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270B1 -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 - Google Patents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270B1
KR102309270B1 KR1020210062393A KR20210062393A KR102309270B1 KR 102309270 B1 KR102309270 B1 KR 102309270B1 KR 1020210062393 A KR1020210062393 A KR 1020210062393A KR 20210062393 A KR20210062393 A KR 20210062393A KR 102309270 B1 KR102309270 B1 KR 10230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eat
bar
rod
hing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현
Original Assignee
백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현 filed Critical 백승현
Priority to KR102021006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2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rotating the whole seat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91Cushions, seats or ab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이다. 그의 구체적인 구성은 휠체어의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는 제1시트브래킷(64)과 제2시트브래킷(65)이 이격되어 장착되고,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는 제3시트브래킷(66)과 제4시트브래킷(67)이 이격되어 장착되며, 2개의 시트프레임(11)이 구비되되, 상기 시트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대(20)의 고리부(21)와 스내치로크(23)가 상기 제1시트브래킷(64)과 제2시트브래킷(65) 및 제3시트브래킷(66)과 제4시트브래킷(67)에 각각 대응되면서 장착 및 탈거됨으로써, 사용자가 시트프레임(11)의 방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The wheelchair with a seat frame for front-to-back conversion}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프레임를 180°회전시켜 장착 및 탈거함으로써, 노면 상태와 사용자의 성향 등을 고려하여 휠체어의 주행 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휠체어는 일반적으로 다리가 불편한 사람이나 몸이 약한 노약자 등이 앉은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장착된 의자 형상이며, 노약자 또는 장애우들이 직장생활, 가정생활 및 여가 생활에 참여하는데 사용하는 단거리 이동수단이다.
휠체어가 단거리 이동수단으로 국한되는 이유는 휠체어의 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 통상 휠체어의 전방에는 360˚회전하는 소구경의 종동바퀴(14)가 장착되고, 후방에는 대구경의 구동바퀴(13)가 장착됨으로써, 사용자는 수동 또는 전동 방식으로 구동바퀴(13)를 가동하여 주행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휠체어의 주행 방향의 선단에 소구경의 종동바퀴(14)가 위치되는 구조상 노면이 불규칙하거나, 단턱이 높으면 올라갈 수 없으므로, 소구경의 종동바퀴(14)가 휠체어 주행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구조적인 이유로 인해, 장거기 이동수단으로 휠체어를 이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1/0258771호(2011. 10. 27)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휠체어를 이용한 장거리 주행시 주행 방향의 선단에 위치한 소구경의 종동바퀴(14)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휠체어 사용자가 본인의 성향을 비롯하여 노면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대구경의 구동바퀴(13)가 주행 방향의 선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주행 방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의 구체적인 구성은 휠체어의 하부 프레임의 일측에는 제1시트브래킷(64)과 제2시트브래킷(65)이 이격되어 장착되고, 하부 프레임의 타측에는 제3시트브래킷(66)과 제4시트브래킷(67)이 이격되어 장착되며, 2개의 시트프레임(11)이 구비되되, 상기 시트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대(20)의 고리부(21)와 스내치로크(23)가 상기 제1시트브래킷(64)과 제2시트브래킷(65) 및 제3시트브래킷(66)과 제4시트브래킷(67)에 각각 대응되면서 장착 및 탈거됨으로써, 사용자가 시트프레임(11)의 방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성향과 노면 상태 등을 고려하여 휠체어의 주행 방향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1대의 휠체어를 이용하여 다른 느낌과 성능을 만끽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종래 휠체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중 비융기식 프레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중 비융기식 프레임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중 시트 브래킷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중 시트 프레임과 시트 브래킷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중 시트 프레임과 시트 브래킷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및 모식도
도 8, 9는 본 발명중 발판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주행 방향 전환된 휠체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되,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비교하면서 설명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와 부합되지 않는 부연 설명에 지나지 않을 경우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휠체어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휠체어(10)는 시트(12)가 장착되는 시트프레임(11)이 구비되고, 시트프레임(11)의 양측에는 대구경의 구동바퀴(13)가 장착되며, 시트프레임(11)의 전방에는 소구경의 종동바퀴(14)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구동바퀴(13)를 굴리면서 주행하는 수동식 휠체어이다.
휠체어가 주로 직장생활, 가정생활 및 여가 생활에 단거리 이동수단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주행 방향의 선단에 소구경의 종동바퀴(14)가 위치하기 때문이다.
즉, 휠체어의 주행 방향의 선단에 소구경의 종동바퀴(14)가 위치하기 때문에, 노면이 불규칙하거나, 단턱이 높으면 올라갈 수 없으므로, 휠체어의 행동반경이 단거리로 축소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이유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휠체어 사용자가 본인의 성향을 비롯하여 노면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대구경의 구동바퀴(13)가 주행 방향의 선단에 위치할 수 있도록 주행 방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시트프레임(11)은 한쪽만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휠체어는 저면에 좌우로 접철되는 비융기식프레임(30)이 마련되고, 상기 비융기식프레임(30)의 상부에는 시트프레임(11)이 장착되며, 상기 시트프레임(11)의 후방 좌우에는 전동 방식으로 가동되는 대구경의 구동바퀴(13)가 장착되고, 시트프레임(11)의 전방 좌우에는 소구경의 종동바퀴(14)가 장착되어, 모터 구동 방식으로 주행하는 전동식 휠체어이다.
특히, 도 2의 시트프레임(11)은 비융기식프레임(30)으로 대변되는 휠체어의 하부 프레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터치 조립 방식으로 180˚회전시켜, 사용자의 앉은 자리를 바꿔줌으로써, 휠체어의 주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시트프레임(11)의 180˚회전되는 구조의 설명에 앞서 휠체어의 하부 프레임으로 대변되는 비융기식프레임(30)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중 비융기식프레임(3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중 비융기식프레임(3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에서 보듯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제1블럭(31)과 제2블럭(32)이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제1블럭(31)과 제2블럭(32)을 관통하면서 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중심봉(33)이 마련된다.
상기 제1블럭(31)의 좌우에는 제1가로봉(34)과 제2가로봉(35)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제6힌지부(75)와 제7힌지부(76)를 통해 장착되고, 제2블럭(32)의 좌우에도 제3가로봉(36)과 제4가로봉(37)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제13힌지부(85)와 제14힌지부(86)를 통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가로봉(34)과 제2가로봉(35)의 타단에는 제1브래킷(60)과 제2브래킷(61)이 회동 가능하도록 제4힌지부(73)와 제5힌지부(74)를 통해 장착되고, 상기 제3가로봉(36)과 제4가로봉(37)의 타단에도 제3브래킷(62)과 제4브래킷(63)이 회동 가능하도록 제11힌지부(83)와 제12힌지부(84)를 통해 장착된다.
한편, 상기 중심봉(33)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격되는 제1세로봉(50)과 제2세로봉(51)이 마련되어, 제1세로봉(50)은 상기 제1브래킷(60)과 제3브래킷(62)에 통상적인 고정수단을 통해 견고하게 장착되고, 제2세로봉(51)도 상기 제2브래킷(61)과 제4브래킷(63)에 통상적인 고정수단을 통해 견고하게 장착된다.
또한, 중심봉(33)과 제1,2가로봉(34, 35)을 서로 연결하여, 중심봉(33)의 직선 운동에 따라 제1가로봉(34)과 제2가로봉(35)이 회동 운동할 수 있도록 제1견인날개(40)와 제2견인날개(41)의 일단이 중심봉(33)의 전방에 제1힌지부(70)를 통해 장착되고, 제1견인날개(40)와 제2견인날개(41)의 타단은 제2힌지부(71)와 제3힌지부(72)를 통해 제1가로봉(34)과 제2가로봉(35)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중심봉(33)과 제3,4가로봉(36, 37)을 서로 연결하여, 중심봉(33)의 직선 운동에 따라 제3가로봉(36)과 제4가로봉(37)이 회동 운동할 수 있도록 제3견인날개(42)와 제4견인날개(43)의 일단이 중심봉(33)의 후방에 제8힌지부(80)를 통해 장착되고, 제3견인날개(42)와 제4견인날개(43)의 타단은 제9힌지부(81)와 제10힌지부(82)를 통해 제3가로봉(36)과 제4가로봉(37)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 중심봉(33), 제1가로봉(34), 제2가로봉(35), 제1견인날개(40), 제2견인날개(41)가 결합되는 제1블럭(31) 및 중심봉(33), 제3가로봉(36), 제4가로봉(37), 제3견인날개(42), 제4견인날개(43)가 결합되는 제2블럭(32)의 견고한 위치 설정을 위해, 제1블럭(31)과 제2블럭(32)은 연결판(90)을 매개체로 서로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대로 조립하면, 도 4의 (a)와 같이 조립되고, 휠체어(10)를 접을때는 도 4의 (a)에 ①번 화살표처럼 사용자가 비융기식프레임(30)의 중심봉(33)을 잡고 직선 운동을 수행하면, 중심봉(33)의 전방에 위치한 제1,2견인날개(40, 41)와, 중심봉(33)의 후방에 위치한 제3,4견인날개(42, 43)가 동시에 회동 운동을 수행하면서, 제1,2견인날개(40, 41)는 제1,2가로봉(34, 35)을 회동시키고, 제3,4견인날개(42, 43)는 제3,4가로봉(36, 37)을 회동시키며,
제1,2브래킷(60, 61)을 매개체로 제1,2가로봉(34, 35)과 연동되도록 장착된 제1세로봉(50)과, 제3,4브래킷(62, 63)을 매개체로 제3,4가로봉(36, 37)과 연동되도록 장착된 제2세로봉(51)은 상기 제1,2가로봉(34, 35)과 제3,4가로봉(36, 37)의 회동 운동에 따라 간격이 좁혀지면서, 결국 도 4의 (b)와 같이 비융기식프레임(30)이 접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중심봉(33)의 선단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도면 미도시)를 마련하고, 휠체어를 주행하다가 하차하여 단순히 중심봉(33)의 파지부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면서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지면에 접지된 구동바퀴(13)의 접지력과 당김에 따른 바퀴의 회전력이 소폭으로 상쇄되면서, 작은힘이 가해짐에도 불구하고, 도 4의 (b)와 같이 원스텝 방식으로 비융기식프레임(30)이 자연스럽게 실질적인 부피의 감소를 동반하면서 접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비융기식프레임(30)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휠체어의 크기를 다양하게 맞춤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좌우로 폭이 조절되는 비융기식프레임(30)의 펼침 각도를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설정한 다음, 시트프레임(11)을 비융기식프레임(30)의 상부에 장착하면, 1개의 비융기식프레임(30)을 통해 다양한 사이즈의 휠체어를 맞춤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중 시트 브래킷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중 시트프레임(11)과 시트 브래킷을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는 휠체어의 하부 프레임으로 대변되는 비융기식프레임(30)에서 제1세로봉(50)의 양단에 제1시트브래킷(64)과 제2시트브래킷(65)을 이격하여 통상적인 고정수단을 통해 장착하고, 제2세로봉(51)의 양단에도 제3시트브래킷(66)과 제4시트브래킷(67)을 이격하여 통상적인 고정수단을 통해 장착한다.
이후, 도 6에서와 같이 시트프레임(11)을 제1,2시트브래킷(64, 65) 및 제3,4시트브래킷(66, 67)에 장착하되, 시트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대(20)의 고리부(21)와 스내치로크(23, Snatch Lock)를 통해 원터치 조립 방식으로 장착한다.
도 7은 본 발명중 시트프레임(11)과 시트 브래킷을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도 6에 표시한 "(a)"와 "(b)"의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시트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대(20)의 일측에는 고리부(21)가 형성되고, 도 6의 (a)에서와 같이 고리부(21)에는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제1,3시트브래킷(64, 66)에 형성된 체결핀(68)을 향해 ②번 화살표 방향으로 끼운 다음, 시트프레임(11)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6의 (b)와 같이 장착대(20)의 타측에 형성된 스내치로크(23)가 ③번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2,4시트브래킷(65, 67)에 형성된 체결핀(68)에 원터치 방식으로 걸리게 된다.
도 6의 사각 박스안에 도시된 (c), (d)를 통해 스내치로크(23)의 작동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장착대(20)의 회동에 따라 스내치로크(23)가 도 6의 (c)와 같이 ③번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되면, 비틀림 스프링 등의 부품을 통해 서로 맞물려 동시에 작동되는 한 쌍의 스내치로크(23)의 체결 공간으로 체결핀(68)이 인입되면서 도 6의 (d)와 같이 원터치 방식으로 잠금 기능이 설정된다.
참고로, 도 6의 (d)에서와 같이 ④번 화살표 방향으로 스내치로크(23)를 회전시킨 다음, 장착대(20)를 들어올리면 원터치 방식으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진다.
도 8, 9는 본 발명중 발판프레임(10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8에서 보듯이 소구경의 종동바퀴(14)의 근처에 발판(101)이 위치하도록 발판프레임(100)을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 9에서와 같이 발판프레임(100)의 위치를 180˚회전시켜 구동바퀴(13)가 있는 근처에 장착할 수도 있다.
즉, 휠체어의 하부 프레임으로 대변되는 비융기식프레임(30)의 중앙에 장착된 연결판(90)의 상면에는 장착블럭(110)이 설치된다. 상기 장착블럭(110)은 도 9의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한 쌍의 지지홈(111)과 걸림턱(112)이 장착블럭(110)의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장착블럭(110)의 양측에 대칭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따라서, 발판프레임(100)의 일단에 형성된 2개의 장착핀(102)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장착블럭(110)의 한 쌍의 지지홈(111)과 걸림턱(112)에 원터치 방식으로 끼워짐으로써, 견고한 장착이 가능하게 될 뿐 아니라, 앞서 설명한 시트프레임(11)의 방향 전환에 따라, 발판프레임(100)도 또 다른 지지홈(111)과 걸림턱(112)을 통해 간편한 원터치 방식으로 방향 전환이 가능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주행 방향 전환된 휠체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시트프레임(11)은 앉은 상태의 사용자의 시선이 소구경의 종동바퀴(14)를 향해 있는 도면이고, 도 10에 도시된 시트프레임(11)은 앉은 상태의 사용자의 시선이 대구경의 구동바퀴(13)를 향해 있는 도면으로서, 사용자가 본인의 성향을 비롯하여 노면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앞서 설명한 대로 시트프레임(11)의 방향을 임의로 용이하게 설정함으로써, 휠체어의 주행 방향을 간편한 원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임의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성향과 노면 상태 등을 고려하여 휠체어의 주행 방향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1대의 휠체어를 이용하여 다른 느낌과 성능을 만끽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발생 된다.
10 : 휠체어
11 : 시트프레임
12 : 시트
13 : 구동바퀴
14 : 종동바퀴
20 : 장착대
21 : 고리부
22 : 경사면
23 : 스내치로크
30 : 비융기식프레임
31 : 제1블럭
32 : 제2블럭
33 : 중심봉
34 : 제1가로봉
35 : 제2가로봉
36 : 제3가로봉
37 : 제4가로봉
40 : 제1견인날개
41 : 제2견인날개
42 : 제3견인날개
43 : 제4견인날개
50 : 제1세로봉
51 : 제2세로봉
60 : 제1브래킷
61 : 제2브래킷
62 : 제3브래킷
63 : 제4브래킷
64 : 제1시트브래킷
65 : 제2시트브래킷
66 : 제3시트브래킷
67 : 제4시트브래킷
68 : 체결핀
70 : 제1힌지부
71 : 제2힌지부
72 : 제3힌지부
73 : 제4힌지부
74 : 제5힌지부
75 : 제6힌지부
76 : 제7힌지부
80 : 제8힌지부
81 : 제9힌지부
82 : 제10힌지부
83 : 제11힌지부
84 : 제12힌지부
85 : 제13힌지부
86 : 제14힌지부
90 : 연결판
100 : 발판프레임
101 : 발판
102 : 장착핀
110 : 장착블럭
111 : 지지홈
112 : 걸림턱

Claims (2)

  1. 제1블럭(31)을 관통하는 중심봉(33)이 마련되고, 상기 제1블럭(31)의 좌우에는 제1가로봉(34)과 제2가로봉(35)의 일단이 제6힌지부(75)와 제7힌지부(76)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가로봉(34)과 제2가로봉(35)의 타단에는 제4힌지부(73)와 제5힌지부(74)를 통해 제1브래킷(60)과 제2브래킷(61)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중심봉(33)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격되는 제1세로봉(50)과 제2세로봉(51)이 마련되어, 제1세로봉(50)은 상기 제1브래킷(60)에 고정 장착되고, 제2세로봉(51)은 상기 제2브래킷(61)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중심봉(33)과 제1가로봉(34)과 제2가로봉(35)을 서로 연결하여, 중심봉(33)의 직선 운동에 따라 제1가로봉(34)과 제2가로봉(35)이 회동 운동할 수 있도록 제1견인날개(40)와 제2견인날개(41)의 일단은 중심봉(33)의 전방에 제1힌지부(70)를 통해 장착되고, 제1견인날개(40)와 제2견인날개(41)의 타단은 제2힌지부(71)와 제3힌지부(72)를 통해 제1가로봉(34)과 제2가로봉(35)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블럭(31)에서 이격되어 중심봉(33)이 관통되는 제2블럭(32)이 마련되고, 상기 제2블럭(32)의 좌우에는 제3가로봉(36)과 제4가로봉(37)의 일단이 제13힌지부(85)와 제14힌지부(86)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3가로봉(36)과 제4가로봉(37)의 타단에는 제11힌지부(83)와 제12힌지부(84)를 통해 제3브래킷(62)과 제4브래킷(63)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3브래킷(62)은 제1세로봉(50)에 고정 장착되며, 제4브래킷(63)은 제2세로봉(51)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중심봉(33)과 제3가로봉(36)과 제4가로봉(37)을 서로 연결하여, 중심봉(33)의 직선 운동에 따라 제3가로봉(36)과 제4가로봉(37)이 회동 운동할 수 있도록 제3견인날개(42)와 제4견인날개(43)의 일단은 중심봉(33)의 후방에 제8힌지부(80)를 통해 장착되고, 제3견인날개(42)와 제4견인날개(43)의 타단은 제9힌지부(81)와 제10힌지부(82)를 통해 제3가로봉(36)과 제4가로봉(37)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비융기식프레임(30)이 저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블럭(31)과 제2블럭(32)은 연결판(90)을 매개체로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세로봉(50)에는 제1시트브래킷(64)과 제2시트브래킷(65)이 이격되어 장착되며, 상기 제2세로봉(51)에는 제3시트브래킷(66)과 제4시트브래킷(67)이 이격되어 장착되고, 2개의 시트프레임(11)이 구비되되, 상기 시트프레임(11)의 하부에 형성된 장착대(20)에는 경사면(22)을 갖는 고리부(21)와 스내치로크(23)가 형성되어, 상기 제1시트브래킷(64)과 제2시트브래킷(65) 및 제3시트브래킷(66)과 제4시트브래킷(67)에 형성된 체결핀(68)에 각각 대응되면서 장착 및 탈거됨으로써, 사용자가 시트프레임(11)의 방향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연결판(90)의 상면에는 장착블럭(110)이 설치되며, 상기 장착블럭(110)은 한 쌍의 지지홈(111)과 걸림턱(112)이 장착블럭(110)의 중심을 향해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장착블럭(110)의 양측에 대칭을 이루면서 형성되고, 발판프레임(100)이 구비되며, 발판프레임(100)의 일단에 형성된 2개의 장착핀(102)이 상기 장착블럭(110)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홈(111)과 걸림턱(112)에 선택적으로 장착 및 탈거됨으로써, 발판프레임(100)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
  2. 삭제
KR1020210062393A 2021-05-14 2021-05-14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 KR10230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93A KR102309270B1 (ko) 2021-05-14 2021-05-14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93A KR102309270B1 (ko) 2021-05-14 2021-05-14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270B1 true KR102309270B1 (ko) 2021-10-07

Family

ID=7860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393A KR102309270B1 (ko) 2021-05-14 2021-05-14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2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560B1 (ko) * 2022-06-10 2022-08-23 백승현 등받이 연동형 전고 및 전폭 접이식 휠체어용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099U (ko) * 1995-11-02 1997-06-18 자동차용 티형바의 체결구조
US20110258771A1 (en) 2010-04-26 2011-10-27 Nuprodx, Inc. Seat tilt mechanism for chairs us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JP2016198334A (ja) * 2015-04-11 2016-12-01 キョウワアグメント株式会社 車椅子
KR101978667B1 (ko) * 2017-12-20 2019-05-21 주식회사 로보쓰리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099U (ko) * 1995-11-02 1997-06-18 자동차용 티형바의 체결구조
US20110258771A1 (en) 2010-04-26 2011-10-27 Nuprodx, Inc. Seat tilt mechanism for chairs us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JP2016198334A (ja) * 2015-04-11 2016-12-01 キョウワアグメント株式会社 車椅子
KR101978667B1 (ko) * 2017-12-20 2019-05-21 주식회사 로보쓰리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560B1 (ko) * 2022-06-10 2022-08-23 백승현 등받이 연동형 전고 및 전폭 접이식 휠체어용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1284A (en) Powered wheelchair with a detachable power drive assembly
US20070096427A1 (en) Powered attachment for a wheelchair
US6378642B1 (en) Motorized scooter
US4199036A (en) Wheel chair
EP0128448A2 (en) Detachable steerable power unit for occupant-propelled wheelchairs
EP2658501B1 (de) Zusammenklappbarer gehwagen
US4993732A (en) Detachable manual propulsion system
KR102003386B1 (ko) 접이식 전동퀵보드
KR102309270B1 (ko) 전후방 전환용 안장 프레임 장착식 휠체어
KR20200001715A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WO2024002122A1 (zh) 一种折叠座椅及折叠代步工具
WO2019148915A1 (zh) 可折叠轮椅
CN107468438B (zh) 折叠式电动轮椅车
US20020088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orizing a wheelchair
KR101649984B1 (ko) 전동휠체어
CN113230049B (zh) 折叠轮椅
CN112158287A (zh) 一种电动代步车
JPH0838552A (ja) 車椅子
CN110934695A (zh) 中置驱动电动轮椅
WO2007052791A1 (ja) 旋回規制装置および車椅子
WO2021208573A1 (zh) 可折叠轮椅
US8998257B2 (en) Lift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with motorized tricycles
KR20070034760A (ko) 전동휠체어용 의자의 경사각 조절장치
CN111759603A (zh) 具有双折叠功能的电动轮椅车
KR20120028768A (ko) 휠체어 부착형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