱할 때에 철판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며,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 박스의 전면ㆍ배면ㆍ양 측면ㆍ밑면에 절취편을 펀칭(프레스) 성형할 때에 장전인출장치의 착탈편에 의해서만 지지하고 동시에 펀칭플레이트에 장착된 억류편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억류하므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가 흔들리거나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절취편을 원활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60075591
철판공급장치. 프레스성형장치부. 펀칭장치부. 장착편절곡장치부. 탭성형장 치부. 포장장치부. 이송컨베이어.

Description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A Product System For Metal Switch Box or Outlet Box}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을 보인 제조공정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에 의해 성형 제조되는 직사각스위치박스 및 정사각스위치박스의 제조과정을 보인 공정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철판공급장치와 철판지지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서 프레스성형장치부와 방향전환장치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서 전면ㆍ배면ㆍ측면의 펀칭장치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서 180도방향전환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평면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서 90도방향전환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에서 X축 및 Y축 방향전환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서 직립방향전환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장착편절곡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각 펀칭장치부의 전면에 설치되는 스위치박스장전인출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아웃렛박스(Outlet Box)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2: 직사각스위치박스
3: 정사각스위치박스 4: 절취편
5: 장착편 10: 철판공급장치
11: 철판지지장치 12: 프레스성형장치부
13.14.15.16.17: 펀칭장치부 18: 장착편절곡장치부
19: 탭성형장치부 20: 성형승강플레이트
25: 방향전환장치 30: 펀칭승강플레이트
32: 펀칭금구 39: 펀칭성형금구
100: 공급장치틀 110: 지지장치틀
300: 180도방향전환장치부 400: 90도방향전환장치부
600: X축방향전환장치 610: Y축방향전환장치
700: 직립방향전환장치 800: 장착편절곡장치
900: 스위치박스장전인출장치
본 발명은 전기공사를 할 때에 벽체에 매립형으로 설치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를 자동으로 제조하도록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인은 선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 제10-465842호 "금속제 박스제조용 무인자동화라인"을 개선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정한 폭의 롤 형상으로 감겨 있는 철판을 단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공급되는 철판을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시킨 상태에서 통상의 프레스성형장치에 의해 밑면이 직사각형으로 되거나 정사각형 또는 팔각형 등으로 되고 상면이 터진 스위치박스를 성형하고, 컨베이어에 의해 단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통상의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 펀칭장치에 의해 전면과 배면 및 양 측면 그리고 밑면에 절취편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며, 각 면(전면ㆍ배면ㆍ양 측면ㆍ밑면)에 절취편이 형성된 스위치박스의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을 내측으로 절곡시키며, 내측으로 절곡된 각 장착편에 탭공(장착공)을 일시에 뚫어주며, 각 면에 절취편이 형성되고 상단의 장착편에 탭공(장착공)이 뚫어진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이하‘스위치 박스’로 통칭함)를 배출시켜 자동포장장치에 의해 포장용 박스에 복수 개씩을 수납하면서 자동으로 포장하도록 된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에 금속제 스위치박스를 제조할 때에는 롤(Roll) 타입으로 감겨진 철판을 단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통상의 프레스기(장치)에 의해 프레싱하여 상면이 터지고(개방되고) 저면(밑면)이 직사각형으로 되거나 정사각형 또는 팔각형 등으로 되는 스위치박스를 성형하였고, 상기와 같이 성형 된 스위치박스를 운반용 상자에 담아 인위적으로 각 프레스장치(기)로 운반하면서 전면과 배면 및 양 측면 그리고 밑면에 절취편을 순차적으로 성형하였으며, 절취편이 형성된 스위치박스를 운반상자에 담아 운반하여 절곡장치에 의해 장착편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주며, 내측으로 절곡된 각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의 장착편을 탭공성형장치에 의해 탭공(장착공)을 일시에 뚫어주며, 각 면에 절취편이 형성되고 상단의 장착편에 탭공(장착공)이 뚫어진 스위치박스를 운반상자에 담아 운반하여 포장용 박스에 복수 개씩을 인위적으로 수납하여 포장하였다.
이와 같이 금속제 스위치박스를 운반상자에 담아 각 성형장치에 인위적으로 운반하면서 성형을 실시하므로 작업공정이 더디게 진행되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성형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각 공정(성형장치)마다 작업자를 배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인원을 많이 투입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각 장치에 의해 성형 된 스위치박스를 운반상자에 담아 포장할 때에도 인위적으로 담아 포장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포장이 더디게 진행되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제조원가가 현저하게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환경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각 제조공정에 로봇 등을 투입하여 공장을 자동화하고 생산성 향상을 꾀하고 있다.
즉, 프레스기(장치)에 의해 성형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스위치박스를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시키면서 각 면(전면ㆍ배면ㆍ양 측면ㆍ밑면)에 절취편을 형성하는 각 성형장치(프레스장치)와 장착편을 내측으로 절곡시키는 절곡장치 및 내측으로 절곡된 각 장착편에 탭공(장착공)을 일시에 뚫어주는 탭성형장치에 로봇을 각각 설치하여 각 장치에 스위치박스를 공급하고 인출하는 고정을 로봇에 의해 실시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스위치박스는 형상 모양이 다른 여러 종류를 생산하게 되므로 자동화인에 투입되는 로봇은 파지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세심하게 조정하여야 하고, 로봇을 투입함에도 불구하고 가공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작업자를 투입하여야 하므로 인건비 등으로 인해 생산성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박스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정밀한 다관절외팔로봇을 투입하게 되면 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중소업체에서는 용이하게 채택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다관절외팔로봇을 제어하기 위해 숙련된 로봇기술자를 필요로 하게 되며, 생산 종목이 변경되면 다관절외팔로봇의 프로그램을 재설정해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인은 특허등록 제10-465842호 "금속제 박스제조용 무인자동화라인"을 제안하였다.
이는 밑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되고 상면이 터진 스위치박스를 컨베이어벨트에 공급하여 단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통상의 프레스장치(기)를 이용하여 전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 바닥면(밑면)에 절취편을 각각 성형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고, 장착편을 내측으로 절곡시키는 공정을 실시하며, 내측으로 절곡된 장착편에 탭공(나사공)을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한 후에 배출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프레스장치(기)에 의해 프레싱 성형된 스위치박스를 자동으로공급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인위적인 방법으로 공급하여야 하고, 절취편과 장착편에 탭공이 형성된 스위치박스를 배출시킬 때에 자동으로 배출시켜 포장하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위적인 방법에 의해 포장상자에 담아 포장하여야 하며, 최선의 공급공정과 최후의 배출 포장공정을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실시하게 되므로 반자동화된 것에 불과하여 전체공정을 완전 자동화시킬 수 없으며, 그로 인해 여러 명의 작업자를 투입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프레스장치(기)를 이용하여 스위치박스의 전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 바닥면(밑면)에 절취편을 각각 성형할 때에 스위치박스를 장전인출장치의 착탈편에 의해서만 지지하므로 지지력이 약하여 펀칭(프레싱)을 실시할 때에 스위치박스가 흔들리고 위치가 변형되어 절취편을 원활하게 형성시키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한 폭의 롤 형상으로 감겨 있는 철판을 단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공급되는 철판을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시킨 상태에서 통상의 프레스성형장치에 의해 밑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되고 상면이 터진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를 성형하고, 컨베이어에 의해 단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통상의 프레스장치를 이용하여 펀칭(프레스)장치에 의해 전면과 배면 및 양 측면 그리고 밑면에 절취편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며, 각 면(전면ㆍ배면ㆍ양 측면ㆍ밑면)에 절취편이 형성된 스위치박스의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을 내측으로 절곡시키며, 내측으로 절곡된 각 장착편에 탭공(장착공)을 일시에 뚫어주며, 각 면에 절취편이 형성되고 상단의 장착편에 탭공(장착공)이 뚫어진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를 배출시켜 자동포장장치에 의해 포장용 박스에 복수 개씩을 수납하면서 자동으로 포장하도록 된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판을 공급하여 프레스성형장치에 의해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로 성형하고, 성형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의 외면과 저면에 절취편을 형성하며,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탭공을 형성하며, 성형이 완료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를 배출시켜 포장상자에 담아 포장함으로써, 일련의 공정을 완전히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고, 작업자의 투입을 최소화시 킬 수 있으며, 더불어 성형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롤 타입으로 된 철판을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를 성형하는 프레스성형장치에 공급할 때에 상하로 장착된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지지하여 줌으로서 프레싱 성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충격이 철판공급장치 측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하여 철판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며, 프레스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를 배출장치에 의해 프레스성형장치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배출시키고 프레스성형장치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가 슬라이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자세를 변형시켜 줌으로서 첫 펀칭(프레스)장치에 용이하게 장전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위치박스의 각 면(전면ㆍ배면ㆍ양 측면ㆍ밑면)에 절취편을 펀칭(프레스) 성형할 때에 장전인출장치의 착탈편에 의해서만 지지하고 동시에 펀칭플레이트에 장착된 억류편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억류하면서 펀칭(프레스)을 실시함으로써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가 흔들리거나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절취편을 원활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된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를 스위치박스장전입출장치(13-1)(14-1)(15-1)(16-1)(17-1)에 의해 펀칭장치부(13)(14)(15)(16)(17)의 펀칭성형금구(39)에 장전/인출시키면서 스위치박스의 전면과 배면 및 양 측면과 밑면에는 절취편(4)을 각각 펀칭 형성하되, 인접하는 펀칭장치부(13)(14)(15)(16)(17)의 각 사이사이에서 이송컨베이어(7)의 상측에는 180도방향전환장치(300)와 90도방향전환장치(400) 및 X축방향전환장치(600)와 Y축방향전환장치(610)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스위치박스의 위치를 변형시키면서 펀칭을 실시하고, 외면과 밑면에 절취편(4)이 형성된 스위치박스를 스위치박스장전입출장치부(810)에 의해 장착편절곡장치부(18)로 장전/인출시키면서 스위치박스의 개구부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5)들을 내측으로 절곡시키며, 장착편(5)들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를 스위치박스장전입출장치(19-1)에 의해 탭성형장치부(19)에 장전/인출하면서 내측으로 각 장착편(5)에 탭공(6)을 각각 뚫어준 후에 배출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이송컨베이어(7)의 선단에는 통상의 철판공급장치(10)와 철판지지장치(11) 및 프레스성형장치부(12)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철판공급장치(10)에서 공급되는 철판을 철판지지장치(11)에 의해 지지하면서 프레스성형장치부(12)에 의해 통상의 스위치박스를 프레스 성형하여 배출시키도록 한 것과;
프레스성형장치부(12)의 배출 측에는 방향전환장치부(25)를 설치하여 성형 배출되는 스위치박스를 의 펀칭장치부(13)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시켜 이송컨베이어(7)로 공급시키도록 한 것과;
탭성형장치부(19)의 배출측에 설치되는 배출컨베이어(8)의 단부에는 포장장치부(9)를 설치하여 스위치박스를 포장상자에 수납하여 배출시키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할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1)을 보인 제조공정도와 직사각스위치박스 및 정사각스위치박스의 제조과정을 보인 공정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철판공급장치와 철판지지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프레스성형장치부ㆍ방향전환장치부ㆍ펀칭장치부ㆍ180도방향전환장치ㆍ90도방향전환장치ㆍX축방향전환장치 및 Y축방향전환장치ㆍ직립방향전환장치ㆍ장착편절곡장치 그리고 각 펀칭장치부와 탭성형장치부의 전면에 각각 설치되는 스위치박스장전인출장치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1)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철판공급장치(10)의 배출 측에는 철판지지장치(11)와 프레스성형장치부(12) 를 차례로 설치하였고, 프레스성형장치부(12)의 배출 측에는 배출슬라이더(26)와 고정슬라이더(27) 및 공급컨베이어(28)로 구성된 방향전환장치부(25)를 설치하였다.
최(제일) 선단에 설치되어 철판을 공급하는 철판공급장치(10)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한 쌍의 장치대를 이용하여 공급장치틀(100)을 형성하였고, 공급장치틀(100)의 내부에서 하측 일편에는 한 쌍의 받침롤러(102)를 전후로 이격시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설치하여 일정한 폭으로 재단된 철판(S)이 감아진 철판롤(Roll)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공급장치틀(100)의 내부에서 반대편의 상측에는 한 쌍씩이 상호로 설치되는 공급지지롤러(103)를 다중으로 설치하여 철판(S)을 통과시켰고, 공급지지롤러(103)가 다중으로 설치되는 공급장치틀(100)의 외측 상단에는 지지대(104)를 고정시키고 그 지지대(104)에 복수 개의 받침롤러(105)를 순차적으로 하향하도록 설치하여 공급지지롤러(103)에서 배출되는 철판(S)을 받쳐 지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철판공급장치(10)의 배출측 즉, 프레스성형장치부(12)의 공급측 선단에 설치되는 철판지지장치(11)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상으로 된 한 쌍의 지지대를 이격시켜 지지장치틀(110)을 형성하여 받침다리(113)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켰고, 지지장치틀(110)의 내부에서 상측부에는 복수 개의 받침롤러(111)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공급되는 철판(S)을 받쳐주도록 하였으며, 최후방에는 한 쌍의 지지롤러(112)를 상하로 설치하여 철판(S)을 통과시키면서 지지하도록 하였다.
철판공급장치(10)의 후측에는 프레스성형장치부(12)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철 판(S)을 밑면이 직사각형으로 되거나 정사각형 또는 팔각형 등으로 되고 상면이 터진 스위치박스로 성형하도록 하였으며, 프레스성형장치부(12)는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승강플레이트(20)의 저면에는 성형승강플레이트(21)를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그 하측에는 성형고정플레이트(22)를 설치하되, 성형승강플레이트(21)의 저면과 성형고정플레이트(22)의 상면에는 상측성형금구(21-1)와 하측성형금구(22-1)를 각각 장착하였다.
일체형으로 형성된 승강플레이트(20)와 성형승강플레이트(21)의 사이에는 공간부(23)를 형성하여 상측성형금구(21-1)와 하측성형금구(22-1)에 의해 성형 된 스위치박스가 성형승강플레이트(21)의 상측 공간부(23)로 상승하도록 하였다.
승강플레이트(20)와 성형승강플레이트(21)의 사이에는 로드의 선단에 푸셔(24-1)가 장착된 배출용실린더(24)를 지지틀(24-2)에 의해 설치하여 상측성형금구(21-1)와 하측성형금구(22-1)에 의해 성형 되어 상승하는 스위치박스를 방향전환장치부(25)의 움직배출슬라이더(26)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프레스성형장치부(12)의 배출 측에는 방향전환장치부(25)를 설치하여 성형 배출되는 스위치박스를 이송컨베이어(7)로 공급하도록 하였다.
향전환장치부(25)는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성형장치부(12)의 승강플레이트(20)와 성형승강플레이트(21)와의 사이에는 방향전환유도판(26-1)이 내부에 형성된 움직배출슬라이더(26)의 상단을 축(26-2)으로 유동되게 굴대 설치하였고, 움직배출슬라이더(26)의 하단에는 상면에 이탈방지대(27-1)가 구비된 고정슬라이더(27)의 상단을 축(26-3)으로 유동되게 굴대 설치하였으며, 고정 슬라이더(27)의 하단에는 통상의 벨트컨베이어로 된 공급컨베이어(28)를 설치하였다.
특히, 움직배출슬라이더(26)의 내부에 형성되는 방향전환유도판(26-1)은 전면의 수직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변형되도록 형성하여 수평상태로 배출되는 스위치박스가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펀칭장치부(13)측을 향하여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였다.
상기 공급컨베이어(28)의 배출 측에는 이송컨베이어(7)를 설치하였고, 이송컨베이어(7)의 일편에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복수 개의 펀칭장치(13)(14)(15)(16)(17)와 장착편절곡장치부(18) 및 탭성형장치부(19)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였다.
탭성형장치부(19)의 배출 측에는 배출컨베이어(8)를 연결하여 포장장치부(9)를 설치하였고, 각 펀칭장치(13)(14)(15)(16)(17)와 장착편절곡장치부(18) 및 탭성형장치부(19)의 전방에서 이송컨베이어(7)의 반대편에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스위치박스장전입출장치(13-1)(14-1)(15-1)(16-1)(17-1)(810)(910-1)를 각각 설치하였다.
이송컨베이어(7)는, 궤도판을 핀(축)으로 서로 연결하여 무한궤도형으로 형성하여 동력수단에 의해 공전시키도록 하였고, 양측에는 지지대를 설치하여 이송되는 스위치박스가 외부로 이탈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송컨베이어(7)의 일측 편에는 다수 개의 펀칭장치부(13)(14)(15)(16)(17)와 장착편절곡장치부(18) 및 탭성형장치부(19)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설치하여 스위치박스의 전면과 배면 및 좌우의 양 측면과 저 면에 절취편(4)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5)을 내측으로 절곡시키며 절곡된 장착편(5)에 탭공(6)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이송컨베이어(7)의 일측 편에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면서 설치되는 각 펀칭장치부(13)(14)(15)(16)(17)는 도 7a와 도 7b 및 도 9a와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고정형으로 된 받침플레이트(31)의 상면에는 펀칭성형금구(39)를 고정금구(39-1)에 고정시켜 눕혀지거나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스위치박스를 장전시키거나 고정금구(39-1)을 설치하여 수평상태로 유입되는 스위치박스를 억류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받침플레이트(31)의 상측에는 상하 작동수단(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승하강되는 펀칭플레이트(30)와 지지플레이트(33)를 상하로 이격시켜 설치하였다.
펀칭플레이트(30)의 저면 중앙에는 펀칭금구(32)를 장착하고 지지플레이트(33)의 중앙에는 상호로 뚫어진 유통공(33-1)을 형성하여 펀칭금구(32)가 유통공(33-1)으로 유입되도록 하였고, 펀칭플레이트(30)의 저면 양측 또는 모서리부에는 지지봉(35)을 일체로 형성하여 각 지지봉(35)에 코일스프링(36)을 끼워주고 지지플레이트(33)의 양측 또는 모서리부에는 가이드공(33-3)을 각각 뚫어주어서 코일스프링(36)이 끼워진 지지봉(35)을 삽입시켰으며, 받침플레이트(31)의 상면에서 각 가이드봉(37)의 하측에는 가이드블럭(38)을 일체형으로 고정 설치하되 각 가이드블럭(38)에는 상면으로 뚫어지는 가이드홈(38-1)을 형성하여 가이드봉(37)이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하였다.
또 펀칭플레이트(30)의 전면 중앙부에는 하단 양측에 억류편(34-1)이 일체로 형성된 억류지지플레이트(34)를 장착하여, 펀칭플레이트(30)가 하향하여 펀칭을 실시할 때에 함께 하향하여 펀칭성형금구(39)에 장전된 스위치박스의 밑면에 밀접하여 연접되어 스위치박스를 억류하고 받쳐 지지하도록 하였다.
최종 펀칭장치부(17)의 후측에 설치되는 장착편절곡장치부(18)의 펀칭절곡장치(800)와 그 반대편에 설치되는 스위치박스장전인출장치부(810)는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펀칭절곡장치(800)는, 이송컨베이어(7)의 양측 지지대에 유통부를 형성하여, 일측 유통부의 외측에는 받침플레이트(804)를 구비하였고, 받침플레이트(804)의 상면 중앙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장치틀(801)을 장착하였으며, 장치틀(801)의 내부 중앙에는 전면 양측에 절곡유통홈(803)이 형성된 절곡금구(802)를 장착하였다.
펀칭절곡장치(800)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스위치박스장전인출장치부(810)는, 타측 유통부의 외측에 장치대(811)를 설치하였고, 장치대(811)의 상면 중앙선상에는 로드의 선단에 밀판(813)이 장착된 장전인출용실린더(812)를 설치하였으며, 장전인출용실린더(812)의 양측에서 장치대(814)에는 가이드블럭(815)을 나란하게 장착하고 밀판(813)의 배면 양단에는 가이드봉(814)을 가이드블럭(815)에 삽입되어 통과하도록 장착하였으며, 배출 측에서 장치대(811)의 일측에는 스톱퍼봉(817)이 로드에 고정된 스톱퍼실린더(816)를 설치하여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공급되는 스위치박스를 절곡금구(802)의 정면에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장착편절곡장치부(18)의 후측에 설치되는 탭성형장치부(19)는 구체적으 로 도시하는 아니하였으나, 본인에 의해 선 출원되어 특허 제10-465842호로 등록된 '금속제 박스제조용 무인화장동화장치'에 설치된 탭가공수단을 이용하였으며, 탭성형장치부(19)를 형성하는 탭가공수단은 이송컨베이어(7)의 양측에 탭가공부와 밀착수단을 구비하였다.
탭가공부는, 이송컨베이어(7)를 형성하는 일측 지지대의 외측에는 내부가 전후로 개방되고 전면 일측에 가이드블록이 형성된 장착틀을 장착하였고, 장착된 장착틀의 내부에는 장착대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하였으며, 장착틀의 후측 장착틀에는 기어박스가 내장되고 복수 개(2 또는 4개)의 드릴척이 된 하우징을 설치하되 각 드릴척에는 탭드릴을 장착하였으며, 장착대에는 탭드릴과 동일한 위치에 다수의 유통공을 뚫어주고 배면에는 다수의 에어노즐을 각 유통공을 향하도록 장착하였으며, 장착대의 전면 중앙선상에서 상측과 하측에는 지지축을 각각 고정시켜 코일스프링을 끼워주되 각 지지축의 선단을 장착대의 동일 위치에 뚫어진 구멍에 삽입하여 장착대가 전방으로 탄발되도록 하였으며, 하우징의 전면 중앙에는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였다.
밀착수단은, 타측 지지대의 외측에 수직과 수평으로 브래킷을 설치하여, 수평브래킷에는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를 정지/공급시키는 스톱퍼실린더와 공급된 스위치박스를 장착대로 밀어주도록 로드에 밀편이 장착된 작동실린더를 선후로 설치하였고, 상기 밀편의 전방에는 탄발밀편을 스프링에 의해 탄발되도록 장착하여 직립브래킷의 유통공을 통해 탄발밀편과 밀편이 유통되도록 하였다
또한 이송컨베이어(7)의 선상에서 펀칭장치부(13)와 펀칭장치부(14)의 사이에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180도방향전환장치부(300)를 설치하였고, 펀칭장치부(14)와 펀칭장치부(15)의 사이에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90도방향전환장치부(400)를 설치하였으며, 펀칭장치부(15)와 펀칭장치부(16)의 사이에는 180도방향전환장치부(300)를 설치하였다.
펀칭장치부(16)와 펀칭장치부(17)의 사이에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X축방향전환장치(600)와 Y축방향전환장치(610)를 설치하였으며, 펀칭장치부(17)와 장착편절곡장치부(18)의 사이에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직립방향전환장치(810)를 설치하였다.
펀칭장치부(13)와 펀칭장치부(14) 및 펀칭장치부(15)와 펀칭장치부(16)의 사이에 설치되는 180도방향전환장치부(300)의 방향전환장치(310)는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이송컨베이어(7)를 형성하는 일측 지지대의 외측에는 로드가 이송컨베이어(7)의 내측을 향하도록 정역회전실린더(312)를 장착하였고, 정역회전실린더(312)의 로드에는 고정파지암(314)과 지지암(316)이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반전함(313)을 일체형으로 설치하였으며, 지지암(316)의 외면 중앙에는 로드가 내측으로 유통되는 파지용에어실린더(317)를 장착하되 로드의 선단에는 작동파지암(315)을 장착하였으며, 고정파지암(314)과 작동파지암(315)의 각 내면 양측에는 패드(318)를 설치하였다.
정역회전실린더(312)의 양측에서 이송컨베이어(7)의 지지대에는 인입측마이크로스위치(340)와 배출측마이크로스위치(350)를 각각 설치하여 고정파지암(314)에 의해 상호 반복적으로 터치되도록 하였고, 인입측마이크로스위치(340)의 전방에는 스톱퍼(330)로서 스톱퍼실린더(331)를 설치하여 그의 로드(332)에 의해 이송 공급되는 스위치박스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스톱퍼실린더(331)의 전방에서 타측 지지대를 절개하여 공간부를 확보하고 공간부의 외측에는 정렬장치(320)를 설치하였다.
상기 정렬장치(320)는, 공간부가 확보된 지지대의 외측에 장치판(321)을 설치하였고, 장치판(321)의 상면 양측에는 한 쌍의 정렬실린더(322)를 이송컨베이어(7)를 향하도록 장착하였으며, 각 정렬실린더(322)의 로드에는 푸셔패드(323)를 각각 장착하였다.
펀칭장치부(14)와 펀칭장치부(15)의 사이에 설치되는 90도방향전환장치부(400)는 도 9a 및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이송컨베이어(7)에서 스위치박스의 개방부(개구부)가 향하는 일측 지지대의 외측에는 장착대(410)를 이용하여 견인용실린더(411)를 전방(공급측)을 향하도록 장착하였고, 견인용실린더(411)의 로드에 고정된 브래킷(413)에는 전환용실린더(414)를 이송컨베이어(7)를 향하도록 장착하여 견인용실린더(411)의 작동에 의해 전환용실린더(414)를 전후진 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환용실린더(414)의 로드에 고정된 견인봉(415)을 그 지지대의 내외로 인입/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되 견인봉(415)을 인입시킨 상태에서 전후진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견인봉(415)이 전후진 작동하는 선단지점과 후단지점 사이의 중간에서 타측 지지대에는 전환유도스톱퍼(401)를 이송컨베이어(7)의 상측으로 교차하도록(가로막도록) 장착(고정)하였으며, 견인봉(415)이 후진 작동하는 후단지점의 후단에서 타 측지지대에는 지지실린더(403)를 장착대(400)에 의해 이송컨베이어(7)를 향하도록 장착하여 그의 로드에 고정된 지지바(404)를 그 지지대의 내외로 인입/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환유도스톱퍼(401)의 전방에서 지지대에는 감지센서(402)를 장착하여 전환유도스톱퍼(401)에 의해 정지되는 스위치박스를 감지하도록 하였으며, 지지대에는 유도지지플레이트(405)를 장착하되, 단부가 이송컨베이어(7)의 상측에서 지지실린더(403)의 지지바(404)의 상측까지 덮어지도록 하였다.
펀칭장치부(16)와 펀칭장치부(17)의 사이에 설치되는 X축방향전환장치(600)와 Y축방향전환장치(610)는 도 10a 내지도 10d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도 10a 및 도 10b에 예시된 X축방향전환장치(600)는, 이송컨베이어(7)의 일측 지지대에서 상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방향전환용지지플레이트(601)를 설치하여, 이송되는 스위치박스의 상단부가 방향전환용지지플레이트(601)에 걸리면서 자연스럽게 눕혀지도록 하였다.
X축방향전환장치(600)의 후측에 설치되어 눕혀진 스위치박스를 개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방향전환시키는 Y축방향전환장치(610)는 도 10a와 도 10c 및 도 10d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는 스위치박스의 밑면이 인접하는 일측 지지대의 외측에는 장치대(611)를 고정 설치하였고, 장치대(611)의 상면 중앙선상에는 방향전환용실린더(612)를 이송컨베이어(7)를 향하도록 장착하고 그 양측에는 가이드장공(615)이 뚫어진 가이드블럭(614)을 각각 장착하였으며, 방향전환용실린더(612)의 로드(612-1)에는 푸셔(613)를 장착하되, 푸셔(613)의 배면 양측에는 가이드봉(616)을 각각 고정시켜 각 가이드블럭(614)의 가이드장공(615)에 삽입시켰다.
장치대(611)의 선단 양측에는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02)와 스위치박스의 이송을 스톱퍼봉(619)에 의해 단속하는 스톱퍼실린더(618)를 각각 장착하였고, 반대편 지지대에는 장치대(611)와 대향 부분을 제거하여 만곡상향유도플레이트(620)를 장착하였으며, 만곡상향유도플레이트(620)의 선단부에는 가이드판(621)을 설치하고 후단부에는 확개편(7-1)의 선단이 타측 지지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정렬유도판(622)을 설치하였다.
펀칭장치부(17)와 장착편절곡장치부(18)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장치((700)는 도 11a 내지 도 11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이송컨베이어(7)의 일측 지지대에는 로드에 푸셔(702)가 장착된 푸싱용실린더(701)를 장치대(703)에 의해 장착하였고, 푸싱용실린더(701)의 후측에는 로드에 스톱퍼(705)가 장착된 스톱퍼실린더(704)를 보조장치대(706)에 의해 장착하였다.
타측 지지대에는 푸싱용실린더(701)와의 대향하도록 작동판(710)을 힌지(711)에 의해 장착하되, 작동판(710)의 상면 상측부에는 스톱퍼(712)를 장착하고 밑면 중간에는 고정편(713)을 장착하였으며, 작동판(710)의 하측에는 장치대(720)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외통의 전후에 감지센서(728)(729)가 각각 구비된 방향전환장치용실린더(721)의 후단장착편(723)을 고정편(724)에 축(726)으로 굴대 설치하였으며, 로드에 고정된 선단장착편(722)은 작동판(710)의 고정편(713)에 축(725)으로 설치하였으며, 장치대(720)의 상면 선단 양측에는 받침봉(727)을 각각 장착하여 작 동판(710)을 받쳐 지지하도록 하였다.
또, 이송컨베이어(7)의 타측 편에서 각 펀칭장치부(13)(14)(15)(16)(17)와 탭성형장치부(19)의 전방에는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스위치박스장전인출장치(13-1)(14-1)(15-1)(16-1)(17-1)(19-1)를 각각 설치하여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유지되는 스위치박스를 장전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스위치박스장전인출장치(13-1)(14-1)(15-1)(16-1)(17-1)(19-1)는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이송컨베이어(7)를 형성하는 일측 지지대의 외측에는 장전인출장치대(904)를 고정 설치하여 그 상면에 장전인출용실린더(900)를 이송컨베이어(7)를 향하도록 장착하였고, 장전인출용실린더(900)의 로드에는 선단 내부에 영구자석(903)이 매입된 착탈편(902)을 장착하여 지지대의 내외로 인입/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장전인출용실린더(900)의 후측에는 로드에 스톱퍼(711)가 장착된 스톱퍼실린더(710)를 보조장치대(712)에 의해 설치하여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를 착탈편(902)의 전방에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탭성형장치부(19)의 배출 측에 배출컨베이어(8)에 의해 설치되는 포장장치부(9)는 본인에 의해 선 출원되어 특허 제10-293724호로 선등록된 '평판형제품의 자동수납장치'를 적용하였으므로 기술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1)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철판공급장치(10)에서 공급장치틀(10)의 받침롤러(102)에 안치되어 있는 롤 타입의 철판(S)은 상하로 설치된 공급지지롤러(103)로 통과하면서 공급되는데, 공급지지롤러(103)를 모터와 같은 동력수단에 의해 단속적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서 일정한 길이만큼씩 공급시킬 수 있으며, 지지대(104)에 설치된 받침롤러(105)에 의해 받쳐 지지 되면서 배출된다.
도 4의 철판공급장치(10)에서 공급되는 철판(S)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철판지지장치(11)에서 지지장치틀(110)에 설치된 받침롤러(111)에 의해 받쳐 지지 되면서 상하로 설치된 지지롤러(112)의 사이로 통과하여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프레스성형장치부(12)에 일정한 길이만큼씩 단속적으로 공급된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프레스성형장치부(12)로 공급되는 철판(S)이 일정한 길이만큼이 성형고정플레이트(22)의 하측성형금구(22-1)의 상면으로 공급되면, 통상의 승하강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승강플레이트(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성형승강플레이트(21) 및 상측성형금구(21-1)가 동시에 하향하게 되고, 철판(S)은 하향하는 상측성형금구(21-1)와 받쳐주는 하측성형금구(22-1)에 의해 프레싱 되어 도 2 또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스위치박스(2) 또는 정사각스위치박스(3)와 같은 스위치박스로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승강플레이트(21) 및 상측성형금구(21-1)가 하강 및 상승하면서 스위치박스를 성형할 때에, 지지틀(24-2)에 의해 장착된 배출용실린더(24)도 함께 하향 및 상승하게 되고, 배출단에 장착된 방향전환장치부(25)의 움직배출슬라 이더(26)는 상단과 하단이 축(26-2)(26-3)에 의해 유동하도록 굴대 설치되어 있으므로 움직배출슬라이더(26)는 하측의 축(26-3)을 기준으로 자연스럽게 움직이게(너울거리게) 된다.
성형된 스위치박스는 승강플레이트(20) 및 성형승강플레이트(2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3)로 인입되고, 승강플레이트(20)와 성형승강플레이트(21)가 상향하게 되면 공간부(23)에 인입된 스위치박스도 함께 상향하게 된다.
승강플레이트(20)와 성형승강플레이트(21)가 완전히 상향하면 승강플레이트(20)에 장착된 배출용실린더(24)가 작동하여 푸셔(24-1)를 순간적으로 전후진 시키게 되고, 푸셔(24-1)가 전진하게 되면 성형된 스위치박스는 가이드블럭(20-1) 사이를 통과하여 방향전환장치부(25)로 배출되어 움직배출슬라이더(26)로 인입된다.
방향전환장치부(25)의 움직배출슬라이더(26)로 인입된 스위치박스는 움직배출슬라이더(26)이 하향 경사져 있으므로 슬라이딩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스위치박스는 개방부가 상향 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방향전환유도판(26-1)에 의해 유도되어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가 펀칭장치부(13)를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되며, 방향이 전환된 스위치박스는 이탈방지대(27-1)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면서 고정슬라이더(27)에서 슬라이딩 되어 작동되는 공급컨베이어(28)로 전이된다.
공급컨베이어(28)에 의해 이동하는 스위치박스는 이송컨베이어(7)로 전이되어 도 7a 및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일면(전면)에 절취편(4)을 성형시키는 펀칭장치부(13)로 이동하게 되고, 펀칭장치부(13)로 이동하는 스위치박스는 이송컨베이 어(7)에 설치된 스토퍼(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정지된다.
스토퍼에 의해 이송컨베이어(7) 선상에 정지된 스위치박스는 장전입출장치(13-1)에 의해 전진하여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펀칭장치부(13)의 받침플레이트(31)에 장착된 펀칭성형금구(39)에 장전되고, 스토퍼는 역으로 작동하게 되며, 스위치박스가 펀칭성형금구(39)에 장전된 상태에서 통상의 승하강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펀칭플레이트(30)와 펀칭금구(32) 및 지지플레이트(33)가 동시에 하향하게 된다.
펀칭플레이트(30)와 펀칭금구(32) 및 지지플레이트(33)가 동시에 하향하게 되면 가이드봉(37)들은 가이드블럭(38)의 가이드홈(38-1)에 삽입되므로 펀칭플레이트(30)와 펀칭금구(32)는 수직으로 하향하게 되고, 억류플레이트(34)의 억류편(34-2)은 펀칭성형금구(39)의 외측에 장전(결합)된 스위치박스의 밑면 외측으로 밀접하게 하향함과 이와 동시에 지지플레이트(33)는 스위치박스의 상면 위에 얹혀져 지긋이 억눌러 주게 되며, 펀칭플레이트(30)가 코일스프링(36)의 탄발력을 이기고 더욱 하강하게 되므로 펀칭금구(32)도 유통공(33-1)을 따라 함께 하향하면서 억류된 스위치박스를 펀칭하여 일면(전면)에 절취편(4)을 형성시켜 준다.
스위치박스의 일면(전면)에 절취편(4)이 형성되면 펀칭플레이트(30)와 펀칭금구(32) 및 지지플레이트(33)는 동시에 상향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장전입출장치(13-1)가 역으로 작동하여 스위치박스를 후진시켜 이송컨베이어(7)의 위로 이동시켜 주며, 스위치박스는 이송컨베이어(7)를 따라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은 180도방향전환장치부(300)로 이동한다.
이송컨베이어(7)를 따라 180도방향전환장치부(300)로 이동하는 스위치박스는 스톱퍼(330)의 실린더(331)에 장착된 로드(332)에 의해 이송컨베이어(7) 선상에 정지된다.
스위치박스가 스톱퍼(330)에 의해 이송컨베이어(7) 선상에 정지된 상태에서 정렬장치(320)의 각 정렬실린더(322)가 작동하여 푸셔패드(323)를 전진시키게 되고, 전진하는 푸셔패드(323)에 의해 스위치박스는 이송컨베이어(7)의 반대편 지지대에 밀접하게 연접되며, 스톱퍼(330)의 실린더(3231)가 역으로 작동하여 억류상태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정렬장치(320)의 정렬실린더(322)도 역으로 작동하여 푸셔패드(323)를 후진시켜 억류상태를 해지시킨다.
스톱퍼(330)와 정렬장치(32)가 역으로 작동하여 억류상태가 해제된 스위치박스는 작동되는 이송컨베이어(7)를 따라 이동하여 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장치(310)의 고정파지암(314)과 작동파지암(315)과의 사이로 인입(장전)된다.
스위치박스가 고정파지암(314)과 작동파지암(315)과의 사이로 인입(장전)된 상태에서 파지용에어실린더(317)가 작동하여 작동파지암(315)을 전진시키고, 인입된 스위치박스는 정지된 고정파지암(314)과 전진하는 작동파지암(315)에 장착된 패드(318)에 의해 억류되며, 이 상태에서 정역회전실린더(312)가 작동하여 반전암(313)을 회전시키게 된다.
정역회전실린더(312)의 작동에 의해 반전암(313)이 회전하게 되면 고정파지암(314)과 지지암(316)의 작동파지암(315)은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전암(313)을 기준으로 반대편으로 180도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파지된 스위치박스는 전면은 하향하고 반대면(배면)은 상향하여 도립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회전한 고정파지암(314)은 배출측마이크로스위치(350)를 터치하게 된다.
회전한 고정파지암(314)에 의해 배출측마이크로스위치(350)가 터치되면 스톱퍼(330)의 실린더(331)가 작동하여 로드(332)를 전진시켜 이송되는 다른 스위치박스를 억류시키게 되고, 파지용에어실린더(317)가 역으로 작동하여 작동파지암(315)을 후진시켜 파지상태를 해제하며, 이와 동시에 정역회전실린더(312)가 역으로 작동하여 반전암(313)을 역회전시켜 고정파지암(314)과 지지암(316) 및 작동파지암(315)을 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시켜 준다.
도 8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귀되는 고정파지암(314)은 인입측마이크로스위치(340)를 터치하게 되고, 인입측마이크로스위치(340)가 터치되면 방향전환장치부(300)는 다른 스위치박스를 방향전환시킬 수 있도록 준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펀칭장치부(13)의 후측에 설치된 180도방향전환장치부(300)에 의해 180도 방향전환된 스위치박스가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타면(배면)을 펀칭하는 펀칭장치부(14)로 이송되면, 이송컨베이어(7)에 설치된 스토퍼(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가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를 정지시킨다.
스토퍼에 의해 이송컨베이어(7) 선상에 정지된 스위치박스는 장전입출장치(14-1)에 의해 전진하여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펀칭장치부(14)의 받침플레이트(31)에 장착된 펀칭성형금구(39)에 장전되며, 펀칭장치부(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펀칭장치부(13)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타면(배면)에 절취편(4)을 형성시켜 주며, 펀칭장치부(14)는 전술한 바와 같은 펀칭장치부(13)와 동일하게 작동하므로 작동관 계는 생략한다.
펀칭장치부(14)에 의해 타면(배면)에 절취편(4)이 성형된 스위치박스는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는 도중에 도 9a 및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은 90도방향전환장치(400)에 의해 방향이 90도 전환된다.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는 전환유도스톱퍼(401)에 의해 정지되고, 스위치박스가 전환유도스톱퍼(401)에 의해 정지되면 감지센서(402)가 정지된 스위치박스를 감지하게 되며, 정지된 스위치박스가 감지센서(402)에 의해 감지되면 전진되어 있는 전환용실린더(414)가 작동하여 견인봉(415)을 인출시켜 스위치박스의 내부로 인입시켜 준다.
전환용실린더(414)의 견인봉(415)이 도 9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박스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견인용실린더(411)가 작동하여 이송컨베이어(7)의 진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전환유도스톱퍼(401)에 걸려져 있는 스위치박스는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회전하여 일 측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90도 각도로 방향이 전환되며, 90도 각도로 방향이 전환된 스위치박스는 지지실린더(403)의 지지바(404)에 의해 걸려 회전이 중지되어 전환유도스톱퍼(401)와 지지바(404)와의 사이에서 이송컨베이어(7)에 안치된다.
90도 각도로 방향이 전환된 스위치박스가 전환유도스톱퍼(401)와 지지바(404)와의 사이에서 이송컨베이어(7)에 안치되어 정지되면(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 지지실린더(403)가 역으로 작동하여 지지바(404)를 회수하여 억류상태를 해제시키고, 억류상태가 해제된 스위치박스는 작동되는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 어 일 측면에 절취편(4)을 성형하여 주는 차기 공정의 펀칭장치부(15)로 이동하게 된다.
90도방향전환장치(400)에 의해 방향이 90도 전환되어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는 스위치박스가 펀칭장치부(15)로 이송되어오면, 이송컨베이어(7)에 설치된 스토퍼(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가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를 정지시킨다.
스토퍼에 의해 이송컨베이어(7) 선상에 정지된 스위치박스는 장전입출장치(15-1)에 의해 전진하여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펀칭장치부(14)의 받침플레이트(31)에 장착된 펀칭성형금구(39)에 장전되며, 펀칭장치부(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펀칭장치부(13)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일 측면에 절취편(4)을 형성시켜 주며, 펀칭장치부(15)는 전술한 바와 같은 펀칭장치부(13)와 동일하게 작동하므로 작동관계는 생략한다.
특히, 펀칭장치부(15)가 상기와 같이 작동하여 일 측면에 절취편(4)을 형성시켜 줄 때에 상단 중앙부에 형성된 돌편(2-6)을 프레싱하여 장착편(5)으로 형성시켜 주고, 동시에 양단에 형성된 모서리돌편(2-7)을 제거한다.
펀칭장치부(15)에 의해 일 측면에 절취편(4)이 형성되어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는 도 8a 및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펀칭장치부(15)의 후방에 설치된 180도방향전환장치부(300)로 이동한다.
이송컨베이어(7)를 따라 180도방향전환장치부(300)로 이동하는 스위치박스는 스톱퍼(330)의 실린더(331)에 장착된 로드(332)에 의해 이송컨베이어(7) 선상에 정지되고, 180도방향전환장치부(300)는 일 측면에 절취편(4)이 형성된 스위치박스를 180도 회전(도립)시켜 이송컨베이어(7)에 안치시켜 주며, 이와 같이 작동하는 180도방향전환장치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작동하므로 구체적인 작동관계는 생략한다.
펀칭장치부(15)의 후방에 설치된 180도방향전환장치부(300)에 의해 절취편(4)이 형성된 일 측면이 저면을 향하고 타 측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도립 된 스위치박스는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어 차기 공정인 펀칭장치부(16)로 이송된다.
펀칭장치부(16)로 이송된 스위치박스는 이송컨베이어(7)에 설치된 스토퍼(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정지된다.
스토퍼에 의해 이송컨베이어(7) 선상에 정지된 스위치박스는 펀칭장치부(16)의 장전입출장치(16-1)에 의해 전진하여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펀칭장치부(14)의 받침플레이트(31)에 장착된 펀칭성형금구(39)에 장전되며, 펀칭장치부(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펀칭장치부(13)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타 측면에 절취편(4)을 형성시켜 주며, 펀칭장치부(16)는 전술한 바와 같은 펀칭장치부(13)와 동일하게 작동하므로 작동관계는 생략한다.
특히, 펀칭장치부(16)가 작동하여 타 측면에 절취편(4)을 형성시켜 줄 때에 상단 중앙부에 형성된 돌편(2-6)을 프레싱하여 장착편(5)으로 형성시켜 주고, 동시에 양단에 형성된 모서리돌편(2-7)을 제거한다.
펀칭장치부(16)에 의해 타 측면에 절취편(4)이 형성된 스위치박스는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차기 공정인 펀칭장치부(17)로 이송되면서 도 10a 내지 도 10d에 예시된 바와 같은 X축방향전환장치(600)와 Y축방향전환장치(61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된다.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는 스위치박스가 X축방향전환장치(600)의 방향전환용지지플레이트(601)를 통과할 때에 선행 면의 상측 부분이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걸려지고 하측은 계속 이동하게 되므로 스위치박스는 진행방향의 반대방향(X축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눕혀지면서 방향이 전환된다.
X축방향전환장치(600)의 방향전환용지지플레이트(601)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눕혀지면서 방향이 전환된 스위치박스는 작동하는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계속 이동하여 도 10a에 예시된 바와 같이 Y축방향전환장치(610)로 인입된다.
Y축방향전환장치(610)로 인입된 스위치박스는 스톱퍼실린더(618)의 스톱퍼봉(619)에 의해 정지되고, 감지센서(602)는 정지된 스위치박스를 감지하여 방향전환용실린더(612)를 순간적으로 작동시켜 로드(612-1)와 함께 푸셔(613)를 전후진 시키게 되고, 푸셔(613)가 전후진 될 때에 가이드봉(616)이 가이드블럭(614)에 형성된 가이드장공(615)을 따라 전후진 하게 되므로 푸셔(613)은 직선상으로 요동 없이 전후진 하게 된다.
방향전환용실린더(612)가 순간적으로 작동하면서 푸셔(613)를 전후진 시키게 되면, 스톱퍼봉(619)에 의해 정지된 스위치박스는 도 10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만곡상향유도플레이트(620)를 따라 상향 이동하면서 방향이 전환(Y축 방향으로)되고, Y축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 스위치박스는 만곡상향유도플레이트(620)를 따라 방향이 전환(개방부가 상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하면서 하향하여 도10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7)의 위에 안치되며, 이와 동시에 스톱퍼실린더(618)가 역으로 작동하여 스톱퍼봉(610)을 지지대의 외측으로 회수하여 억류상태를 해제시켜 준다.
특히, 스위치박스가 만곡상향유도플레이트(620)를 따라 상승 및 하향할 때에 가이드판(621)은 스위치박스가 이탈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상승 및 하향)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개방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된 스위치박스는 작동하는 이송컨베이어(7)의 위에 안치됨과 동시에 이동(배출)하게 되고, 방향이 전환된 스위치박스가 작동하는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배출될 때에 확개편(7-1)과 정렬유도판(622)은 스위치박스가 이송컨베이어(7)로 원활하게 전이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X축방향전환장치(600)와 Y축방향전환장치(61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는 펀칭장치부(17)로 이동하게 된다.
펀칭장치부(17)로 이동한 스위치박스는 이송컨베이어(7)에 설치된 스토퍼(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의해 정지된다.
스토퍼에 의해 이송컨베이어(7) 선상에 정지된 스위치박스는 장전입출장치(17-1)에 의해 전진하여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펀칭장치부(14)의 받침플레이트(31)에 장착되고 펀칭성형금구(39)가 제거된 지지블럭(39-1)의 전면에 억류되어 지지되며, 펀칭장치부(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펀칭장치부(13)와 동일하게 작동하여 밑면에 절취편(4)을 형성시켜 주며, 펀칭장치부(17)는 전술한 바와 같은 펀칭장치부(13)와 동일하게 작동하므로 작동관계는 생략한다.
밑면에 절취편(4)이 형성된 스위치박스는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면서 직립방향전환장치(700)에 의해 개방부가 차후에 설명되는 장착편절곡장치부(18)를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된다.
직립방향전환장치(700)로 인입되는 스위치박스는 스톱퍼실린더(704)의 스톱퍼봉(705)에 의해 정지되고, 푸시용실린더(701)가 작동하여 푸셔(702)를 전진시켜 정지된 스위치박스를 밀어 경사지게 설치된 작동판(710)의 위로 이동시키며, 도 1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박스가 작동판(710)의 위로 이동되면 스위치박스의 후단면(배면)은 스톱퍼(712)에 걸려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스위치박스가 작동판(710)의 위로 이동하여 스톱퍼(712)에 걸려진 상태에서 푸시용실린더(701)는 역으로 작동하여 푸셔(7-2)를 후진시키고, 동시에 장치대(720)에 후단부장착편(723)이 축(726)으로 설치된 방향전환용실린더(721)가 작동하여 선단장착편(722)을 전진시킨다.
방향전환용실린더(721)가 작동하게 되면 축(725)으로 연결된 작동판(710)은 도 11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힌지(711)를 기준으로 직립으로 세워지면서 안치된 스위치박스를 전방을 향하도록 눕혀주게 되며, 이와 동시에 푸시용실린더(701)는 역으로 작동하여 푸셔(7-2)를 후진시켜 눕혀지는 스위치박스가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지지해 주게 된다.
스위치박스가 이송컨베이어(7)의 위에 완전히 눕혀지면 방향전환용실린더(721)가 역으로 작동하여 작동판(710)을 도 1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 상태로 복귀시켜 주며, 이와 동시에 스톱퍼실린더(704)가 역으로 작동하여 스톱퍼봉(705)을 회수(제거)하여 주며, 스톱퍼봉(705)이 제거되면 개방부가 장착편절곡장치부(18)를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된 스위치박스는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차기 공정의 장착편절곡장치부(18)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는 스위치박스가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장착편절곡장치부(18)로 인입되면 스토퍼실린더(816)의 스톱퍼봉(817)에 의해 정지되고, 스톱퍼봉(817)에 의해 정지된 스위치박스는 장전인출용실린더(812)의 작동에 의해 전진하는 영구자석이 매설된 밀판(813)에 의해 장치틀(801)에 장착된 절곡금구(802)로 인입 장전되며, 스위치박스가 절곡금구(802)로 인입 장전되면 개방부의 선단(상단)에 형성된 각 장착편(5)이 절곡금구(802)에 형성된 절곡유도홈(803)으로 유입되면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다.
밀판(813)과 함께 스위치박스가 전진하여 선단에 형성된 장착편(5)이 완전히 내측으로 절곡되면 장전인출용실린더(812)가 역으로 작동하여 전진된 밀판(813)과 함께 스위치박스를 후진시키게 되고, 상기와 같이 장전인출용실린더(812)가 정역으로 작동하여 밀판(813)을 전후진 시킬 때에 밀판(813)의 배면 양측에 장착된 가이드봉(814)이 장치대(811)에 고정된 가이드블럭(815)을 따라 전후진 하게 되므로 밀판(813)은 요동 없이 직선상으로 전후진 하게 되며, 상기 밀판(813)이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의 외측으로 완전히 벗어나면서 스위치박스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톱퍼실린더(816)가 역으로 작동하여 인출된 스톱퍼봉(817)을 회수하여 억류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면 장착편(5)이 내측으로 절곡된 스위치박스는 작동되는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어 차기 공정인 탭성형장치부(19)로 이동하게 된다.
탭성형장치부(19)로 이동한 스위치박스는 내측으로 절곡된 장착편(5)에 탭공(6)을 성형시켜 주게 되는데, 상기 탭성형장치부(19)는 본인에 선출되어 특허 제10-465842호로 등록된 '금속제 박스제조용 무인화장동화장치'에 설치된 탭가공수단을 이용하였으므로 탭성형장치부(19)의 작동관계는 생략한다.
탭성형장치부(19)에 의해 장착편(5)에 탭공(6)을 성형된 스위치박스는 배출컨베이어(8)에 의해 포장장치부(9)로 이동하여, 복수 개씩이 자동으로 다열 종대(또는 횡대)로 정렬되어 다층으로 포장상자에 수납되어 자동으로 포장된다.
상기와 같은 포장장치부(9)는 본인에의 해 선출원 되어 특허 제10-293724호로 선등록된 "평판형 제품의 자동수납장치"를 적용하여 사용하였으므로 포장장치부(9)의 작동관계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스위치박스 제조시스템(1)에서 각 펀칭장치부(13)(14)(15)(16)(17) 및 탭성형장치부(19)의 전방에 설치되어 직사각형스위치박스(2) 또는 정사각형스위치박스(3)와 같은 스위치박스를 장전 및 인출시켜 주는 도 13에 예시된 스위치박스장전인출장치(13-1)(14-1)(15-1)(16-1)(17-1)(19-1)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여 스위치박스를 장전 및 인출시켜 주게 된다.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는 보조장치대(712)에 설치된 스톱퍼실린더(710)의 스톱퍼봉(711)에 의해 정지되고, 장전인출장치대(904)에 설치된 장전인출용실린더(900)가 작동하여 로드(901)를 인출시켜 로드(901)의 선단에 장착된 착탈편(902)을 전진시켜 정지된 스위치박스를 펀칭장치부(13)(14)(15)(16)(17) 및 탭성형장치부(19)에 인입(장전)시켜 주는데, 착탈편(902)의 전면에는 영구자석(903)이 매설되어 있으므로 금속제로 형성된 스위치박스를 부착시킨 상태에서 전진하게 된다.
펀칭장치부(13)(14)(15)(16)(17) 및 탭성형장치부(19)가 작동하여 소정의 공정을 실시한 후에, 장전인출용실린더(900)가 역으로 작동하여 인출된 로드(901)를 복귀시켠서 전진 된 착탈편(902)을 후퇴시키게 되는데, 착탈편(902)의 전면에 매설된 영구자속(903)의 자력에 의해 스위치박스도 함께 후진하면서 배출된다.
착탈편(902)이 지지대의 외측으로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스위치박스는 착탈편(902)에서 분리되어 이송컨베이어(7) 선상에 남게 되고, 스톱퍼실린더(710)가 역으로 작동하여 스톱퍼봉(711)을 회수(제거)하여 줌으로서 작동되는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차기 공정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1)은 상기와 같은 과정(공정)을 단속적이면서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직사각형스위치박스(2) 또는 정사각형스위치박스(3)와 같은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를 성형하고, 성형 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의 외면(전후면 및 좌우 측면)과 밑면에 절취편(4)을 자동으로 각각 형성하며, 개방부의 상단에는 장착편(5)을 형성하고 탭공(6)을 성형시켜 준 후에, 포장상자에 복수 개씩을 정렬 내장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은, 철판을 공급하여 프레스성형장치에 의해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로 성형하고, 성형된 스위치박스의 외면과 저면에 절취편을 형성하며, 상단에 형성된 장착편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탭공을 형성하며, 성형이 완료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를 배출시켜 포장상자에 담아 포장함으로써, 일련의 공정을 완전히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고, 작업자의 투입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성형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롤 타입으로 된 철판을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를 성형하는 프레스성형장치에 공급할 때에 상하로 장착된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지지하여 줌으로서 프레싱 성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충격이 철판공급장치 측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하여 철판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며, 프레스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를 배출장치에 의해 프레스성형장치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배출시키고 프레스성형장치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스위치박스가 슬라이더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자세를 변형시켜 줌으로서 첫 펀칭(프레스)장치에 용이하게 장전 및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의 각 면(전면ㆍ배면ㆍ양 측면 ㆍ밑면)에 절취편을 펀칭(프레스) 성형할 때에 장전인출장치의 착탈편에 의해서만 지지하고 동시에 펀칭플레이트에 장착된 억류편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억류하면서 펀칭(프레스)을 실시함으로써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가 흔들리거나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절취편을 원활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2)

  1.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를 스위치박스장전입출장치(13-1)(14-1)(15-1)(16-1)(17-1)에 의해 펀칭장치부(13)(14)(15)(16)(17)의 펀칭성형금구(39)에 장전/인출시키면서 스위치박스의 전면과 배면 및 양 측면과 밑면에는 절취편(4)을 각각 펀칭 형성하되, 인접하는 펀칭장치부(13)(14)(15)(16)(17)의 각 사이사이에서 이송컨베이어(7)의 상측에는 180도방향전환장치(300)와 90도방향전환장치(400) 및 X축방향전환장치(600)와 Y축방향전환장치(610)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스위치박스의 위치를 변형시키면서 펀칭을 실시하고, 외면과 밑면에 절취편(4)이 형성된 스위치박스를 스위치박스장전입출장치부(810)에 의해 장착편절곡장치부(18)로 장전/인출시키면서 스위치박스의 개구부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편(5)들을 내측으로 절곡시키며, 장착편(5)들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를 스위치박스장전입출장치(19-1)에 의해 탭성형장치부(19)에 장전/인출하면서 내측으로 각 장착편(5)에 탭공(6)을 각각 뚫어준 후에 배출시키도록 된 것에 있어서,
    이송컨베이어(7)의 선단에는 통상의 철판공급장치(10)와 철판지지장치(11) 및 프레스성형장치부(12)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철판공급장치(10)에서 공급되는 철판을 철판지지장치(11)에 의해 지지하면서 프레스성형장치부(12)에 의해 통상의 스위치박스를 프레스 성형하여 배출시키도록 한 것과;
    프레스성형장치부(12)의 배출 측에는 방향전환장치부(25)를 설치하여 성형 배출되는 스위치박스를 펀칭장치부(13)에 공급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시켜 이송컨베이어(7)로 공급시키도록 한 것과;
    탭성형장치부(19)의 배출측에 설치되는 배출컨베이어(8)의 단부에는 포장장치부(9)를 설치하여 스위치박스를 포장상자에 수납하여 배출시키도록 한 것;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최 선단에 설치되는 철판공급장치(10)는,
    한 쌍의 장치대를 이격 형성한 공급장치틀(100)과,
    공급장치틀(100)의 내부에서 하측 일편에는 전후로 이격시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철판(S)이 감아진 롤(Roll)이 안치되는 한 쌍의 받침롤러(102)와;
    공급장치틀(100)의 내부에서 반대편의 상측에는 한 쌍씩이 상하 다중으로 설치되어 철판(S)을 통과시키는 공급지지롤러(103)와;
    공급지지롤러(103)가 다중으로 설치되는 공급장치틀(100)의 외측 상단에 고정되는 지지대(104)와, 그 지지대(104)에 복수 개가 순차적으로 하향하도록 설치되는 받침롤러(105):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철판공급장치(10)의 배출측에 설치되는 철판지지장치(11)는,
    삼각형상으로 된 한 쌍의 지지대가 이격 설치되고 받침다리(113)에 의해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는 지지장치틀(110)과;
    지지장치틀(110)의 내부 상측부에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철판(S)을 받쳐주는 받침롤러(111)와;
    최후방에 한 쌍이 설치되어 철판(S)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12)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철판공급장치(10)의 후측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철판(S)을 스위치박스로 성형하는 프레스성형장치부(12)는;
    승강플레이트(20)의 저면에는 성형승강플레이트(21)를 일체형으로 설치하고, 그 하측에는 성형고정플레이트(22)를 설치하되, 성형승강플레이트(21)의 저면과 성형고정플레이트(22)의 상면에는 상측성형금구(21-1)와 하측성형금구(22-1)를 각각 장착한 것에 있어서;
    상기, 승강플레이트(20)와 성형승강플레이트(21)의 사이에는 공간부(23)를 형성하여 상측성형금구(21-1)와 하측성형금구(22-1)에 의해 성형 된 스위치박스가 공간부(23)로 상승하도록 한 것과;
    승강플레이트(20)와 성형승강플레이트(21)와의 사이에는 로드의 선단에 푸셔(24-1)가 장착된 배출용실린더(24)를 지지틀(24-2)에 의해 설치하여 상측성형금구(21-1)와 하측성형금구(22-1)에 의해 성형되어 상승하는 스위치박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레스성형장치부(12)의 배출 측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장치부(25)는,
    프레스성형장치부(12)의 승강플레이트(20)와 성형승강플레이트(21)의 사이에축(26-2)으로 유동 되게 굴대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직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변형되는 방향전환유도판(26-1)이 구비된 움직배출슬라이더(26)와;
    움직배출슬라이더(26)의 하단에 축(26-3)으로 유동되게 굴대 설치되고 상면에 이탈방지대(27-1)가 구비된 고정슬라이더(27)와;
    고정슬라이더(27)의 하단에 설치되는 공급컨베이어(28);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송컨베이어(7)의 일측 편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펀칭장치부(13)(14)(15)(16)(17)는;
    고정형으로 된 받침플레이트(31)의 상측에는 상하작동수단에 의해 승하강되는 펀칭플레이트(30)와 지지플레이트(33)를 상하로 이격시켜 설치하고, 펀칭플레이트(30)의 저면 중앙에는 펀칭금구(32)를 장착하고 지지플레이트(33)의 중앙에는 유통공(33-1)을 뚫어 펀칭금구(32)가 유통공(33-1)으로 유입시키며, 펀칭플레이트(30)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복수 개의 지지봉(35)을 일체로 형성하여 코일스프링(36)을 끼워주고 지지플레이트(33)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공(33-3)을 각각 뚫어 코일스프링(36)이 끼워진 지지봉(35)을 삽입시킨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플레이트(31)의 상면에는 펀칭성형금구(39) 또는 고정금구(39-1)를 고정시킨 것과;
    펀칭플레이트(30)의 전면 중앙부에는 하단 양측에 억류편(34-1)이 일체로 형성된 억류지지플레이트(34)를 장착하여 펀칭플레이트(30)가 펀칭할 때에 스위치박스를 억류하고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최종 펀칭장치부(17)의 후측에 설치되는 장착편절곡장치부(18)는;
    이송컨베이어(7)의 일측 유통부의 외측에는 받침플레이트(804)를 구비하고, 받침플레이트(804)의 상면 중앙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장치틀(801)을 장착하며, 장치틀(801)의 내부 중앙에는 전면 양측에 절곡유통홈(803)이 형성된 절곡금구(802)를 장착한 펀칭절곡장치(800)와;
    타측 유통부의 외측에 장치대(811)를 설치하고, 장치대(811)의 상면 중앙선상에는 로드의 선단에 밀판(813)이 장착된 장전인출용실린더(812)를 설치하며, 장전인출용실린더(812)의 양측에서 장치대(814)에는 가이드블럭(815)을 나란하게 장착하고 밀판(813)의 배면 양단에는 가이드봉(814)을 가이드블럭(815)에 삽입되어 통과하도록 장착하며, 배출 측에서 장치대(811)의 일측에는 스톱퍼봉(817)이 로드에 고정된 스톱퍼실린더(816)를 설치한 스위치박스장전인출장치부(810);를 포함하 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펀칭장치(13)와 펀칭장치(14) 및 펀칭장치(15)와 펀칭장치(16)의 사이에 설치되는 180도방향전환장치부(300)는;
    이송컨베이어(7)를 형성하는 일측 지지대의 외측에 로드가 이송컨베이어(7)의 내측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정역회전실린더(312)와;
    정역회전실린더(312)의 로드에 고정되고 양단에 고정파지암(314)과 지지암(316)이 일체로 형성된 반전암(313)과;
    지지암(316)의 외면 중앙에 내측을 향하여 설치되고, 로드의 선단에는 작동파지암(315)이 장착되는 파지용에어실린더(317)와;
    고정파지암(314)과 작동파지암(315)의 각 내면 양측에 설치되는 패드(318)와;
    정역회전실린더(312)의 양측에서 이송컨베이어(7)의 지지대에 각각 설치되는 인입측마이크로스위치(340)와 배출측마이크로스위치(350)와;
    인입측마이크로스위치(340)의 전방에 설치되어 로드(332)에 의해 공급되는 스위치박스의 이송을 단속하는 스톱퍼실린더(331)와;
    스톱퍼실린더(331)의 전방에서 타측 지지대를 절개하여 공간부를 확보하고 공간부의 외측에 설치된 정렬장치(320)와;
    공간부가 확보된 지지대의 외측에 장치판(321)이 장착되고, 장치판(321)의 상면 양측에 한 쌍의 정렬실린더(322)가 이송컨베이어(7)를 향하도록 장착되며, 각 정렬실린더(322)의 로드에 푸셔패드(323)가 각각 장착된 정렬장치(320);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펀칭장치(14)와 펀칭장치(15)의 사이에 설치되는 90도방향전환장치부(400)는;
    이송컨베이어(7)에서 스위치박스의 개방부를 향하도록 일측 지지대의 외측에 전방을 향하도록 장착되는 견인용실린더(411)와;
    견인용실린더(411)의 로드에 고정된 브래킷(413)에 이송컨베이어(7)를 향하도록 장착되고, 견인용실린더(411)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되며, 로드에 고정된 견인봉(415)을 지지대의 내외로 인입/배출시키는 전환용실린더(414)와;
    견인봉(415)이 전후진 작동하는 선단지점과 후단지점 사이의 중간에서 타측 지지대에 교차형으로 장착되는 전환유도스톱퍼(401)와;
    견인봉(415)이 후진 작동하는 후단지점의 후단에서 타측의 지지대에 장착되고, 로드에 고정된 지지바(404)를 그 지지대의 내외로 인입/배출시키는 지지실린더(403)와;
    전환유도스톱퍼(401)의 전방에서 지지대에 장착되어 전환유도스톱퍼(401)에 의해 정지되는 스위치박스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02)와;
    지지대에 장착되어 단부가 이송컨베이어(7)의 상측에서 지지실린더(403)의 지지바(404)의 상측까지 덮어지는 유도지지플레이트(405);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펀칭장치부(16)와 펀칭장치부(17)의 사이에 설치되는 X축방향전환장치(600)는;
    이송컨베이어(7)의 일측 지지대에서 상측 전방으로 경사지게 방향전환용지지플레이트(601)를 설치하여, 이송되는 스위치박스의 상단부가 방향전환용지지플레이트(601)에 걸리면서 눕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펀칭장치부(16)와 펀칭장치부(17)의 사이에 설치되는 Y축방향전환장치(610)는;
    이송컨베이어(7)에 의해 이송되는 스위치박스의 밑면이 인접하는 일측 지지대의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장치대(611)와;
    장치대(611)의 상면 중앙선상에 이송컨베이어(7)를 향하도록 장착되고, 로드에 푸셔(613)가 장착되는 방향전환용실린더(612)와;
    가이드장공(615)이 뚫어진 가이드블럭(614)이 방향전환용실린더(612)의 양측에 설치되고 푸셔(613)의 배면 양측에 장착된 가이드봉(616)이 각 가이드블럭(614)의 가이드장공(615)에 삽입되는 가이드수단과;
    장치대(611)의 전면 선단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스위치박스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02)와;
    장치대(611)의 전면 후단에 설치되어 스위치박스의 이송을 스톱퍼봉(619)에 의해 단속하는 스톱퍼실린더(618)와;
    지지대에 장치대(611)와 대향되게 장착되는 만곡상향유도플레이트(620)와;
    만곡상향유도플레이트(620)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판(621)과;
    후단부에 설치되어 확개편(7-1)의 선단이 타측 지지대의 내측에 위치하는 정렬유도판(622);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펀칭장치부(17)와 장착편절곡장치부(18)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향전환장치(700)는;
    이송컨베이어(7)의 일측 지지대에 고정된 장치대(703)에 장착되고 로드에 푸셔(702)가 장착된 푸싱용실린더(701)와;
    푸싱용실린더(701)의 후측에 보조장치대(706)에 의해 장착되고 로드에 스톱퍼(705)가 장착된 스톱퍼실린더(704)와;
    타측 지지대에 푸싱용실린더(701)와의 대향하도록 힌지(711)에 의해 장착되고, 상면 상측부에는 스톱퍼(712)가 장착되고 밑면 중간에는 고정편(713)이 장착된 작동판(710)과;
    작동판(710)의 하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장치대(720)에 후단장착편(723)이 고정편(724)에 축(726)으로 굴대 설치되고, 로드에 고정된 선단장착편(722)이 작동판(710)의 고정편(713)에 축(725)으로 장착되는 방향전환장치용실린더(721)와;
    장치대(720)의 상면 선단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작동판(710)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봉(727);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KR1020060075591A 2006-08-10 2006-08-10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KR100865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591A KR100865578B1 (ko) 2006-08-10 2006-08-10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591A KR100865578B1 (ko) 2006-08-10 2006-08-10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216A KR20080014216A (ko) 2008-02-14
KR100865578B1 true KR100865578B1 (ko) 2008-10-28

Family

ID=3934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591A KR100865578B1 (ko) 2006-08-10 2006-08-10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5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044B1 (ko) * 2017-03-23 2018-09-04 (주)대림엠티아이 차량의 스티어링 요크 가공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938U (ko) * 1991-11-29 1993-06-25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KR20040098967A (ko) * 2003-05-16 2004-11-26 김세환 스위치 박스 4측면 가공을 위한 캠금형 구조 및 그의 작동방법
KR100465842B1 (ko) 2003-01-18 2005-01-13 대명전기주식회사 금속제 박스제조용 무인자동화라인
JP2007009712A (ja) * 2005-06-28 2007-01-18 Mazda Motor Corp リニア空燃比センサの劣化診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938U (ko) * 1991-11-29 1993-06-25 주식회사 에스 · 케이 · 씨 테이프카세트 집적장치
KR100465842B1 (ko) 2003-01-18 2005-01-13 대명전기주식회사 금속제 박스제조용 무인자동화라인
KR20040098967A (ko) * 2003-05-16 2004-11-26 김세환 스위치 박스 4측면 가공을 위한 캠금형 구조 및 그의 작동방법
JP2007009712A (ja) * 2005-06-28 2007-01-18 Mazda Motor Corp リニア空燃比センサの劣化診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044B1 (ko) * 2017-03-23 2018-09-04 (주)대림엠티아이 차량의 스티어링 요크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216A (ko) 200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15151B2 (ja) 熱交換器組立装置のパイプ挿入装置
CN105129413B (zh) 一种双面上下料机
US9101973B2 (en) Laminated work production method
US7726166B2 (en) Multi-step press system
CN105562541A (zh) 全自动冲压机
CN106862411B (zh) 一种导板检测分离、翻面、废料裁断装置
CN107344677A (zh) 一种自动上料机构
CN109941693B (zh) 一种托辊管自动送料下料装置及其工作方法
EP2268429B1 (en) Feeding device and method for bars
EP1706231B1 (en) Feeder device for bars and relative feeding method
CN207577551U (zh) 一种轴管上料机的推进装置
JPH0441029A (ja) 多数個取り小製品の仕分け集積装置
KR100865578B1 (ko) 금속제 스위치박스 또는 아웃렛박스 제조시스템
WO1994011145A1 (en) Work transferring device for heat cutting machine
JP2018039534A (ja) 物品搬送装置
CN108946183B (zh) 高效盒体码垛机
CN107089389B (zh) 一种自动化电子盘包装线
KR100284757B1 (ko) 자동태핑장치
CN114056662A (zh) 一种瓷砖自动包装生产线
KR101621492B1 (ko) 환형소재 가공용 cnc 선반
KR100465842B1 (ko) 금속제 박스제조용 무인자동화라인
KR20110101925A (ko) 반도체 패키지 리드 프레임 매거진의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
CN109351830B (zh) 精密高效全自动冲压生产线
JP2007069239A (ja) 自動プレス設備
KR101635532B1 (ko) 환형소재 가공용 cnc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