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778A -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 Google Patents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778A
KR20160049778A KR1020140147413A KR20140147413A KR20160049778A KR 20160049778 A KR20160049778 A KR 20160049778A KR 1020140147413 A KR1020140147413 A KR 1020140147413A KR 20140147413 A KR20140147413 A KR 20140147413A KR 20160049778 A KR20160049778 A KR 20160049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clamp
plate
wheel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엑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엑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엑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47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9778A/ko
Publication of KR20160049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3Wheelchairs attached to a cycle steerable by an attend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2Front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8Power-assistance activated by pushing on hand rim or on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3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 B62K5/025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power-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장애인 또는 환자용 휠체어에 구동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조향 핸들과 배터리에 의해 구동하는 전동바퀴로 구성되며 후면에 연결프레임이 장착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연결프레임 양쪽에 각각 장착하되 힌지볼트로 한쪽 끝단부가 서로 연결된 클램프 부재와 래치 부재로 구성된 연결부; 및 상기 각 연결부에 각각 연결된 보조바퀴가 달린 보조바퀴 다리를 포함하여, 한쪽의 상기 클램프 부재에 설치된 클램프 볼트로 휠체어의 전면프레임 양쪽에 클램프 부재를 각각 연결되고, 다른 쪽의 상기 래치 부재에 설치된 착탈식 래치에 상기 클램프 부재 후면의 체결핀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클램프 부재와 래치 부재의 다른 쪽 끝단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한 것이며, 장애인이나 환자가 휠체어에 앉아서도 구동부를 용이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평소에는 휠체로 사용하다가 장거리를 이동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 전동 휠체어로의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Motorized bike with wheelchair of clamp type}
본 발명은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휠체어의 전면에 배터리에 의해 전동바퀴가 구동하는 구동부를 연결하여 전동 휠체어를 구성하되, 상기 휠체어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클램프 볼트와 착탈식 래치를 포함하는 클램프 부재와 래치 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클램프 볼트와 착탈식 래치에 의해 휠체어와 구동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한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하반신이 자유롭지 못한 지체부자유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등이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보조기구로써 종래의 휠체어는 보통 의자에 바퀴가 달린 것으로서 상기 바퀴를 돌릴 수 있는 회전손잡이가 바퀴 휠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 휠체어는 회전손잡이를 사용자가 손으로 굴리거나 보호자가 휠체어의 뒷면에서 밀어줌으로써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이는 장시간 휠체어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력소모가 심해서 장거리 이동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특히,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는 도우미 또는 조력자를 통해서만 휠체어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동 휠체어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전동 휠체어들은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의 '가변식 전동 휠체어'에서와 같이, 휠체어에 구동장치를 형성하여 인력에 의하지 않고도 휠체어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가 안출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휠체어의 구동장치는 모두 휠체어와 일체로 되어 있어 상당한 무게가 있기 때문에 장애인의 이동성에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하던 휠체어가 아닌 전혀 새로운 형태의 휠체어를 구입하게 하는 것이어서 장애인들 또는 그 보호자에게 경제적으로 매우 큰 부담을 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동 휠체어는 장치가 복잡하고 무거워 장거리 이동에 따른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2의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 및 이를 장착한 휠체어'에서와 같이, 기존의 휠체어의 바퀴에 동력전달 장치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 경우 휠체어 안쪽의 바퀴 사이에서 동력전달장치를 설치하게 되어 있어 특히 장애인이 설치하기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보호자가 동력전달장치를 설치 및 분리를 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장애인이 혼자서 전동 휠체어를 자유롭게 휴대하고 이동하기에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0274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197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애인이나 환자가 휠체어에 앉아서도 용이하게 구동부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조향핸들과 배터리에 의해 구동하는 전동바퀴로 구성된 구동부를 상기 휠체어의 전면프레임과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되, 클램프 볼트와 착탈식 래치를 포함하여 구동부에 연결된 연결부의 상기 클램프 볼트를 휠체어의 전면프레임 양쪽에 연결한 후에, 상기 착탈식 래치에 연결부의 체결핀을 삽입하여 체결하도록 한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상기 연결부 양쪽에 보조바퀴가 달린 보조바퀴 다리를 각각 연결하되, 상기 보조바퀴 다리가 휠체어 쪽으로 향하면서 보조바퀴가 달린 끝단부가 아래로 향해 절곡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구동부가 구동하도록 한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는, 장애인 또는 환자용 휠체어에 구동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조향 핸들과 배터리에 의해 구동하는 전동바퀴로 구성되며 후면에 연결프레임이 장착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연결프레임 양쪽에 각각 장착하되 힌지볼트로 한쪽 끝단부가 서로 연결된 클램프 부재와 래치 부재로 구성된 연결부; 및 상기 각 연결부에 각각 연결된 보조바퀴가 달린 보조바퀴 다리를 포함하여, 한쪽의 상기 클램프 부재에 설치된 클램프 볼트로 휠체어의 전면프레임 양쪽에 클램프 부재를 각각 연결되고, 다른 쪽의 상기 래치 부재에 설치된 착탈식 래치에 상기 클램프 부재 후면의 체결핀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클램프 부재와 래치 부재의 다른 쪽 끝단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구동부의 조향핸들은 조향축의 상단에 브레이크와 함께 설치되고, 상기 전동바퀴는 모터와 함께 조향축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조향축에 설치된 착탈식 배터리로 모터를 작동시켜 전동바퀴를 구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결부의 래치 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연결프레임에 연결된 구동부쪽 연결판과, 상기 구동부쪽 연결판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는 착탈식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식 래치의 상단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착탈식 래치에 삽입된 체결핀을 분리하여 해제하는 해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연결부의 클램프 부재는, 상기 구동부쪽 연결판과 힌지볼트로 연결되는 휠체어쪽 연결판; 상기 휠체어쪽 연결판의 끝단에 연결되어 한쪽의 덮개판은 힌지로 구성되는 고정덮개; 상기 고정덮개의 덮개판에 설치된 클램프 볼트; 및 상기 휠체어쪽 연결판의 하단에 연결된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정덮개의 한쪽 면에 덧대어 휠체어 전면프레임을 보호하는 보호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호판은 연질의 플라스틱판 또는 고무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체결핀은 휠체어쪽 연결판과 구동부쪽 연결판을 연결하는 힌지볼트에 연결된 높이조절판의 절곡된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판의 절곡부에 형성된 장공에 높이조절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보조바퀴 다리는 연결프레임에서 휠체어 쪽으로 향하여 기울어지며 보조바퀴가 달린 끝단부가 아래쪽을 향해 절곡되며, 상기 보조바퀴 다리는 구동부 쪽을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에 의하면, 장애인이나 환자가 휠체어에 앉아서도 구동부를 용이하게 휠체어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평소에는 휠체어로 사용하다가 장거리를 이동하는 등의 필요에 따라 전동 휠체어로의 사용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구동부의 배터리가 분리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상기 구동부의 중량이 가벼워져 장애인이나 환자도 상기 구동부를 차량에 싣고 다니면서 언제라도 휠체어에 연결하여 전동 휠체어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기존에 장애인이나 환자가 사용하고 있는 어떠한 휠체어라도 구동부만 연결하면 전동 휠체어로 사용할 수 있어 전동 휠체어의 구입에 대한 비용부담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의 연결부의 일측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의 연결부의 타측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의 휠체어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부분의 일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의 휠체어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부분의 타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는 기존 휠체어(1)의 전면프레임(2)에 조향핸들(3)과 배터리(4)에 의해 구동하는 전동바퀴(5)로 구성된 구동부(6)를 연결하되, 상기 구동부(6)의 양쪽에 각각 연결된 연결부(7)를 상기 전면프레임(2)의 양쪽과 각각 연결하여 휠체어(1)와 구동부(6)를 서로 연결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동부(6)는 자전거의 앞쪽 부분과 같이 조향축(8)의 상단에 조향핸들(3)이 연결되고 하단에 전동바퀴(5)가 연결된 것이며, 상기 조향축(8)의 전면에 착탈식의 배터리(4)가 설치되고, 상기 착탈식 배터리(4)는 전동바퀴(5)의 바퀴축에 설치되는 모터(9)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9)를 착탈식 배터리(4)의 전기로 작동시킴으로써 전동바퀴(5)를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모터(9)의 구체적인 예 중의 하나로 휠인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탈식 배터리(4)의 상면에는 이동이 편리하도록 설치된 손잡이(10)와 함께 ON/OFF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향핸들(3)에는 브레이크(24)가 설치되어 모터(9)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9)로의 전기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브레이크 작동을 하게 되나, 기존의 자동차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패드에 의해 브레이크 작동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6)의 조향축(8) 후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1)이 장착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1)의 양쪽에 휠체어(1)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7)가 각각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각 연결부(7)에 보조바퀴(12)가 달린 보조바퀴 다리(13)가 연결된다. 상기 보조바퀴 다리(13)는 휠체어(1) 쪽으로 향하여 기울어져 있으며 보조바퀴(12)가 달린 끝단부는 아래쪽으로 향해 절곡되어 있고, 상기 보조바퀴 다리(13)는 볼트로 연결되어 있어 구동부(6) 쪽으로 접어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7)는 구동부(6) 쪽에 연결되는 래치부재(14)와 휠체어 쪽에 연결되는 클램프 부재(15)로 구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의 연결부의 일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의 연결부의 타측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7)는 구동부(6)의 연결프레임(11)에 연결된 래치 부재(14)와 휠체어(1)의 전면프레임(2)에 연결되는 클램프 부재(15)로 구성되며, 상기 래치 부재(14)와 클램프 부재(15)의 한쪽 끝단은 힌지볼트(16a)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너트(16b)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 부재(14)와 클램프 부재(15)는 힌지볼트(16a)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다른 쪽 끝단이 서로 만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7)의 상기 래치 부재(14)는 연결프레임(11)에 연결된 구동부쪽 연결판(14a)과 상기 구동부쪽 연결판(14a) 다른 쪽 끝단 일측면에 부착된 착탈식 래치(14b)로 구성되고, 연결부(7)의 클램프 부재(15)는 상기 구동부쪽 연결판(14a)의 한쪽 끝단과 연결되는 휠체어쪽 연결판(15a)과 상기 휠체어쪽 연결판(15a)의 다른 쪽 끝단에 연결된 고정덮개(15b)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덮개(15b)의 한쪽 덮개판은 힌지축(17)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힌지로 구성되어 끝단에 클램프 볼트(15c)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힌지볼트(16a)는 상기 구동부쪽 연결판(14a)과 휠체어쪽 연결판(15a)의 한쪽 끝단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덮개(15b)의 한쪽 덮개판을 힌지축(17)에 의해 벌리면서 휠체어(1)의 전면프레임(2)에 고정덮개(15b)를 덮고 나서, 클램프 볼트(15c)를 반대방향을 이동시켜 상기 고정덮개(15b)를 전면프레임(2)에 단단히 밀착시킴과 동시에 볼트를 조여 일단 연결부(7)의 클램프 부재(15)를 휠체어(1)에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덮개(15b)의 안쪽 면에는 휠체어(1)의 전면프레임(2)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보호패드(미도시)를 덧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호패드로는 연질의 플라스틱판이 고무판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쪽 연결판(14a)과 휠체어쪽 연결판(15a)을 연결하는 힌지볼트(16a)에는 끝단이 절곡된 높이노절판(18)이 연결되며, 상기 높이조절판(18)의 절곡된 끝단에는 체결핀(19)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클램프 부재(15)가 휠체어(1)의 전면프레임(11)에 연결되고나서 상기 체결핀(19)은 상기 착탈식 래치(14b)에 삽입된다. 즉 상기 착탈식 래치(14b)의 일측면에는 상기 체결핀(19)이 삽입되는 삽입홈(20)이 있으며, 스프링 작용에 의해 체결핀(19)이 무리 없이 상기 삽입홈(20)에 삽입되지만 삽입된 후에는 걸림쇠(21)에 걸려 삽입홈(20)으로부터 상기 체결핀(19)이 분리되지 않게 된다. 체결핀(19)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착탈식 래치(14b)의 상단의 회전축(22a)에 연결되어 설치된 해제핀(22)을 사용하게 되며, 상기 회전축(22a)을 축으로 하여 스프링 작용에 의해 상기 해제핀(22)을 위로 올려 회전시키면 삽입홈(20)의 입구를 막고 있는 걸림쇠(21)가 회전하여 체결핀(19)이 삽입홈(20)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판(18)의 절곡부에는 장공(H)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H)에는 휠체어쪽 연결판(15a)에 연결된 높이조절 볼트(23a)가 삽입되어 너트(23b)로 체결됨으로써 보조바퀴(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의 휠체어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부분의 일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의 휠체어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부분의 타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의 휠체어(1)와 구동부(6)를 연결부(7)에 의해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부(6)에서 분리된 배터리(9)를 다시 상기 구동부(6)에 설치하고 접혀진 양쪽의 보조바퀴 다리(13)를 펼친 후에 휠체어(1)의 전면에 배치하여 연결을 준비하도록 한다.
다음에 각 연결부(7)의 클램프 부재(15)에 설치된 고정덮개(15b)를 휠체어(1)의 전면프레임(2) 양쪽에 각각 덮으면서 클램프 볼트(15c)로 조여줌으로써 일단 상기 구동부(6)를 휠체어(1)에 연결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래치부재(14)와 클램프 부재(15)를 힌지볼트(16a)를 축으로 하여 아래쪽이 서로 만나도록 회전시키면서 휠체어쪽 연결판(15a) 아래의 체결핀(19)을 착탈식 래치(14b)에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휠체어(1)에 구동부(6)를 확실하게 고정한다. 이때 휠체어(1)의 바퀴와 구동부(6)의 보조바퀴(12)는 상기 휠체어(1)에 따라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핀(19)이 설치된 높이조절판(18)의 장공(H)에 삽입된 높이조절볼트(23a)의 위치를 상기 장공(H) 내에서 앞쪽이나 뒤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휠체어(1)의 바퀴와 구동부(6)의 보조바퀴(12)가 같은 높이에 있도록 조정한다. 즉 상기 높이조절볼트(23a)가 장공(H) 내에서 휠체어(1) 쪽으로 갈수록 보조바퀴(12)의 높이가 높아지고 구동부(6) 쪽으로 갈수록 보조바퀴(12)의 높이가 낮아지므로 이에 맞추어 상기 보조바퀴(12)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휠체어(1)와 구동부(6)의 연결이 완료되면 배터리(4)의 ON/OFF 스위치를 ON으로 선택하여 모터(9)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6)의 전동바퀴(5)가 구동하여 전동 휠체어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전동 휠체어로의 사용을 완료한 후 구동부(6)를 휠체어(1)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역순으로 상기 구동부(6)를 분리하고, 마지막으로 착탈식 배터리(4)까지 구동부(6)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착탈식 배터리(4)를 제외한 구동부(6)와 분리된 상기 착탈식 배터리(4) 및 휠체어(1)를 각각 별도로 차량 등의 정해진 장소에 보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휠체어 2 : 전면프레임
3 : 조향핸들 4 : 배터리
5 : 전동바퀴 6 : 구동부
7 : 연결부 8 : 조향축
9 : 모터 10 : 손잡이
11 : 연결프레임 12 : 보조바퀴
13 : 보조바퀴 다리 14 : 래치부재
14a : 구동부쪽 연결판 14b : 착탈식 래치
15 : 클램프 부재 15a : 휠체어쪽 연결판
15b : 고정덮개 15c : 클램프 볼트
16a : 힌지볼트 16b,23b : 너트
17 : 힌지축 18 : 높이조절판
19 : 체결핀 20 : 삽입홈
21 : 걸림쇠 22 : 해제핀
23a : 높이조절 볼트 24 : 브레이크
H : 장공

Claims (10)

  1. 장애인 또는 환자용 휠체어에 구동부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전동 휠체어에 있어서,
    조향 핸들과 배터리에 의해 구동하는 전동바퀴로 구성되며 후면에 연결프레임이 장착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연결프레임 양쪽에 각각 장착하되 힌지볼트로 한쪽 끝단부가 서로 연결된 클램프 부재와 래치 부재로 구성된 연결부; 및
    상기 각 연결부에 각각 연결된 보조바퀴가 달린 보조바퀴 다리를 포함하여,
    한쪽의 상기 클램프 부재에 설치된 클램프 볼트로 휠체어의 전면프레임 양쪽에 클램프 부재를 각각 연결되고, 다른 쪽의 상기 래치 부재에 설치된 착탈식 래치에 상기 클램프 부재 후면의 체결핀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클램프 부재와 래치 부재의 다른 쪽 끝단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조향핸들은 조향축의 상단에 브레이크와 함께 설치되고, 상기 전동바퀴는 모터와 함께 조향축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조향축에 설치된 착탈식 배터리로 모터를 작동시켜 전동바퀴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래치 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연결프레임에 연결된 구동부쪽 연결판과, 상기 구동부쪽 연결판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체결핀이 삽입되는 착탈식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래치의 상단에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착탈식 래치에 삽입된 체결핀을 분리하여 해제하는 해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클램프 부재는,
    상기 구동부쪽 연결판과 힌지볼트로 연결되는 휠체어쪽 연결판;
    상기 휠체어쪽 연결판의 끝단에 연결되어 한쪽의 덮개판은 힌지로 구성되는 고정덮개;
    상기 고정덮개의 덮개판에 설치된 클램프 볼트; 및
    상기 휠체어쪽 연결판의 하단에 연결된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덮개의 한쪽 면에 덧대어 휠체어 전면프레임을 보호하는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은 연질의 플라스틱판 또는 고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은 휠체어쪽 연결판과 구동부쪽 연결판을 연결하는 힌지볼트에 연결된 높이조절판의 절곡된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판의 절곡부에 형성된 장공에 높이조절볼트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 다리는 연결프레임에서 휠체어 쪽으로 향하여 기울어지며 보조바퀴가 달린 끝단부가 아래쪽을 향해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 다리는 구동부 쪽을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KR1020140147413A 2014-10-28 2014-10-28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KR20160049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413A KR20160049778A (ko) 2014-10-28 2014-10-28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413A KR20160049778A (ko) 2014-10-28 2014-10-28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778A true KR20160049778A (ko) 2016-05-10

Family

ID=5602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413A KR20160049778A (ko) 2014-10-28 2014-10-28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977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2674A (zh) * 2018-08-20 2018-11-23 古交市银河镁业有限公司 一种轮椅用多功能双向安全连接装置及连接方法
CN109646199A (zh) * 2018-12-21 2019-04-19 杭州铭智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提升使用舒适性的电动轮椅
CN109646200A (zh) * 2018-12-21 2019-04-19 杭州铭智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手自两用的电动轮椅
KR20210039548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에스씨랩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KR20220022546A (ko)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프론테크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US11793690B2 (en) 2021-12-06 2023-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cessible scooters and methods of us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2674A (zh) * 2018-08-20 2018-11-23 古交市银河镁业有限公司 一种轮椅用多功能双向安全连接装置及连接方法
CN108852674B (zh) * 2018-08-20 2023-08-04 古交市银河镁业有限公司 一种轮椅用多功能双向安全连接装置及连接方法
CN109646199A (zh) * 2018-12-21 2019-04-19 杭州铭智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提升使用舒适性的电动轮椅
CN109646200A (zh) * 2018-12-21 2019-04-19 杭州铭智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手自两用的电动轮椅
CN109646199B (zh) * 2018-12-21 2020-09-04 杭州铭智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提升使用舒适性的电动轮椅
KR20210039548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에스씨랩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KR20220022546A (ko)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프론테크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US11793690B2 (en) 2021-12-06 2023-10-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cessible scooters and methods of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9778A (ko)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CA2780273C (en) Wheelchair
KR101742247B1 (ko) 휠체어용 보조 구동장치
US10857046B2 (en) Wheelchair power apparatus for electronic driving conversion
US4993732A (en) Detachable manual propulsion system
EP2164745B1 (en) Infant pushchair
JP2017518838A (ja) 別途の装着フレームを持つ走行補助装置
KR20180097402A (ko)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KR101715326B1 (ko)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KR101598481B1 (ko) 장착프레임 유닛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721864B1 (ko) 착탈식 액츄에이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동 기립형 휠체어
KR20160049779A (ko)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CN107693231B (zh) 轮椅
PT1651080E (pt) Dispositivo para fazer a regulação em altura de um assento de criança e um apoio de pés de regulação telescópica
AU2019343872A1 (en) An attachment for a rollator or walking frame and a method of its use
KR101598478B1 (ko)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2238447B1 (ko) 핸들 보조 장치
KR101994187B1 (ko) 무동력 차체용 구동수단을 구비한 탑승장치
EP2482782B1 (en) Wheelchair for heavy persons
US20220054332A1 (en) Chair-drive interface assembly, wheelchair and/or drive
KR101477458B1 (ko) 접이형 보행보조기구
GB2496124A (en) A wheel seat for pivoting attachment to a golf trolley
CN220777945U (zh) 一种带有脚轮和伸缩拉杆的儿童背椅
CN216394670U (zh) 一种单腿坐姿滑行助行器
JP2006141646A (ja) 車椅子用電動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