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447B1 -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447B1
KR101520447B1 KR1020140022845A KR20140022845A KR101520447B1 KR 101520447 B1 KR101520447 B1 KR 101520447B1 KR 1020140022845 A KR1020140022845 A KR 1020140022845A KR 20140022845 A KR20140022845 A KR 20140022845A KR 101520447 B1 KR101520447 B1 KR 101520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power supply
driving
connec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8146A (ko
Inventor
김해섭
김성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Publication of KR20140108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7Motorized 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을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 내부에 배선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휠체어의 이동시 주변사물 및 주변인들과의 간섭확률을 줄일 수 있으며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의 접속시 접속부의 수접속부재가 암접속부재를 탄력있게 가압하면서 신호케이블을 접속시키므로 진동이나 흔들림에도 신호케이블 간의 접속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의 접속부위를 고정부로 고정시켜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므로 각 파트별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결프레임으로부터 연결부재의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하여 구동장치를 휠체어의 프레임에 보다 편리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removal type device for driving a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케이블을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 내부에 배선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휠체어의 이동시 주변사물 및 주변인들과의 간섭확률을 줄이며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의 접속시 수접속부재가 암접속부재를 탄력있게 가압하면서 신호케이블을 접속시키므로 진동이나 흔들림에도 신호케이블 간의 접속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각 접속부위를 고정부로 고정시켜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므로 각 파트별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다리를 쓸 수 없거나 보행이 불편한 노약자를 위한 보행 보조기구이다.
상기 휠체어는 양쪽 바퀴 외측에 각각 링형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으며, 휠체어 탑승자는 상기 손잡이 휠을 손으로 굴려 휠체어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휠체어는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기에는 근거리이나 휠체어를 이용하기에는 다소 장거리인 경우 탑승자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른 육체적인 피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사용시 신체 근육계 손상 등의 다른 육체적 장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공보 제10-2002-73943호로 공개된 '수동 휠체어용 주행 보조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 공개발명은 동력장치가 휠체어 본체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휠체어의 기본중량이 늘어나 휠체어 탑승자가 수동으로 휠체어를 이동하는 것이 매우 힘들뿐만 아니라 동력장치가 휠체어에 기본사양으로 장착되므로 휠체어의 가격이 매우 고가로 판매되므로 일반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이용하는 는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1749호로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발명은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전동장치가 휠체어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이점은 있으나 전동장치가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될 뿐만 아니라 전원 및 신호케이블이 노출되어 있어 우천시 또는 수분에 의한 누전의 위험성이 있으며 휠체어에 전동장치가 조립된 채 적재시 신호케이블이 다른 구조물에 걸려 손상되거나 작동불능 또는 오작동 상태가 되어 주행시 안전에 대한 위험성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을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 내부에 배선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휠체어의 이동시 주변사물 및 주변인들과의 간섭확률을 줄일 수 있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의 접속시 접속부의 수접속부재가 암접속부재를 탄력있게 가압하면서 신호케이블을 접속시키므로 진동이나 흔들림에도 신호케이블 간의 접속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의 접속부위를 고정부로 고정시켜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므로 각 파트별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프레임으로부터 연결부재의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하여 구동장치를 휠체어의 프레임에 보다 편리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로서,
휠체어의 속도를 제어하면서 방향을 조절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하부에 접속되어 핸들부와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하부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으로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의 접속시 수접속부재가 암접속부재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의 내부에 배선되는 각 신호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으로부터 연결부재의 좌·우 폭을 조절하도록 하는 연결부와;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 양측에 고정되어 연결부를 결속시키는 결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을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 내부에 배선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휠체어의 이동시 주변사물 및 주변인들과의 간섭확률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 미려함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의 접속시 접속부의 수접속부재가 암접속부재를 탄력있게 가압하면서 신호케이블을 접속시키므로 진동이나 흔들림에도 신호케이블 간의 접속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의 접속부위를 고정부로 고정시켜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므로 각 파트별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프레임으로부터 연결부재의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하여 구동장치를 휠체어의 프레임에 보다 편리하게 결속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접속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휠체어에 결합된 상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 접속부의 접속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연결부의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연결부의 폭이 조절되는 상태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 연결부를 휠체어에 결합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100)는, 휠체어(10)의 속도를 제어하면서 방향을 조절하는 핸들부(110)가 구성되고, 상기 핸들부(110)의 하부에 접속되어 핸들부(110)와 구동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부(120)의 하부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으로 휠체어(1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핸들부(110)와 전원공급부(120) 및 구동부(130)의 접속시 수접속부재(141)가 암접속부재(142)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핸들부(110)와 전원공급부(120) 및 구동부(130)의 내부에 배선되는 각 신호케이블(C)(C')을 접속시키는 접속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130)에 연결프레임(152)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152)으로부터 연결부재(153)의 좌·우 폭을 조절하도록 하는 연결부(150)가 구성되고, 상기 휠체어(10)의 프레임(11) 양측에 고정되어 연결부(150)를 결속시키는 결속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원공급부(120)는, 상기 핸들부(110)에 결합되는 지지파이프(12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파이프(121)에 결합되는 배터리 거치대(122)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거치대(1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12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접속부(140)는, 상기 핸들부(110)와 전원공급부(1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수접속부재(141)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120)와 구동부(130)의 상부에 요입형성되는 암접속부재(14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수접속부재(141)는, 접속몸체(141a)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몸체(141a)의 하부에 형성되는 장착홈(141b)이 구비되며, 상기 장착홈(141b)에 장착되어 신호케이블(C)을 고정하는 고정판(141c)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141c)을 접속몸체(141a)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41d)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접속몸체(141a)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방수부재(141e)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암접속부재(142)는, 상기 수접속부재(141)가 결합되도록 결합공간(142a')이 형성되는 접속몸체(142a)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간(142a')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장착홈(142b)이 구비되며, 상기 장착홈(142b)에 장착되는 탄성부재(142c)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142c)에 일측면 접촉되며 신호케이블(C)이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고정하는 고정판(142d)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142d)을 접속몸체(142a)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42e)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장착홈(142b)에 장착되어 수접속부재(141)의 접속시 탄력적으로 가이드되는 부싱(142f)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50)는, 상기 구동부(130)에 형성되는 브라켓(151)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1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52)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프레임(152) 내측에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속부(160)에 결속되는 연결부재(153)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153)를 연결프레임(152)에 고정시키는 고정탭(15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52)은, 상기 브라켓(151)에 볼트와 너트의 고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152a)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152a) 일측에 고정되며 연결부재(153)가 출입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몸체(152b)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몸체(152b)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장공(152c)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153)는, 상기 연결프레임(152) 내측으로 출입하면서 좌·우 폭을 조절하도록 체결공(153a')이 형성되는 조절로드(153a)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로드(153a)에 연결핀(153b')으로 결합되는 연결로드(153b)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로드(153b)에 조절탭(153c')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결속부(160)에 결속되도록 후크공(153c-1)과 결속공(153c-2)이 형성되는 후크(153c)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160)는, 상기 휠체어(10)의 프레임(11) 양측에 볼트/너트로 고정되는 클램프(161)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161)에 형성되어 후크(153c)와 결속되는 결속핀(162)이 구비되며, 상기 결속핀(162)에 결속되는 후크(153c)를 클램프(161)에 고정시키는 블록핀(16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접속부(140)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핸들부(110)와 전원공급부(120) 및 구동부(13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110)의 핸들몸체(111)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접속부(140)의 수접속부재(141)를 전원공급부(120)의 지지파이프(121) 상부에 요입형성되는 접속부(140)의 암접속부재(142)에 결합한다.
상기 수접속부재(141)의 접속몸체(141a)를 암접속부재(142)의 결합공간(142a')에 결합하여 가압하게 되면, 수접속부재(141)의 고정판(141c)에 고정된 신호케이블(C)이 암접속부재(142)의 고정판(142d)에 돌출되어 고정된 신호케이블(C')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신호케이블(C)(C')은 고정판(141c)과 고정판(142d)의 홀에 각각 삽입하여 접착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접속부재(142)의 고정판(142d)은 장착홈(142b)에 장착된 탄성부재(142c)의 탄성에 의해 결합공간(142a') 내부의 접속몸체(142a)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수접속부재(141)에 고정된 신호케이블(C)이 암접속부재(142)에 고정된 신호케이블(C')을 가압하게 되면 신호케이블(C')이 고정된 고정판(142d)은 접속몸체(142a)의 바닥면 측으로 탄력있게 이동하게 되면서 신호케이블(C)과 신호케이블(C')이 각각 접속된다.
이때, 암접속부재(142)의 고정판(142d)에 고정된 상태의 신호케이블(C')은 탄성부재(142c)의 탄력에 의해 수접속부재(141)의 고정판(141c)에 고정된 상태의 신호케이블(C)을 가압하게 되므로 양호한 접속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접속부재(141)의 접속몸체(141a) 외주면에는 방수부재(141e)가 결합되어 수접속부재(141)와 암접속부재(142)의 접속시 암접속부재(142)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암접속부재(142)의 고정판(142d)과 탄성부재(142c) 사이에 결합되어 장착홈(142b)에 삽입결합되는 부싱(142f)은 수접속부재(141)에 의해 고정판(142d)이 탄력있게 이동할 때 고정판(142d)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핸들부(110)와 전원공급부(120)가 접속부(140)에 의해 접속되면 상기 접속부(140)의 외주면에 고정부(170)를 장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170)는 고정 클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들부(110)와 결합되는 전원공급부(120)의 배터리 거치대(122) 상부에는 배터리 잔량을 체크할 수 있는 표시창(122')이 형성되며 배터리 거치대(122) 하부에는 전원을 ON/OFF시키는 제어버튼(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1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접속부(140)의 수접속부재(141)를 구동부(130)의 상부에 요입형성된 암접속부재(142)에 결합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20)와 구동부(130)를 결합하는 접속부(140)의 조립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핸들부(110)와 전원공급부(120)의 조립방법과 동일하며, 전원공급부(120)와 구동부(130)의 조립방법에 대한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핸들부(110)와 전원공급부(120) 및 구동부(130)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몸체(131) 일측에 형성된 브라켓(151) 양측에 연결프레임(152)의 회전판(152a)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회전판(152a)에 다수 형성된 통공으로 볼트(B)/너트(N)를 결합시켜 고정하고, 상기 연결프레임(152) 내측으로 조절로드(153a)를 결합시키되 연결몸체(152b)에 형성된 장공(152c)과 조절로드(153a)에 형성된 체결공(153a')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후, 체결공(153a')에 고정탭(154)을 결합하게 되면 상기 고정탭(154)은 연결프레임(152)을 가압하면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조절로드(153a)의 일측에 연결로드(153b)의 단부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절로드(153a)의 상부에서 연결핀(153b')으로 결합하여 조절로드(153a)와 연결로드(153b)를 고정시킨다.
상기 연결로드(153b)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후크(153c)를 끼워 결합한 후 연결로드(153b)의 외측에서 조절탭(153c')을 체결하여 후크(153)를 결합시킨다.
상기 후크(153c)는 조절탭(153c')을 느슨하게 체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회전각도로 회전시킨 후 조절탭(153c')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휠체어(10)의 프레임(11)에 결속부(160)의 클램프(161)를 고정시킨 후 볼트/너트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을 휠체어에 결속 및 분리시키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휠체어(10)의 프레임(11) 폭과 연결부(150)의 폭을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해서, 고정탭(154)을 연결몸체(152b)와 조절로드(153a)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연결몸체(152b)로부터 연결부재(153)의 조절로드(153a)를 일정길이 분리한 후, 연결몸체(152b)에 형성된 장공(152c)과 조절로드(153a)에 형성된 체결공(153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탭(154)을 체결하여 연결부(150)의 폭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결부(150)의 폭이 조절된 구동장치(100)는, 휠체어 사용자가 핸들부(110)를 파지하여 휠체어(10) 전방에 위치시킨다.
상기 휠체어(10)의 프레임(11)에 고정된 결속부(160)의 블록핀(163)을 상부로 들어올린 후, 구동장치(100)의 연결부(150)에 고정된 후크(153c)를 결속부(160)에 결속시키되 후크(153c)의 후크공(153c-1) 상부가 결속부(160)의 결속핀(162)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핸들부(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핸들부(110)를 약간 들어올리듯이 사용자의 가슴 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후크공(153c-1) 하부에 결속부(160)의 결속핀(162)이 결속되며, 이때, 블록핀(163)을 클램프(161)의 하부로 가압하게 되면 후크(153c)의 결속공(153c-2)에 블록핀(163)이 결합되면서 구동장치(100)와 휠체어(10) 간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장치(100)가 휠체어(10)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전원공급부(120)의 제어버튼(122")을 조작하여 전원을 ON시키고 핸들부(110)를 조작하게 되면 휠체어(10)가 전방으로 구동하게 되어 이동보조인의 도움없이도 일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휠체어(10)로부터 구동장치(10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핸들부(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핸들부(110)를 전방으로 밀면서 들어올림과 동시에 결속부(160)에 결합되어 있는 블록핀(163)을 클램프(161)의 상부로 잡아당긴 후, 상기 핸들부(110)를 서서히 내리게 되면 휠체어 앞바퀴가 지면에 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부(110)를 전방으로 밀어내면 휠체어(10)로부터 구동장치(100)가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구동장치 110: 핸들부
111: 핸들몸체 120: 전원공급부
121: 지지파이프 122: 배터리 거치대
123: 배터리 130: 구동부
140: 접속부 141: 수접속부재
141a: 접속몸체 141b: 장착홈
141c: 고정판 141d: 고정부재
141e: 방수부재 142: 암접속부재
142a: 접속몸체 142b: 장착홈
142c: 탄성부재 142d: 고정판
142e: 고정부재 142f: 부싱
150: 연결부 151: 브라켓
152: 연결프레임 153: 연결부재
160: 결속부 161: 클램프
162: 결속핀 163: 블록핀
170: 고정부

Claims (12)

  1. 휠체어의 속도를 제어하면서 방향을 조절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하부에 접속되어 핸들부와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하부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으로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핸들부와 전원공급부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수접속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부와 구동부의 상부에 요입형성되는 암접속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의 접속시 수접속부재가 암접속부재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의 내부에 배선되는 각 신호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으로부터 연결부재의 좌·우 폭을 조절하도록 하는 연결부와;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 양측에 고정되어 연결부를 결속시키는 결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공급부는,
    상기 핸들부에 결합되는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에 결합되는 배터리 거치대와;
    상기 배터리 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접속부재는,
    접속몸체와;
    상기 접속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신호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을 접속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속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방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암접속부재는,
    상기 수접속부재가 결합되도록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접속몸체와;
    상기 결합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일측면 접촉되며 신호케이블이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고정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을 접속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에 장착되어 수접속부재의 접속시 탄력적으로 가이드되는 부싱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 내측에 좌·우 폭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속부에 결속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탭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연결프레임은,
    상기 브라켓에 볼트와 너트의 고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일측에 고정되며 연결부재가 출입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장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프레임 내측으로 출입하면서 좌·우 폭을 조절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는 조절로드와;
    상기 조절로드에 연결핀으로 결합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에 조절탭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결속부에 결속되도록 후크공과 결속공이 형성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11. 휠체어의 속도를 제어하면서 방향을 조절하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하부에 접속되어 핸들부와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하부에 접속되어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동력으로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의 접속시 수접속부재가 암접속부재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의 내부에 배선되는 각 신호케이블을 접속시키는 접속부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으로부터 연결부재의 좌·우 폭을 조절하도록 하는 연결부와;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 양측에 볼트/너트로 고정되는 클램프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에 형성되어 후크와 결속되는 결속핀이 구비되며 상기 결속핀에 결속되는 후크를 클램프에 고정시키는 블록핀이 구비되어 연결부를 결속시키는 결속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핸들부와 전원공급부 및 구동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KR1020140022845A 2013-02-28 2014-02-26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KR101520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955 2013-02-28
KR20130021955 2013-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146A KR20140108146A (ko) 2014-09-05
KR101520447B1 true KR101520447B1 (ko) 2015-05-18

Family

ID=5175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845A KR101520447B1 (ko) 2013-02-28 2014-02-26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997B1 (ko) * 2017-02-06 2018-09-28 김동민 휠체어용 전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247B1 (ko) 2015-05-29 2017-06-01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휠체어용 보조 구동장치
KR102047096B1 (ko) * 2017-11-23 2019-11-20 윤성훈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CN111700746A (zh) * 2020-06-23 2020-09-25 济南浪潮高新科技投资发展有限公司 一种自动驾驶轮椅底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2861A (ja) * 2001-07-06 2003-01-24 Fujikura Ltd 雌型端子
JP2011030964A (ja) * 2009-08-05 2011-02-17 Ox Engineering:Kk 車いす用組み立て式電気駆動装置とそれを備える電動車いす
KR101249809B1 (ko) * 2012-05-17 2013-04-02 강문규 자전거 동력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2861A (ja) * 2001-07-06 2003-01-24 Fujikura Ltd 雌型端子
JP2011030964A (ja) * 2009-08-05 2011-02-17 Ox Engineering:Kk 車いす用組み立て式電気駆動装置とそれを備える電動車いす
KR101249809B1 (ko) * 2012-05-17 2013-04-02 강문규 자전거 동력전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997B1 (ko) * 2017-02-06 2018-09-28 김동민 휠체어용 전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146A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447B1 (ko)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KR101978667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US6702051B2 (en) Detachable transmission mechanism for a wheel chair
KR20180097402A (ko)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KR101454716B1 (ko)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 및 이를 장착한 휠체어
KR101715326B1 (ko)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KR101697761B1 (ko)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KR102047096B1 (ko)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JP2007015089A5 (ko)
US20220370269A1 (en) Exercise pedal wheel accessory and attachment bracket for wheelchairs
JP7133206B2 (ja) 車椅子用動力装置
KR20170101398A (ko) 분리형 구동장치가 구비된 휠체어
JP2009172082A (ja) 車椅子用補助動力装置
JP3490901B2 (ja) 電動自転車
KR102512483B1 (ko) 착탈식 전동구동장치
JP3722077B2 (ja) ハンディ電動装置
TWM588526U (zh) 具有可拆式控制器連接組件的看護把手
KR101836646B1 (ko) 장애인용 스티어링 휠의 보조 핸들 장치
KR101901017B1 (ko) 엘리베이터 호출 및 도어 개폐용 발판장치
CN215272870U (zh) 一种ct床转移辅助工具
KR101734526B1 (ko) 휠체어 견인용 측면 핸들
CN206501744U (zh) 一种汽车儿童安全座椅
RU193912U1 (ru) Электроприставка к инвалидной коляске
KR20170129558A (ko) 등받이 시트 탈거가 가능한 자동차 시트
CN112914856A (zh) 新型手动轮椅电动助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