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9814A -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 Google Patents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9814A
KR20190059814A KR1020170158605A KR20170158605A KR20190059814A KR 20190059814 A KR20190059814 A KR 20190059814A KR 1020170158605 A KR1020170158605 A KR 1020170158605A KR 20170158605 A KR20170158605 A KR 20170158605A KR 20190059814 A KR20190059814 A KR 20190059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slide member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096B1 (ko
Inventor
윤성훈
Original Assignee
윤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훈 filed Critical 윤성훈
Priority to KR1020170158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0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수동식 휠체어(1)와, 구동휠(13)이 하단에 제공된 세로부재(11)에 상기 구동휠(13)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장치(1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5)이 제공된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11)의 중간에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재(15)들에는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휠체어의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20)이 제공되고, 상기 연결봉(20)의 자유단부에 제공된 연결부(30)가 휠체어(1)의 전측의 양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4)에 제공된 연결부재(6)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여러 장애인들이 휠체어를 전동휠체어 또는 수동 휠체어로 간편하게 전환하여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어 휠체어 사용 효율성이 향상되고, 탈착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Wheelchairs With Removal Electric Driving devices}
본 발명은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수동 휠체어에 간편하게 전동장치를 탈착하여 전동휠체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적인 장애로 걷기 힘든 사람들은 휠체어를 사용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종래에는 이용자가 수동으로 휠을 회전시키거나 도우미가 뒤에서 휠체어를 밀도록 하였다.
최근에는 이러한 휠체어의 프레임에 전동장치를 설치하여 모터로 휠을 구동시키도록 하고, 조작패널에 제공된 조이스틱과 같은 방향전환장치로 방향을 제어하여 별도의 도우미 없이도 그리고 힘들이지 않고 장애인이 스스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전동휠체어의 운전을 조작패널에 의해 조작하는 경우 미세한 조작에 의해 전동휠체어가 갑작스럽게 동작할 수도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오토바이와 같이 이용자가 수동으로 핸들을 조작하여 방향전환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전동휠체어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휠체어의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0345호(2001년07월18일 등록)에는 전동휠체어의 방향조절핸들의 하단부의 가이드바에 관절부재를 통하여 피봇동작가능하게 연결되어, 지면의 요철부에 따라서 관절부재를 중심으로 관절식 차체전면이 피봇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차체전면의 양단부에 연결된 두개의 프론트가이드휘일이 지면과 항시 밀접하게 접촉하게하여 전동휠체어가 안전하고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삼륜전동휠체어용 관절식 차체전면조립체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동휠체어는 수동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장애를 가진 여러 사람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휠체어의 경우 전동휠체어가 필요한 사람과 수동의 통상적인 휠체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 휠체어를 전동과 수동으로 간편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휠체어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0345호(2001년07월18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휠체어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통상의 수동 휠체어의 프레임에 전동장치를 간편하게 탈부착시키도록 개선하여 필요에 따라 수동과 전동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성과 범용성을 향상시킨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는, 수동식 휠체어와, 구동휠이 하단에 제공된 세로부재에 상기 구동휠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이 제공된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의 중간에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재들에는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휠체어의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이 제공되고, 상기 연결봉의 자유단부에 제공된 연결부가 휠체어 전측의 양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에 제공된 연결부재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캡형태의 본체와, 내측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나사결합되는 연장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제공된 탄성수단 및 상기 연장부의 내측면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봉의 연결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슬라이드부재 속에 끼움방식으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측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소에 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홀들 각각에 볼이 제공되고, 상기 연장부의 단부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관형부재로서 슬라이드부재의 측부에 형성된 홀에 제공된 볼들과 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에 원형의 물림홈들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를 연결부재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고정캡부재가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서 결합위치와 결합해제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된다.
상기 고정캡부재는 내측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의 자유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하도록 되고,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걸림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캡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들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요홈이 상기 결림돌기들과 같은 간격으로 동수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가 삽입될 때, 상기 고정캡부재에 의해 내경이 감소된 연장부 속으로 슬라이드부재가 밀려들어가면서 슬라이드부재에 제공된 볼들이 연장부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연장부에 대해 고정된다.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스프링이 제공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내측 단부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을 유지하도록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휠체어의 프레임 전측에 핸들에 장착된 전동장치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여러 장애인들이 필요에 따라 휠체어를 전동휠체어 또는 수동휠체어로 간편하게 전환하여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어 휠체어 사용 효율성이 향상되고, 탈착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한 휠체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휠체어에서 전동장치가 장착된 핸들을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전동장치가 장착된 핸들이 휠체어의 전측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휠체어의 프레임에 전동장치가 장착된 핸들을 조립하기 위한 연결부의 연결전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연결부를 휠체어 프레임에 끼운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연결부를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한 휠체어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한 휠체어는 통상의 수동식 휠체어와 동일한 구조의 휠체어(1)와,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5)에 장착된 전동장치(10)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5)은 중심부에 종방향으로 세로부재(11)의 상단에 양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하단에는 구동휠(13)이 장착되어 있고, 전동장치(10)가 상기 세로부재(11)의 중간에 장착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터와 상기 구동휠(13)을 구동하기 위한 기어와 전동수단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동수단은 구동휠(13)이 전동장치(10)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축이 상기 세로부재(11)에 내장되어 구동휠(13)과 기어물림에 의해 구동되게 하거나, 상기 전동장치(10)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내장된 휠과 구동휠을 체인이나 벨트로 연결하여 구동휠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구조의 전동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로부재(11)의 중간에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재(15)가 제공되고, 상기 수평부재(15)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단에 보조휠(16)이 장착된 지지부재(17)가 제공된다.
상기 세로부재(11)의 양측으로 연장된 수평부재(15)들에는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휠체어의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20)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20)의 자유단부에는 연결부(30)가 형성되어서 휠체어(1)의 전측의 양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4)에 제공된 연결부재(6)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연결봉(20)은 연결부(30)로 휠체어(1)의 프레임부재(4)에 제공된 연결부재(6)에 끼움방식으로 간편하게 조립 또는 분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6)는 캡형태의 본체(61)와, 내측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61)에 나사결합된 연장부(62), 상기 본체(61)의 내부 공간에 탄성수단으로서 제공된 스프링(63) 및 상기 연장부(62)의 내측면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부재(65)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65)는 그 내측 단부에 홈(66)이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63)을 유지하도록 되고 측부에는 홀(67)들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으로 2개소에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홀(67)들 각각에는 연장부에서 볼(68)이 제공되어서 상기 볼들의 구름운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65)가 연장부(62)내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장부(62)의 단부 외주면에는 나사(6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동장치(10)가 장착된 세로부재(11)에 형성된 연결봉(20)에 제공된 연결부(30)는 상기 슬라이드부재(65)의 내측에 삽입되어 분해가능하게 맞물려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결부(30)는 관형부재로서 슬라이드부재(65)의 측부에 형성된 홀(67)에 제공된 볼(68)들과 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에 원형의 물림홈(33)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30)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걸림돌기(35)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캡부재(40)가 연결부(30)의 외주면에서 결합위치와 결합해제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상기 고정캡부재(40)는 내측에 나사(41)가 형성되어서 상기 연장부(62)의 자유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69)와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그 내측에는 상기 연결부(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35)들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요홈(44)이 상기 결림돌기(35)들과 같은 간격으로 동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6 및 7을 참고하여 상기 연결봉(20)의 연결부(30)를 휠체어(1)의 프레임부재(4)에 제공된 연결부재(6)에 결합하여 전동장치를 장착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30)의 외주면에 제공된 고정캡부재(40)를 그 내측의 요홈(44)들이 걸림돌기(35)들과 일치되는 방향에서 도 5에서 우측방향으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걸림돌기(35)의 우측에 배치되게 한다. 그 상태에서 연결부(30)를 휠체어(1)의 프레임부재(4)에 제공된 연결부재(6)의 슬라이드부재(65) 속으로 밀어 넣은 다음, 상기 고정캡부재(40)를 걸림돌기(35) 우측에서 회전시켜 연장부(6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69)와 체결된다. 이때, 고정캡부재(40)가 걸림돌기(35)를 도면에서 좌측으로 밀게 되어 연결부(30)가 슬라이드부재(65) 속으로 밀려들어가게 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이 압축되며, 내경이 감소된 연장부(62) 속으로 슬라이드부재(65)가 밀려들어가면서 슬라이드부재에 제공된 볼(68)들이 연장부(62)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연장부(62)에 대해 슬라이드부재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물림홈(33)들에 슬라이드부재(65)에 제공된 볼(68)들이 맞물림으로써 연결부(30)가 프레임부재(4)의 연결부재(6)에 대해 고정되어 결합완료된다.
상기 연결부(30)를 휠체어의 프레임부재(4)의 연결부재(6)에서 분해하는 것은 전술한 결합방법과 반대로 실시한다. 즉 고정캡부재(40)를 연장부(62)과의 나사결합을 해제하고, 연결봉(30)을 슬라이드부재에서 빼내어 간편하게 분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부재(65)가 연장부(62)에서 직경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연장부의 내측면에 볼(68)이 압착된 상태가 해제되어 연결봉(30)을 슬라이드부재(65)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전동장치(10)가 장착된 핸들의 세로부재(11)의 양측으로 연장된 수평부재(15)들에서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휠체어의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20)에 제공된 연결부(30)를 슬라이드부재(65) 속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캡부재(40)로 연장부(62)와 나사결합함으로써 간편하게 분해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휠체어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전동장치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휠체어를 수동 및 전동으로 용이하게 전환하여 사용 범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휠체어에 이용하여 휠체어를 수동 및 전동으로 필요에 따라 전환할 수 있게 이용될 수 있다.
1 ; 휠체어 6 : 연결부재
10 : 전동장치 11 : 세로부재
13 : 구동휠 15 : 수평부재
20 : 연결봉 30 : 연결부
40 : 고정캡부재 61 : 본체
62 : 연장부 63 : 스프링
65 :슬라이드부재 67 : 홀
68 : 볼

Claims (7)

  1. 수동식 휠체어(1)와, 구동휠(13)이 하단에 제공된 세로부재(11)에 상기 구동휠(13)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장치(1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휠체어(1)의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5)이 제공된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한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세로부재(11)의 중간에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재(15)들에는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휠체어의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20)이 제공되고, 상기 연결봉(20)의 자유단부에 제공된 연결부(30)가 휠체어(1)의 전측의 양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프레임부재(4)에 제공된 연결부재(6)에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6)는 캡형태의 본체(61)와, 내측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확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61)에 나사결합되는 연장부(62), 상기 본체(61)의 내부 공간에 제공된 탄성수단 및 상기 연장부(62)의 내측면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부재(65)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봉(20)의 연결부(30)가 상기 연결부재(6)의 슬라이드부재(65) 속에 끼움방식으로 분해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65)의 측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소에 형성된 홀(67)들이 형성되고, 상기 홀들 각각에 볼(68)이 제공되고, 상기 연장부(62)의 단부 외주면에는 나사(6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30)는 관형부재로서 슬라이드부재(65)의 측부에 형성된 홀(67)에 제공된 볼(68)들과 결합될 수 있게 외주면에 원형의 물림홈(33)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를 연결부재(6)에 대하여 고정하도록 고정캡부재(40)가 상기 연결부(30)의 외주면에서 결합위치와 결합해제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부재(40)는 내측에 나사(41)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62)의 자유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69)와 결합하도록 되고,
    상기 연결부(30)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걸림돌기(35)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캡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연결부(3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35)들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요홈(44)이 상기 결림돌기(35)들과 같은 간격으로 동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부재(40)에 의해 상기 연결부(30)가 삽입될 때, 내경이 감소된 연장부(62) 속으로 슬라이드부재(65)가 밀려들어가면서 슬라이드부재에 제공된 볼(68)들이 연장부(62)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연장부(62)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61)의 내부 공간에 스프링(63)이 제공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65)의 내측 단부에 홈(66)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스프링(63)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KR1020170158605A 2017-11-23 2017-11-23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KR102047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605A KR102047096B1 (ko) 2017-11-23 2017-11-23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605A KR102047096B1 (ko) 2017-11-23 2017-11-23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814A true KR20190059814A (ko) 2019-05-31
KR102047096B1 KR102047096B1 (ko) 2019-11-20

Family

ID=6665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605A KR102047096B1 (ko) 2017-11-23 2017-11-23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0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548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에스씨랩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KR20220022546A (ko)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프론테크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WO2022173277A3 (ko) * 2021-02-15 2022-10-06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외 혼용이 가능한 멀티보행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381A (ja) * 1996-09-27 1998-04-21 Mutsumi Giken Kk 電動車椅子
KR200240345Y1 (ko) 2001-04-09 2001-10-11 피쉬앙 머시너리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삼륜전동휠체어용 관절식 차체전면조립체
KR101391403B1 (ko) * 2013-04-24 2014-06-03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휠체어용 전동 카트
KR20140108146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KR20160000075A (ko) * 2014-06-23 2016-0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장착프레임 유닛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20160019987A (ko) * 2014-08-12 2016-02-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381A (ja) * 1996-09-27 1998-04-21 Mutsumi Giken Kk 電動車椅子
KR200240345Y1 (ko) 2001-04-09 2001-10-11 피쉬앙 머시너리 엠에프지 컴퍼니 리미티드 삼륜전동휠체어용 관절식 차체전면조립체
KR20140108146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KR101391403B1 (ko) * 2013-04-24 2014-06-03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휠체어용 전동 카트
KR20160000075A (ko) * 2014-06-23 2016-01-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장착프레임 유닛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20160019987A (ko) * 2014-08-12 2016-02-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548A (ko) 2019-10-02 2021-04-12 주식회사 에스씨랩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KR20220022546A (ko)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프론테크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WO2022173277A3 (ko) * 2021-02-15 2022-10-06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외 혼용이 가능한 멀티보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096B1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88385C (en) Drive unit for a wheelchair and a wheelchair provided with such a drive unit
KR20190059814A (ko)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EP2700390B1 (en) Three-wheeled foot-pedaled wheelchair
US9561143B2 (en) Power driven vehicle having a take-apart frame
KR101715293B1 (ko) 휠체어 구동보조장치
WO2012118561A1 (en) Moveable steering and universal charger
US10130531B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variable configurations of an attachable/detachable motorized drive for standard wheelchairs
KR101454716B1 (ko)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 및 이를 장착한 휠체어
KR20180097402A (ko)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KR20200001715A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KR101852149B1 (ko) 목발 사용자를 위한 휠체어
US9757288B1 (en) Mobile chair apparatus comprising foot pedals
KR101520447B1 (ko) 휠체어의 착탈식 구동장치
US20050206115A1 (en) Wheelchair with a steering/driving device
KR102043079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의 주행방법
KR20160049779A (ko)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CN209253372U (zh) 一种新型电动轮椅
KR102384455B1 (ko) 휠체어용 전동 구동륜의 결합구조
CN210408811U (zh) 具有爬坡安全辅助机构的手摇自助式轮椅
KR100857842B1 (ko) 휠체어용 보조 전원 장치
KR102206040B1 (ko) 휠체어 수동 및 전동 전환장치
KR20150102278A (ko) 재활훈련이 가능한 휠체어 결합 자전거
JP3205774U (ja) 駆動輪を迅速に脱着可能な電動式車椅子
CN210785062U (zh) 一种可拆卸式轮椅驱动头
CN112914856A (zh) 新型手动轮椅电动助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