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220B1 -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220B1
KR101920220B1 KR1020170008354A KR20170008354A KR101920220B1 KR 101920220 B1 KR101920220 B1 KR 101920220B1 KR 1020170008354 A KR1020170008354 A KR 1020170008354A KR 20170008354 A KR20170008354 A KR 20170008354A KR 101920220 B1 KR101920220 B1 KR 101920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nut
steering
manual wheelchair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128A (ko
Inventor
신강목
김경희
곽정현
Original Assignee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엠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70008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2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2Front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3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 B62K5/025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power-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는 바퀴와 핸들을 연결하는 조향축이 되는 스티어링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티어링부, 상기 스티어링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티어링부와 수동 휠체어를 연결하는 프레임부, 상기 스티어링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된 상기 수동 휠체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Power Assistive Device for Manual Wheelchair}
본 발명은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 휠체어에 결합하여 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수동 휠체어를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는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장애인, 노약자 그리고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상태에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를 말한다.
이러한, 휠체어는 그 구동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휠체어와,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휠체어로 구분된다.
상술한 수동휠체어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바퀴를 구동시켜야 하므로 장거리 운행이 어렵고 불편할 뿐 아니라 경사도 운행시 사용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뒤로 밀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보호자 또는 사용자가 직접 힘을 가하여 운전해야 하기 때문에 힘이 약한 노약자는 운행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전동휠체어는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으나, 실외용으로 사용되어 실내에서는 별도의 수동휠체어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동휠체어에 별도의 보조동력장치를 구비하여 경우에 따라 상기 보조동력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동휠체어에 보조동력장치를 결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운행이 간편하도록 하였다.
한편, 일반적으로 수동 휠체어에는 사용자가 손잡이 휠을 손으로 굴리는 구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바퀴와, 구동바퀴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구동바퀴의 회전에 의해 종속적으로 회전하는 보조바퀴가 마련된다.
보조 동력 장치를 이용하여 수동 휠체어를 구동 시, 핸들이 마련된 보조 동력 장치는 수동 휠체어의 전방에 연결되는데, 수동 휠체어의 보조바퀴가 지면에 접한 상태에서 보조 동력 장치를 구동시키면 보조바퀴가 지면에 존재하는 요철이나 각종 장애물을 밟고 주행하게 되기 때문에 수동 휠체어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여 안정적인 주행이 불가능한 단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74161 한국공개특허 10-2012-004465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보조 동력 장치에 의해 수동 휠체어를 구동 시, 보조바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수동 휠체어의 보조바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수동 휠체어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의 수동 휠체어에 적용될 수 있는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는 스티어링부, 프레임부 및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티어링부는 바퀴와 핸들을 연결하는 조향축이 되는 스티어링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스티어링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티어링부와 수동 휠체어를 연결한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스티어링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된 상기 수동 휠체어의 각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턴버클 방식으로 상기 스티어링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각도조절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동 휠체어의 보조바퀴를 지면과 선택적으로 이격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스티어링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스티어링부에 연결하는 제 1 너트, 상기 스티어링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너트와 반대 방향의 나사가 형성되는 제 2 너트 및 상기 제 1 너트와 상기 제 2 너트에 삽입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너트 및 상기 제 2 너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너트는 일단이 상기 스티어링부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트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너트는 상기 스티어링부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 1 너트와 체결되는 제 1 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수동 휠체어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 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수동 휠체어의 너비에 따라 상기 수동 휠체어와 결합된 측의 폭이 가변되는 한 쌍의 제 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는 프레임부와 수동 휠체어를 결합하는 클램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수동 휠체어에 체결되며,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커넥팅 브라켓, 상기 제 2 프레임의 말단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클램프 브라켓 및 상기 클램프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넥팅 브라켓과 상기 클램프 브라켓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너트와 상기 제 2 너트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스티어링 프레임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면서 상기 수동 휠체어의 보조바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너트와 상기 제 2 너트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스티어링 프레임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면서 상기 수동 휠체어의 보조바퀴가 지면과 맞닿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에는 상기 스티어링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티어링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면 지면에 상기 스티어링부를 지지하여 상기 스티어링부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에 의하면 보조 동력 장치에 의해 수동 휠체어를 구동 시, 보조바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방지턱, 요철 및 장애물 존재 시에도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에 의하면 턴버클 방식으로 스티어링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수동 휠체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가 마련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수동 휠체어의 보조바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에 의하면 수동 휠체어에 체결되는 커넥팅 브라켓, 제 2 프레임에 결합되어 일부가 커넥팅 브라켓에 삽입되는 클램프 브라켓, 클램프 브라켓에 결합되어 클램프 브라켓과 커넥팅 브라켓을 결합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핑부가 마련되어 수동 휠체어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에 의하면 제 1 프레임의 양 측에 한 쌍의 제 2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 되어 한 쌍의 제 2 프레임 말단 사이의 거리가 가변됨으로써, 다양한 너비를 가지는 수동 휠체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의 전제척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의 프레임부의 확대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의 클램핑부의 결합 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의 플램핑부의 결합 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의 각도조절부의 확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에 수동 휠체어가 결합되어 수동 휠체어의 보조바퀴가 지면과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에 수동 휠체어가 결합되어 수동 휠체어의 보조바퀴가 지면과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수동 휠체어(20)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수동 휠체어(10)에는 사용자가 손잡이 휠을 손으로 굴리는 구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바퀴(24)와, 구동바퀴(24)보다 전방에 위치하며 구동바퀴(24)의 회전에 의해 종속적으로 회전하는 보조바퀴(22)가 마련된다.
보조 동력 장치를 이용하여 수동 휠체어(20)를 구동 시, 핸들이 마련된 보조 동력 장치는 수동 휠체어의 전방에 연결되는데, 수동 휠체어(20)의 보조바퀴(22)가 지면에 접한 상태에서 보조 동력 장치를 구동시키면 보조바퀴(22)가 지면에 존재하는 요철이나 각종 장애물을 밟고 주행하게 되기 때문에 수동 휠체어(20)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여 안정적인 주행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수동 휠체어 보조 주행 장치(10)는 방지턱이나 요철, 장애물 등이 있어도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수동 휠체어(20)의 보조바퀴(22)를 지면과 이격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의 전제척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10)는 스티어링부(100), 프레임부(200), 각도조절부(300) 및 클램핑부(400)를 포함한다.
스티어링부(100)는 바퀴(120)와 핸들(140)을 연결하는 조향축이 되는 스티어링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스티어링 프레임(110)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후술할 각도조절부(300)에 의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부(100)는 스티어링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스티어링 프레임(110)과 다른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프레임 브라켓(16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브라켓(160)은 스티어링 프레임(110)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후술할 구동장치(130) 및 각도조절부(300)가 프레임 브라켓(160)에 의해 스티어링 프레임(1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부(100)에는 프레임 브라켓(160)에 의해 바퀴(12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장치(13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장치(130)는 바퀴(120)를 구동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그러나, 구동장치(130)는 상술하는 모터에 한정되지 않고 바퀴(120)를 구동시키는 장치하면 어떤 것이든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장치(130)가 모터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장치(130)가 프레임 브라켓(160)에 의해 스티어링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구동장치(130)는 보조 동력 장치(10)의 어디에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부(100)에는 구동장치(130)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공급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에너지공급장치(미도시)로는 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에너지공급장치(미도시)는 연료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내연기관이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에너지공급장치(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에너지에 의하여 구동장치(130)가 구동되어 바퀴(120)가 회전하며 수동 휠체어(20)를 움직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의 프레임부의 확대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200)는 프레임 브라켓(160) 및 후술할 제 1 너트(310)에 의해 스티어링부(1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티어링 프레임(110)과 수동 휠체어(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프레임부(200)는 ‘ㄷ’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 2 프레임(220)과, 한 쌍의 제 2 프레임(220)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210)은 후술할 제 1 너트(310)에 의해 스티어링 프레임(110)과 연결되는 부분이며, 제 2 프레임(220)은 수동 휠체어(2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제 1 프레임(210)과 제 2 프레임(220)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 2 프레임(220)은 제 1 프레임(210)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 2 프레임(220)은 수동 휠체어(20)의 양 측 프레임에 연결되는데, 제 2 프레임(220)이 제 1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수동 휠체어(20)의 너비 또는 수동 휠체어(20)의 양 측 프레임의 폭에 따라 한 쌍의 제 2 프레임(220) 사이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수동 휠체어(2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의 클램핑부의 결합 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의 플램핑부의 결합 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조 동력 장치(10)와 수동 휠체어(20)와의 결합을 위하여 클램핑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클램핑부(400)는 커넥팅 브라켓(410), 클램프 브라켓(420) 및 클램프(4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브라켓(410)은 수동 휠체어(20)에 체결될 수 있다. 커넥팅 브라켓(410)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동 휠체어(20)에 체결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커넥팅 브라켓(410)은 집게 형태로 수동 휠체어(20)의 프레임을 파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동 휠체어(20)를 파지한 집게가 체결부재(414)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커넥팅 브라켓(410)은 수동 휠체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브라켓(410)에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미도시)에는 후술할 클램프 브라켓(420)의 삽입돌기(422)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커넥팅 브라켓(410)에는 결합돌기(41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412)에는 후술할 클램프(430)가 걸려 커넥팅 브라켓(410)과 상기 클램프 브라켓(4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램프 브라켓(420)은 제 2 프레임(220)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 브라켓(420)에는 커넥팅 브라켓(410)의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돌기(422)가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보조 동력 장치(10)와 수동 휠체어(20)가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430)는 클램프 브라켓(4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팅 브라켓(410)에 형성된 결합돌기(412)에 걸려 커넥팅 브라켓(410)과 클램프 브라켓(42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조 동력 장치(10)와 수동 휠체어(2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핑부(400)가 마련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보조 동력 장치(10)와 수동 휠체어(2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의 각도조절부의 확대도면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300)는 스티어링부(100)와 프레임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스티어링부(100)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프레임부(200)와 결합된 수동 휠체어(20)의 각도를 조절한다. 보다 상게하게는, 각도조절부(300)는 프레임 브라켓(160)에 의해 스티어링 프레임(110)에 결합되며, 프레임부(200)는 각도조절부(300) 중 후술할 제 1 너트(31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도조절부(300)는 턴버클 방식으로 스티어링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도조절부(300)는 제 1 너트(310), 제 2 너트(320) 및 볼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너트(310)는 프레임부(200)와 스티어링부(100) 사이에 배치되어 프레임부(200)를 스티어링부(100)에 연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너트(310)는 일측이 프레임 브라켓(16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 1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프레임부(200)를 스티어링부(100)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너트(310)는 프레임 브라켓(160)에 상, 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 너트(310)는 프레임 브라켓(160)에 지면과 수평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 너트(320)는 프레임 브라켓(16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너트(320)는 제 1 너트(310)보다 프레임 브라켓(16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너트(320)에는 제 1 너트(310)와 반대 방향의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너트(310)에 오른나사가 형성되면 제 2 너트(320)에는 왼나사가 형성되고, 제 1 너트(310)에 왼나사가 형성되면 제 2 너트(320)에는 오른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너트(320)는 일단이 프레임 브라켓(16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링크(36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즉, 링크(360)의 일단은 프레임 브라켓(1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링크(360)의 타단은 제 2 너트(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제 2 너트(320)는 스티어링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볼트(330)는 제 1 너트(310)와 제 2 너트(320)에 동시에 삽입되어 회전에 따라 제 1 너트(310)와 제 2 너트(3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너트(310)와 제 2 너트(320)에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가 형성되기 때문에 볼트(330)를 회전시키면 제 1 너트(310)와 제 2 너트(320)는 볼트(330)를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볼트(330)를 일측으로 회전하면 제 1 너트(310)와 제 2 너트(32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볼트(330)를 반대측으로 회전하면 제 1 너트(310)와 제 2 너트(32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볼트(330)의 상부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볼트(330)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손잡이(34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볼트(330)의 중앙부에는 제 1 너트(310) 및 제 2 너트(3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35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330)가 제 1 너트(310)와 제 2 너트(3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시에는 손잡이(340)에 의해 제 1 너트(310)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볼트(330)의 회전이 정지되고, 볼트(330)가 제 1 너트(310)와 제 2 너트(32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 시에는 스토퍼(350)에 의해 제 1 너트(310)와 제 2 너트(320)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볼트(330)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이로써, 볼트(330)가 제 1 너트(310) 및 제 2 너트(320)로부터 분리되거나, 제 1 너트(310)와 제 2 너트(320)가 서로 맞닿음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너트(310) 및 제 2 너트(320)의 이동거리를 제한함으로써 스티어링 프레임(110) 및 수동 휠체어(20)의 회전 각도 또한 제한되므로 수동 휠체어(20)의 보조바퀴(22)가 과도하게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볼트(330)의 과도한 회전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제 1 너트(310) 및 제 2 너트(320)가 프레임 브라켓(16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 됨으로써 볼트(330)의 회전에 따른 제 1 너트(310) 및 제 2 너트(320)의 각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볼트(330)의 회전에 따라 제 1 너트(310)와 제 2 너트(32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데, 이 때 제 1 너트(310)와 수동 휠체어(20)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화하지 않으며, 제 1 너트(310)를 기준으로 제 2 너트(320)의 상대적인 거리가 조절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에 수동 휠체어가 결합되어 수동 휠체어의 보조바퀴가 지면과 이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조 동력 장치(10)를 수동 휠체어(20)와 연결 후, 볼트(330)를 일측으로 회전하면 제 2 너트(320)가 제 1 너트(310) 측으로 이동하며 링크(360) 및 프레임 브라켓(160)에 의해 연결된 스티어링 프레임(110)의 하부를 당겨 지면과 스티어링 프레임(110)이 이루는 각도가 커질 수 있다. 지면과 스티어링 프레임(110)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면 수동 휠체어(20)와 연결된 프레임부(200)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수동 휠체어(20)의 보조바퀴(22)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바퀴(22)가 지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보조 동력 장치(10)가 구동되면, 보조바퀴(22)가 지면과 접하여 주행하는 경우보다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에 수동 휠체어가 결합되어 수동 휠체어의 보조바퀴가 지면과 맞닿은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주행 후 본 실시예의 보조 동력 장치(10)와 수동 휠체어(20)를 분리 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330)를 타측으로 회전하면 제 2 너트(320)가 제 1 너트(3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링크(360) 및 프레임 브라켓(160)에 의해 연결된 스티어링 프레임(110)의 하부를 밀어 지면과 스티어링 프레임(110)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 지면과 스티어링 프레임(110)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면 수동 휠체어(20)와 연결된 프레임부(200)의 높이가 낮아지면서 수동 휠체어(20)의 보조바퀴(22)가 다시 지면과 맞닿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보조 동력 장치(10)와 수동 휠체어(20)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10)는 지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50)는 스티어링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스티어링 프레임(110)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면 지면에 스티어링 프레임(110)을 지지하여 보조 동력 장치(1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보조 동력 장치 20: 수동 휠체어
100: 스티어링부 110: 스티어링 프레임
120: 바퀴 130: 구동장치
140: 핸들 150: 지지부
160: 프레임 브라켓 200: 프레임부
210: 제 1 프레임 220: 제 2 프레임
300: 각도조절부 310: 제 1 너트
320: 제 2 너트 330: 볼트
340: 손잡이 350: 스토퍼
360: 링크 400: 클램핑부
410: 커넥팅 브라켓 412: 결합돌기
414: 체결부재 420: 클램프 브라켓
422: 삽입돌기 430: 클램프

Claims (11)

  1. 바퀴와 핸들을 연결하는 조향축이 되는 스티어링 프레임을 포함하는 스티어링부;
    상기 스티어링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티어링부와 수동 휠체어를 연결하는 프레임부;
    상기 스티어링부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된 상기 수동 휠체어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동 휠체어의 보조바퀴를 지면과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스티어링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상기 스티어링부에 연결하는 제 1 너트, 상기 스티어링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너트와 반대 방향의 나사가 형성되는 제 2 너트, 상기 제 1 너트와 상기 제 2 너트에 삽입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너트 및 상기 제 2 너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턴버클 방식인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너트는,
    일단이 상기 스티어링부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링크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에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마련되는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너트는 상기 스티어링부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 1 너트와 체결되는 제 1 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수동 휠체어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 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수동 휠체어의 너비에 따라 상기 수동 휠체어와 결합된 측의 폭이 가변되는 한 쌍의 제 2 프레임;
    을 포함하는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수동 휠체어에 체결되며, 일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타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커넥팅 브라켓;
    상기 제 2 프레임의 말단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는 클램프 브라켓; 및
    상기 클램프 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넥팅 브라켓과 상기 클램프 브라켓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램프;
    를 포함하여 프레임부와 수동 휠체어를 결합하는 클램핑부가 마련되는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9. 제 1항, 제 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너트와 상기 제 2 너트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스티어링 프레임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면서 상기 수동 휠체어의 보조바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10. 제 1항, 제 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너트와 상기 제 2 너트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스티어링 프레임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면서 상기 수동 휠체어의 보조바퀴가 지면과 맞닿는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부에 연결되어, 상기 스티어링부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면 지면에 상기 스티어링부를 지지하여 상기 스티어링부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더 마련되는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KR1020170008354A 2017-01-18 2017-01-18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KR101920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354A KR101920220B1 (ko) 2017-01-18 2017-01-18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354A KR101920220B1 (ko) 2017-01-18 2017-01-18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128A KR20180085128A (ko) 2018-07-26
KR101920220B1 true KR101920220B1 (ko) 2018-11-21

Family

ID=6304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354A KR101920220B1 (ko) 2017-01-18 2017-01-18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22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521A (ko) * 2019-01-11 2020-07-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와 전동보조장치의 연결구조
KR20220045733A (ko)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아이맥스 전동 휠체어용 마그네슘 합금 소재의 프레임
KR20220052585A (ko)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스위브 의료용 전동보장구에 적용되는 bms 탑재형 리튬 배터리 모듈
KR20220060809A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스위브 수동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20220063397A (ko) * 2020-11-10 2022-05-17 장지원 전동 보조기용 보조 키트 및 그를 갖는 휠체어
KR20220089554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스위브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KR20220091022A (ko) 2020-12-23 2022-06-30 장지원 휠체어용 전동 보조 구동 장치
KR20220143293A (ko)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스위브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동보장구용 bms 배터리 모듈
KR20240000387U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KR20240026633A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918B1 (ko) * 2019-01-17 2021-01-14 (주)디앤엠솔루션즈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2395852B1 (ko) * 2020-08-19 2022-05-10 주식회사 프론테크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KR20220042693A (ko) * 2020-09-28 2022-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의 견인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방법
KR102532981B1 (ko) * 2021-08-19 2023-05-16 (주)네오엘에프엔 휠체어와 휠체어동력보조장치의 연결구조
KR102522093B1 (ko) * 2021-08-19 2023-04-14 (주)네오엘에프엔 흙받이와 지지대 일체형 모터브라켓이 구비된 휠체어동력보조장치와 휠체어의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587B1 (ko) 2009-12-24 2012-07-06 한국산재의료원 수동휠체어용 동력보조장치
KR101171141B1 (ko) 2010-10-28 2012-08-06 한국산재의료원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521A (ko) * 2019-01-11 2020-07-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와 전동보조장치의 연결구조
KR102165002B1 (ko) 2019-01-11 2020-10-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와 전동보조장치의 연결구조
KR20220045733A (ko)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아이맥스 전동 휠체어용 마그네슘 합금 소재의 프레임
KR20220052585A (ko)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스위브 의료용 전동보장구에 적용되는 bms 탑재형 리튬 배터리 모듈
KR20220060809A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스위브 수동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2543790B1 (ko) * 2020-11-05 2023-06-20 주식회사 스위브 수동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2464382B1 (ko) 2020-11-10 2022-11-09 장지원 전동 보조기용 보조 키트 및 그를 갖는 휠체어
KR20220063397A (ko) * 2020-11-10 2022-05-17 장지원 전동 보조기용 보조 키트 및 그를 갖는 휠체어
KR20220089554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스위브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KR20220091022A (ko) 2020-12-23 2022-06-30 장지원 휠체어용 전동 보조 구동 장치
KR20220143293A (ko) 2021-04-16 2022-10-25 주식회사 스위브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동보장구용 bms 배터리 모듈
KR20240000387U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KR20240026633A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128A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220B1 (ko)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US9050227B1 (en) Power base attachment
KR100931524B1 (ko) 삼륜 자전거
KR101715326B1 (ko)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JP6495855B2 (ja) 歩行補助車
KR102044503B1 (ko) 이동 보조 레일 시스템
KR20170101398A (ko) 분리형 구동장치가 구비된 휠체어
KR20090124258A (ko) 보행 보조장치
TWI731621B (zh) 助行器
KR101597140B1 (ko) 장애인 차량용 토션빔 지그
KR101605362B1 (ko)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CN210761124U (zh) 一种可伸缩电动车
KR102532981B1 (ko) 휠체어와 휠체어동력보조장치의 연결구조
JP6723731B2 (ja) 組立式自走車椅子
KR20160000074A (ko)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JP3056977U (ja) 着座電動起き上がり装置
CN218899985U (zh) 一种轮椅脚踏折叠结构及电动折叠轮椅
KR102112697B1 (ko)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KR102052091B1 (ko)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20130074881A (ko) 보행보조차
JP3672255B2 (ja) 車椅子同士の連結装置
KR102126261B1 (ko) 자기강화 작용을 이용한 수동 휠체어에 탈착 가능한 전동 보조기
KR101677603B1 (ko) 휠체어 틸팅 장치
JPH0619395Y2 (ja) シ−トスライド装置
JP3082319U (ja) 乗用車等のハンドル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