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6633A -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6633A
KR20240026633A KR1020220104715A KR20220104715A KR20240026633A KR 20240026633 A KR20240026633 A KR 20240026633A KR 1020220104715 A KR1020220104715 A KR 1020220104715A KR 20220104715 A KR20220104715 A KR 20220104715A KR 20240026633 A KR20240026633 A KR 20240026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ttery
wheelchair
hand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6603B1 (ko
Inventor
최홍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론테크
Priority to KR1020220104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60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0471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6603B1/ko
Publication of KR2024002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6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8Power-assistance activated by pushing on hand rim or on handleb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32Wheelchairs having brakes engaging an element of the drive or transmission, e.g. drive belt, electrodynamic bra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61G5/1035Wheelchairs having brakes manipulated by wheelchair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실시예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에 연결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휠부; 상기 바디부에 탈부착 가능한 배터리; 상기 커넥터부와 휠체어를 서로 연결하는 윙커넥터; 및 상기 윙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와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는 핸들체결부,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커넥터체결부, 상기 핸들체결부와 상기 커넥터체결부 사이에서 이들에 연결되고 제어기 및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는 바디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휠부와 상기 바디부를 서로 연결하는 회전 커넥터, 상기 회전 커넥터를 둘러싸며 위치하는 고정 커넥터, 상기 고정 커넥터와 상기 윙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휠부는 포크, 상기 포크에 연결된 휠, 상기 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휠의 제동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배선은 상기 커넥터체결부의 제1 배선홀, 상기 회전 커넥터의 제2 배선홀, 상기 포크의 제3 배선홀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에 연결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An electric assist device to provide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a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수동 휠체어의 전방에 탑재되어 휠체어에 보조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휠체어는 하반신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움직이기 어려운 환자나 하반신이 자유롭지 못한 지체부자유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등이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보조기구이다. 휠체어는 보통 의자에 바퀴가 달린 것으로서 바퀴를 돌릴 수 있는 회전손잡이가 바퀴 휠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 휠체어는 회전손잡이를 사용자가 손으로 굴리거나 보호자가 휠체어의 뒷면에서 밀어줌으로써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휠체어의 경우 장시간 사용하게 될 경우 또는 언덕과 같이 높은 곳으로 밀고 올려가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력소모가 심해서 장거리 이동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이러한 수동 휠체어는 가볍고 접을 수 있어 옮기기 편리하고, 가격대가 낮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사람이 직접 바퀴를 돌려야 하므로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속도가 느리며, 방향전환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동 휠체어가 등장하였다. 전동 휠체어는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속도가 빠르며 방향전환이 쉬운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동과 일체형이므로 무겁고 옮기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높은 가격를 형성하여 휠체어 사용자의 접근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재 전동 휠체어의 보급율은 수동휠체어에 비해 높지 않다. 또한, 전동 휠체어 대신 수동 휠체어의 사용하는 주된 이유로 수동 휠체어는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수납이 용이, 즉 차량에 싣는 것이 매우 편리하기 때문이라는 연구 조사 결과가 있다.
최근에는 수동 휠체어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해결하면서도 수동 휠체어가 가진 장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 가능한 보조동력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보조동력장치는 휠체어의 전방에 설치되는 타입과 휠체어의 후방에 설치되는 타입 및 휠체어의 휠 상에 설치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되는 다양한 형태의 보조동력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여러 타입 중에서도 전방형 타입은 휠체어의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점에서 가장 각광받고 있는 전동보조장치이다.
전방형 타입의 전동보조장치들과 관련하여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21-0039548호의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중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16496127호의 Electric tow head and its wheelchair, 미국 특허등록공보 제2810633호의 Removable motor power device for wheelchairs of disabled users,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598484호의 착탈 가능한 휠체어 주행보조장치,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610632호의 자가접근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742247호의 휠체어용 보조 구동장치,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920220호의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2199618호의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2202918호의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2202918호의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901997호의 휠체어용 전동장치, 중국특허등록공보 제107343831호의 Assistant device applicable to electrification of common wheelchair, 유럽특허등록공보 제3501468호의 Leader guidance device for a wheelchair and wheelchair train with a leader guidance device,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2165002호의 휠체어와 전동보조장치의 연결구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074765호의 탈부착 수동 휠체어 동력 장치 및 미국 특허등록공보 제2017-0203811호의 Conveyance while seated using a hoverboard 등이 있다.
종래 기술은 배터리가 전동보조장치의 전면에 부착되어 무게 중심상 핸들부의 회전각이 자유롭지 못한 점, 휠체어의 고정 프레임과 고정된 타입으로 구성되어 핸들부의 회전각이 제한되는 점에 비추어 핸들부 상의 각종 배선들의 꼬임이나 배선에 가해지는 외부 장력에 의해 배선이 손상이나 배선과 장치의 접점의 불량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전방형 타입의 전동보조장치는 휠측에서 외부로 노출된 각종 배선들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핸들부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등 기구 설계상의 많은 제약을 가진다. 중국특허등록공보 제107343831호의 Assistant device applicable to electrification of common wheelchair의 경우 도면상으로 핸들부의 360도 회전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도 보이나 휠측의 배선의 위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은 배터리가 수직 프레임 상의 표면에 설치되는 타입의 형태를 가진다. 큰 무게를 차지하는 배터리가 수직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됨에 따라 핸들의 파지를 해제하는 경우 배터리의 무게로 인하여 핸들이 한쪽 방향으로 급격히 회전하는 등 배터리에 따른 핸들측의 무게 중심을 적절히 고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유럽특허등록공보 제3501468호의 Leader guidance device for a wheelchair and wheelchair train with a leader guidance device의 경우 배터리가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를 가지나 배터리가 본체의 전면측 홈에 삽입되므로 휠체어의 사용자가 본체의 전면측 홈에 삽입된 배터리를 탈부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를 가진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21-0039548호 중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16496127호 미국 특허등록공보 제2810633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598484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610632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742247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920220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2199618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2202918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2202918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901997호 중국특허등록공보 제107343831호 유럽특허등록공보 제3501468호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2165002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074765호 미국 특허등록공보 제2017-0203811호
본 발명은 전동보조장치의 핸들의 회전에 따라 브레이크 및 구동 모터 배선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배선이 손상되거나 배선의 연결 접점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동보조장치를 자동차의 트렁크 등에 보관할 때 핸들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여 수납 공간의 형태에 맞게 전동보조장치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동보조장치를 자동차의 트렁크 등에 보관할 때 외부로 노출된 배선이 다른 장치들이나 기구물에 걸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휠체어의 사용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자세에서 편리하게 전동보조장치의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핸들부; 상기 핸들부에 연결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휠부; 상기 바디부에 탈부착 가능한 배터리; 상기 커넥터부와 휠체어를 서로 연결하는 윙커넥터; 및 상기 윙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와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는 핸들체결부,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커넥터체결부, 상기 핸들체결부와 상기 커넥터체결부 사이에서 이들에 연결되고 제어기 및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는 바디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휠부와 상기 바디부를 서로 연결하는 회전 커넥터, 상기 회전 커넥터를 둘러싸며 위치하는 고정 커넥터, 상기 고정 커넥터와 상기 윙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휠부는 포크, 상기 포크에 연결된 휠, 상기 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휠의 제동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배선은 상기 커넥터체결부의 제1 배선홀, 상기 회전 커넥터의 제2 배선홀, 상기 포크의 제3 배선홀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에 연결되고, 상기 탈부착장치는 상기 휠체어에 체결된 탈부착링크에 형성된 제1 고정돌기가 고정되도록 제1 고정위치를 제공하는 고정링크와, 상기 윙커넥터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탈부착링크에 구비된 제2 고정돌기가 고정되도록 제2 고정위치를 제공하는 회전링크와, 상기 윙커넥터에 힌지고정되고 외부 조작에 의해서 상기 회전링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발링크를 포함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회전 커넥터는 상기 핸들부, 상기 휠부, 상기 바디부 및 상기 휠부의 회전시 상기 고정 커넥터 내부에서 상기 핸들부, 상기 휠부, 상기 바디부 및 상기 휠부와 함께 회전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휠체어와 마주하는 면에 배터리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에 체결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커넥터체결부에 체결되는 제1 배터리 체결부 및 상기 회전 커넥터에 체결되는 제2 배터리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바디 프레임에 탈부착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배터리 체결부는, 배터리 체결 돌출부, 상기 배터리 체결 돌출부에 설치되는 배터리 락 및 상기 배터리 락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터리 체결 돌출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락킹핀홀을 통해 일부 영역이 배출되거나 상기 락킹핀홀 내부로 수납되는 락킹핀을 포함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배터리 락의 회전에 따라 상기 락킹핀은 상기 락킹핀홀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배터리의 상부면에 형성된 락킹핀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2 배터리 체결부는 상기 배터리의 하부면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 및 상기 배터리의 하부면의 홈에 삽입디ㅗ는 배터리 고정 돌출부가 형성된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동보조장치의 핸들의 회전에 따라 브레이크 및 구동 모터 배선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배선이 손상되거나 배선의 연결 접점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동보조장치를 자동차의 트렁크 등에 보관할 때 외부로 노출된 배선이 다른 장치들이나 기구물에 걸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휠체어의 사용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자세에서 편리하게 전동보조장치의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바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a)는 바디부의 전면 측이 나타나도록 바디부의 일측에서 바디부를 바라본 것이고, (b)는 바디부의 후면 측에 나타나도록 바디부의 타측에서 바디부를 바라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바디부를 구성하는 핸들체결부와 커넥터체결부에 대한 사시도로서, (a)는 핸들체결부의 상부면이 나타나도록 핸들체결부의 일측에서 핸들체결부를 바라본 것이고, (b)는 커넥터체결부의 하부면이 나타나도록 커넥터체결부의 타측에서 커넥터체결부를 바라본 것이다.
도 7은 제1 배터리 체결부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8은 제2 배터리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를 구성하는 커넥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를 구성하는 커넥터부의 회전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커넥터부와 커넥터체결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는 커넉터부의 연결 커넥터와 커넥터바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에서 휠부 측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커넥터부와 포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에서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배터리를 바디부에 탈부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에서 고정 커넥터와 연결 커넥터 그리고 윙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탈부착링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한 전동보조장치가 휠체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한 전동보조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로서 핸들부. 바디부, 휠부가 36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가 제2 고정 커넥터의 회전에 따라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3축을 정의하면 전동보조장치가 휠체어에 정상적으로 부착되었고 전방을 직진할 수 있도록 핸들의 각도가 기준 각도(0도)에 위치한 상태에서 X 축은 전동보조장치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방향의 축이고, Y축은 전동보조장치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축이고, Z 축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높이 방향의 축으로 정의한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10)는 휠체어(2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의 휠체어(20)는 수동 휠체어를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휠체어에 추가적인 보조 동력을 위한 장치가 미리 설치된 휠체어가 될 수도 있다.
전동보조장치(10)는 제어기(11), 핸들부(100), 바디부(200), 커넥터부(300), 휠부(400), 배터리(500), 윙커넥터(600) 및 탈부착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1)는 바디부(200) 내부에 수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어기(11)는 전동보조장치(10)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고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1)는 전동보조장치(10) 상의 각종 장치들과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정보를 교환하면서 전동보조장치(10)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기(11)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장치와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 핸들부(100)
핸들부(100)는 제1 핸들프레임(101) 및 제2 핸들프레임(1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핸들프레임(101, 102) 각각은 봉형 타입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핸들프레임(101, 102)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이 제조된 후 서로 용접 등의 형태로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전동보조장치(10)가 휠체어(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1 핸들프레임(101)은 지면과 수평 또는 수평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핸들프레임(101)은 Y축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핸들프레임(102)은 제1 핸들프레임(101)의 중심 영역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핸들프레임(102)은 소정의 지점에서 곡률을 가져 해당 지점을 기준으로 휘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핸들프레임(102)은 바디부(200)로부터 Z 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일 지점에서부터 X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꺾이면서 제1 핸들프레임(10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핸들프레임(102)은 제1 핸들프레임(101)이 휠체어(20)에 탑승한 사용자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소정의 곡률로 휘어질 수 있다.
제1 핸들프레임(101) 양측 각각에는 그립부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립부(101a, 101b)는 제1 핸들프레임(101)의 양측의 각각의 소정의 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그립부(101a, 101b)는 사용자의 파지감이 용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그립부(101a, 101b)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핸들부(100)는 컨트롤러(110), 방향제어기(120), 감속제어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디스플레이부(111), 전원버튼(112), 속도변속버튼(113), 스로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제1 핸들프레임(10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110)는 제1 및 제2 그립부(101a, 101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110)는 제1 그립부(101a)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컨트롤러(110)의 전면에 배치되어 휠체어(20)에 탑승한 사용자의 시인이 용이한 형태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전동보조장치(1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전동보조장치(10)의 이동 속도 정보, 속도변속 현재 세팅 정보, 배터리(500) 잔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11)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의 통신 연결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표시를 할 수 있다.
전원버튼(112)은 물리적인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원버튼(112)은 디스플레이부(111)의 일 영역 상에 터치 입력이 가능한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11)는 사용자가 전원버튼(112)을 조작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동보조장치(10)의 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전동보조장치(10)의 활성화하거나, 활성화된 전동보조장치(1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속도변속버튼(113)은 물리적인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속도변속버튼(113)은 디스플레이부(111)의 일 영역 상에 터치 입력이 가능한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11)는 사용자가 속도변속버튼(113)을 조작하는 것에 응답하여 미리 세팅된 속도 제한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세팅된 속도 제한치가 3가지 모드인 경우, 속도변속버튼(113)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순차적으로 3가지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기(11)가 속도 제한치 3가지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기(11)는 선택된 속도 제한치 모드에 지정된 속도 제한 값을 최대 이동 속도로 하여 전동보조장치(10)의 최대 이동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기(11)가 속도 제한치 3가지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기(11)는 선택된 속도 제한치 모드에 지정된 동력을 최대 동력으로 하여 전동보조장치(10)의 가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10)에는 스로틀(114)이 마련될 수 있다. 스로틀(114)은 레버 형태로 구성되고 사용자는 스로틀(114)의 회전각을 조절하여 전동보조장치(1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11)는 스로틀(114)의 회전각을 검출하여 검출된 회전각에 대응하는 속도로 전동보조장치(10)를 제어 및/또는 대응하는 동력을 전동보조장치(10)에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휠체어(20)에 탑승한 사용자가 제1 그립부(101a)를 파지한 상태에서 스로틀(114)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위치 상에 스로틀(114)이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원버튼(112), 속도변속버튼(113) 및 스로틀(114) 중 적어도 하나는 전동보조장치(10)의 다른 위치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방향제어기(120)는 제1 및 제2 그립부(101a, 101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향제어기(120)는 제2 그립부(101b)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향제어기(120)는 물리적인 버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휠체어(20)에 탑승한 사용자가 제2 그립부(101b)를 파지한 상태에서 방향제어기(120)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위치 상에 방향제어기(12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기(11)는 방향제어기(120)로부터의 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현재 전동보조장치(10)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보조장치(10)가 전진 모드인 경우 방향제어기(120)로부터의 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전동보조장치(10)가 후진이 가능하도록 후진 모드로 변경할 수 있고, 전동보조장치(10)가 후진 모드인 경우 방향제어기(120)로부터의 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전동보조장치(10)가 전진 가능하도록 전진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감속제어기 (130)는 제2 그립부(101b)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감속제어기(130)는 레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감속제어기(130)는 감속제어기(130)와 제1 핸들프레임(101)의 연결 지점 또는 그 근방의 영역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감속제어기(130)를 조작하여 전동보조장치(10)의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휠체어(20)에 탑승한 사용자가 제2 그립부(101b)를 파지한 상태에서 감속제어기(130)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위치 상에 감속제어기(1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기(11)는 감속제어기(130)의 조작을 검출하여 휠부(400)를 제어하여 휠부(400)의 브레이크 시스템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기(11)는 감속제어기(130)의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휠부(400)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하여 전동보조장치(10)의 감속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 바디부(20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바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a)는 바디부의 전면 측이 나타나도록 바디부의 일측에서 바디부를 바라본 것이고, (b)는 바디부의 후면 측에 나타나도록 바디부의 타측에서 바디부를 바라본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바디부를 구성하는 핸들체결부와 커넥터체결부에 대한 사시도로서, (a)는 핸들체결부의 상부면이 나타나도록 핸들체결부의 일측에서 핸들체결부를 바라본 것이고, (b)는 커넥터체결부의 하부면이 나타나도록 커넥터체결부의 타측에서 커넥터체결부를 바라본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제1 배터리 체결부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8은 제2 배터리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바디부(200)는 바디프레임(210), 바디커버(220), 핸들체결부(230), 커넥터체결부(240), 제1 및 제2 배터리 체결부(250. 26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프레임(2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동보조장치(10)가 휠체어(20)에 탑재된 상태에서, 바디프레임(210)의 전방과 마주하는 면을 전면으로 정의하고, 후방의 휠체어(20)와 마주하는 면을 후면으로 정의하면, 바디프레임(210)의 전면에는 제어기 수납부(211)가 형성되고, 바디프레임(210)의 후면에는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는 배터리 수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21)의 전면의 소정의 영역에는 제어기 수납부(211)의 형성을 위한 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기 수납부(211)에는 제어기(11)가 설치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21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배터리의 수납을 위한 배터리 수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수납부(212)는 소정의 수납홈으로 구성되고 내면은 배터리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대응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바디프레임(210)의 배터리 수납부(212)의 하측 영역 상에는 제2 배터리 체결부(260)와 연결된 배터리 전원이 인입되는 배터리 배선 홀(212h)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커버(220)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바디프레임(210)의 제어기 수납부(211)를 커버하기 위하여 바디프레임(2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기 수납부(211) 상에 제어기(11)를 수납하여 설치하고 바디커버(220)를 바디프레임(210)에 설치함으로써 제어기 수납부(211)가 외부로 시인되지 않도록 하고 제어기 수납부(211) 내부로 빗물 등의 외부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바디커버(220)는 바디프레임(210)의 전면과 동일 평면 또는 동일 평면에 근접하도록 바디프레임(210)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디프레임(210)의 상부면에는 핸들체결부(230)가 설치되고, 하부면에는 커넥터체결부(240)가 설치될 수 있다.
핸들체결부(230)는 하부면의 일부 영역이 바디프레임(210)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핸들체결부(231)와 제1 핸들체결부(231)의 상부면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돌출된 제2 핸들체결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핸들체결부(230)는 상부면에 제2 핸들체결부(232)에 인접하여 배선 가이드부(233)가 형성될 수 있다. 배선 가이드부(233)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각종 배선이 복수의 홀을 경유하게 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배선 가이드부(233)의 복수의 홀은 바디프레임(2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홀(미도시)과 연통할 수 있다. 그리고, 배선 가이드부(233)를 경유하는 이들 배선은 바디프레임(2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통해 제어기 수납부(211)로 인출되어 제어기(11)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핸들체결부(231, 232) 및 배선 가이드부(233)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핸들체결부(231)는 바디프레임(210)에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핸들체결부(231)와 바디프레임(210)의 결합을 위해 제1 핸들체결부(231)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삽입을 위한 홀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바디프레임(210)의 상부면에는 나사의 삽입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된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 결합에 의해 제1 핸들체결부(231)는 바디프레임(210)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핸들체결부(230)가 바디프레임(210)에 체결되면 제1 핸들체결부(231)는 제1 핸들체결부(231)의 전면 및 측면은 바디프레임(210)의 전면 및 측면과 동일 평면 또는 동일 평면에 근접한 형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핸들체결부(231)의 일 영역은 바디프레임(210)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핸들체결부(232)의 중심 영역에는 핸들프레임 삽입홀(232h)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핸들프레임(102)의 일측은 제1 핸들프레임(101)에 연결되고, 타측의 일 영역은 핸들프레임 삽입홀(232h)에 삽입되어 핸들부(100)와 바디프레임(210)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 삽입홀(232h)은 제1 핸들체결부(231)를 관통하여 바디프레임(21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홀(미도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핸들프레임(102)의 타측 일부 영역은 핸들프레임 삽입홀(232h)과 제1 핸들체결부(231) 및 바디프레임(21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홀 상에 삽입됨으로서 핸들부(100)와 바디프레임(210)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커넥터체결부(240)는 상부면의 일부 영역이 바디프레임(210)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넥터체결부(240)는 바디프레임(210)의 하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체결부(240)와 바디프레임(210)의 결합을 위해 커넥터체결부(240)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삽입을 위한 홀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바디프레임(210)의 상부면에는 나사의 삽입을 위한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홀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 결합에 의해 커넥터체결부(240)는 바디프레임(21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체결부(240)가 바디프레임(210)에 체결되면 커넥터체결부(240)는 커넥터체결부(240)의 전면, 양측면은 바디프레임(210)의 전면과 측면과 동일 평면 또는 동일 평면에 근접한 형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체결부(240)의 일 영역은 바디프레임(210)의 후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넥터체결부(240)의 하부면에는 커넥터수용홈(241)이 형성되고, 커넥터수용홈(241)을 둘러싸며 위치한 체결링수용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수용홈(241)은 후술할 회전 커넥터(310)의 일부 영역이 삽입되도록 회전 커넥터(310)의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체결링수용홈(242)은 후술할 체결링(330)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의 홈을 가진다.
커넥터수용홈(241)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홀(2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터리 체결부(250)는 제1 핸들체결부(231)에서 바디프레임(210)의 후방측으로 돌출된 영역의 하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배터리 체결부(250)의 상부면은 제1 핸들체결부(231)의 돌출 부위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제1 배터리 체결부(250)의 상부면은 제1 핸들체결부(231)의 돌출 부위의 하부면에 설치될 수 있고, 이들의 고정 결합을 위해 나사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배터리 체결부(250)의 측면의 일부 영역은 제1 핸들체결부(231)의 돌출 부위의 측면과 동일 평면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배터리 체결부(250)의 하부면은 배터리(500)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배터리 체결부(250)의 하부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하측을 향해 돌출된 배터리 체결 돌출부(251)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체결 돌출부(251)의 일측을 통해 배터리 락(252)이 배터리 체결 돌출부(251)에 체결될 수 있다.
배터리 체결 돌출부(251)의 일 측면에는 배터리 락(252)이 체결될 수 있다.
배터리 체결 돌출부(251)의 하부면의 일 영역에는 락킹핀(253)의 이동을 위한 락킹핀홀(253h)이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체결 돌출부(251)의 내부에 실장된 락킹핀(253)은 락킹핀홀(253h)을 통해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락킹핀홀(253h)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배터리 락(252)을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락킹핀(253)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락킹핀(253)의 일부 영역은 락킹핀홀(253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배터리 락(252)의 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락킹핀(253)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락킹핀(253)이 락킹핀홀(253h)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배터리 체결부(260)는 커넥터 체결부(240)에서 바디프레임(210)의 후방측으로 돌출된 영역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배터리 체결부(260)의 하부면의 일부 영역은 커넥터 체결부(240)의 돌출 부위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제2 배터리 체결부(260)의 하부면은 커넥터 체결부(240)의 돌출 부위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고, 이들의 고정 결합을 위해 나사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배터리 체결부(260)의 상부면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배터리 고정 돌출부(261)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고정 돌출부(261)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배터리 체결부(260) 상에는 배터리(500)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단자(263)가 형성될 수 있다. 단자(263)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배터리가 바디프레임(210)에 체결될 때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단자(263)와 연결된 배선은 배터리 수납부(212) 상에서 제2 배터리 체결부(260)와 인접한 영역 상에 형성된 배터리 배선 홀(212h)을 통해 바디프레임(210) 내부로 삽입되어 제어기(1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터리 체결부(260)의 일측에는 턱부(264)가 형성될 수 있다. 턱부(264)는 배터리가 배터리 수납부(212)에 삽입될 때 턱부(264)에 의해 배터리의 위치가 배터리 수납부(212) 상에서 고정되도록 배터리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 커넥터부(30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를 구성하는 커넥터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를 구성하는 커넥터부의 회전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커넥터부와 커넥터체결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2는 커넉터부의 연결 커넥터와 커넥터바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커넥터부(300)는 회전 커넥터(310), 고정 커넥터(320), 체결링(330), 연결 커넥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커넥터(310)는 제1 내지 제3 부(311, 312, 313)로 구성되고, 제1 부(31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부(312)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3 부(313)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의 단면이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가 된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부(313)의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의 절단한 절단면은 커넥터수용홈(24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 커넥터(310)의 상부측은 커넥터체결부(240)와 체결되고, 하부측은 휠부(400)와 체결될 수 있다.
제2 부(312)는 제1 부(311)의 중앙 영역 상에 설치되고, 제3 부(313)는 제2 부(312)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부(311, 312, 313) 각각에는 홀이 형성되고 하나의 제2 배선홀(310h)을 구성할 수 있다.
제3 부(313)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커넥터체결부(240)의 커넥터수용홈(241)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부(313) 상의 제2 배선홀(310h)은 커넥터체결부(240)의 제1 배선홀(243)과 함께 하나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 커넥터(320)에는 길이 방향으로 내측에 회전 커넥터(310)의 삽입을 위한 회전 커넥터 삽입홀(320h)이 형성되어, 회전 커넥터(310)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회전 커넥터(310)는 고정 커넥터(320)의 내부에서 고정 커넥터(32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커넥터(320)의 상측에는 체결링(330)이 체결되고 체결링(330)은 커넥터체결부(240)의 체결링수용홈(242)에 삽입되어 커넥터체결부(240)와 체결될 수 있다.
고정 커넥터(320)는 제1 및 제2 고정 커넥터(321, 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커넥터(321)는 회전 커넥터(31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고, 제2 고정 커넥터(322)는 제1 고정 커넥터(321)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고정 커넥터(321, 322)는 서로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 및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고정 커넥터(321)의 측면 중 휠체어(20)를 향하는 측면 상에 제2 고정 커넥터(3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전동보조장치(10)가 휠체어(20)에 체결된 상태에서 휠체어(20)를 향하는 제1 고정 커넥터(321)의 측면에는 제2 고정 커넥터(322)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 커넥터(340)는 제2 고정 커넥터(322)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 커넥터(340)는 한쌍의 제1 및 제2 연결 커넥터(341, 34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은 서로 결합하여 결합 부위의 일영역을 관통하는 커넥터바홀(340h)을 형성할 수 있다. 한쌍의 제1 및 제2 연결 커넥터(341, 342)는 서로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 및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쌍의 제1 및 제2 연결 커넥터(341, 342)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2 고정 커넥터(322)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커넥터(340)와 고정 커넥터(320)는 서로 나사 결합 방식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바(350)는 커넥터바홀(340h)을 관통하여 연결 커넥터(340)에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바(350)의 중앙 영역이 연결 커넥터(340)에 위치하도록 커넥터바(350)를 위치시키고, 제1 및 제2 연결 커넥터(341, 342)의 상호 결합을 위한 나사를 조이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 연결 커넥터(341, 342)의 밀착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커넥터바홀(340h)의 직경을 감소시켜 커넥터바홀(340h)에 끼워진 커넥터바(35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커넥터바(350)는 지면과 수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커넥터바(350)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커넥터바(350)의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의 형상은 8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 휠부(400)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에서 휠부 측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커넥터부와 포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휠부(400)는 휠(410), 타이어(420), 포크(430), 브레이크 시스템(440), 구동모터(45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어(420)는 휠(410)에 설치된다. 포크(430)는 휠(4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제1 및 제2 포크(431, 432)와 제1 및 제2 포크(431, 432)을 서로 연결하는 제3 포크(4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포크(431, 432)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3 포크(433)는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포크(430)는 타이어(420)가 장착된 휠(410)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제3 포크(433)는 회전 커넥터(310)의 하측부위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회전 커넥터(310)의 제1 부(311)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제3 포크(433)에 체결 및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3 포크(433)에는 제3 배선홀(433h)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배선홀(433h)은 제3 부(313)의 제2 배선홀(310h)과 하나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440)은 브레이크 캘리퍼(441), 브레이크 디스크(44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시스템(440)은 휠(41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기(11)는 감속제어기(130)의 조작 신호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시스템(440)을 제어하여 휠(410)의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모터(450)는 휠(410)의 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450)는 휠(410)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11)는 스로틀(114)의 조작 신호를 검출하여 구동모터(450)의 구동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1)는 속도변속버튼(113)으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모터(450)의 구동 전력량을 제어할 수 있다.
- 배선 경로
구동모터(450)에 연결된 배선과 브레이크 시스템(440)에 연결된 배선은 제3 배선홀(433h), 제2 배선홀(310h) 및 제1 배선홀(243)을 통해 바디프레임(210) 내부인 제어기 수납부(211) 상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배선은 제어기 수납부(211) 상에 수납된 제어기(11)에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선이 제3 배선홀(433h), 제2 배선홀(310h) 및 제1 배선홀(243)을 통해 구동모터(450) 및 브레이크 시스템(440)과 제어기(11)를 상호 연결하므로 핸들부(100)가 임의의 방향으로 360도 회전시, 바디부(200)가 360도 회전 가능하며 아울러 회전 커넥터(310)와 체결링(330) 그리고 휠부(400)의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고정 커넥터(320)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구성이 360도 회전하는 경우라도 배선도 이에 대응하여 함게 회전하게 되므로 배선에는 어떠한 장력도 가해지지 않아 핸들부(100)의 소정의 각도로 회전에 따른 배선의 길이의 제한으로 인해 배선에 장력이 가해져 배선 자체 및/또는 배선와 장치의 연결 지점이 손상이나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한다.
또한, 핸들부(100) 상의 컨트롤러(110), 방향제어기(120), 감속제어기(13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배선들은 배선 가이드부(233)의 홀을 통해 바디프레임(210) 내부로 유입되어 제어기(1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부(100)의 360도 회전에 따라 이들 배선도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핸들부(100)의 움직임에 따라 배선에 장력이 가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 배터리(500) 탈부착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에서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배터리를 바디부에 탈부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배터리(50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500)의 상부면은 제1 배터리 체결부(250)의 하측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배터리(500)의 하부면은 제2 배터리 체결부(260)의 상측 부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500)의 상부면의 일 영역에는 락킹핀(253)의 일부 영역의 수용을 위한 락킹핀수용홈(5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500)의 하부면에는 제2 배터리 체결부(260)의 단자(263)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500)의 하수면에는 제2 배터리 체결부(260)의 배터리 고정 돌출부(261)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500)의 일부 영역은 배터리(500) 수납부(212)에 수납되고, 배터리 락(252)의 회전에 따라 배터리 체결 돌출부(251)로부터 인출된 락킹핀(253)의 일부 영역이 락킹핀수용홈(501)에 수납되면서 배터리(500)는 배터리 수납부(212)에 결합하고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500)는 바디부(20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수납부(212)는 사용자 측을 향해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휠체어(20)에 착석한 상태에서 쉽게 배터리(500)를 바디부(200)로부터 탈부착 할 수 있다.
- 윙커넥터(600)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에서 고정 커넥터와 연결 커넥터 그리고 윙커넥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윙커넥터(600)는 한쌍의 제1 및 제2 윙커넥터(610, 62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윙커넥터(610)는 커넥터바(35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2 윙커넥터(610)는 커넥터바(350)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윙커넥터(610, 620)는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위치하고 이들 사이에 고정커넥터(320) 및 연결 커넥터(340)가 위치하게 된다.
윙커넥터(600)의 일측에는 커넥터바(350)가 관통하는 윙커넥터홀(600h)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탈부착장치(700)가 마련될 수 있다.
윙커넥터(600)는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가면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상부 방향으로 휘어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동보조장치(10)가 휠체어(20)에 체결되면 윙커넥터(600)의 타측은 일측보다 높이 위치하게 된다.
윙커넥터(600)의 일측 상에는 절개부(601)가 형성되고, 절개부(601)를 관통하는 나사의 나사 결합 방식에 따라 절개부(601)에 의한 절개된 공간이 좁아지면서 결과적으로 절개부(601)와 이어지는 윙커넥터홀(600h)의 직경이 줄어들 수 있다. 윙커넥터홀(600h)의 직경의 감소에 따라 윙커넥터홀(600h)에 연결된 윙커넥터(600)는 커넥터바(35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 탈부착장치(700) 및 탈부착링크(800)
도 18은 탈부착링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탈부착장치(700)는 제1 및 제2 탈부착장치(701, 702)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탈부착장치(701, 702)는 휠체어(20)에 설치된 탈부착링크(800)와 체결될 수 있다.
제1 탈부착장치(701)는 제1 윙커넥터(6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제2 탈부착장치(702)는 제2 윙커넥터(62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탈부착장치(701, 702)는 서로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탈부착링크(800)는 제1 및 제2 탈부착링크(810, 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탈부착링크(810, 820) 각각은 휠체어(20)의 프레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탈부착링크(810) 상에는 제1-1 및 제1-2 고정돌기(811, 812)가 형성되고, 제2 탈부착링크(820) 상에는 제2-1 및 제2-2 고정돌기(821, 8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탈부착장치(701)는 제1 탈부착링크(810)에 형성된 제1-1 고정돌기(811)가 고정되도록 제1-1 고정위치(P1)를 제공하는 제1 고정링크(710)와, 제1 윙커넥터(610)에 힌지고정되고 제1 탈부착링크(810)에 구비된 제1-2 고정돌기(812)가 고정되도록 제1-2 고정위치(P2)를 제공하는 제1 회전링크(720)와, 제1 윙커넥터(610)에 힌지고정되고 외부 조작에 의해서 제1 회전링크(720)를 회전시키는 제1 회전유발링크(73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탈부착장치(702)는 제2 탈부착링크(820)에 형성된 제2-1 고정돌기(821)가 고정되도록 제2-1 고정위치를 제공하는 제2 고정링크와 제2 윙커넥터(620)에 힌지고정되고 제2 탈부착링크(820)에 구비된 제2-2 고정돌기(822)가 고정되도록 제2-2 고정위치를 제공하는 제2 회전링크와, 제2 윙커넥터(620)에 힌지고정되고 외부 조작에 의해서 제2 회전링크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유발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고정돌기(811)를 제1-1 고정위치(P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2 고정돌기(812)를 제1-2 고정위치(P2)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제1 탈부착장치(701)와 제1 탈부착링크(801)가 연결되고, 제1 회전유발링크(730)가 외부 조작되면, 제1 회전링크(720)가 회전하게 되고 제1-2 고정위치(P2)에서 제1-2 고정돌기(812)가 이탈된다. 이에 따라, 제1-1 고정위치(P1)에서 제1-1 고정돌기(811)도 이탈 가능해진다.
먼저 전동보조장치(10)를 휠체어(20)와 같은 이동기기의 전방으로 위치시킨다. 전방에 위치한 전동보조장치(10)의 탈부착장치(700)를 탈부착링크(800)에 장착함으로써 전동보조장치(10)를 휠체어(20)에 체결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10)는 보조배터리(500a)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전동보조장치(10)의 제2 배터리 체결부(260)는 배터리 수납부(212)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수납부(212) 내에는 제2 배터리 체결부(260)의 이동을 위한 레일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배터리 체결부(260)는 레일 장치를 통해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터리 체결부(260)에 연결된 배선은 배터리 배선 홀(212h)을 통해 제어기(11)에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배터리 배선 홀(212h)을 경유한 배선은 제어기(11)에 연결되기 전에 배선풀링기를 통해 제어기(11)에 연결될 수 있다. 배선풀링기는 배선에 장력이 가해지면 배선이 풀리고 배선에 가해지는 장력이 해제되면 배선을 자동으로 감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2 배터리 체결부(26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배선풀링기에 감긴 배선이 풀리면서 배선이 연장되고, 제2 배터리 체결부(26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배선풀링기는 배선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다.
보조배터리(500a)의 상측에는 배터리 캡(500c)이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캡(500c)은 보조배터리(500a)의 상부 영역을 커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배터리 체결부(26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보조배터리(500a)로부터 분리된 배터리 캡(500c)을 배터리 수납부(212) 내의 공간 중 제2 배터리 체결부(260)와 커넥터체결부(240)의 사이 공간에 삽입할 수 있다. 배터리 캡(500c)은 중 제2 배터리 체결부(260)와 커넥터체결부(240)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고 제2 배터리 체결부(260) 및 커넥터체결부(240) 각각에 체결될 수 있다. 즉, 배터리 캡(500c)의 상부면은 제2 배터리 체결부(260)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하부면은 커넥터체결부(24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 캡(500c)을 전동보조장치(10)에 체결함으로써 제2 배터리 체결부(260)의 위치는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배터리(500a)를 배터리 수납부(212)에 삽입할 수 있다. 즉, 보조배터리(500a)는 제1 배터리 체결부(250)와 제2 배터리 체결부(260) 사이의 배터리 수납부(212) 공간 상에 삽입되어 제1 배터리 체결부(250)와 제2 배터리 체결부(260)에 의해 전동보조장치(10)에 체결될 수 있다.
보조배터리(500a)는 배터리(500)보다 길이가 짧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배터리(500a)는 배터리(500)보다 배터리 용량이 적을 수 있다. 다만, 보조배터리(500a)는 배터리(500)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지므로 휴대하기 편리하다. 사용자는 보조배터리(500a)를 보관하고 배터리(500)의 방전시 배터리(500)를 보조배터리(500a)로 교환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로서 핸들부. 바디부, 휠부가 360도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가 제2 고정 커넥터의 회전에 따라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도 12,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조장치(10)에서 핸들부(100), 바디부(200), 커넥터부(300)의 적어도 일부 구성과 휠부(400)는 360도 회전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2 고정 커넥터(322)에는 제1 및 제2 커넥팅 홀(322h1, 322h2)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커넥팅 홀(322h1, 322h2)을 통해 연결 커넥터(340)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고정 커넥터(322)가 연결 커넥터(340)에 체결된 상태에서 연결 커넥터(340)에는 제1 커넥팅 홀(322h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커넥팅홀삽입부(340p1)가 설치되고, 제2 커넥팅 홀(322h2)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커넥팅홀삽입부(340p12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팅홀삽입부(340p1)는 연결 커넥터(340)의 일측면에서부터 제1 커넥팅 홀(322h1) 및 연결 커넥터(340)의 타측면으로 연장되는 장치로서 제1 커넥팅홀삽입부(340p1)를 연결 커넥터(34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팅홀삽입부(340p2)는 연결 커넥터(340)의 일측면에서부터 제2 커넥팅 홀(322h2) 및 연결 커넥터(340)의 타측면으로 연장되는 장치로서 제1 커넥팅홀삽입부(340p1)를 연결 커넥터(34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제1 커넥팅홀삽입부(340p1)를 통해 제2 고정 커넥터(322)와 연결 커넥터(340)를 연결한 상태에서, 제2 커넥팅홀삽입부(340p2)를 연결 커넥터(340)로부터 인출하면, 제2 고정 커넥터(322)는 제2 커넥팅 홀(322h2)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핸들부(100), 바디부(200), 휠부(400) 그리고 커넥터부(300)(연결 커넥터(340)와 커넥터바(350)를 제외한)를 제2 커넥팅홀삽입부(340p2)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바디부(200)가 제1 및 제2 윙커넥터(610, 6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보조장치(10)는 콤팩트하게 접히도록 그 형태가 변형되어 미사용시 차량의 보관 등이 매우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바디부(200)가 360도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전동보조장치(10)가 접힌 상태에서 배터리(500)는 위쪽을 향하게 되고, 바디프레임(210)의 전면과 연결 커넥터(340)의 상부면은 맞닿게 되어 전동보조장치(10)가 보다 콤팩트하게 접힐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기(11)는 핸들부(100)의 회전각을 검출하여 핸들부(100)가 360도 회전한 것을 감지하면 제2 커넥팅홀삽입부(340p2)가 제2 커넥팅 홀(322h2)로부터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 커넥터(340) 상에는 제2 커넥팅홀삽입부(340p2)의 이동을 위한 이동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동보조장치(10)의 제1 및 제2 윙커넥터(610, 620) 각각에는 제1 및 제2 측면 조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윙커넥터(610, 620) 각각에 설치된 제1 및 제2 측면 조명 장치는 휠체어(20)의 양 측면에 광을 조사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또한, 바디프레임(210)의 전면에는 휠체어(20)의 이동 방향의 전방에 광을 조사하는 전방 조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핸들부(100)에는 시야감지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기(11)는 시야감지 센서의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휠체어(20)의 탑승자의 시선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기(11)는 탑승자의 시선에 대응하여 전방 조명 장치와 제1 및 제2 측면 조명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및/또는 광조사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탑승자가 휠체어(20)를 타고 이동 중에 우측을 바라보는 경우 제어기(11)는 전방 조명 장치의 광조사량을 기 설정치 이하로 감소하고, 제2 윙커넥터(620)에 설치된 제2 측면 조명 장치를 턴온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가 휠체어(20)를 타고 이동 중에 좌측을 바라보는 경우 제어기(11)는 전방 조명 장치의 광조사량을 기 설정치 이하로 감소시키고, 제1 윙커넥터(610)에 설치된 제1 측면 조명 장치를 턴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기(11)는 탑승자의 시선이 전방을 향하는 것으로 감지하면 턴온된 측면 조명 장치를 턴오프하고 전방 조명 장치의 광조사량을 기 설정치로 증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어기(11)는 핸들부(100)의 회전각을 검출할 수 있다. 핸들부(100)의 회전각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측면 조명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턴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휠체어(20)가 우회전을 위해 핸들부(100)가 회전하는 경우 제어기(11)는 이를 검출하여 제2 측면 조명 장치를 턴온할 수 있다. 그리고, 휠체어(20)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기 위해 핸들부(100)가 원위치로 되돌아오면 제2 측면 조명 장치를 턴오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방향에 광을 조사하여 이동 중의 안정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시야 상의 공간의 조도를 상승시키고 전방 조명 장치의 광조사량을 낮춤으로써 배터리 용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전동보조장치(10)
제어기(11)
휠체어(20)
1) 핸들부(100)
(1) 제1 핸들프레임(101)
(1-1) 제1 및 제2 그립부(101a, 101b)
(2) 제2 핸들프레임(102)
1-1) 컨트롤러(110)
(1) 디스플레이부(111)
(2) 전원버튼(112)
(3) 속도변속버튼(113)
(4) 스로틀(114)
1-2) 방향제어기(120)
1-3) 감속제어기(130)
2) 바디부(200)
(1) 바디프레임(210)
(1-1) 제어기 수납부(211)
(1-2) 배터리 수납부(212)
(1-2-1) 배터리 배선 홀(212h)
(2) 바디커버(220)
(3) 핸들체결부(230)
(3-1) 제1 핸들체결부(231)
(3-2) 제2 핸들체결부(232)
(3-3-1) 핸들프레임 삽입홀(232h)
(3-3) 배선 가이드부(233)
(4) 커넥터체결부(240)
(4-1) 커넥터수용홈(241)
(4-2) 체결링수용홈(242)
(4-3) 제1 배선홀(243)
(5) 제1 배터리 체결부(250)
(5-1) 배터리 체결 돌출부(251)
(5-2) 배터리 락(252)
(5-3) 락킹핀(253)
(5-4) 락킹핀홀(253h)
(6) 제2 배터리 체결부(260)
(6-1) 배터리 고정 돌출부(261)
(6-3) 단자(263)
(6-4) 턱부(264)
3) 커넥터부(300)
(1) 회전 커넥터(310)
(1-1) 제1 부(311)
(1-2) 제2 부(312)
(1-3) 제3 부(313)
(1-3-1) 제2 배선홀(310h)
(2) 고정 커넥터(320)
(2-1) 제1 고정 커넥터(321)
(2-2) 제2 고정 커넥터(322)
(2-2-1) 제1 커넥팅 홀(322h1)
(2-2-2) 제2 커넥팅 홀(322h2)
(3) 체결링(330)
(4) 연결 커넥터(340)
(4-1) 제1 연결 커넥터(341)
(4-2) 제2 연결 커넥터(342)
(4-3) 커넥터바홀(340h)
(4-4) 제1 커넥팅홀삽입부(340p1)
(4-5) 제2 커넥팅홀삽입부(340p2)
(5) 커넥터바(350)
4) 휠부(400)
(1) 휠(410)
(2) 타이어(420)
(3) 포크(430)
(3-1) 제1 포크(431)
(3-2) 제2 포크(432)
(3-3) 제3 포크(433)
(3-3-1) 제3 배선홀(433h)
(4) 브레이크 시스템(440)
(4-1) 브레이크 캘리퍼(441)
(4-2) 브레이크 디스크(442)
(5) 구동모터(450)
5) 배터리(500)
(1) 락킹핀수용홈(501)
(2) 보조배터리(500a)
(3) 배터리캡(500b)
6) 윙커넥터(600)
(1) 윙커넥터홀(600h)
(2) 제1 윙커넥터(610)
(3) 제2 윙커넥터(620)
(4) 절개부(601)
7) 탈부착장치(700)
(1) 제1 고정링크(710)
(2) 제1 회전링크(720)
(3) 제1 회전유발링크(730)
(4) 제1-1 고정위치(P1)
(5) 제1-2 고정위치(P2)
(6) 제1 탈부착장치(701)
(7) 제2 탈부착장치(702)
8) 탈부착링크(800)
(1) 제1 탈부착링크(810)
(2) 제2 탈부착링크(820)
(1) 제1-1 고정돌기(811)
(2) 제1-2 고정돌기(812)

Claims (7)

  1. 핸들부;
    상기 핸들부에 연결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된 휠부;
    상기 바디부에 탈부착 가능한 배터리;
    상기 커넥터부와 휠체어를 서로 연결하는 윙커넥터; 및
    상기 윙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와 탈부착 가능한 탈부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는 핸들체결부, 상기 커넥터부에 연결되는 커넥터체결부, 상기 핸들체결부와 상기 커넥터체결부 사이에서 이들에 연결되고 제어기 및 상기 배터리를 수납하는 바디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휠부와 상기 바디부를 서로 연결하는 회전 커넥터, 상기 회전 커넥터를 둘러싸며 위치하는 고정 커넥터, 상기 고정 커넥터와 상기 윙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휠부는 포크, 상기 포크에 연결된 휠, 상기 휠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휠의 제동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배선은 상기 커넥터체결부의 제1 배선홀, 상기 회전 커넥터의 제2 배선홀, 상기 포크의 제3 배선홀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브레이크 시스템에 연결되고,
    상기 탈부착장치는 상기 휠체어에 체결된 탈부착링크에 형성된 제1 고정돌기가 고정되도록 제1 고정위치를 제공하는 고정링크와, 상기 윙커넥터에 힌지고정되고 상기 탈부착링크에 구비된 제2 고정돌기가 고정되도록 제2 고정위치를 제공하는 회전링크와, 상기 윙커넥터에 힌지고정되고 외부 조작에 의해서 상기 회전링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발링크를 포함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넥터는 상기 핸들부, 상기 휠부, 상기 바디부 및 상기 휠부의 회전시 상기 고정 커넥터 내부에서 상기 핸들부, 상기 휠부, 상기 바디부 및 상기 휠부와 함께 회전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은 상기 휠체어와 마주하는 면에 배터리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수납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에 체결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커넥터체결부에 체결되는 제1 배터리 체결부 및 상기 회전 커넥터에 체결되는 제2 배터리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바디 프레임에 탈부착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 체결부는, 배터리 체결 돌출부, 상기 배터리 체결 돌출부에 설치되는 배터리 락 및 상기 배터리 락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터리 체결 돌출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락킹핀홀을 통해 일부 영역이 배출되거나 상기 락킹핀홀 내부로 수납되는 락킹핀을 포함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락의 회전에 따라 상기 락킹핀은 상기 락킹핀홀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배터리의 상부면에 형성된 락킹핀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터리 체결부는 상기 배터리의 하부면에 형성된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 및 상기 배터리의 하부면의 홈에 삽입되는 배터리 고정 돌출부가 형성된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KR1020220104715A 2022-08-22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KR102666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715A KR102666603B1 (ko) 2022-08-22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715A KR102666603B1 (ko) 2022-08-22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6633A true KR20240026633A (ko) 2024-02-29
KR102666603B1 KR102666603B1 (ko) 2024-05-20

Family

ID=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84B1 (ko) 2014-06-23 2016-03-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착탈 가능한 휠체어 주행보조장치
KR101610632B1 (ko) 2014-09-18 2016-04-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가접근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742247B1 (ko) 2015-05-29 2017-06-01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휠체어용 보조 구동장치
KR101901997B1 (ko) 2017-02-06 2018-09-28 김동민 휠체어용 전동장치
KR101920220B1 (ko) 2017-01-18 2018-11-21 (주)디앤엠솔루션즈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KR102165002B1 (ko) 2019-01-11 2020-10-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와 전동보조장치의 연결구조
KR102199618B1 (ko) 2018-12-28 2021-01-07 (주)디앤엠솔루션즈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2202918B1 (ko) 2019-01-17 2021-01-14 (주)디앤엠솔루션즈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20210039548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에스씨랩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KR20210074765A (ko) 2019-12-12 2021-06-22 김광섭 탈부착 수동 휠체어 동력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84B1 (ko) 2014-06-23 2016-03-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착탈 가능한 휠체어 주행보조장치
KR101610632B1 (ko) 2014-09-18 2016-04-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가접근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742247B1 (ko) 2015-05-29 2017-06-01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휠체어용 보조 구동장치
KR101920220B1 (ko) 2017-01-18 2018-11-21 (주)디앤엠솔루션즈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KR101901997B1 (ko) 2017-02-06 2018-09-28 김동민 휠체어용 전동장치
KR102199618B1 (ko) 2018-12-28 2021-01-07 (주)디앤엠솔루션즈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2165002B1 (ko) 2019-01-11 2020-10-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와 전동보조장치의 연결구조
KR102202918B1 (ko) 2019-01-17 2021-01-14 (주)디앤엠솔루션즈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20210039548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에스씨랩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KR20210074765A (ko) 2019-12-12 2021-06-22 김광섭 탈부착 수동 휠체어 동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113B1 (en) Attachable, powered drive apparatus for wheelchairs
US7216728B2 (en) Motorized apparatus for towing a wheelchair
US8881857B2 (en) Bicycle frame for receiving a battery unit and associated battery unit
US8473130B2 (en) Folding bicycle with electric power train assist
US7200894B2 (en) Roller
KR20170142009A (ko) 후륜 견인 타입 링크 부재를 이용한 전동 킥보드
US10130531B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variable configurations of an attachable/detachable motorized drive for standard wheelchairs
KR20200001715A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JP2011030964A (ja) 車いす用組み立て式電気駆動装置とそれを備える電動車いす
JP2006008013A (ja) 走行装置
KR101538215B1 (ko) 절첩식 수동 겸 전동 자전거
KR102666603B1 (ko)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CN107468438B (zh) 折叠式电动轮椅车
KR200498003Y1 (ko)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KR20240026633A (ko)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KR20240000387U (ko)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US9873477B2 (en) Collapsible scooter
JP2009073411A (ja) 自動二輪車
CN207670564U (zh) 人机互动体感车
CN106627896A (zh) 人机互动体感车
TW200303190A (en) Small electric vehicle
CN206644916U (zh) 人机互动体感车
JP2009172082A (ja) 車椅子用補助動力装置
CN106080880B (zh) 一种平衡车
CN220809380U (zh) 一种刹车控制装置及观光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