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998B1 - 휠체어 - Google Patents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998B1
KR102553998B1 KR1020230031159A KR20230031159A KR102553998B1 KR 102553998 B1 KR102553998 B1 KR 102553998B1 KR 1020230031159 A KR1020230031159 A KR 1020230031159A KR 20230031159 A KR20230031159 A KR 20230031159A KR 102553998 B1 KR102553998 B1 KR 102553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hinge
extension
main fram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만
강연중
Original Assignee
(주)다우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우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다우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3003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9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by using auxiliary detachabl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휠체어는 탑승자를 태우고 이동 가능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탑승자를 기준으로 상기 휠체어의 후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바닥을 향해 굴곡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휠체어{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 및 장애자용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wheelchair)는 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이기 힘든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를 말한다. 통상적으로 휠체어는 두 개의 바퀴를 장착한다. 휠체어는 장거리 이동시 차량에 실어서 이동하는 데, 이 경우 적재의 편의를 위해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만든다.
휠체어는 사람이 손으로 직접 구동하는 수동식과 전기를 이용해서 구동하는 전동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동식 휠체어는 두 개의 바퀴의 외측에 바퀴를 구동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동식 휠체어는 장거리를 이동 시 사용자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수동식 휠체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동식 휠체어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동식 휠체어는 전동기가 일체로 장착되어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 차량에 실을 때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휠체어는 차량 등에 실을 때 휠체어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바퀴를 분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런데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휠체어로부터 바퀴를 분리하기 어렵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91314호 (2018.08.16 공개일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바퀴의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는 탑승자를 태우고 이동 가능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탑승자를 기준으로 상기 휠체어의 후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바닥을 향해 굴곡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평소에는 휠체어의 전도를 방지하고 바퀴 분리 시에는 휠체어의 후측부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 바퀴의 분리 및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기 연장부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전도 방지부를 메인 프레임에 힌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측으로의 힌지 이동은 막고, 상기 연장부의 하측으로의 힌지 이동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평소에는 휠체어의 전도를 방지하고 바퀴 분리 시에는 휠체어의 후측부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 바퀴의 분리 및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힌지부는 내부에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가 힌지 이동할 시 상기 연장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전도 방지부를 하측으로 힌지 이동한 상태에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탈착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전도 방지부를 필요에 따라 탈착 결합할 수 있고, 관리 및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상기 연장부를 하측으로 힌지 이동하면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휠부로 바닥을 지지하고, 상기 휠체어의 후측부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릴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평소에는 휠체어의 전도를 방지하고 바퀴 분리 시에는 휠체어의 후측부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 바퀴의 분리 및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는 평소에는 휠체어의 전도를 방지하고 바퀴 분리 시에는 휠체어의 후측부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 바퀴의 분리 및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전도 방지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에서 연장부와 지지부만을 저면에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에서 힌지부만을 저면에서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좌측면에서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의 전도 방지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에서 연장부와 지지부만을 저면에서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에서 힌지부만을 저면에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는 탑승자를 태우고 바닥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는 메인 프레임(100), 메인 바퀴(200), 서브 바퀴(300) 및 전도 방지부(40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frame)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100)은 시트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110)는 메인 프레임(100)의 상부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하부 받침과 하부 받침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등 받침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받침 및 등 받침은 쿠션(cushion)을 형성하고, 탑승자를 안락하게 할 수 있다.
메인 바퀴(200)는 메인 프레임(100)의 후측 하부의 양측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바퀴일 수 있다. 메인 바퀴(200)는 휠체어(1)를 바닥에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메인 바퀴(200)는 메인 프레임(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인 바퀴(200)는 볼(ball)에 스프링의 압력을 걸어 결합하는 볼락 핀(ball-lock pin)을 사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메인 프레임(100)에 탈착 결합할 수 있다.
서브 바퀴(300)는 메인 프레임(100)의 전측 하부의 양측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한 쌍의 바퀴일 수 있다. 서브 바퀴(300)는 메인 바퀴(200)에 비해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바퀴(300)는 휠체어(1)의 전측에 형성되어 바닥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휠체어(1)가 전측으로 전도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전도 방지부(400)는 평상시에 휠체어(1)가 탑승자를 기준으로 후측으로 전도되지 않게 하고, 메인 바퀴(200)를 분리할 시에 휠체어(1)의 후측부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 메인 바퀴(200)가 공중에 뜨게 할 수 있다. 전도 방지부(400)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전도 방지부(400)는 연장부(410), 지지부(430), 휠부(450) 및 힌지부(470)를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410)는 메인 프레임(100)의 하부의 후측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410)는 탑승자를 기준으로 휠체어(1)의 후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410)는 메인 프레임(100)에 힌지 연결된 일단부의 하부에 절개된 절개홀(411)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430)는 연장부(410)의 타단부로부터 바닥을 향해 골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30)는 연장부(4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휠부(450)는 지지부(43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휠부(450)는 바퀴 등으로 형성되고, 전도 방지부(400)가 바닥을 지지할 시 바닥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휠부(450)가 바닥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에 따라 전도 방지부(400)가 바닥을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휠체어(1)를 쉽게 취급할 수 있다.
힌지부(470)는 메인 프레임(100)에 연장부(410)를 힌지 연결할 수 있다. 힌지부(470)는 일단부를 메인 프레임(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470)는 타단부를 연장부(410)와 힌지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470)는 타단부의 상측부는 막히고 타단부의 하측부는 절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부(470)의 타단부에 힌지 연결된 연장부(410)는 상측으로 힌지 이동시 힌지부(470)의 상측부에 막혀서 이동하지 못하고, 타단부의 절개된 하측으로만 힌지 이동할 수 있다. 힌지부(470)는 탄성부재(471), 탈착 결합 핀(472), 안착홈(473) 및 안내홈(474)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470)는 메인 프레임(100)의 후단부에 일단부를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탈착 결합 핀(472)으로 힌지부(470)와 메인 프레임(100)을 함께 관통하여 고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470)는 메인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할 시 탈착 결합 핀(472)을 분리하여 힌지부(470)를 메인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부(470)는 탈착 결합 핀(472)에 의해 메인 프레임(100)에 탈착 결합할 수 있다.
힌지부(470)는 타단부의 내측 상측부에 오목한 안착홈(473)과 안착홈(473)으로부터 타단부측으로 연장된 오목한 안내홈(474)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473)은 안내홈(474)보다 더 깊게 형성되고, 안착홈(473)과 안내홈(474)의 사이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410)가 하측으로 힌지 이동시 연장부(410)의 단부는 안내홈(474)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410)가 하측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연장부(410)의 단부가 안착홈(473)에 안착되고, 안착홈(473)과 안내홈(474) 사이에 형성된 단턱에 연장부(410)의 단부가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장부(410)는 단턱에 의해 힌지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임의로 상측으로 힌지 이동하여 본래 위치로 복귀 하지 못하게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410)를 상측으로 힌지 이동시킬 시에는 연장부(410)에 일정 강도 이상의 외력을 가하면 연장부(410)의 단부가 단턱을 넘어가면서 상측으로 힌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힌지부(470)는 내부에 탄성부재(471)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재(471)는 탄성을 갖는 용수철 등과 같은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471)는 하측으로 힌지 이동한 연장부(41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471)는 일단부를 힌지부(470)의 내부에 연결하고 타단부를 연장부(410)의 내부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410)의 힌지 이동시 탄성부재(741)가 절개홀(411)의 사이로 이동하게 하여 연장부(410)의 단부에 탄성부재(471)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의 작동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는 평상시에 전도 방지부(400)를 후측으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휠체어(1)가 후측으로 전도될 시 전도 방지부(400)가 바닥을 지지함에 따라 휠체어(1)의 전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는 휠체어(1)를 자동차 등과 같은 운반 장치에 싣기 위해서 휠체어(1)의 메인 바퀴(200)를 분리해야 할 시에는 연장부(410)를 하측으로 힌지 이동할 수 있다. 연장부(410)를 하측으로 완전히 힌지 이동하면 지지부(430)의 단부에 형성된 휠부(450)가 바닥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휠체어(1)의 후측부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고 휠체어(1)의 전측부는 서브 바퀴(300)에 의해 바닥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휠체어(1)의 전측부는 서브 바퀴(300)에 의해 바닥을 지지하고 휠체어(1)의 후측부는 전도 방지부(400)에 의해 바닥을 지지하여 메인 바퀴(200)가 공중에 들어올려질 수 있다. 메인 바퀴(200)가 공중에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인 바퀴(200)에 형성된 볼락 핀을 사용하여 메인 바퀴(200)를 메인 프레임(10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는 전도 방지부(400)를 사용하면 메인 프레임(100)을 바닥에 지지한 상태로 메인 프레임(100)에서 메인 바퀴(200)를 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휠체어
100: 메인 프레임
110: 시트부
200: 메인 바퀴
300: 서브 바퀴
400: 전도 방지부
410: 연장부
411: 절개홀
430: 지지부
450: 휠부
470: 힌지부
471: 탄성부재
472: 탈착 결합 핀
473: 안착홈
474: 안내홈

Claims (6)

  1. 탑승자를 태우고 이동 가능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탑승자를 기준으로 상기 휠체어의 후측으로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바닥을 향해 굴곡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휠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상기 연장부를 힌지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을 함께 관통하며 탈착 결합하는 탈착 결합 핀;
    상기 힌지부의 타단부의 내측 상측부에 오목한 안착홈;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힌지부의 타단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안착홈과 크기를 다르게 형성한 오목한 안내홈; 및
    상기 안착홈과 상기 안내홈의 사이에 형성된 단턱; 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의 상기 타단부의 하측부는 절개되고,
    상기 힌지부는 내부에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장부가 힌지 이동할 시 상기 연장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측으로의 힌지 이동은 막고, 상기 연장부의 하측으로의 힌지 이동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를 하측으로 힌지 이동하면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휠부로 바닥을 지지하고, 상기 휠체어의 후측부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KR1020230031159A 2023-03-09 2023-03-09 휠체어 KR102553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159A KR102553998B1 (ko) 2023-03-09 2023-03-09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159A KR102553998B1 (ko) 2023-03-09 2023-03-09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998B1 true KR102553998B1 (ko) 2023-07-11

Family

ID=8715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159A KR102553998B1 (ko) 2023-03-09 2023-03-09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998B1 (ko)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05U (ko) * 1994-06-09 1996-01-17 조대식 다이얼 자동 버클
JP2000084008A (ja) * 1998-09-11 2000-03-28 Nisshin Iryoki Kk 車椅子の組付構造
JP2001170114A (ja) * 1999-12-20 2001-06-26 Suzuki Motor Corp 車椅子の後方転倒防止装置
KR200324500Y1 (ko) * 2003-02-14 2003-08-25 김진우 자전거 보조바퀴 접이 지지대
JP2004089340A (ja) * 2002-08-30 2004-03-25 Matsunaga Seisakusho:Kk 車椅子の転倒防止機構
JP2007159761A (ja) * 2005-12-13 2007-06-28 Kawamura Cycle:Kk 車いす
JP2008093465A (ja) * 2007-12-19 2008-04-24 Matsunaga Seisakusho:Kk ティッピングプレート
KR20100082817A (ko) * 2002-05-20 2010-07-20 이메디카 가부시키가이샤 휠체어
KR20140088757A (ko) * 2013-01-03 2014-07-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립 보조형 휠체어
KR20170109286A (ko) * 2016-03-21 2017-09-29 근로복지공단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KR20180091314A (ko) 2017-02-06 2018-08-16 김동민 휠체어용 전동장치
KR101885157B1 (ko) * 2016-10-24 2018-09-11 (주) 한호기술 접이식 휠체어
JP2019093010A (ja) * 2017-11-27 2019-06-20 日進医療器株式会社 車椅子用転倒防止装置および車椅子
KR20210025209A (ko) * 2019-08-27 2021-03-09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휠체어 후방에 부착고정되는 휠체어고정횡바 및 이를 이용한 이동차량 휠체어고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05U (ko) * 1994-06-09 1996-01-17 조대식 다이얼 자동 버클
JP2000084008A (ja) * 1998-09-11 2000-03-28 Nisshin Iryoki Kk 車椅子の組付構造
JP2001170114A (ja) * 1999-12-20 2001-06-26 Suzuki Motor Corp 車椅子の後方転倒防止装置
KR20100082817A (ko) * 2002-05-20 2010-07-20 이메디카 가부시키가이샤 휠체어
JP2004089340A (ja) * 2002-08-30 2004-03-25 Matsunaga Seisakusho:Kk 車椅子の転倒防止機構
KR200324500Y1 (ko) * 2003-02-14 2003-08-25 김진우 자전거 보조바퀴 접이 지지대
JP2007159761A (ja) * 2005-12-13 2007-06-28 Kawamura Cycle:Kk 車いす
JP2008093465A (ja) * 2007-12-19 2008-04-24 Matsunaga Seisakusho:Kk ティッピングプレート
KR20140088757A (ko) * 2013-01-03 2014-07-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립 보조형 휠체어
KR20170109286A (ko) * 2016-03-21 2017-09-29 근로복지공단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KR101885157B1 (ko) * 2016-10-24 2018-09-11 (주) 한호기술 접이식 휠체어
KR20180091314A (ko) 2017-02-06 2018-08-16 김동민 휠체어용 전동장치
JP2019093010A (ja) * 2017-11-27 2019-06-20 日進医療器株式会社 車椅子用転倒防止装置および車椅子
KR20210025209A (ko) * 2019-08-27 2021-03-09 세풍이엔피공업 주식회사 휠체어 후방에 부착고정되는 휠체어고정횡바 및 이를 이용한 이동차량 휠체어고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565B2 (en) Lift chair
US9016715B2 (en) Mobility device
KR101437374B1 (ko) 가변형 휠체어
US11642259B2 (en) Reclining armchair with lifting seat and extending footrest
US20110140492A1 (en) An inclusive chair
KR102553998B1 (ko) 휠체어
KR102359574B1 (ko)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JP2000300611A (ja) 起立介助椅子
US7686319B1 (en) Double amputee conveyance
JPH11321795A (ja) 航空機用座席装置
JP6270172B2 (ja) 車椅子
JP6362287B1 (ja) 車輪付きベンチ
KR101939344B1 (ko) 환자용 휠체어
JP3709522B2 (ja) 介助機能付車椅子
KR101244451B1 (ko) 휠체어 사용자의 하중을 이용한 휠체어 제동장치
US7008016B1 (en) Range of motion exercise chair
JP3107526B2 (ja) 車椅子
JP5179959B2 (ja) 車椅子
KR101458988B1 (ko) 휠체어
JP4996374B2 (ja) 車椅子のフットレストの固定具
JP3922660B2 (ja) 車椅子
JP6343381B2 (ja) 車椅子
KR101167704B1 (ko)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
AU678772B2 (en) Nursing chair
JP4880796B1 (ja) 介助用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