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761B1 -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761B1
KR101697761B1 KR1020150052320A KR20150052320A KR101697761B1 KR 101697761 B1 KR101697761 B1 KR 101697761B1 KR 1020150052320 A KR1020150052320 A KR 1020150052320A KR 20150052320 A KR20150052320 A KR 20150052320A KR 101697761 B1 KR101697761 B1 KR 10169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oupling
wheelchair
coupl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456A (ko
Inventor
김해섭
김성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Priority to KR1020150052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76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를 탑승한 상태에서 제 1고정부와 제 2고정부의 조작으로 휠체어로부터 구동장치를 편리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휠체어의 보관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차량적재를 용이하게 하고 휠체어의 미사용시 결합부를 휠체어로부터 분리시킨 후 지지부를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구동장치를 거치시키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wheelchair and drive unit}
본 발명은,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휠체어를 탑승한 상태에서 제 1고정부와 제 2고정부의 조작으로 휠체어로부터 구동장치를 편리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휠체어의 보관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차량적재를 용이하게 하고 휠체어의 미사용시 결합부를 휠체어로부터 분리시킨 후 지지부를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구동장치를 거치시키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다리를 쓸 수 없거나 보행이 불편한 노약자를 위한 보행 보조기구이다.
상기 휠체어는 양쪽 바퀴 외측에 각각 링형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으며, 휠체어 탑승자는 상기 손잡이 휠을 손으로 굴려 휠체어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휠체어는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하기에는 근거리이나 휠체어를 이용하기에는 다소 장거리인 경우 탑승자는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른 육체적인 피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공보 제10-2002-73943호로 공개된 '수동 휠체어용 주행 보조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 공개발명은 동력장치가 휠체어 본체에 일체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휠체어의 기본중량이 늘어나 휠체어 탑승자가 수동으로 휠체어를 이동하는 것이 매우 힘들뿐만 아니라 동력장치가 휠체어에 기본사양으로 장착되므로 휠체어의 가격이 매우 고가로 판매되므로 일반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이용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휠체어를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를 휠체어의 프레임에 결합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1749호로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발명은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전동장치가 휠체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이점은 있으나, 전동장치와 휠체어를 연결시키는 견인프레임의 부피가 커서 보관 및 이동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휠체어의 주행시에는 휠체어의 앞부분을 들어올린 후 견인프레임에 안착시켜 걸치는 방식으로 결합하야 하고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휠체어의 앞부분을 들어올려 견인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므로 많은 힘이 필요하여 노약자 및 장애인들에게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를 탑승한 상태에서 제 1고정부와 제 2고정부의 조작으로 휠체어로부터 구동장치를 편리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휠체어의 보관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차량적재를 용이하게 하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휠체어의 미사용시 결합부를 휠체어로부터 분리시킨 후 지지부를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구동장치를 거치시키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의 핸들축에 고정되어 결합부를 수용하면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고정브래킷의 고정봉이 결합공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와;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측에 결합되며 고정브래킷을 결합부에 결합시 제 1고정핀을 고정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키고 고정브래킷의 결합 완료시 제 1고정핀을 제 1통공에 결합하여 고정브래킷과 결합부를 고정하는 제 1고정부와;
상기 고정브래킷의 고정공간 하부에 장착되어 결합부를 지지하면서 제 2고정부가 고정되도록 지지공이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고정브래킷을 결합부에 결합시 제 2고정핀이 탄력적으로 작동하면서 지지대의 지지공에 고정되어 상기 결합부를 고정브래킷에 고정시키는 제 2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휠체어를 탑승한 상태에서 제 1고정부와 제 2고정부의 조작으로 휠체어로부터 구동장치를 편리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휠체어의 보관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차량적재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휠체어의 미사용시 결합부를 휠체어로부터 분리시킨 후 지지부를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구동장치를 거치시키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휠체어와 구동장치가 결합된 상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해 구동장치가 휠체어로부터 분리되어 거치되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100)는, 배터리(24)를 이용하여 휠체어(10)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20)의 핸들축(22)에 고정되어 결합부(120)를 수용하면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브래킷(110)이 구성되고, 상기 휠체어(10)의 프레임(11)에 결합되어 고정브래킷(110)의 고정봉(113)이 결합공(121')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일측에 결합되며 고정브래킷(110)을 결합부(120)에 결합시 제 1고정핀(134)을 고정공간(112)으로부터 이탈시키고 고정브래킷(110)의 결합 완료시 제 1고정핀(134)을 제 1통공(122)에 결합하여 고정브래킷(110)과 결합부(120)를 고정하는 제 1고정부(13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고정공간(112) 하부에 장착되어 결합부(120)를 지지하면서 제 2고정부(150)가 고정되도록 지지공(141)이 형성되는 지지대(140)가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120)에 결합되어 고정브래킷(110)을 결합부(120)에 결합시 제 2고정핀(151)이 탄력적으로 작동하면서 지지대(140)의 지지공(141)에 고정되어 상기 결합부(120)를 고정브래킷(110)에 고정시키는 제 2고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브래킷(110)은, 상기 핸들축(22)에 고정되는 브래킷 본체(111)가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 본체(111)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결합부(120)를 고정하는 고정공간(112)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공간(112)에 장착되어 결합부(120)에 결합되는 고정봉(11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고정봉(113)이 결합되도록 결합공(121')이 형성되는 결합몸체(121)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몸체(121)의 일측에 결합공(121')을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제 1,2통공(122)(122')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몸체(121)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 2고정부(150)가 결합되는 결합통공(123)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몸체(121)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어 휠체어(10)의 프레임(11)에 고정되는 결속부재(12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124)는, 상기 결합몸체(121)의 양측에 장착되는 로드(124a)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124a)의 단부에 고정되는 클램프(124b)가 구비되며, 상기 클램프(124b)를 조절하여 휠체어(10)의 프레임(11)에 결속시키는 조절손잡이(124c)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 1,2통공(122)(122')은 휠체어(10)의 주행시에는 제 1고정핀(134)이 제 1통공(122)에 결합되고 휠체어(10)의 거치시에는 제 1고정핀(134)이 제 2통공(122')에 결합된다.
상기 제 1고정부(130)는,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공(13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공(131)에 고정되어 제 1고정핀(134)이 결합되도록 수용공간(132')이 형성되는 제 1고정몸체(132)가 구비되며, 상기 제 1고정몸체(132)의 내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133)가 구비되고, 상기 제 1고정몸체(132)에 결합되어 탄성부재(133)에 의해 탄력적으로 작동하면서 고정편(134')이 수용공간(132')에 결합되는 제 1고정핀(13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 2고정부(150)는, 상기 결합통공(123)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2고정핀(151)이 구비되고, 상기 제 2고정핀(151)과 결합통공(123)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152)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통공(123)의 상부에서 제 2고정핀(151)에 결합되는 제 2고정몸체(15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결합공(121')으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정브래킷(110)을 결합부(120)에 결합시 고정봉(113)을 안내하도록 하는 결합안내면(16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결합몸체(121)의 양측 하부에 장착되어 회전안내판(171)에 의해 회전하면서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휠체어(10)의 미사용시 구동장치(20)를 거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분리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구동장치(20)의 핸들축(22)에 고정브래킷(110)을 끼운 후 고정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구동장치(20)는 수직으로 을 조절하는 핸들(21)이 설치되고, 상기 핸들축(22)의 하단부에는 바퀴(23)가 장착형성된 핸들축(22) 상부에 휠체어(10)의 방향 되며, 상기 핸들축(22)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4)가 장착되어 바퀴(23)를 구동시키면서 휠체어(10)의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브래킷 본체(111)에는 결합부(120)가 결합되도록 고정봉(113)이 고정되며, 브래킷 본체(111)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공(131)에는 제 1고정부(130)가 고정된다.
상기 제 1고정부(130)는, 고정공(131)에 제 1고정몸체(132)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 1고정몸체(132) 내부에는 탄성부재(133)가 장착되고, 상기 제 1고정몸체(132)의 외측에서 제 1고정핀(134)을 결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브래킷(110)의 내측 하부에 지지대(140)의 단부를 삽입시킨 후, 축핀으로 고정하여 결합부(12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결합부(120)의 양측 단부에는 결속부재(124)의 로드(124a)를 결합하여 볼트로 고정하되 상기 볼트의 단부는 결합몸체(121)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결속부재(124)의 로드(124a)에 결합된 클램프(124b)를 최대한으로 벌린 후, 휠체어(10)의 프레임(11) 단부를 수용하여 조절손잡이(124c)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클램프(124b)가 프레임(1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몸체(121)에 형성된 결합통공(123)의 하부에서 상부로 제 2고정부(150)의 제 2고정핀(151)을 결합시키되 제 2고정핀(151)에 스프링(152)을 장착한 후 결합통공(123)에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결합통공(123)으로 결합된 제 2고정핀(151)의 상부에서 제 2고정몸체(153)를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결합몸체(121)의 양단 하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부(170)가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170)는 결속부재(124)를 고정시킨 볼트에 회전안내판(171)이 결합되어 지지부(17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구동장치(20)의 거치시 그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170)는 결합몸체(121)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휠체어(10) 주행시에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고, 구동장치(20)의 거치시에는 지면에 접촉되면서 구동장치(20)를 거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의 주행을 위해 구동장치(20)를 결합부(12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구동장치(20)의 핸들(21)을 파지한 상태에서 바퀴(23)를 전방으로 밀어 구동장치(20)를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동장치(20)를 기울어지게 한 후, 제 1고정부(130)의 제 1고정핀(134)을 잡아당겨 고정공간(112)으로부터 제 1고정핀(134)을 이탈시키게 되면, 제 1고정핀(134)은 탄성부재(133)를 압축시키면서 고정브래킷(110) 외측으로 이동하여 고정편(134')이 수용공간(132')으로부터 이탈되며, 이때, 제 1고정핀(134)을 90°회전시켜 고정편(134') 단부가 제 1고정몸체(132)의 단부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 구동장치(20)에 고정된 고정브래킷(110)을 결합부(120)의 하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고정브래킷(110)의 고정봉(113)을 결합부(120)의 결합공(121') 하부에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봉(113)이 결합공(121')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동장치(20)의 핸들(21)을 파지하여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고정브래킷(110)의 고정봉(113)은 결합안내면(160)에 접촉되어 안내되면서 고정봉(113)이 결합공(121')으로 결합된다.
상기 구동장치(20)를 들어올리면서 결합부(120)와 결합될 때, 휠체어(10)의 앞바퀴는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고정봉(113)이 결합공(12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결합몸체(121)에 결합된 제 2고정핀(151)은 지지대(140)의 상면에 밀착되어 스프링(152)을 압축시키면서 지지공(141) 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 2고정핀(151)이 스프링(152)의 탄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지지공(141)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110)이 결합부(120)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브래킷(110)에 형성된 고정공(131)과 결합부(120)의 제1통공(122)이 동일선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 1고정부(130)의 제 1고정핀(134)을 외측으로 약간 잡아당긴 후 90°회전시키게 되면 제 1고정핀(134)은 탄성부재(133)의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제 1고정핀(134)의 단부가 결합부(120)의 제 1통공(122)으로 고정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와 구동장치(20)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 휠체어(10)와 구동장치(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지지부(170)를 회전안내편(171)을 중심으로 상부로 회전시킨 후 사용자는 배터리의 동력으로 휠체어(10)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동장치(20)가 휠체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휠체어(10)만 분리하고자 할 경우,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고정부(130)의 제 1고정핀(134)을 결합부(120)로부터 이탈시켜 고정편(134')이 제 1고정몸체(132)의 단부에 걸리도록 하고, 제 2고정부(150)의 제 2고정핀(151)을 상부로 들어올려 구동장치(20)를 사용자 측으로 기울어지게 하면 휠체어(10)와 구동장치(20)의 결합력이 해제되어 휠체어(10)의 앞바퀴가 지면에 접촉된다.
이때, 고정브래킷(110)에 형성된 고정공(131)은 결합부(120)에 형성된 제2통공(122')과 동일선상으로 위치하게 되고, 제 1고정부(130)의 제 1고정핀(134)을 90°회전시켜 결합부(120)의 제2통공(122')으로 결합한다.
또한, 휠체어(10)의 프레임(11)을 고정하고 있는 클램프(124b)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결속부재(124)를 휠체어(10)의 프레임(11)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와 같이 결속부재(124)가 프레임(11)에서 분리되면, 결합부(120)의 양측 하부에 장착된 회전안내판(171)을 중심으로 지지부(170)를 지면에 접촉되도록 회전시켜 구동장치(2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휠체어(10)는 구동장치 없이 수동으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결합구조 110: 고정브래킷
111: 브래킷 본체 112: 고정공간
113: 고정봉 120: 결합부
121: 결합몸체 122: 제 1통공
122': 제 2통공 123: 결합통공
124: 결속부재 130: 제 1고정부
131: 고정공 132: 제 1고정몸체
133: 탄성부재 134: 제 1고정핀
140: 지지대 141: 지지공
150: 제 2고정부 151: 제 2고정핀
152: 스프링 153: 제 2고정몸체
160: 결합안내면 170: 지지부

Claims (9)

  1. 배터리를 이용하여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의 핸들축에 고정되어 결합부를 수용하면서 결합되도록 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고정브래킷의 고정봉이 결합공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와;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측에 결합되며 고정브래킷을 결합부에 결합시 제 1고정핀을 고정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키고 고정브래킷의 결합 완료시 제 1고정핀을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는 제 1통공에 결합하여 고정브래킷과 결합부를 고정하는 제 1고정부와;
    상기 고정브래킷의 고정공간 하부에 장착되어 결합부를 지지하면서 제 2고정부가 고정되도록 지지공이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고정브래킷을 결합부에 결합시 제 2고정핀이 탄력적으로 작동하면서 지지대의 지지공에 고정되어 상기 결합부를 고정브래킷에 고정시키는 제 2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브래킷은,
    상기 핸들축에 고정되는 브래킷 본체와;
    상기 브래킷 본체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결합부를 고정하는 고정공간과;
    상기 고정공간에 장착되어 결합부에 결합되는 고정봉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고정봉이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는 결합몸체와;
    상기 결합몸체의 일측에 결합공을 중심으로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제 1,2통공과;
    상기 결합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 2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통공과;
    상기 결합몸체의 양측 단부에 장착되어 휠체어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결속부재는,
    상기 결합몸체의 양측에 장착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조절하여 휠체어의 프레임에 결속시키는 조절손잡이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2통공은 휠체어의 주행시에는 제 1고정핀이 제 1통공에 결합되고 휠체어의 거치시에는 제 1고정핀이 제 2통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고정부는,
    상기 고정브래킷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고정공에 고정되어 제 1고정핀이 결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 1고정몸체와;
    상기 제 1고정몸체의 내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 1고정몸체에 결합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작동하면서 고정편이 수용공간에 결합되는 제 1고정핀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2고정부는,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는 결합통공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2고정핀과;
    상기 제 2고정핀과 결합통공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결합통공의 상부에서 제 2고정핀에 결합되는 제 2고정몸체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으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고정브래킷을 결합부에 결합시 고정봉을 안내하도록 하는 결합안내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는 결합몸체의 양측 하부에 장착되어 회전안내판에 의해 회전하면서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휠체어의 미사용시 구동장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KR1020150052320A 2015-04-14 2015-04-14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KR10169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320A KR101697761B1 (ko) 2015-04-14 2015-04-14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320A KR101697761B1 (ko) 2015-04-14 2015-04-14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456A KR20160122456A (ko) 2016-10-24
KR101697761B1 true KR101697761B1 (ko) 2017-01-18

Family

ID=5725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320A KR101697761B1 (ko) 2015-04-14 2015-04-14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7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522A (ko)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휠체어와 휠체어동력보조장치의 연결구조
KR20230027514A (ko)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흙받이와 지지대 일체형 모터브라켓이 구비된 휠체어동력보조장치와 휠체어의 연결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8346B (zh) * 2018-04-03 2020-10-16 蔡书洪 一种可连接轮椅的电动车头
KR20220042693A (ko) * 2020-09-28 2022-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의 견인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672Y1 (ko) 2000-04-19 2000-09-01 주식회사옵티라이더 일인용 셔틀 전동카
JP2001161752A (ja) 1999-12-14 2001-06-19 Tsuneo Kamibayashi 分離合体型車椅子
JP2010207454A (ja) 2009-03-11 2010-09-24 Ko Kumano 電動補助機及び車椅子
KR101391403B1 (ko) 2013-04-24 2014-06-03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휠체어용 전동 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752A (ja) 1999-12-14 2001-06-19 Tsuneo Kamibayashi 分離合体型車椅子
KR200194672Y1 (ko) 2000-04-19 2000-09-01 주식회사옵티라이더 일인용 셔틀 전동카
JP2010207454A (ja) 2009-03-11 2010-09-24 Ko Kumano 電動補助機及び車椅子
KR101391403B1 (ko) 2013-04-24 2014-06-03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휠체어용 전동 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522A (ko)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휠체어와 휠체어동력보조장치의 연결구조
KR20230027514A (ko)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흙받이와 지지대 일체형 모터브라켓이 구비된 휠체어동력보조장치와 휠체어의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456A (ko) 201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761B1 (ko)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US6766871B2 (en) Attachment means for attaching a wheelchair to a motorized apparatus
US10758436B2 (en) Powered wheelchair, wheelchair powering device and method
US7117967B2 (en) Wheel chair apparatus and method
KR101715326B1 (ko)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US8388010B2 (en) Manual wheelchair power assist
US81867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wheelchair bound person
MXPA01012498A (es) Mejoras mecanicas para un vehiculo personal.
CN203544078U (zh) 电动爬楼车
US10130531B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variable configurations of an attachable/detachable motorized drive for standard wheelchairs
KR20200001715A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KR20180097402A (ko)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CN109394436B (zh) 一种可分离式担架车
JP2010207454A (ja) 電動補助機及び車椅子
JP2022516037A (ja) 手動車椅子推進システム
CN102525754B (zh) 一种折叠式电动轮椅车
KR101520447B1 (ko)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CN209378006U (zh) 一种康复助力架车
KR101603991B1 (ko) 무동력 이동보조기구
US11786420B2 (en) Drive device for a wheelchair
CN202620033U (zh) 一种折叠式电动轮椅车
CN114392066B (zh) 一种便于拆卸运输的代步车及拆卸运输方法
CN216124700U (zh) 用于代步车的拆装结构和座椅
KR101906202B1 (ko) 분리형 전동식 이동장치
JP3086142U (ja) 折り畳み式電動レジャ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