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298B1 -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 Google Patents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298B1
KR102493298B1 KR1020200180295A KR20200180295A KR102493298B1 KR 102493298 B1 KR102493298 B1 KR 102493298B1 KR 1020200180295 A KR1020200180295 A KR 1020200180295A KR 20200180295 A KR20200180295 A KR 20200180295A KR 102493298 B1 KR102493298 B1 KR 102493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nual wheelchair
coupled
power assist
assis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554A (ko
Inventor
최형석
김민수
김종현
정회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위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위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위브
Priority to KR1020200180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2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2Front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3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 B62K5/025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8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onnecting a trolley to a device, e.g. bed or column 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휠체어와 동력보조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양 구성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동력보조장치의 배면에 대면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과 체결되고 상기 수동휠체어의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며 외측에 하나 이상의 걸림수단이 마련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대면하는 수동휠체어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2프레임의 걸림수단에 걸림이 이루어져 체결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수동휠체어 사용자가 동력보조장치를 수동휠체어와 결합시킬 때 결합 및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구동바퀴에 하중이 집중되게 하여 동력보조장치의 견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Connecting Frame for Assistant power apparatus and wheelchair}
본 발명은 수동휠체어와 동력보조장치를 결합시키는 연결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보조장치는 수동휠체어의 전면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보조 장치 이며, 본 발명은 상기 두 구성을 결합시키기 위한 매개체 장치인 연결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동력보조장치는 하나의 구동바퀴, 수동휠체어는 네개의 바퀴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력보조장치의 견인력은 구동모터의 토크와 구동바퀴에 가해지는 일정 허용수준의 하중과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동력보조장치와 수동휠체어가 결합되어 모든 바퀴가 지면과 닿게 되면 하중이 분산되어 결과적으로 온전한 견인력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동력보조장치와 수동휠체어의 결합 시 3륜 방식의 전동식 휠체어로 변환시킬 수 있는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장애인, 노약자 또는 신체가 불편한 사람이 앉은 상태에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를 말한다. 이러한 휠체어는 그 구동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휠체어와,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휠체어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수동휠체어의 전면에 부착되어 견인력을 제공하는 동력보조장치도 소개가 되고 있다. 다만 상기의 동력보조장치는 수동휠체어와 결합시켜 사용되는 구조이며, 이러한 구조물은 신체가 불편한 사람이 이용할 때 결합 및 해제가 불편하거나, 또는 동력보조장치의 결합시 각 바퀴로 분산된 중량으로 인해 견인력을 온전히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202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서, 동력보조장치가 결합될 때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여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을 제공하고, 또한 동력보조장치의 구동 시 구동바퀴에 하중이 최대한 실리도록 하여 온전한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수동휠체어와 동력보조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양 구성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동력보조장치의 배면에 대면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과 체결되고 상기 수동휠체어의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며 외측에 하나 이상의 걸림수단이 마련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대면하는 수동휠체어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2프레임의 걸림수단에 걸림이 이루어져 체결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제1프레임은 원통형 바(bar)형상을 가지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동력보조장치의 배면에 볼트 결합되고 상기 제1프레임을 향하는 일면에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고정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향하는 일측에 슬라이드턱이 구비되고 횡방향으로 상기 몸체가 통과되며 일단에 절개부위가 형성되는 관통홀이 마련되고 볼트 체결을 통해 상기 절개부위가 개폐되게 하는 체결돌기로 구성되는 클램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몸체의 양단에서 각각 연직방향으로 핀 결합되어 횡방향 회동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양단과 한 쌍의 회전프레임 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동을 가이드하면서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제2프레임은, 판 형상을 가지며 연직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외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둘 이상의 걸림핀, 상기 제1부재의 중심에서 상기 회전프레임을 향하는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연직방향으로 상기 회전프레임의 끝단에 핀 결합되어 상기 제1부재가 횡방향 회동되게 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제3프레임은 수동휠체어의 선택된 프레임에 결합되는 힌지체결부, 상기 힌지체결부의 일면에 하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걸림핀을 향하는 고정판의 일측면으로부터 직선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공간이 마련되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고리, 상기 제1고리와 동일 형상을 가지고 상기 걸림핀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이격 거리로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고리 및 상기 제1고리 또는 제2고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걸림공간에 수용된 걸림핀의 걸림을 유지하기 위한 핀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힌지체결부는, 한 쌍의 체결부재가 상호 대칭으로 배치되어 일측에 수동휠체어의 선택된 프레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수용공간이 마련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판이 체결되는 체결공이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체결부재는 선택된 일단이 상호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동력보조장치와 수동휠체어를 결합시키는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여 연결프레임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한 연결프레임을 제공하고, 또한 수동휠체어의 전면 보조바퀴가 지면에서 이격 되게 하여 3륜 방식의 전동식 휠체어로 전환 시킬 수 있는 연결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실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결함프레임의 사시도 이다.
도 4는 제1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2프레임의 사시도 이다.
도 6은 제3프레임의 사시도 이다.
도 7은 제3프레임의 측면도 이다.
도 8은 제3프레임의 상면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장치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수동휠체어(20)는 팔 힘으로 구동하는 두개의 주바퀴(21)가 수동휠체어(20)의 안장 측면에 구성되고 방향 전환을 위한 보조바퀴(22)가 전면에 마련되는 공지의 수동휠체어(20)를 의미하며, 동력보조장치(10)는 수동휠체어(20) 전면에서 전동으로 구동되어 수동휠체어(20)를 견인하는 보조장치를 말한다.
동력보조장치(10)가 수동휠체어(20)에 결합되었을 때 동력보조장치(10)의 바퀴로 수동휠체어(20)를 견인하기 위해서는 수동휠체어(20)의 보조바퀴(22)는 지면과 이격되며 주바퀴(21) 및 동력보조장치(10)의 구동바퀴(11)가 지면에 닿는 3륜 지지 형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3륜 지지를 유지하고 동력보조장치(10)와 수동휠체어(20)의 결합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이하 본 발명의 장치)과 동력보조장치(10) 및 수동휠체어(20)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동력보조장치(10)와 수동휠체어(20) 사이에 결합되어 수동휠체어(20)의 전면에 구성되어 있는 보조바퀴(22)가 지면에서 이격되어 3륜 지지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는 수동휠체어(20)와 동력보조장치(10) 사이에 위치하고 양 구성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동력보조장치(10)의 배면에 대면 결합되는 결합프레임(400), 상기 결합프레임(400)과 체결되고 상기 수동휠체어(20)의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프레임(100), 상기 제1프레임(100)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며 외측에 하나 이상의 걸림수단이 마련되는 제2프레임(200) 및 상기 제2프레임(200)에 대면하는 수동휠체어(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2프레임의 걸림수단에 걸림이 이루어져 체결되는 제3프레임(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각 구성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결합프레임(400)의 사시도 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결합프레임(400)을 설명하면,
결합프레임(400)은 동력보조장치(10)의 배면에 결합되고 제1프레임(100)을 향하는 일면에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고정블록(4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프레임(400)은 슬라이드레일을 향하는 일측에 슬라이드턱이 구비되고 횡방향으로 상기 몸체(110)가 통과되며 일단에 절개부위가 형성되는 관통홀(30)이 마련되고 볼트 체결을 통해 상기 절개부위가 개폐되게 하는 체결돌기(50)로 구성되는 클램프부재(450)를 포함한다. 또한 체결돌기(50)에는 타공이 형성되고 이에 볼트 및 너트 또는 공지의 부재를 활용하여 체결돌기(50)를 양측에서 압박하여 조일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의 관통홀(30)에 제1프레임(100)의 바형상 몸체(11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부재(450)는 슬라이드방식으로 고정블럭(4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위해 고정블럭(410)과 클램프부재(450)가 대면되는 일면에 횡방향 슬라이드 레일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제1프레임(100)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프레임(100)은 몸체(110)의 양단에서 각각 연직방향으로 핀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회동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양단과 한 쌍의 회전프레임(120) 간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프레임(120)의 회동을 가이드하면서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10)는 양단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절개부를 가지며 상기 절개부의 끝단에 회전프레임(120)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140)의 일단이 상기 절개부에 결합될수 있다. 회전프레임(120)의 양단은 힌지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몸체(110)와 제2프레임(200)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140)는 길이부재와 호(弧)형상 부재가 결합된 낫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호형상을 따라서 가이드공(150)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프레임(120)에는 상기 가이드공(150)을 따라 회동각의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제2프레임(200)을 도시한 것이다.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프레임(100)의 양 끝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프레임(200)이 마련될 수 있다. 제2프레임(200)은 판 형상을 가지며 연직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210)의 외측면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둘 이상의 걸림핀(23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부재(210)의 중심에서 회전프레임(120)을 향하는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연직방향으로 회전프레임(120)의 끝단에 핀 결합되어 제1부재(210)가 횡방향 회동되게 하는 제2부재(2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의 걸림핀(230)에는 제3프레임(300)이 체결될 수 있으며 이하 제3프레임(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제3프레임(300)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 제3프레임(300)은 수동휠체어(20)의 선택된 프레임에 결합되는 힌지체결부, 상기 힌지체결부의 일면에 하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결합되는 고정판(360), 상기 걸림핀(230)을 향하는 고정판(360)의 일측면으로부터 직선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공간이 마련되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고리(330), 상기 제1고리(330)와 동일 형상을 가지고 상기 걸림핀(230)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이격 거리로 상기 고정판(360)의 일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고리(350) 및 상기 제1고리(330) 또는 제2고리(35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걸림공간에 수용된 걸림핀(230)의 걸림을 유지하기 위한 핀락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체결부는 한 쌍의 체결부재(310)가 상호 대칭으로 배치되어 일측에 수동휠체어(20)의 선택된 프레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수용공간(320)이 마련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판(360)이 체결되는 체결공이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체결부재(310)는 선택된 일단이 상호 힌지축(321)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다.
즉, 수동휠체어(20)의 프레임을 힌지체결부에 마련된 프레임수용공간(320)에 밀착 결합하고 이를 압박 체결할 수 있게된다.
또한 고정판(360)과 힌지체결부에 의한 하향기울기로 인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휠체어(20)의 보조바퀴(22)가 지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3륜 지지형태의 휠체어가 마련되고 중량 분산을 방지하여 동력보조장치(10)의 견인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프레임(200)과 제3프레임(300)이 결합되었을 때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핀락부(370)가 마련될 수 있다. 핀락부(370)는 제1고리(330)와 제2고리(35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리 외측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장치가 결합되어 3륜 지지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결합프레임(400)과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이 결합된다. 제3프레임(300)은 수동휠체어(20)와 결합된다. 고정판(360)은 하향기울기를 형성하기에 수동휠체어(20)의 보조바퀴(22)를 지면과 이격시켜 제2프레임(200)과 고정판(360)의 수평을 맞춰 체결한다. 이후 핀락부(370)를 활용하여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동력보조장치 11 : 구동바퀴
20 : 수동휠체어 21 : 주바퀴
22 : 보조바퀴 30 : 관통홀
50 : 체결돌기 100 : 제1프레임
110 : 몸체 120 : 회전프레임
130 : 스토퍼 140 : 가이드부재
200 : 제2프레임 210 : 제1부재
220 : 제2부재 230 : 걸림핀
300 : 제3프레임 310 : 체결부재
320 : 프레임수용공간 321 : 힌지축
330 : 제1고리 350 : 제2고리
360 : 고정판 370 : 핀락부
400 : 결합프레임 410 : 고정블럭
450 : 클램프부재

Claims (6)

  1. 수동휠체어와 동력보조장치 사이에 위치하고 양 구성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동력보조장치의 배면에 대면 결합되는 결합프레임;
    상기 결합프레임과 체결되고 상기 수동휠체어의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체결되며 외측에 하나 이상의 걸림수단이 마련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대면하는 수동휠체어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 2프레임의 걸림수단에 걸림이 이루어져 체결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프레임은,
    원통형 바(bar)형상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서 각각 연직방향으로 핀 결합되어 횡방향 회동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 및 상기 몸체의 양단과 한 쌍의 회전프레임 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동을 가이드하면서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동력보조장치의 배면에 볼트 결합되고 상기 제1프레임을 향하는 일면에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슬라이드레일을 향하는 일측에 슬라이드턱이 구비되고 횡방향으로 상기 몸체가 통과되며 일단에 절개부위가 형성되는 관통홀이 마련되고 볼트 체결을 통해 상기 절개부위가 개폐되게 하는 체결돌기로 구성되는 클램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프레임은,
    판 형상을 가지며 연직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외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둘 이상의 걸림핀과, 상기 제1부재의 중심에서 상기 회전프레임을 향하는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연직방향으로 상기 회전프레임의 끝단에 핀 결합되어 상기 제1부재가 횡방향 회동되게 하는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프레임은,
    수동휠체어의 선택된 프레임에 결합되는 힌지체결부와, 상기 힌지체결부의 일면에 하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걸림핀을 향하는 고정판의 일측면으로부터 직선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공간이 마련되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제1고리와, 상기 제1고리와 동일 형상을 가지고 상기 걸림핀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이격 거리로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고리 및 상기 제1고리 또는 제2고리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걸림공간에 수용된 걸림핀의 걸림을 유지하기 위한 핀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체결부는,
    한 쌍의 체결부재가 상호 대칭으로 배치되어 일측에 수동휠체어의 선택된 프레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수용공간이 마련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판이 체결되는 체결공이 마련되되, 상기 한 쌍의 체결부재는 선택된 일단이 상호 힌지축에 의해 연결되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KR1020200180295A 2020-12-21 2020-12-21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KR102493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95A KR102493298B1 (ko) 2020-12-21 2020-12-21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295A KR102493298B1 (ko) 2020-12-21 2020-12-21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54A KR20220089554A (ko) 2022-06-28
KR102493298B1 true KR102493298B1 (ko) 2023-01-31

Family

ID=8226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295A KR102493298B1 (ko) 2020-12-21 2020-12-21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256B1 (ko) * 2022-12-12 2023-03-07 백승현 퍼스널 모빌리티용 원터치 체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886B2 (ja) * 1996-09-13 2001-09-25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型光スイッチ制御回路
JP2004201807A (ja) 2002-12-24 2004-07-22 Ir Care Kk 組立て式電動車いす及び電動車いすの組立て方法
WO2017175103A1 (en) 2016-04-06 2017-10-12 Klaxon Mobility Gmbh Connection assembly for coupling an auxiliary drive system to a wheelchair for disabled peop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530A (ko) * 2011-06-14 2012-12-26 정석원 태양광 충전 자전거 전조등
KR101742247B1 (ko) * 2015-05-29 2017-06-01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휠체어용 보조 구동장치
KR101920220B1 (ko) * 2017-01-18 2018-11-21 (주)디앤엠솔루션즈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KR101901997B1 (ko) * 2017-02-06 2018-09-28 김동민 휠체어용 전동장치
KR20180097402A (ko) * 2017-02-23 2018-08-31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JP3212886U (ja) * 2017-07-26 2017-10-05 首盟企業有限公司 自転車用光センシングランプ
KR102199618B1 (ko) * 2018-12-28 2021-01-07 (주)디앤엠솔루션즈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886B2 (ja) * 1996-09-13 2001-09-25 日本電気株式会社 ゲート型光スイッチ制御回路
JP2004201807A (ja) 2002-12-24 2004-07-22 Ir Care Kk 組立て式電動車いす及び電動車いすの組立て方法
WO2017175103A1 (en) 2016-04-06 2017-10-12 Klaxon Mobility Gmbh Connection assembly for coupling an auxiliary drive system to a wheelchair for disabled peop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554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3298B1 (ko)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EP2985014A1 (en) Folding wheelchair
US4993732A (en) Detachable manual propulsion system
US20040084230A1 (en) Transportable wheelchair
PT1702656E (pt) Aparelho de exercícios reformador
DE102011117671A1 (de) Rollstuhl mit in der Höhe und Neigung verstellbarem Sitz
CN109348710B (zh) 自行车鞍座的倾斜角调节装置
KR100931524B1 (ko) 삼륜 자전거
KR20160049778A (ko)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WO1989004622A1 (en) Lightweight wheelchair having swing-away footrest assembly
EP0370092B1 (de) Schaufelbahre fuer den transport einer verletzten person
US65273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ilting the seat of a wheelchair with a low profile linkage
US20120012417A1 (en) "Wheelchair"
WO2020141661A1 (ko) 차륜 틸팅장치
US20230000698A1 (en) Rear Side Entry Type Wheelchair
KR102309270B1 (ko)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
DE102007015851A1 (de) Radvorsatz für Kleinfahrzeuge
AU736237B2 (en) Device for removably attaching a stretcher to a stretcher trolley
KR101598478B1 (ko)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WO2012177233A1 (en) Wheelchair
CN111759599A (zh) 一种组合式电动移位转运轮椅
EP3574883A1 (de)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streckkräften auf einen körper einer person
RU2272605C2 (ru) Коляска для инвалидов
CN107569332A (zh) 一种理疗康复轮椅
CN212395233U (zh) 一种组合式电动移位转运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