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987A -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987A
KR20160019987A KR1020140104151A KR20140104151A KR20160019987A KR 20160019987 A KR20160019987 A KR 20160019987A KR 1020140104151 A KR1020140104151 A KR 1020140104151A KR 20140104151 A KR20140104151 A KR 20140104151A KR 20160019987 A KR20160019987 A KR 20160019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chair
coupling
mounting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362B1 (ko
Inventor
고철웅
홍재수
최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04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362B1/ko
Priority to CN201580055451.8A priority patent/CN107072857B/zh
Priority to PCT/KR2015/006537 priority patent/WO2016024715A1/ko
Publication of KR20160019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2Front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Devices for lifting or tilting the whole wheelch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3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 B62K5/025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power-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휠체어의 프레임에 상기 휠체어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장착프레임, 전체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는 핸들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구동바퀴가 결합되는 스템프레임 및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연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장착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부의 틸팅이 조절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의 틸팅에 의해 상기 휠체어의 전륜이 리프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Driving Auxiliary Device Having Lifting Function of Wheelchair Front Wheel}
본 발명은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식 휠체어에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구비하여 주행보조장치와 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장착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부의 틸팅에 의해 휠체어 전륜을 리프팅 할 수 있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되고 있는 휠체어에는, 수동식 휠체어와 전동식 휠체어가 있다.
장거리나 언덕길 등을 이동하는 때, 수동식의 휠체어는 사용자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으며, 특히, 휠체어의 사용자 대부분은 신체가 불편한 사람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장거리나 언덕길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개발된 것이 전동식 휠체어이며, 전동식의 휠체어는 배터리를 내장하고, 별도의 구동용 모터를 구비하는 등 다수의 부품을 장비하기 때문에 중량이나 부피가 커지고, 취급이 불편하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휠체어의 사용자 대부분은 생활 형편이 넉넉하지 못해 고가의 전동식 휠체어를 구매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동식 휠체어에 별도의 주행보조장치를 장착하는 주행보조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에 개발된 주행보조장치를 살펴보면 단순히 구동모터를 구비한 주행보조장치가 휠체어에 설치된 별도의 장착수단과 선택적으로 결합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주행보조장치의 경우 착탈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쉽게 이루어 질 수 없으며,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다리부분 외측을 감싸도록 프레임이 형성됨으로써 휠체어의 전복 시 사용자의 빠른 대응이 어려워 낙상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행보조장치와 휠체어의 결합 방법이 복잡하여 사용자의 상체에 많은 힘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주행보조장치와 휠체어의 결합 시 주행의 간섭을 일으키는 휠체어의 전륜을 들어올려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직접 완력을 통해 수행해야 하며, 이는 신체가 자유롭지 못한 사용자에게 큰 부담이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수동식 휠체어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별도의 외력 없이 주행보조장치와 휠체어를 안정적으로 착탈하며, 전륜을 들어올려 주행 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는 수동식 휠체어의 프레임에 상기 휠체어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장착프레임, 전체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는 핸들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구동바퀴가 결합되는 스템프레임 및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연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장착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부의 틸팅이 조절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장착프레임과 상호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구속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의 틸팅에 의해 상기 휠체어의 전륜이 리프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은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휠체어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이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장착프레임상에서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는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제1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통홀에 대응하여 연통되는 제2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연통홀 및 상기 제2연통홀을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별도의 결합유지부재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몸체부상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부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별도의 틸팅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측이 상기 몸체부상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결합부의 틸팅상태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를 상하방향으로 틸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휠체어의 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대응하도록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측에 별도의 돌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슬릿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선택적으로 상기 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에 따른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결합위치와 함께 결합각도도 함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 우측에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끝단부에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바퀴가 바닥과 접촉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바퀴는 내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휠체어의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장착프레임과 주행보조장치의 연결프레임이 별도의 걸림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연결프레임과 장착프레임이 회전 구속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주행보조장치와 휠체어가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쉽게 착탈 가능한 이점이 있다.
둘째, 휠체어와 주행보조장치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의 끝단부에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부가 구성되어 장착프레임과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틸팅됨으로써, 휠체어의 전륜을 리프팅하여 주행 시 전륜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셋째, 주행보조장치와 휠체어의 결합 상태에서 연결프레임이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전복 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와 이에 결합된 수동식 휠체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연결프레임에서 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이 휠체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과 장착프레임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주행보조장치에서 결합부와 장착부가 결합유지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주행보조장치에서 결합부가 틸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의 길이 및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는 도 10의 장착프레임에서 본체와 결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의 장착프레임에서 본체와 결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 · 후방 또는 상측 · 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와 이에 결합된 수동식 휠체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의 후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전륜과 후륜을 가지는 일반적인 수동식 휠체어(10)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주행을 보조할 수 있는 장치로써, 수동식 휠체어(10)의 프레임(12)에 별도의 장착프레임(100)을 설치하여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크게 장착프레임(100), 메인프레임(200), 스템프레임(300) 및 연결프레임(400)을 포함한다.
장착프레임(100)은, 상기 휠체어(10)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휠체어(10)의 폭 방향을 따라 양단부가 상기 휠체어(10)에 구비된 프레임(12)상에 결합된다.
그리고 장착프레임(100)은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별도의 장착부(110)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연결프레임(400)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프레임(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의 하부에 구비된 프레임(12)에 고정 결합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에 장착홈(112: 도 5참조))이 형성되는 장착부(110)가 구비됩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110)는 장착프레임(10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게 전후방향으로 장착홈(112)이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110)는 장착프레임(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장착홈(112)을 포함하며, 후술하는 연결프레임(400)에 형성된 결합부(420)가 장착홈(112)에 결합됨으로써,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의 자유 회전상태를 구속하며 구속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420)와 장착부(110)의 구체적인 결합 형태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장착프레임(100)은 휠체어(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양단부가 휠체어(10)의 프레임(12)에 설치됨으로써, 후술하는 연결프레임(400)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프레임(100)은 휠체어(10)의 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대응하도록 교체 가능하거나, 선택적으로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프레임(200)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에서 전체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후술하는 스템프레임(300) 및 연결프레임(400)이 고정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프레임(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프레임(300)의 일부가 삽입 고정되고, 연결프레임(400)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전체를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구동바퀴(32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210)가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배터리(210)와 메인프레임(200)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메인프레임(200)은 스템프레임(300) 및 연결프레임(400)과 결합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배터리(210)도 함께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배터리(210)는 메인프레임(200)의 좌 우측 폭 방향에 대한 중앙부에 위치하여 무게중심이 좌 우측으로 편향되지 않고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스템프레임(300)은 길게 형성되며, 일부가 메인프레임(200)과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는 핸들(310)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구동바퀴(320)가 결합된다.
스템프레임(300)은 일반적인 자전거의 프레임과 유사하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길게 형성되어 일측에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핸들(3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310)은 일반적인 자전거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바퀴(320)의 구동 및 정지를 조절할 수 있는 브레이크(미도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템프레임(300)은 길이방향을 따라 핸들(310)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핸들(310)이 스템프레임(300)과 전후방향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원하는 위치에 핸들(310)이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템프레임(300)은 사용자의 핸들(310)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템프레임(300)의 타측 끝단부에는 상술한 구동바퀴(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320)는 스템프레임(300)의 타측 끝단부에서 횡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며 결합되고, 내부에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가 일체로 내장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320)의 휠 내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배터리(2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구동 및 정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구동모터가 도시된 바와 달리 구동바퀴(32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바퀴(320)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주행보조장치의 안정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상에 구비된 배터리(210)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3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구동바퀴(320)와 바닥의 접지력이 증가하여 구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템프레임(300)이 구성되며 사용자가 핸들(310)을 그립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구동바퀴(32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연결프레임(400)은 메인프레임(200)에서 후방으로 길게 돌출 되도록 결합되며 타측이 상술한 장착프레임(100)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메인프레임(200)상에 연결되는 몸체부(410) 및 몸체부(410)의 타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부가 장착프레임(100)과 결합되는 결합부(42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결합부(420)의 틸팅이 조절된다.
여기서, 몸체부(410)는 일반적인 프레임 형상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고 일측 끝단부가 메인프레임(200)과 결합되며 타측 끝단부에는 상술한 장착부(11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42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과 결합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메인프레임(200)과의 결합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결합부(420)는 상술한 몸체부(410)의 타측 끝단부에 틸팅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422)가 구비된다. 그리고 결합부(4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몸체부(410)와의 틸팅 각도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420)는 상술한 장착홈(11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는 결합돌기(422)가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장착홈(112)과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결합돌기(422)는 상술한 장착홈(112)의 형상에 대응하여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장착홈(112)의 개수 및 배치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422)는 장착홈(112)에 대응하여 한 쌍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장착홈(1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결합돌기(422)가 장착홈(112)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2점 결합을 통해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된다.
즉,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은 결합부(420)와 장착부(110)가 2점 결합됨에 따라 회전 구속결합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프레임(400)과 수동식 휠체어(10)가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결합부(420)는 몸체부(410)의 끝단부상에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420)의 틸팅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422)와 상기 몸체부(410)의 교차 각도가 변화하게 된다. 즉, 결합부(420)의 틸팅에 따라 결합돌기(422)도 함께 틸팅되며 돌출 각도가 변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420)는 몸체부(410)의 타측 끝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일부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몸체부(410)와 틸팅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프레임(400)은 상술한 몸체부(410) 및 결합부(420)를 포함하며, 결합부(420)와 장착부(110)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결프레임(400)은 상술한 결합부(420)의 틸팅을 조절하는 별도의 틸팅조절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틸팅조절부(430)는 몸체부(410)상에 구비되어 결합부(42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액츄에이터 또는 전동모터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틸팅조절부(430)는 액츄에이터 형태로 몸체부(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측이 몸체부(410)상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결합부(4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신축에 따라 결합부(420)의 틸팅상태를 조절한다.
이때, 틸팅조절부(430)는 몸체부(4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 결합부(420)를 상하방향으로 틸팅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410)의 하측에 구비되어 결합부(420)의 하부방향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420)는 상부가 몸체부(410)의 타측 끝단부에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하부가 틸팅조절부(430)의 타측에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틸팅조절부(430)의 신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틸팅 각도가 조절된다.
한편, 이와 같이 연결프레임(400)이 구성됨에 따라, 장착부(110)는 장착프레임(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결합부(420)와 장착부(110)가 결합되는 경우 연결프레임(400)은 휠체어(10)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프레임(400)이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휠체어(10)의 전복 시 사용자가 빠른 대응을 하기 용이하며, 이에 따라 휠체어(10)의 전복에 의해 발생되는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수동식 휠체어(10)에 설치되는 장착프레임(100)과, 메인프레임(200)에 연결된 연결프레임(400)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휠체어(10)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동식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자력으로 이동하기를 원하는 경우 상술한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을 분리함으로써, 휠체어(10)의 하부에 장착프레임(100)만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가 자력으로 휠체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사용자가 구동바퀴(320)를 이동하여 휠체어(10)의 이동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을 결합시킴으로써, 구동바퀴(32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휠체어(10)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핸들(310)의 조작을 통해 주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휠체어(10)에 결합 시켜 휠체어(10)의 주행을 안정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메인프레임(200)의 좌 우측에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끝단부에 별도의 보조바퀴(510)가 구비된 보조프레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프레임(500)은 장착프레임(100)과 연결프레임(400)이 분리된 상태에서 주행보조장치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구동바퀴(320)와 함께 바닥에서 3점 지지형태로 주행보조장치가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500)이 메인프레임(200)의 좌 우측에 대칭을 이루며 하부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하측 끝단부에 구비된 보조바퀴(510)와 스템프레임(300)에 구비된 구동바퀴(320)에 의해 주행보조장치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보조프레임(500)이 메인프레임(200)과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행보조장치가 휠체어(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사용자가 회전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결합부(420) 및 장착부(1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의 연결프레임(400)에서 결합부(42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100)이 휠체어(1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상술한 결합부(42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400)은 몸체부(410), 결합부(420) 및 틸팅조절부(4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410)는 길게 형성되어 메인프레임(200)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며 타측 끝단부에 결합부(420)가 틸팅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420)는 상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몸체부(410)와 횡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틸팅조절부(430)는 몸체부(410)의 하부에서 결합부(42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신축함으로써 결합부(42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조절부(430)의 길이가 늘어나는 경우 결합부(420)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틸팅조절부(430)의 길이가 줄어드는 경우 결합부(4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결합부(420)는 몸체부(410)의 타측 끝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422)가 형성되며, 결합돌기(422)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420)에 형성된 결합돌기(422)는 도 5에 도시된 장착부(110)의 장착홈(112)에 삽입된다.
이때, 장착홈(112)은 결합돌기(422)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돌기(422)가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420)와 장착부(11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며, 결합부(420)와 장착부(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틸팅조절부(430)에 의해 결합부(420)의 틸팅 각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장착부(110)와 결합부(4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틸팅조절부(430)에 의해 결합부(420)의 틸팅각도가 조절되면, 휠체어(10)의 전방이 들어올려지며 전륜(14)이 리프팅하여 안정적으로 휠체어(10)와 주행보조장치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결합부(420)와 장착부(11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고정수단(116: 도 7참조)을 통해 결합돌기(422)가 장착홈(112) 내부에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결합돌기(422)는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제1연통홀(422a)이 형성되고, 장착홈(112)에는 결합돌기(422)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1연통홀(422a)의 위치에 대응하여 연통되는 제2연통홀(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420)와 장착부(110)는 별도의 결합유지부재(116)이 제1연통홀(422a) 및 제2연통홀(114)을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결합돌기(422)가 장착홈(112) 내부에 삽입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추후 결합부(420)와 장착부(110)를 분리하는 경우 상술한 결합유지부재(116)을 제거함으로써 결합돌기(422)가 장착홈(112) 외부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420)와 장착부(110)는 별도의 결합유지부재(116)을 통해서 결합상태를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결합유지부재(116)은 길게 형성되어 제1연통홀(422a) 및 제2연통홀(114)을 관통할 수 있도록 샤프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통홀(422a) 및 제2연통홀(1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합돌기(422) 및 장착홈(112) 각각에 모두 형성되어 하나의 결합유지부재(116)을 통해 연속적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제1연통홀(422a) 및 제2연통홀(114)이 각각 하나의 결합돌기(422) 및 장착홈(11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결합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주행보조장치에서 결합부(420)와 장착부(110)가 결합유지부재(116)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주행보조장치에서 결합부(420)가 틸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살펴보면 수동식 휠체어(10)의 프레임(12)에 장착프레임(100)이 설치된 상태로써, 사용자가 핸들(310)을 그립하여 메인프레임(20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결합부(420)가 휠체어(10)의 하부에서 장착부(110)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부(420)는 몸체부(410)상에서 상부방향으로 틸팅된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돌기(422)와 장착홈(112)의 배치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422)와 장착홈(112)이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핸들(310)을 그립하여 주행보조장치를 당김으로써 쉽게 결합돌기(422)가 장착홈(1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20)에 형성된 결합돌기(422)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장착홈(112)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사용자는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돌기(4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홈(112)의 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쉽게 삽입할 수 있으며, 결합돌기(422)가 장착홈(112)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결합유지부재(116)을 이용하여 결합돌기(422)가 장착홈(11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422)에는 상하방향으로 연통된 제1연통홀(422a)이 형성되고, 장착홈(112)에는 결합돌기(422)가 장착홈(112)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연통홀(422a)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제2연통홀(114)이 구비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결합유지부재(116)이 제1연통홀(422a) 및 제2연통홀(114)을 연속적으로 관통되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이 결합돌기(422)가 장착홈(112)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유지부재(116)이 제1연통홀(422a) 및 제2연통홀(114)을 연속적으로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결합부(420)와 장착부(110)가 안정적으로 회전구속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20)와 장착부(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틸팅조절부(430)의 길이가 줄어들어 결합부(420)가 몸체부(4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부(410)는 이와 반대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휠체어(10)의 앞부분과 주행보조장치의 뒷부분이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즉, 결합부(420)와 장착부(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틸팅조절부(430)의 길이가 줄어드는 경우 몸체부(410)와 결합부(420)가 결합된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휠체어(10)의 앞부분이 들어올려짐으로써 휠체어(10)에 구비된 전륜(14)이 리프팅하여 주행보조장치의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9을 참조하여 상술한 메인프레임(200)의 형상 및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400)의 길이 및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메인프레임(200)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슬릿(220)이 형성되고, 연결프레임(400)은 일측에 별도의 돌출부재(402)가 구비되어 상기 슬릿(2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프레임(400)은 일단부가 슬릿(220)을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또는 수동식 휠체어(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연결프레임(4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200) 및 연결프레임(400)이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휠체어(10)의 높이에 따라 적절히 연결프레임(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220)이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돌출부재(402)가 슬릿(220)을 따라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즉, 슬릿(220)을 따라 돌출부재(402)가 움직임으로써 연결프레임(400)의 상하 위치뿐만 아니라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결프레임(400)은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부(410)가 복수 개의 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도록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핸들(310)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연결프레임(4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주행보조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200) 및 연결프레임(400)이 형성됨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휠체어(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템프레임(30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일부가 메인프레임(200)을 삽입 관통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되거나, 핸들(310)의 결합각도가 전후방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핸들(310)의 위치 및 각도를 편의에 따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100)의 변형된 형태들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100)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는 도 10의 장착프레임(100)에서 본체(120)와 결합부재(13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100)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도 12의 장착프레임(100)에서 본체(120)와 결합부재(13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0 및 도 11를 살펴보면, 장착프레임(100)은 장착부(110)와 함께 본체(120) 및 결합부재(1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130)는 휠체어(10)의 프레임(12)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좌 우측에 대칭되어 설치되며 각각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의 폭 방향에 따른 양측에 고정 결합되며, 하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결합구(13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구(134)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본체(120)의 일부가 결합구(134)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본체(120)는 길게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술한 장착부(110)가 형성되고, 양단부가 상술한 결합구(134)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결합구(134)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방향에서 양단부가 각각의 결합구(134) 내부로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이와 함께 본체(120)는 양단부가 결합구(134)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부재(130)와 결합하는 별도의 고정부재(122)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22)는 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구(134) 내부에 형성된 별도의 홀에 삽입됨으로써 본체(120)와 결합부재(130)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130)와 본체(120)는 고정부재(122)를 통해 본제(120)의 양단부가 결합구(134)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본체(120)의 양단부가 상술한 결합구(134)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본체(120)와 결합부재(130)가 결합하더라도 본체(120)가 자유회전을 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착프레임(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상에서 쉽게 본체(120)를 착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프레임(100)이 구성됨으로써, 휠체어(10)에서 쉽게 장착프레임(100)의 일부를 분리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휠체어(10)의 접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착프레임(100)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를 살펴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은 유사하지만 결합부재(130) 및 본체(120)의 형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130)는 휠체어(10)의 프레임(12)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좌 우측에 대칭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일부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가지며 돌출된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의 둘레가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함몰 형성된 단턱(132)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20)는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에 장착부(110)가 구비되며 양단에 각각 결합부재(130)와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수단(124)이 구비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24)은 스내치 락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부재(130)에 형성된 단턱(13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결합부재(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체(120)가 구성됨에 따라 고정수단(124)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부재(1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착프레임(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20) 및 결합부재(130)를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휠체어(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휠체어(10)를 쉽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휠체어(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100)과 메인프레임(20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결합된 연결프레임(400)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회전 구속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휠체어(10)와 주행보조장치의 착탈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휠체어 100: 장착프레임
110: 장착부 112: 장착홈
114: 제2연통홀 116: 결합유지부재
120: 본체 130: 결합부재
200: 메인프레임 210: 배터리
220: 슬릿 300: 스템프레임
310: 핸들 320: 구동바퀴
400: 연결프레임 420: 몸체부
410: 결합부 422: 결합돌기
422a: 제1연통홀 430: 틸팅조절부
500: 보조프레임

Claims (14)

  1. 전륜과 후륜을 가지는 수동식 휠체어의 프레임에 상기 휠체어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장착프레임;
    전체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는 핸들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구동바퀴가 결합되는 스템프레임; 및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연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장착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부의 틸팅이 조절되는 연결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의 틸팅에 의해 상기 휠체어의 전륜이 리프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휠체어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이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장착프레임상에서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제1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통홀에 대응하여 연통되는 제2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연통홀 및 상기 제2연통홀을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별도의 결합유지부재에 의해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몸체부상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부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별도의 틸팅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측이 상기 몸체부상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결합부의 틸팅상태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결합부를 상하방향으로 틸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휠체어의 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대응하도록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측에 별도의 돌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슬릿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선택적으로 상기 슬릿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에 따른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결합위치와 함께 결합각도도 함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 우측에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끝단부에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바퀴가 바닥과 접촉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는,
    내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구동모터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20140104151A 2014-08-12 2014-08-12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605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151A KR101605362B1 (ko) 2014-08-12 2014-08-12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CN201580055451.8A CN107072857B (zh) 2014-08-12 2015-06-26 轮椅用行驶辅助装置
PCT/KR2015/006537 WO2016024715A1 (ko) 2014-08-12 2015-06-26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151A KR101605362B1 (ko) 2014-08-12 2014-08-12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987A true KR20160019987A (ko) 2016-02-23
KR101605362B1 KR101605362B1 (ko) 2016-03-23

Family

ID=5544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151A KR101605362B1 (ko) 2014-08-12 2014-08-12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814A (ko) * 2017-11-23 2019-05-31 윤성훈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906B1 (ko) * 2020-12-01 2022-12-16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좌면 경사 조절장치와 이를 구비한 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8735A (ja) 2011-08-31 2013-03-14 Ox Engineering:Kk 組立式電動車いす
KR101391403B1 (ko) 2013-04-24 2014-06-03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휠체어용 전동 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814A (ko) * 2017-11-23 2019-05-31 윤성훈 탈착가능한 전동장치를 구비하는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362B1 (ko)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67B1 (ko)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JP6450782B2 (ja) 別途の装着フレームを持つ走行補助装置
KR101598481B1 (ko) 장착프레임 유닛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598484B1 (ko) 착탈 가능한 휠체어 주행보조장치
KR101901997B1 (ko) 휠체어용 전동장치
KR101605362B1 (ko)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552963B1 (ko)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CN107635850B (zh) 婴儿车
JP2019030629A (ja) 歩行車
KR101610632B1 (ko) 자가접근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20130117602A (ko) 접이식 전동 보행 보조차
KR101598478B1 (ko)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20120134256A (ko) 휠체어
KR20170101398A (ko) 분리형 구동장치가 구비된 휠체어
KR101310841B1 (ko) 전동휠체어용 암레스트
JP2007125303A (ja) 旋回規制装置および車椅子
KR20160049779A (ko)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JP2020043957A (ja) 車椅子用動力装置
KR101662013B1 (ko) 전동 보행 보조장치
KR20090124258A (ko) 보행 보조장치
JP7026940B2 (ja) 車椅子用のティッピングレバー
KR20120072935A (ko) 다기능 전동 휠체어
KR102023645B1 (ko) 4륜 실버캐리지
KR102052091B1 (ko)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1478603B1 (ko) 휠체어용 접이식 이동 발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