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618B1 -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618B1
KR102199618B1 KR1020180171830A KR20180171830A KR102199618B1 KR 102199618 B1 KR102199618 B1 KR 102199618B1 KR 1020180171830 A KR1020180171830 A KR 1020180171830A KR 20180171830 A KR20180171830 A KR 20180171830A KR 102199618 B1 KR102199618 B1 KR 102199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unit
coupling
module
wheelchair
centr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1867A (ko
Inventor
이창우
김경희
최일항
신시경
신창용
곽정현
윤대환
Original Assignee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엠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8017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6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2Front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에 기반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듈; 연결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 견인될 휠체어에 결합되는 링크 모듈; 및 상기 전동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고, 개방된 리세스부와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리세스부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덮개를 구비하는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안착된 채로 상기 덮개에 둘러싸이며 상기 연결 링크의 일 부분인 중앙 로드부를 구비하는 제2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동 모듈이 상기 링크 모듈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는 상기 중앙 로드부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상대 회전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장애인, 노약자 그리고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상태에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설치한 의자를 말한다.
휠체어는 그 구동방법에 따라 이용자가 손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휠체어와,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휠체어로 구분된다.
수동휠체어는 이용자가 직접 손으로 바퀴를 구동시켜야 하므로 장거리 운행이 어렵고 불편하다. 또한, 경사도에서 운행시 이용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뒤로 밀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호자 또는 이용자가 직접 힘을 가하여 수동휠체어를 구동해야 하기 때문에 힘이 약한 노약자는 수동휠체어를 구동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전동휠체어는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써 이용자의 편리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으나, 실외용으로 사용되어 실내에서는 별도의 수동휠체어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수동휠체어에 별도의 보조동력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 방식 또는 전동 방식으로 휠체어를 운용할 수 있게 하기도 한다.
수동휠체어에 보조동력장치를 결합함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전방의 구성과, 휄체어와 전방의 구성을 연결하는 중간의 구성 간에는 결합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 장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중간의 구성에는 복잡한 브라켓 등이 설치하여야 한다. 그에 따라, 결합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중간의 구성이 분리된 상태에서 브라켓 등이 돌출되어 있어 이용자가 그에 의해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우려도 있다. 또한, 중간 구성은 전방의 구성에 대해 한 가지 모드로만 결합되어, 전방의 구성과의 관계를 다양하게 할 수 없는 한계도 있다. 나아가, 결합 상태에서 유격에 의해 그 결합의 견고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의 일 형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715326호(2017.03.13.)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동 모듈과 링크 모듈을 결합하는 결합 모듈 중 링크 모듈에 형성되는 부분을 최대한 단순화할 수 있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전동 모듈과 링크 모듈이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 모듈에 의한 이들 간의 결합 모드를 다양화할 수 있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전동 모듈과 링크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유격을 제거할 수 있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는, 전력에 기반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듈; 연결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 견인될 휠체어에 결합되는 링크 모듈; 및 상기 전동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고, 개방된 리세스부와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리세스부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덮개를 구비하는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안착된 채로 상기 덮개에 둘러싸이며 상기 연결 링크의 일 부분인 중앙 로드부를 구비하는 제2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동 모듈이 상기 링크 모듈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는 상기 중앙 로드부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중앙 로드부에서 절곡 연장되고, 상기 휠체어와 연결되는 한 쌍의 사이드 로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는, 전동 모듈; 연결 링크를 구비하고, 휠체어에 결합되는 링크 모듈; 및 상기 전동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고, 개방된 리세스부와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리세스부의 개방된 부분을 덮는 덮개를 구비하는 제1 결합 유닛; 상기 연결 링크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안착된 채로 상기 덮개에 둘러싸이고 상기 전동 모듈이 상기 링크 모듈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 시에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의 회전 중심축이 되는 중앙 로드부를 구비하는 제2 결합 유닛; 상기 전동 모듈 측에 설치되는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링크 모듈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 모듈이 상기 링크 모듈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 시에 상기 제3 결합 유닛과 결합되는 제4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제2 결합 유닛 간의 결합, 그리고 상기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제4 결합 유닛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전동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을 2점 결합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는, 전동 모듈; 연결 링크를 구비하고, 휠체어에 결합되는 링크 모듈; 및 상기 전동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고, 개방된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지지 부재와 선택적으로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구속 부재를 구비하는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연결 링크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안착된 채로 상기 구속 부재에 의해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구속되는 중앙 로드부를 구비하는 제2 결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전동 모듈 측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변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중앙 로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중앙 로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 유닛은, 상기 구속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중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구속 부재를 상기 중앙 로드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중앙 로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로드부가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대해 상기 중앙 로드부의 중심축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부재는,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로드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판에 걸리는 돌출 외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전동 모듈 측에 설치되는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링크 모듈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 결합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제4 결합 유닛 중 하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제4 결합 유닛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래치에 클램핑되는 클램핑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치는, 상기 클램핑 로드부에 대한 클램핑 해제를 위해 조작되는 해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대해 상기 중앙 로드부를 구속하는 상태에서, 상기 해제 레버가 상기 클램핑 해제를 위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중앙 로드부에 설치되는 마운팅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결합 유닛은, 상기 래치를 상기 마운팅 블럭에 결합시키는 기본결합 볼트; 및 상기 래치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마운팅 블럭에 결합됨에 의해 상기 래치를 상기 기본결합 볼트 측으로 편향시켜, 상기 래치가 상기 기본결합 볼트에 밀착되게 하는 강화결합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동 모듈은, 윈도우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윈도우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구동 바퀴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티어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일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스티어링 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의하면, 전동 모듈과 링크 모듈을 결합하는 결합 모듈 중 제1 결합 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리세스가 되고 링크 모듈에 형성되는 제2 결합 유닛은 링크 모듈의 중앙 로드부 자체가 되므로, 제2 결합 유닛이 링크 모듈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일이 없어진다. 그에 의해, 링크 모듈을 별도로 분리하여 두더라도, 이용자가 그에 넘어지는 등의 경우에 제2 결합 유닛에 의해 부상을 당할 염려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또한, 제2 결합 유닛으로서 별도의 브라켓 등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그의 제작비/공정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개방된 리세스에 중앙 로드부가 안착되어 제1 결합 유닛과 제2 결합 유닛이 결합되므로, 링크 모듈을 뒤집에서 제1 결합 유닛과 제2 결합 유닛이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동 모듈과 링크 모듈은 기본적 결합 모드와 다른 모드로 결합되고, 이러한 모드는 보조동력장치의 운반/보관 등에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모듈과 링크 모듈이 결합된 상태에서 구속 부재와 지지 부재가 중앙 로드부를 구속함에 의해, 그들의 결합 상태에서 발생하는 유격을 제거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전동 모듈과 링크 모듈의 간의 결합의 견고성 및 안정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대한 부분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대한 부분 분리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서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이 결합 모듈(300)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구속 부재(315)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제1 결합 유닛(310) 및 제2 결합 유닛(330) 간의 결합 상태에서 덮개(316)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제2 결합 유닛(330) 및 제4 결합 유닛(370) 간의 결합 상태를 덮개(316)가 덮힌 상태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덮개(316)에 설치되는 다른 형태의 고정 부재(319)를 보인 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링크 모듈(200)이 도 3에 비해 뒤집힌 상태로 전동 모듈(100)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보조동력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대한 부분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대한 부분 분리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는 도 1의 휠체어(H)는 제외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100, 200, 및 300)는, 전동 모듈(100), 링크 모듈(200), 및 결합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동 모듈(100)은 전력을 기반으로 휠체어(H)를 움직이게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전동 모듈(100)은, 베이스 프레임(110), 스티어링 프레임(120), 핸들(130), 구동 바퀴(140), 구동 모터(150), 지원 박스(160), 및 거치 브라켓(17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대체로 중공 파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중공 부분에는 스티어링 프레임(120)이 삽입된다. 스티어링 프레임(120)의 상부에는 핸들(130)이 연결된다. 이용자가 핸들(130)을 좌우로 회전 조작함에 의해, 스티어링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된다. 스티어링 프레임(120)의 하부에는 구동 바퀴(140) 및 구동 모터(150)가 연결된다. 구동 모터(150)는 구동 바퀴(14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150)에 대한 전력 공급 및 제어는 지원 박스(16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원 박스(160)는 컨트롤러(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구동 모터(15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저장하고, 컨트롤러의 제어 등에 의해 구동 모터(15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원 박스(16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거치 브라켓(170)은 전동 모듈(100)이 지면에 대해 세워지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링크 모듈(200)은 휠체어(H)를 전동 모듈(100)에 연결하기 위해 휠체어(H)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링크 모듈(200)은 연결 링크(210)와 클램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링크(210)는 대체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링크(210)는 중앙 로드부(211)와 한 쌍의 사이드 로드부(215)로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 로드부(215)가 휠체어(H)의 양측 프레임에서 연장된 형태라면, 중앙 로드부(211)는 한 쌍의 사이드 로드부(215)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그에 의해, 중앙 로드부(211)는 휠체어(H)에 앉은 이용자의 전방에 위치하고, 한 쌍의 사이드 로드부(215)는 이용자의 양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클램프(230)는 한 쌍의 사이드 로드부(215)의 자유단에 각각 설치되어, 연결 링크(210)를 휠체어(H)의 프레임에 결합시킨다.
결합 모듈(300)은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결합 모듈(300)은 이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을 결합시키거나, 그들의 결합이 해제되게 한다.
결합 모듈(300)은, 우선, 제1 결합 유닛(310) 및 제2 결합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유닛(310)은 전동 모듈(100)에 설치되고, 제2 결합 유닛(330)의 링크 모듈(2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결합 유닛(310)은 지지 부재(311)와, 구속 부재(315), 그리고 고정 부재(319)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311)는 개방된 리세스부(313)를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 부재(31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판(312)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판(312)에는 각각 개방된 리세스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된 리세스부(313)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진 형태일 수 있다. 아울러, 개방된 리세스부(313)에서 개방된 부분은 상부가 되어, 리세스부(313)는 상방을 향해 개방된 것이 될 수 있다. 구속 부재(315)는 선택적으로 개방된 리세스부(313)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구성이다. 구속 부재(315)는 개방된 리세스부(313)의 개방된 부분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변위 조작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속 부재(315)는 전동 모듈(100) 측, 구체적으로는 지지 부재(311)에 회전 조작되게 설치되는 덮개(316)일 수 있다. 덮개(316)는 곡면 형태의 부분을 가지고, 이러한 곡면형 부분은 개방된 리세스부(313)의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부재(319)는 구속 부재(315)에 설치되어 구속 부재(315)가 후술할 중앙 로드부(331)를 감싸는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구성이다. 고정 부재(319)는 덮개(316)의 외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플런저(미도시)가 덮개(316)의 내면 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의 돌출은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결합 유닛(330)은 개방된 리세스부(313)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연결 링크(210)의 중앙 로드부(211) 자체일 수 있다. 제2 결합 유닛(330)의 구체적 구성으로서 중앙 로드부(211)를 파악함에 의해, 중앙 로드부(211)는 다른 참조 번호로서 331이 부여될 수 있다. 제2 결합 유닛(330)은 또한 제한 부재(3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한 부재(335)는 중앙 로드부(331)에 설치되어 중앙 로드부(331)가 개방된 리세스부(313)에 대해 중앙 로드부(331)의 중심축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한 부재(335)로는, 구체적으로 중앙 로드부(331)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한 쌍의 지지판(312)에 걸리는 돌출 외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외주부는 중앙 로드부(331)의 외주 방향을 따라 대체로 균일한 두께 및 폭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을 연결하기 위한 제1 결합 유닛(310)과 제2 결합 유닛(330)의 결합은, 추가적인 결합 구성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 모듈(300)은 제3 결합 유닛(350) 및 제4 결합 유닛(3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 결합 유닛(350)은 전동 모듈(100) 측에 설치되며, 제4 결합 유닛(370)은 그에 대응하여 링크 모듈(200) 측에 설치된다. 제3 결합 유닛(350)은 상부가 개방된 리세스부(313)에 대응하여, 그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4 결합 유닛(370)도 중앙 로드부(331)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먼저, 제4 결합 유닛(370)으로는, 래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래치는, 그를 향해 접근하는 대상물을 자동으로 구속하고,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대상물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구성이다. 상기 래치는 중앙 로드부(331)에서 하방 연장된 마운팅 블럭(337)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결합 유닛(350)은 상기 대상물이 되는 클램핑 로드부(351)를 포함한다. 클램핑 로드부(351)는 중앙 로드부(33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램핑 로드부(351)는 한 쌍의 지지판(31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제3 결합 유닛(350)이 래치를 포함하고, 제4 결합 유닛(370)이 그에 대응하는 클램핑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앞선 형태에서 래치와 클램핑 로드부(351)가 서로 간의 위치만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그들의 결합 관계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의 제1 결합 유닛(310)과 제2 결합 유닛(330)이 서로 결합되고 제3 결합 유닛(350)이 제4 결합 유닛(370)과 서로 결합된 상태는 도 3 및 도 4에 예시된다. 도 3은 도 1의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서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이 결합 모듈(300)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구속 부재(315)가 회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먼저 제2 결합 유닛(330)의 중앙 로드부(331)가 제1 결합 유닛(310)의 개방된 리세스부(313)에 수용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한 부재(335)로서 돌출 외주부가 한 쌍의 지지판(312) 사이에 끼워져서, 중앙 로드부(331)는 지지 부재(311)에 대해 자신의 중심축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구속 부재(315)로서 덮개(316)는 스티어링 프레임(120) 측으로 치우치도록 세워진 상태이다. 제3 결합 유닛(350)과 제4 결합 유닛(370) 간의 결합 전에, 덮개(316)가 회전 조작에 의해 눕혀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덮개(316)는 세워진 상태에서 스티어링 프레임(12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할 것임), 덮개(316)는 제3 결합 유닛(350)과 제4 결합 유닛(370) 간의 결합 후에 눕혀진 상태로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제1 결합 유닛(310)과 제2 결합 유닛(330) 간의 결합에 더하여, 제3 결합 유닛(350)과 제4 결합 유닛(370) 간에도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는, 구동 바퀴(140)가 뒤로 후진하는 형태로 전동 모듈(1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 중심축은 중앙 로드부(331)가 되고, 개방된 리세스부(313)는 중앙 로드부(331)와 접촉하면서 그를 감싸는 형태로 상대 회전하게 된다. 그러한 회전에 의해, 제4 결합 유닛(370)의 래치는 제3 결합 유닛(350)의 클램핑 로드부(351)에 접근하여, 클램핑 로드부(351)를 구속하게 된다.
이상의 제1 결합 유닛(310)과 제2 결합 유닛(330) 간의 결합, 및 제3 결합 유닛(350) 및 제4 결합 유닛(370) 간의 결합은,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 간의 2점 결합 지지를 달성하게 한다. 상기 2점 결합 지지는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 간의 보다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결합에서 결합 모듈(300)에서의 유격을 없애기 위하여, 제1 결합 유닛(310)에서 구속 부재(315)인 덮개(316)가 회전 조작되어 누운 자세로 전환될 수 있다. 누운 자세에서, 덮개(316)는 고정 부재(319)에 의해 그 자제로 고정된다. 고정 부재(319)의 플런저(미도시)는 중앙 로드부(331) 측, 구체적으로 마운팅 블럭(337)의 고정홈(338, 도 5)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덮개(316)의 고정에 의해 덮개(316) 자신도 유격 없도록 고정될 뿐만 아니라, 중앙 로드부(331)는 개방된 리세스부(313)에 대해 구속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중앙 로드부(331)는 개방된 리세스부(313) 및 덮개(316)에 의해 외주가 전체적으로 감싸진 상태로 그들에 의해 유격이 없도록 구속된다. 나아가, 덮개(316)의 하단부는 래치(371)의 해제 레버(373)가 작동하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해제 레버(373)는 클램핑 로드부(351)에 대한 래치(371)의 클램핑 해제를 위해 조작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배치 관계에 의해, 덮개(316)는 중앙 로드부(331)를 구속할 뿐만 아니라 래치(371)에 의한 클램핑 로드부(351)의 구속의 확실성에도 기여하게 된다.
구속 부재(315)가 스티어링 프레임(1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제1 결합 유닛(310) 및 제2 결합 유닛(330) 간의 결합 상태에서 덮개(316)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윈도우(111)가 형성된다. 윈도우(111)는 개방구로서, 덮개(316)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덮개(316)의 회전방지돌기(317)에 대응하여 윈도우(111)가 형성된다.
윈도우(111)에 대응하여, 스티어링 프레임(120)에는 삽입홈(121)이 형성된다. 삽입홈(121)은 윈도우(111)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덮개(316)가 세워진 자세에서, 덮개(316)의 회전방지돌기(317)는 윈도우(111)를 통해 삽입홈(121)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스티어링 프레임(120)은 삽입홈(121)에 끼워진 회전방지돌기(317)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다음으로, 덮개(316)가 래치(371)의 유격을 방지하는 구성(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함)에 관한 추가적인 사항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3의 제2 결합 유닛(330) 및 제4 결합 유닛(370) 간의 결합 상태를 덮개(316)가 덮힌 상태로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결합 유닛(330)의 마운팅 블럭(337)과 제4 결합 유닛(370)의 래치(371) 간의 결합은 기본결합 볼트(335) 및 강화결합 볼트(377)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기본결합 볼트(335)는 마운팅 블럭(337)과 래치(371)를 관통하여, 그들이 서로에 대해 기본적인 결합 관계를 갖게 한다. 여기서, 기본결합 볼트(335)와 래치(371)내의 관통홀의 공차로 인해, 마운팅 블럭(337)에 대해 래치(371)가 흔들거릴 수 있다. 그에 따라, 덮개(316)가 해제 레버(373)를 구속하는 작용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지 못하기도 한다. 그러나, 기본결합 볼트(335)에 더하여 강화결합 볼트(377)가 구비됨에 의해, 래치(371)는 마운팅 블럭(337)에 대해 유격 없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강화결합 볼트(377)는 래치(371)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마운팅 블럭(337)에 결합되어, 래치(371)를 기본결합 볼트(335)를 향한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그 결과, 래치(371)는 기본결합 볼트(335)와 강화결합 볼트(377)에 의해 밀착 압박되어, 설정 위치에 견고하게 구속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덮개(316)가 해제 레버(373)를 구속하는 작용도 확실히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강화결합 볼트(377)는 무두(無頭) 볼트일 수 있다. 상기 무두 볼트는 외부로 머리가 튀어나오지 않아서, 지지 부재(311)와의 구조적 간섭을 일으키지도 않게 된다.
다음으로, 덮개(316)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319)의 다른 형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4에서 덮개(316)에 설치되는 다른 형태의 고정 부재(319)를 보인 요부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 부재(319)는 한 쌍의 지지판(312)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고정 부재(319)의 플런저(미도시)는 지지판(312)을 관통하여 덮개(316)의 측면에 형성된 수용홈(미도시)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링크 모듈(200)은 전동 모듈(100)에 대해 앞서와 다른 결합 모드에 따라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링크 모듈(200)이 도 3에 비해 뒤집힌 상태로 전동 모듈(100)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보조동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링크 모듈(200)은 휠체어(H)로부터 분리되어, 앞선 도면들에 비해 뒤집힌 상태가 된다.
연결 링크(210)가 뒤집힘에 의해, 제1 결합 유닛(310) 및 제2 결합 유닛(330)은 서로 결합되어도, 제3 결합 유닛(350) 및 제4 결합 유닛(370)은 서로 결합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연결 링크(210)의 사이드 로드부(215)는 거치 브라켓(170)을 향하도록 대체로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 의해, 전동 모듈(100) 및 링크 모듈(200)[나아가, 결합 모듈(300)]을 휠체어(H)로부터 분리하여 운반하는 경우에, 그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전동 모듈 110: 베이스 프레임
140: 구동 바퀴 150: 구동 모터
170: 거치 브라켓 200: 링크 모듈
210: 연결 링크 211: 중앙 로드부
215: 사이드 로드부 230: 클램프
300: 결합 모듈 310: 제1 결합 유닛
311: 개방된 리세스 330: 제2 결합 유닛
331: 중앙 로드부 350: 제3 결합 유닛
351: 클램핑 로드부 370: 제4 결합 유닛
371: 래치

Claims (14)

  1. 전동 모듈;
    연결 링크를 구비하고, 휠체어에 결합되는 링크 모듈; 및
    상기 전동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고, 상방을 향해 개방된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지지 부재와 선택적으로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구속 부재를 구비하는 제1 결합 유닛;
    상기 연결 링크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안착된 채로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구속 부재에 의해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구속되는 중앙 로드부를 구비하는 제2 결합 유닛;
    상기 전동 모듈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결합 유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링크 모듈 측에서 상기 제2 결합 유닛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 결합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결합 유닛을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전동 모듈 측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변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중앙 로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중앙 로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유닛은,
    상기 구속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 중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구속 부재를 상기 중앙 로드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중앙 로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로드부가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대해 상기 중앙 로드부의 중심축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부재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앙 로드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판에 걸리는 돌출 외주부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제4 결합 유닛 중 하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제4 결합 유닛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래치에 클램핑되는 클램핑 로드부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클램핑 로드부에 대한 클램핑 해제를 위해 조작되는 해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대해 상기 중앙 로드부를 구속하는 상태에서, 상기 해제 레버가 상기 클램핑 해제를 위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도록 배치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중앙 로드부에 설치되는 마운팅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결합 유닛은,
    상기 래치를 상기 마운팅 블럭에 결합시키는 기본결합 볼트; 및
    상기 래치의 측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마운팅 블럭에 결합됨에 의해 상기 래치를 상기 기본결합 볼트 측으로 편향시켜, 상기 래치가 상기 기본결합 볼트에 밀착되게 하는 강화결합 볼트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모듈은,
    윈도우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윈도우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구비하고, 구동 바퀴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스티어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속 부재는,
    일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스티어링 프레임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171830A 2018-12-28 2018-12-28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2199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830A KR102199618B1 (ko) 2018-12-28 2018-12-28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830A KR102199618B1 (ko) 2018-12-28 2018-12-28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867A KR20200081867A (ko) 2020-07-08
KR102199618B1 true KR102199618B1 (ko) 2021-01-07

Family

ID=7160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830A KR102199618B1 (ko) 2018-12-28 2018-12-28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6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633A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KR20240000387U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852B1 (ko) * 2020-08-19 2022-05-10 주식회사 프론테크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KR20220042693A (ko) * 2020-09-28 2022-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의 견인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방법
KR102493298B1 (ko) * 2020-12-21 2023-01-31 주식회사 스위브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KR200496348Y1 (ko) * 2022-10-24 2023-01-09 문종현 휠체어에 탈착 가능한 보조 동력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0243A1 (en) * 2010-10-05 2012-04-05 Mulhern James P Removable motor assembly for wheelchairs
KR101715326B1 (ko) * 2015-10-07 2017-03-13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80243A1 (en) * 2010-10-05 2012-04-05 Mulhern James P Removable motor assembly for wheelchairs
KR101715326B1 (ko) * 2015-10-07 2017-03-13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6633A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KR20240000387U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KR200498003Y1 (ko) 2022-08-22 2024-05-17 주식회사 프론테크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867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618B1 (ko)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CN108698663B (zh) 小型电动车辆
KR102202918B1 (ko)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1920220B1 (ko)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US6378642B1 (en) Motorized scooter
ES2261698T3 (es) Conjunto de accionamiento de freno de estacionamiento asistido electricamente.
US20110316253A1 (en) Wheelchair
KR102161710B1 (ko)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WO2021187106A1 (ja) 車両自動運転装置
CN101022990A (zh) 具有快速连接结构的自行车车座
JP2021148614A (ja) 車両自動運転装置のペダルアクチュエータ
KR100338243B1 (ko) 잠금장치
US20030042058A1 (en) Detachable motor for scooter
JP2015070897A (ja) 移乗支援装置及び連結機構
TWI282733B (en) Small electric vehicle
KR101568046B1 (ko) 뒷좌석 승객용 풋레스트 장치
US11904976B2 (en) Collapsible electric vehicle, vehicle frame for same, and vehicle frame lock
ES2671330T3 (es) Dispositivo de fijación de bicicleta
JP6904095B2 (ja) 人工心肺ポンプ駆動装置
JP2000203476A (ja) 電動車両
JPH0984838A (ja) 牽引車両とその連結装置
KR20220089554A (ko)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JP3561677B2 (ja) 電動自転車
KR20210138692A (ko) 유모차 프레임 및 유모차
KR102532981B1 (ko) 휠체어와 휠체어동력보조장치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