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402A -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402A
KR20180097402A KR1020170024383A KR20170024383A KR20180097402A KR 20180097402 A KR20180097402 A KR 20180097402A KR 1020170024383 A KR1020170024383 A KR 1020170024383A KR 20170024383 A KR20170024383 A KR 20170024383A KR 20180097402 A KR20180097402 A KR 20180097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fastened
frame
clamp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훈
문경재
김소연
전원태
김현동
김지후
서선우
임경도
Original Assignee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문경재
김소연
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문경재, 김소연, 박성훈 filed Critical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402A/ko
Publication of KR2018009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2Front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휠체어에 간편하게 체결하여 전동 휠체어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탈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Wheel chair traction apparatus having attaching and detaching structure}
본 발명은 휠체어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휠체어에 간편하게 체결하여 전동 휠체어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된 탈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하반신이 자유롭지 못한 신체 부자유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등이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보조 기구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휠체어는 보통 의자에 바퀴를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바퀴를 돌릴수 있는 회전손잡이가 바퀴 휠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휠체어는 회전손잡이를 사용자가 손으로 굴리거나 보호자가 휠체어를 뒤에서 밀어줌으로써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휠체어는 장시간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체력소모가 심해서 장거리 이동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병원이나 요양원 등에서는 휠체어를 밀어줄 수 있는 도우미가 있어야만 휠체어를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근래에 들어 전동 모터가 설치된 전동 휠체어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동 휠체어는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휠체어가 구동되고 조향장치로 주행방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동 휠체어는 무게가 상당하여 휠체어 이동성이 매우 떨어지고, 매우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1749호,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9779호,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에 사용하던 휠체어에 간편하게 체결함으로써, 기존의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휠체어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탈,부착이 간편하여 휠체어 견인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견인장치를 분리하여 보관하고, 휠체어 견인장치를 사용할 때는 견인장치를 휠체어에 체결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탈,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는 하부에 한 쌍의 포크(121)가 형성된 탑튜브(120); 핸들(117)을 구비하여 상기 탑튜브(120) 상부에 체결된 스템(118); 모터(122)를 구비하여 상기 포크(121)에 축으로 체결되는 휠(123); 상기 모터(12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6); 일 측이 탈,부착이 가능한 프레임 클램프(106)로 상기 탑튜브(120)에 체결되는 프레임(101); 및 상기 프레임(101)의 타 측에 체결되고, 탈, 부착이 가능한 로드 클램프(108)를 구비하여 휠체어 로드와 체결되는 커넥팅 로드(107);로 구성됨으로써, 휠체어 프레임에 체결되어 휠(123)의 구동으로 휠체어를 견인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탑튜브(120)에는 탈, 부착이 가능한 클램프(125)로 배터리 홀더(124)가 체결되고, 상기 배터리 홀더(124)에는 배터리(126)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탑튜브(120)에는 탈, 부착이 가능한 스탠드 클램프(128)가 체결되고, 상기 스탠드 클램프(128)에는 측 방향으로 돌출된 스탠드(127)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스탠드(127)가 지면에 접촉하면서 휠체어에서 분리된 견인장치(100)가 넘어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127)는 스탠드 클램프(128)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탈,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는 기존에 사용하던 휠체어에 간편하게 체결함으로써, 기존의 수동식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로 사용할 수 있고, 견인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견인장치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보관하다가 필요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동식 휠체어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전동 휠체어를 널리 보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탈,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탈,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탈,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로드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탈,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튜브(120)의 상부에 핸들(117)을 구비한 스템(118)이 클램프(119)로 체결되고, 탑튜브(120)의 하부에 형성된 포크(121)에는 모터(122)를 구비한 휠(123)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탑튜브(120)에는 프레임(101)의 일 측이 프레임 클램프(106)로 체결되고, 상기 프레임(101)의 타 측에는 한 쌍의 커넥팅 로드(107)가 휠체어의 프레임에 로드 클램프(108)로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형태의 탑튜브(120) 하부에 형성된 포크(121)에 휠(123)이 체결되고, 탑튜브(120) 상부에는 스템(118)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스템(118)의 상부에는 핸들(117)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견인장치를 주행방향을 조정한다.
상기 휠(123)의 축 부분에는 모터(122)가 체결됨으로써, 모터(122)에 전원이 공급되면 휠(123)이 휠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견인장치(100)가 주행한다.
상기 휠(123)의 축 부분에 모터(122)가 설치되어 주행하는 휠(123)은 자전거, 카트 등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휠(123)에 공급되는 전원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배터리(126)로부터 공급받는데, 상기 배터리(126)는 충전이 용이하도록 견인장치(100)에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같이 탑튜브(120)에 배터리 홀더(124)를 클램프(125)로 체결하고, 상기 배터리 홀더(124)에 배터리(126)를 부착하면 배터리 홀더(124)가 배터리(126)를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탑튜브(120) 부분은 견인장치(100)의 조향부 및 주행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써, 휠체어와 체결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와 같이, 프레임(101)의 일 측에 형성된 프레임 클램프(106)를 이용하여 프레임(101)을 탑튜브(120)의 중간 부분에 체결하고, 프레임(101)의 타 측에는 휠체어의 프레임과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107)가 체결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101)과 휠체어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107)는 프레임(101)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같이 프레임(101)은 파이프 형태이고, 프레임(101)의 타 측에 체결되는 커넥팅 로드(107)는 휠체어 프레임과 체결을 위해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부피가 크다.
도 2와 같이 프레임(101)의 타 측 양측으로 로드 체결돌기(102)를 돌출 형성하고, 커넥팅 로드(107)의 단부에는 홈 형태의 돌기 삽입구(104)를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101)의 로드 체결돌기(102)를 커넥팅 로드(107)의 돌기 삽입구(104)에 삽입 한 후 로드 체결돌기(102)와 돌기 삽입구(104)에 형성된 핀 홈(105)에 고정핀(103)을 삽입함으로써, 프레임(1010과 커넥팅 로드(107)가 탈,부착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팅 로드(107)는 휠체어 프레임에 체결되는데, 도 3과 같이 구성된 로드 클램프(108)를 이용하여 커넥팅 로드(107)를 휠체어 프레임에 체결한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여러 제조사가 있고, 그 규격이 다양한다. 따라서 휠체어 프레임의 단면 형태와 굵기가 다양한데, 이러한 다양한 규격의 휠체어 프레임에 커넥팅 로드(107)를 체결하기 위해서 도 3과 같이 로드 클램프(108)를 구성한다.
케넥팅 로드(107)의 단부에 반원 형태의 제1 압착편(109)를 형성하고, 제1 압착편(109)의 일측에 반원 형태의 제2 압착편(111)을 힌지(110)로 여닫히게 힌지 체결한다.
상기 제1 압착편(109)의 일측에는 힌지(113)로 회전하는 구동편(114)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편(114)에는 넓은 체결볼트 헤드(115)가 형성된 체결볼트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구동편(114)에는 손잡이(116)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드 클램프(108)는 제1,2 압착편(109.111) 사이에 휠체어 프레임을 삽입하고, 체결볼트 헤드(115)를 제2 압착편(111)의 플랜지(112)에 건 후 구동편(114)을 회전킴으로써 지렛대 원리에 의해 체결볼트 헤드(115)가 플랜지(112)를 강하게 압착하여 커넥팅 로드(107)를 휠체어 로드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이때, 상기 구동편(114)의 체결볼트를 회전시켜 구동편(114)으로부터 체결볼트 헤드(115)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굵기가 서로 다른 휠체어 프레임에 커넥팅 로드(107)를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체어에 견인장치(100)를 체결하여 야외에서 일반적인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휠체어의 견인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견인장치(100)를 분리하여 보관한다.
견인장치를 분리하여 보관할 때 견인장치(100)가 쓰러지지 않도록 도 1 및 도 2와 같이 견인장치(100)에 스탠드(127)를 구성한다.
상기 스탠드(127)는 탑튜브(120)에 탈,부착 가능한 프레임 클램프(106)의 일 측에 휠체어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방으로 절곡된 한 쌍의 스탠드(127)로 구성되고, 상기 스탠드(127)는 스탠드 클램프(128)에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탠드(127)는 견인장치(100)를 분리하였을 때 스탠드(127)가 지면에 접촉하여 견인장치(100)가 쓰러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127)가 스탠드 클램프(128)로 탑튜브(120)에 체결된 상태로 견인장치(100)를 사용할 때 스탠드(127)를 상향 회전시킴으로써 스탠드(127)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한 상태로 운행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배터리(126)의 전원을 모터(122)에 공급 또는 차단함으로써 견인장치(100)가 주행하거나 멈추도록 하는 온/오프 스위치(미도시)와, 모터(12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탈,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는 기존에 사용하던 휠체어에 간편하게 체결함으로써, 기존의 수동식 휠체어를 전동 휠체어로 사용할 수 있고, 견인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견인장치를 분리하여 간편하게 보관하다가 필요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동식 휠체어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여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전동 휠체어를 널리 보급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견인장치
101 : 프레임
102 : 로드 체결돌기
103 : 고정핀
103 : 고정핀
104 : 돌기삽입구
105 : 핀홈
106 : 프레임 클램프
107 : 커넥팅 로드
108 : 로드 클램프
109 : 제1 압착편
110 : 힌지
111 : 제2 압착편
112 : 플랜지
113 : 힌지
114 : 구동편
115 : 체결볼트 헤드
116 : 손잡이
117 : 핸들
118 : 스템
119 : 클램프
120 : 탑튜브
121 : 포크
122 : 모터
123 : 휠
124 : 배터리 홀더
125 : 클램프
126 : 배터리
127 : 스탠드
128 : 스탠드 홀더

Claims (4)

  1. 하부에 한 쌍의 포크(121)가 형성된 탑튜브(120);
    핸들(117)을 구비하여 상기 탑튜브(120) 상부에 체결된 스템(118);
    모터(122)를 구비하여 상기 포크(121)에 축으로 체결되는 휠(123);
    상기 모터(12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26);
    일 측이 탈,부착이 가능한 프레임 클램프(106)로 상기 탑튜브(120)에 체결되는 프레임(101); 및
    상기 프레임(101)의 타 측에 체결되고, 탈, 부착이 가능한 로드 클램프(108)를 구비하여 휠체어 로드와 체결되는 커넥팅 로드(107);로 구성됨으로써,
    휠체어 프레임에 체결되어 휠(123)의 구동으로 휠체어를 견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튜브(120)에는 탈, 부착이 가능한 클램프(125)로 배터리 홀더(124)가 체결되고,
    상기 배터리 홀더(124)에는 배터리(126)가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튜브(120)에는 탈, 부착이 가능한 스탠드 클램프(128)가 체결되고, 상기 스탠드 클램프(128)에는 측 방향으로 돌출된 스탠드(127)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스탠드(127)가 지면에 접촉하면서 휠체어에서 분리된 견인장치(100)가 넘어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127)는 스탠드 클램프(128)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KR1020170024383A 2017-02-23 2017-02-23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KR20180097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383A KR20180097402A (ko) 2017-02-23 2017-02-23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383A KR20180097402A (ko) 2017-02-23 2017-02-23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402A true KR20180097402A (ko) 2018-08-31

Family

ID=6340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383A KR20180097402A (ko) 2017-02-23 2017-02-23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40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521A (ko) * 2019-01-11 2020-07-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와 전동보조장치의 연결구조
KR102308816B1 (ko) * 2020-11-12 2021-10-01 하욱완 유모차에 부착하는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KR20220022546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프론테크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US20220096292A1 (en) * 2020-09-28 2022-03-31 Hyundai Motor Company Towing module, a personal mobility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for a personal mobility
KR20220089554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스위브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KR20230027522A (ko) *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휠체어와 휠체어동력보조장치의 연결구조
WO2023130288A1 (zh) * 2022-01-06 2023-07-13 恩比尔(厦门)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轮椅车头支撑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749Y1 (ko) 2005-01-17 2005-04-18 신용진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
KR20160049779A (ko) 2014-10-28 2016-05-10 주식회사 오엑스코리아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749Y1 (ko) 2005-01-17 2005-04-18 신용진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
KR20160049779A (ko) 2014-10-28 2016-05-10 주식회사 오엑스코리아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521A (ko) * 2019-01-11 2020-07-2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휠체어와 전동보조장치의 연결구조
KR20220022546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프론테크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US20220096292A1 (en) * 2020-09-28 2022-03-31 Hyundai Motor Company Towing module, a personal mobility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for a personal mobility
US11701275B2 (en) * 2020-09-28 2023-07-18 Hyundai Motor Company Towing module, a personal mobility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for a personal mobility
KR102308816B1 (ko) * 2020-11-12 2021-10-01 하욱완 유모차에 부착하는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KR20220089554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스위브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KR20230027522A (ko) *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휠체어와 휠체어동력보조장치의 연결구조
WO2023130288A1 (zh) * 2022-01-06 2023-07-13 恩比尔(厦门)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轮椅车头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7402A (ko)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KR101978667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CA2988385C (en) Drive unit for a wheelchair and a wheelchair provided with such a drive unit
US10130531B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variable configurations of an attachable/detachable motorized drive for standard wheelchairs
GB2372022A (en) Wheelchair mobility unit
KR20180113008A (ko) 수동 휠체어에 탈부착 되는 전동 보조기
KR101715326B1 (ko)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US20020088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orizing a wheelchair
JPWO2013171949A1 (ja) 車椅子移動支援具
KR20160049778A (ko)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KR101697761B1 (ko)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KR101520447B1 (ko)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CN107693231B (zh) 轮椅
JP4089839B2 (ja) 傘保持装置
KR20190059814A (ko)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KR20120096118A (ko) 수동 및 전동 겸용 휠체어
KR20160049779A (ko)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KR200381749Y1 (ko)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
CN205459438U (zh) 一种医用电动轮椅
KR101487376B1 (ko) 한손 추진이 가능한 접이형 수동식 휠체어
KR101598478B1 (ko)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JP2009172082A (ja) 車椅子用補助動力装置
KR101734526B1 (ko) 휠체어 견인용 측면 핸들
US10206831B2 (en) Apparatus for wheelchair steering and wheelchair incorporating the same
KR102512483B1 (ko) 착탈식 전동구동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