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997B1 - 휠체어용 전동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997B1
KR101901997B1 KR1020170016299A KR20170016299A KR101901997B1 KR 101901997 B1 KR101901997 B1 KR 101901997B1 KR 1020170016299 A KR1020170016299 A KR 1020170016299A KR 20170016299 A KR20170016299 A KR 20170016299A KR 101901997 B1 KR101901997 B1 KR 101901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air
wheelchair
support fram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314A (ko
Inventor
김동민
Original Assignee
김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민 filed Critical 김동민
Priority to KR102017001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997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2Front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휠체어의 전방에 결합됨으로써 전동식 휠체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수동식 휠체어의 탑승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휠체어용 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전동장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전동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휠과, 상하 방향으로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어 휠체어의 전면 양 프레임에 각각 고정된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휠체어용 전동장치{Electric device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용 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식 휠체어의 전방에 결합됨으로써 전동식 휠체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수동식 휠체어의 탑승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휠체어용 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구분된다.
수동식 휠체어는 양측 바퀴의 외측에 링 형상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수동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대부분 절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에 승차할 때에는 접어서 탑재시키고 있다.
이러한 수동식 휠체어는 근거리를 이동할 때에 별다른 문제점이 없지만, 장거리를 이동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혼자서 이동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와 같은 수동식 휠체어의 사용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동기의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바퀴가 회전되는 전동식 휠체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동식 휠체어는 전동기가 일체로 장착되어 때문에 상당한 무게가 있어 차량에 승차시키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하던 휠체어가 아닌 전혀 새로운 형태의 휠체어를 구입하게 하는 것이어서 경제적으로 매우 큰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90274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동식 휠체어의 전방에 결합됨으로써 전동식 휠체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수동식 휠체어의 탑승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휠체어용 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전동장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전동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휠과, 상하 방향으로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어 휠체어의 전면 양 프레임에 각각 고정된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중심부에 회전축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고정 클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견인부 각각은 상기 회전축에 일측이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2걸림돌기에 각각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브라켓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견인부 각각이 상기 회전축에서 수평 회동되는 회동 범위가 각각 기설정된 범위로 제한되도록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측이 외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견인부에 교차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절곡면을 따라 기설정된 길이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견인부는 상기 가이드홀의 어느 한 지점에서 볼트와 너트에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견인부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전동휠의 주행방향을 따라 지면에 구름 접촉되는 한 쌍의 보조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보조구동부 각각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일측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홀 형태의 제1조절홀이 복수개 형성된 제1조절프레임과, 일측에 상기 제1조절홀과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홀 형태의 제2조절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타측에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조절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절홀과 상기 제2조절홀의 체결위치에 따라 제2조절프레임의 길이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식 휠체어의 전방에서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휠체어에 결합시킨 경우에는 전동식 휠체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휠체어로부터 분리시킨 경우에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전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휠체어용 전동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휠체용 전동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전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한 휠체어용 전동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며, 도 3 내지 도 5에는 도 1에 도시한 휠체용 전동장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전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전동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휠(200)과, 상하 방향으로 제1걸림돌기(310)와 제2걸림돌기(320)가 형성되어 휠체어(W)의 전면 양 프레임(F)에 각각 고정된 고정부(3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0)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견인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자전거의 앞 부분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동휠(200)과 상기 한 쌍의 견인부(400)가 각각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상기 전동휠(200)의 주행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핸들부(110)와, 상기 핸들부(110)의 중간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동휠(200)과 상기 한 쌍의 견인부(400)를 지지하기 위한 조향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핸들부(110)에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전동휠(200)의 전원을 제어하고, 배터리 잔량, 주행속도, 주행거리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며, 스피드 업, 스피드 다운 및 크루즈 기능을 수행 가능하게 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향부(120)에는 상기 한 쌍의 견인부(400)와 연결되도록 중심부에 회전축(122)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고정 클램프(121)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축(122)이 상향으로 회전되면 한 쌍의 견인부(400)의 후방이 상승되고, 회전축(122)이 하향으로 회전되면 한 쌍의 견인부(400)의 후방이 하강됨으로써, 한 쌍의 견인부(400)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전동장치를 휠체어(W)로부터 분리시켜 차량에 싣을 때 보관 및 공간 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동휠(200)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조작 방향을 따라 지면에 전동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휠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중복되는 명세서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한 쌍의 견인부(400)가 휠체어(W)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휠체어(W)의 전면 양 프레임(F)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제1걸림돌기(310)와 제2걸림돌기(320)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견인부(400)는 상기 전동휠(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동휠(20)이 구동되면 상기 휠체어(W)도 함께 구동되도록 상기 고정부(300)의 제1걸림돌기(310)와 제2걸림돌기(320)에 각각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견인부(400)는 상기 회전축(122)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310)와 상기 제2걸림돌기(32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브라켓(410)이 결합된다.
이때 연결브라켓(410)은 상기 제1결합돌기(310)에 안착되는 안착편(411)이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320)에 결속 및 해제되는 래치부(412)가 하측에 결합된다.
즉, 안착편(411)을 제1걸림돌기(310)에 안착시킨 후에 상기 휠체어(W)의 전방을 들면 상기 래치부(412)가 상기 제2결합돌기(320)에 결속됨으로써, 상기 연결브라켓(410)이 상기 고정구(3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역순으로 상기 제2결합돌기(320)에 결속된 래치부(412)를 해제한 후에 지지프레임(100)을 들어서 전방으로 밀면 연결브라켓(410)이 상기 고정구(3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연결브라켓(410)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견인부(400)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한 쌍의 견인부(400)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도 제1걸림돌기(310)와 제2걸림돌기(3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고정구(300)에 상기 연결브라켓(41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300)의 위치를 하향으로 조정하면 상기 회전축(122)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견인부(400) 후방이 하향을 향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휠체어(W)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고, 상기 고정구(300)의 위치를 상향으로 조정하면 상기 회전축(122)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견인부(400) 후방이 직선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프레임(100)과 휠체어(W)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휠체어(W)에 착용된 사용자의 신체에 맞게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의 거리를 조정하면 되므로, 조향을 위한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회전축(122)에 각각 고정 결합되며, 타측이 외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한 쌍의 견인부(400)에 각각 교차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재(5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견인부(400)는 상기 회전축(122)에 일측이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500)에는 절곡면을 따라 기설정된 길이로 가이드홀(510)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홀(510)은 상기 견인부(400)가 볼트와 너트 결합에 의해 가이드홀(510)의 어느 한 지점에 위치 고정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홀(510)의 길이 만큼 수평 회동되는 상기 한 쌍의 견인부(400)의 회동 범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휠체어(W)의 전면 양 프레임(F)의 폭에 맞게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600)과, 상기 전동휠(200)의 주행방향을 따라 지면에 구름 접촉되는 한 쌍의 보조구동부(7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지지브라켓(600) 각각은 상기 전동휠(200)의 외주면을 따라 후방으로 절곡되어 일측은 상기 지지프레임(100)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홀 형태의 제1결합홀(610)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보조구동부(700) 각각은 일측에 상기 제1결합홀(610)과 대응되도록 홀 형태의 제2결합홀(711)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홀 형태의 제1조절홀(712)이 복수개로 형성된 제1조절프레임(710)과, 일측에 상기 제1조절홀(712)과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홀 형태의 제2조절홀(721)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타측에 바퀴(7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조절프레임(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홀(610)과 제2결합홀(711)의 체결위치에 따라 제1조절프레임(710)의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조절되고, 제1조절홀(712)과 제2조절홀(721)의 체결 위치에 따라 제2조절프레임(720)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바퀴(722)를 노면의 상태에 맞는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주행을 확보함은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의 무게 중심을 바로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생기는 것이다.
100: 지지프레임 110: 핸들부
120: 조향부 121: 고정 클램프
122: 회전축 200: 전동휠
300: 고정부 310: 제1걸림돌기
320: 제2걸림돌기 400: 견인부
410: 연결브라켓 411: 안착편
412: 래치부 500: 가이드부재
510: 가이드홀 600: 지지브라켓
610: 제1결합홀 700: 보조구동부
710: 제1조절프레임 711: 제2결합홀
712: 제1조절홀 720: 제2조절프레임
721: 제2조절홀 722: 바퀴
W: 휠체어 F: 양 프레임

Claims (6)

  1.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전동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휠;
    상하 방향으로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어 휠체어의 전면 양 프레임에 각각 고정된 고정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한 쌍의 견인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전동휠의 주행방향을 따라 지면에 구름 접촉되는 한 쌍의 보조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보조구동부 각각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일측이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홀 형태의 제1조절홀이 복수개 형성된 제1조절프레임과,
    일측에 상기 제1조절홀과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홀 형태의 제2조절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타측에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조절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절홀과 상기 제2조절홀의 체결위치에 따라 제2조절프레임의 길이가 조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중심부에 회전축이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고정 클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견인부 각각은 상기 회전축에 일측이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2걸림돌기에 각각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브라켓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견인부 각각이 상기 회전축에서 수평 회동되는 회동 범위가 각각 기설정된 범위로 제한되도록 일측이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측이 외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견인부에 교차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절곡면을 따라 기설정된 길이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견인부는 상기 가이드홀의 어느 한 지점에서 볼트와 너트에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견인부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전동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70016299A 2017-02-06 2017-02-06 휠체어용 전동장치 KR101901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299A KR101901997B1 (ko) 2017-02-06 2017-02-06 휠체어용 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299A KR101901997B1 (ko) 2017-02-06 2017-02-06 휠체어용 전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314A KR20180091314A (ko) 2018-08-16
KR101901997B1 true KR101901997B1 (ko) 2018-09-28

Family

ID=63443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299A KR101901997B1 (ko) 2017-02-06 2017-02-06 휠체어용 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9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397A (ko) * 2020-11-10 2022-05-17 장지원 전동 보조기용 보조 키트 및 그를 갖는 휠체어
KR20220140213A (ko) * 2021-04-09 2022-10-18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용 전동장치
KR20240026633A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KR20240000387U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49076B (zh) * 2020-01-21 2022-04-1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轮椅
CN111249077B (zh) * 2020-01-21 2022-04-1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轮椅
KR102493298B1 (ko) * 2020-12-21 2023-01-31 주식회사 스위브 동력보조장치 연결프레임
ES1285590Y (es) * 2021-12-23 2022-04-20 Univ Sevilla Plataforma de desplazamiento autonomo
KR102553998B1 (ko) 2023-03-09 2023-07-11 (주)다우테크놀로지 휠체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447B1 (ko) * 2013-02-28 2015-05-18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274B1 (ko) 2011-12-29 2013-07-26 (주)성지기업 가변식 전동 휠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447B1 (ko) * 2013-02-28 2015-05-18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397A (ko) * 2020-11-10 2022-05-17 장지원 전동 보조기용 보조 키트 및 그를 갖는 휠체어
KR102464382B1 (ko) 2020-11-10 2022-11-09 장지원 전동 보조기용 보조 키트 및 그를 갖는 휠체어
KR20220140213A (ko) * 2021-04-09 2022-10-18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용 전동장치
KR102543160B1 (ko) 2021-04-09 2023-06-12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용 전동장치
KR20240026633A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KR20240000387U (ko)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프론테크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314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997B1 (ko) 휠체어용 전동장치
US20180049368A1 (en) Ride-on vehicle with operator access assist bar
US9545941B2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US10849803B2 (en) Attaching and detaching type driving device and wheelchair having the same
US2978053A (en) Driving and steering apparatus for wheel chairs
US8844964B2 (en) Convertible tandem stroller with a double seat transfer mechanism
KR102158013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KR101822327B1 (ko) 전동 유모차
US20140097592A1 (en) Knee-walker
CN104118508A (zh) 平衡车
JP6970456B2 (ja) 車輪付物体を移動させるための搬送台
KR20160000078A (ko) 착탈 가능한 휠체어 주행보조장치
US4762193A (en) Motorized golf trolley
GB2116837A (en) Infants seat for motor vehicles
GB2540833A (en) Trolley structure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bicycle
CN102697609A (zh) 电动轮椅及其转向控制装置
KR101610632B1 (ko) 자가접근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729620B1 (ko) 전동식 주행 보드
CN113730116B (zh) 一种可折叠轮椅
CA2675927A1 (en) Motorized golf bag cart
CN208198547U (zh) 一种可单双人转换的儿童推车
KR101605362B1 (ko)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CN210991612U (zh) 一种成年康复助行器
GB2429638A (en) Car seat and pushchair
CN108215975A (zh) 多功能汽车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