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963B1 -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963B1
KR101552963B1 KR1020140076659A KR20140076659A KR101552963B1 KR 101552963 B1 KR101552963 B1 KR 101552963B1 KR 1020140076659 A KR1020140076659 A KR 1020140076659A KR 20140076659 A KR20140076659 A KR 20140076659A KR 101552963 B1 KR101552963 B1 KR 101552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coupled
wheelchai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철웅
홍재수
최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76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963B1/ko
Priority to CN201580045529.8A priority patent/CN106572937B/zh
Priority to PCT/KR2015/005086 priority patent/WO2015199334A1/ko
Priority to JP2016575132A priority patent/JP6450782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3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 B62K5/025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power-driv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핸들이 결합되고, 타측에 구동바퀴가 결합되는 스템프레임,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연결되고 타측이 수동식 휠체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과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구동바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Position Adjustable Driving Auxiliary Equipment for Wheel 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식 휠체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되고 있는 휠체어에는, 수동식 휠체어와 전동식 휠체어가 있다.
장거리나 언덕길 등을 이동하는 때, 수동식의 휠체어는 사용자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으며, 특히, 휠체어의 사용자 대부분은 신체가 불편한 사람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장거리나 언덕길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개발된 것이 전동식 휠체어이며, 전동식의 휠체어는 배터리를 내장하고, 별도의 구동용 모터를 구비하는 등 다수의 부품을 장비하기 때문에 중량이나 부피가 커지고, 취급이 불편하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휠체어의 사용자 대부분은 생활 형편이 넉넉하지 못해 고가의 전동식 휠체어를 구매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동식 휠체어에 별도의 주행보조장치를 장착하는 주행보조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에 개발된 주행보조장치를 살펴보면 단순히 구동모터를 구비한 주행보조장치가 휠체어에 설치된 별도의 장착수단과 선택적으로 결합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주행보조장치는 단순히 수동식 휠체어와 주행보조장치의 착탈만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주행보조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대해 전혀 고려하여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동식 휠체어의 사용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알맞도록 핸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핸들이 결합되고, 타측에 구동바퀴가 결합되는 스템프레임,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연결되고 타측이 수동식 휠체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과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구동바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측에 별도의 돌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슬릿홈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슬릿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하방향에 따른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홈은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결합위치와 함께 결합각도가 함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선택적으로 결합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템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핸들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결합각도와 연동하여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부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 우측에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끝단부에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바퀴가 바닥과 접촉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바퀴 내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타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은 길게 형성되어 상기 휠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좌 우측에 양단부가 결합되며 중앙에 별도의 장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타측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에 결합되어, 상호 회전을 구속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휠체어의 프레임상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이즈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가 휠체어에 결합하여 주행을 보조하도록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휠체어의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장착프레임과 주행보조장치의 연결프레임이 별도의 걸림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연결프레임과 장착프레임이 회전 구속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주행보조장치와 휠체어가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쉽게 착탈 가능한 이점이 있다.
셋째, 주행보조장치와 휠체어의 결합 상태에서 연결프레임이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전복 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와 이에 결합된 수동식 휠체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메인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결합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의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스템프레임의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스템프레임과 핸들이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에 형성된 결합부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수동식 휠체어에 설치된 장착프레임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과 장착프레임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제1결합홈에 제1샤프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2는 도 1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제2결합홈에 제2샤프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 · 후방 또는 상측 · 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와 이에 결합된 수동식 휠체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일반적인 수동식 휠체어(10)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주행을 보조할 수 있는 장치로써, 사용자의 신체 또는 휠체어(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크게 메인프레임(200), 스템프레임(300), 연결프레임(400), 구동유닛(미도시) 및 장착프레임(100)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200)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에서 전체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후술하는 스템프레임(300) 및 연결프레임(400)이 고정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프레임(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프레임(300)의 일부가 삽입 고정되고, 연결프레임(400)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전체를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기 구동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부(600)가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전력공급부(600)와 메인프레임(200)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력공급부(600)는 일반적인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200)의 좌 우측 폭 방향에 대한 중앙부에 위치하여 무게중심이 좌 우측으로 편향되지 않고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은 스템프레임(300) 및 연결프레임(400)과 결합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전력공급부(600)도 함께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메인프레임(20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슬릿홈(220)이 형성되며, 슬릿홈(220)에 후술하는 연결프레임(400)의 일측이 결합되어 슬릿홈(2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홈(220)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연결프레임(400)의 일측 위치가 슬릿홈(220)의 형상을 따라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스템프레임(300)은 길게 형성되며, 일부가 메인프레임(200)과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는 핸들(310)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구동바퀴(320)가 결합된다.
스템프레임(300)은 일반적인 자전거의 프레임(12)과 유사하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길게 형성되어 일측에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핸들(3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310)은 일반적인 자전거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바퀴(320)의 구동 및 정지를 조절할 수 있는 브레이크(미도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템프레임(300)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프레임(300)은 길게 형성되어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템프레임(300)의 상측 끝단부에 결합된 핸들(310)은 그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휠체어(10)에 착석한 상태로 자신의 신체 사이즈에 알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스템프레임(300)은 일측에 구비된 핸들(310)의 위치 자체가 조절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템프레임(300)은 그 길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핸들(310)의 위치가 스템프레임(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조절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템프레임(300)은 선택적으로 핸들(31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추가적으로 핸들(310)이 스템프레임(300)과 전후방향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원하는 위치에 핸들(310)이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템프레임(300)의 타측 끝단부에는 상술한 구동바퀴(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320)는 스템프레임(300)의 타측 끝단부에서 횡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며 결합되어 후술하는 상기 구동유닛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구동바퀴(320)는 사용자에 의한 핸들(310)의 조절에 의해 주행방향이 조절된다.
한편, 연결프레임(400)은 메인프레임(200)에서 후방으로 길게 돌출 되도록 결합되며 타측이 수동식 휠체어(1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프레임(400)은 길게 형성되어 일측 끝단부가 메인프레임(200)과 결합되며 타측 끝단부에는 수동식 휠체어(10)와 결합되는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4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과 선택적으로 결합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메인프레임(200)과의 결합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연결프레임(400)의 일측에는 상술한 슬릿홈(220) 내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부재(402)가 구비되어 돌출부재(402)가 슬릿홈(220)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연결프레임(400)과 메인프레임(200)이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400)의 타측에는 상술한 휠체어(10)와 결합되는 결합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결합부(410)는 수동식 휠체어(1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410)는 수동식 휠체어(10)에 장착되는 별도의 장착프레임(100)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장착프레임(100)과 결합부(4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결합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결프레임(400)은 길게 형성되어 일측이 메인프레임(200)과 결합되고 타측이 후술하는 장착프레임(1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프레임(400)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프레임(400)은 메인프레임(20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수동식 휠체어(10) 또는 장착프레임(1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와 수동식 휠체어(1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바퀴(3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크게 구동모터(미도시) 및 전력공급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미도시)는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장치로서 구동바퀴(320)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바퀴(3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모터는 구동바퀴(320) 내부에 내장되도록 구성되며, 이와 달리 메인프레임(200)에 별도로 설치되어 벨트 등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공급부(6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상에 구비되어 전력을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충전식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력공급부(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의 좌우 측 무게중심상에 배치되고, 구동바퀴(320)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주행보조장치의 안정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구동바퀴(320)로 하중을 집중시킴으로써, 구동바퀴(320)의 접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부(600)는 길게 형성되어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무게중심이 좌 우측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바퀴(320)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주행보조장치의 안정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상에 구비된 배터리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3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구동바퀴(320)와 지면의 접지력이 증가하여 구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장착프레임(100)은 휠체어(10)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휠체어(10)의 폭 방향을 따라 양단부가 휠체어(10)에 구비된 프레임(12)상에 결합된다.
그리고 장착프레임(100)은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별도의 장착부(110)를 구비하여 상술한 연결프레임(400)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프레임(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의 하부에 구비된 프레임(12)에 고정 결합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에 한 쌍의 샤프트로 이루어진 장착부(110)가 구비됩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110)는 장착프레임(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로 구성된 샤프트(112, 114: 도 9참조)가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110)는 휠체어(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샤프트(112) 및 제1샤프트(112)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샤프트(114)를 포함하며, 연결프레임(400)에 형성된 결합부(410)와 제1샤프트(112) 및 제2샤프트(114)가 모두 결합됨으로써,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의 자유 회전상태를 구속하며 구속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410)와 장착부(110)의 구체적인 결합 형태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장착프레임(100)은 휠체어(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양단부가 휠체어(10)의 프레임(12)에 설치됨으로써, 연결프레임(400)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프레임(100)은 휠체어(10)의 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대응하도록 교체 가능하거나, 선택적으로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메인프레임(200)의 좌 우측에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끝단부에 별도의 보조바퀴(510)가 구비된 보조프레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프레임(500)은 장착프레임(100)과 연결프레임(400)이 분리된 상태에서 주행보조장치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구동바퀴(320)와 함께 바닥에서 3점 지지형태로 주행보조장치가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500)이 메인프레임(200)의 좌 우측에 대칭을 이루며 하부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하측 끝단부에 구비된 보조바퀴(510)와 스템프레임(300)에 구비된 구동바퀴(320)에 의해 주행보조장치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보조프레임(500)이 메인프레임(200)과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행보조장치가 휠체어(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사용자가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가 구성됨으로써 수동식 휠체어(10)와 주행보조장치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또는 휠체어(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편의에 알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휠체어(10)에 설치되는 별도의 장착프레임(100)을 구비하여 장착프레임(100)과 연결프레임(40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장착프레임(100)을 구비하지 않고 연결프레임(400)이 휠체어(10)와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400)의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스템프레임(300)의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스템프레임(300)과 핸들(310)이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살펴보면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메인프레임(200)에 형성된 슬릿홈(220)을 따라 연결프레임(400)이 이동하며 결합각도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홈(220)은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재(402)는 슬릿홈(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그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슬릿홈(220)은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돌출부재(402)가 슬릿홈(220)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자연스레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 각도가 조절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인프레임(200)에 형성된 슬릿홈(220)이 만곡지게 형성되지 않고,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5를 살펴보면 연결프레임(400)이 상술한 돌출부재(402) 및 결합부(410)와 별도로,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400)이 제1부재(420) 및 제2부재(430)를 포함하며,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추가적으로 별도의 조절수단(440)을 구비하여 제1부재(420)와 제2부재(430)의 슬라이딩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도록 연결프레임(400)의 길이를 조절한다.
특히, 사용자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핸들(310)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연결프레임(4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주행보조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살펴보면 스템프레임(30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상태로서, 사용자가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의 앉은키를 기준으로 스템프레임(300)의 길이를 조절 함으로써, 핸들(310)의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프레임(300) 역시 상술한 연장프레임(12)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핸들(310)의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7을 살펴보면 스템프레임(300)의 일측 끝단부에 구비된 핸들(310)이 전후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템프레임(300)은 일측 끝단부에 핸들(310)이 구비되며, 핸들(310)이 전후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템프레임(300)과 핸들(310)의 결합각도가 조절된다.
이는 상술한 스템프레임(300)의 길이조절을 통한 핸들(310)의 상하 위치조절과 함께 연동되어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가 조절되는 구성과 함께 연동되어 핸들(310)의 경사각도가 함께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조절되는 경우, 스템프레임(300)은 후방으로 경사각도가 감소하게 되어 휠체어(10)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스템프레임(300)의 경사에 의해 핸들(310)이 사용자의 신체에 과도하게 인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템프레임(300)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사용자가 핸들(310)을 그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도록 스템프레임(300)의 경사각도와 함께 길이도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신체에 알맞도록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스템프레임(300)의 길이, 연결프레임(400)의 길이,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 및 핸들(310)의 전후방 틸팅을 각각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도록 사이즈롤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가,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상호 연동되어 동시에 동작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가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와 함께 핸들(310)의 위치 및 틸팅이 연동되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의 사용자가 쉽게 자신의 신체에 알맞도록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결합부(410)와 장착부(1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결합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400)에 형성된 결합부(410)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수동식 휠체어(10)에 형성된 장착프레임(100)의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제1결합홈(412)에 제1샤프트(112)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제2결합홈(414)에 제2샤프트(114)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8를 살펴보면 상술한 결합부(4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410)는 장착부(110)의 제1샤프트(112) 및 제2샤프트(114)의 구성에 대응하여 제1샤프트(112)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412) 및 제2샤프트(114)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414)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결합부(410)는 상술한 제1샤프트(112) 또는 제2샤프트(114)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결합홈(412) 또는 제2결합홈(414) 내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걸림수단(416)도 함께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1결합홈(412) 및 제2결합홈(414)에 제1샤프트(112) 및 제2샤프트(114)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2점 결합을 통해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된다.
즉,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은 결합부(410)와 장착부(110)가 2점 결합됨에 따라 회전 구속결합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프레임(400)과 수동식 휠체어(10)가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홈(412) 및 제2결합홈(414)은 상술한 제1샤프트(112) 및 제2샤프트(114)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수단(416)은 제1결합홈(412) 또는 제2결합홈(4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제1결합홈(412) 또는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걸림수단(416)은 제1결합홈(412) 또는 제2결합홈(414)에 구비되어 제1샤프트(112) 또는 제2샤프트(114)가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된 부분을 차단함으로써, 결합부(410)와 장착부(110)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홈(412) 및 제2결합홈(414)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결합홈(412) 및 제2결합홈(414)은 상술한 제1샤프트(112) 및 제2샤프트(114)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홈(4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제2결합홈(414)은 연결프레임(400)의 길이방향에 따른 후방에 상부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410)와 장착부(110)의 결합 시, 먼저 제1결합홈(412)에 제1샤프트(1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결합홈(414)에 제2샤프트(114)가 상부방향에 하부로 결합된다. 이때, 걸림수단(416)은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걸림수단(416)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걸림부재(416a), 탄성부재(미도시) 및 분리수단(416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걸림부재(416a)는 제2결합홈(414)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일부가 선택적으로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재(416a)가 제2결합홈(414)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횡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일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회전상태에 따라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 차단여부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는 연결프레임(400)상에 구비되며 걸림부재(416a)가 제2결합홈(414)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는 걸림부재(416a)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외력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걸림부재(416a)에 추가적인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걸림부재(416a)는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는 상태가 된다.
분리수단(416b)은 결합부(410)상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걸림부재(416a)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착용하는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의 차단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분리수단(416b)은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걸림부재(416a)에 결합되고 타측이 메인프레임(200)상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당김으로써, 걸림부재(416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2결합홈(414)은 걸림부재(416a)의 회전에 의해 개구된 부분의 차단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걸림수단(416)이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제1결합홈(412)에 제1샤프트(112)를 삽입한 상태에서 결합부(410)를 그립하여 상부로 당기거나 스템프레임(300)을 전방으로 미는 경우, 제1결합홈(412)을 회전축으로 하여 연결프레임(400)이 회전하며 제2결합홈(414) 내부로 제2샤프트(114)가 삽입된다.
이때, 걸림부재(416a)는 상술한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는 부분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제2샤프트(114)가 제2결합홈(414)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일시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2샤프트(114)가 제2결합홈(414)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걸림부재(416a)는 제2샤프트(114)가 제2결합홈(414)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받아 회전하여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걸림수단(416)에 의해 사용자는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단순히 결합부(410)를 상부로 당기거나, 스템프레임(300)을 전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을 분리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메인프레임(200)상에 구비된 분리수단(416b)을 당김으로써, 걸림부재(416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샤프트(114)는 제2결합홈(414) 내부에서 이탈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의 회전 구속결합을 통해 휠체어(10)와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장착프레임(100)과 연결프레임(40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결합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10을 살펴보면, 수동식 휠체어(10)의 프레임(12)에 장착프레임(100)이 설치된 상태로써, 사용자가 핸들(310)을 그립하여 결합부(410)가 장착프레임(1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10)에 형성된 제1결합홈(412)에 장착부(110)에 형성된 제1샤프트(112)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합홈(4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핸들(310)을 조작하거나 메인프레임(200)을 파지하여 결합부(41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샤프트(112)가 안정적으로 제1결합홈(412)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홈(412) 내부에 제1샤프트(1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310)을 전방으로 밀어주며, 이에 따라 연결프레임(400)은 제1결합홈(412)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프레임(400)이 제1결합홈(412)을 회전축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결합홈(414)은 제2샤프트(114)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샤프트(114)가 제2결합홈(414)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제2결합홈(414) 내부로 삽입된 제2샤프트(114)는 걸림수단(416)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2결합홈(414)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결합홈(412)과 제2결합홈(414)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제2결합홈(414)과 제2샤프트(114)만 결합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연동되어 제1샤프트(112)가 제1결합홈(412)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결합홈(412)과 제2결합홈(414) 내부에 안정적으로 제1샤프트(112) 및 제2샤프트(114)가 위치하게 되어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회전구속상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휠체어(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100)과 메인프레임(20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결합된 연결프레임(400)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회전 구속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휠체어(10)와 주행보조장치의 착탈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장착프레임 110: 장착부
120: 본체 130: 결합부재
200: 메인프레임 220: 슬릿홈
300: 스템프레임 310: 핸들
320: 구동바퀴 400: 연결프레임
410: 결합부 412: 제1결합홈
414: 제2결합홈 416: 걸림수단
500: 보조프레임 600: 전력공급부

Claims (13)

  1.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핸들이 결합되고, 타측에 구동바퀴가 결합되는 스템프레임;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연결되고 타측이 수동식 휠체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과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구동바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을 포함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측에 별도의 돌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슬릿홈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슬릿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하방향에 따른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은,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결합위치와 함께 결합각도가 함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선택적으로 결합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핸들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결합각도와 연동하여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 우측에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끝단부에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바퀴가 바닥과 접촉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바퀴 내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의 타측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길게 형성되어 상기 휠체어의 폭 방향을 따라 좌 우측에 양단부가 결합되며 중앙에 별도의 장착부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타측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에 결합되어, 상호 회전을 구속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20140076659A 2014-06-23 2014-06-23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552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59A KR101552963B1 (ko) 2014-06-23 2014-06-23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CN201580045529.8A CN106572937B (zh) 2014-06-23 2015-05-21 具有另外的安装框架的行驶辅助装置
PCT/KR2015/005086 WO2015199334A1 (ko) 2014-06-23 2015-05-21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주행보조장치
JP2016575132A JP6450782B2 (ja) 2014-06-23 2015-05-21 別途の装着フレームを持つ走行補助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59A KR101552963B1 (ko) 2014-06-23 2014-06-23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963B1 true KR101552963B1 (ko) 2015-09-15

Family

ID=5424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659A KR101552963B1 (ko) 2014-06-23 2014-06-23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9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247B1 (ko) 2015-05-29 2017-06-01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휠체어용 보조 구동장치
KR101978667B1 (ko) * 2017-12-20 2019-05-21 주식회사 로보쓰리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KR20220022546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프론테크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US20220096292A1 (en) * 2020-09-28 2022-03-31 Hyundai Motor Company Towing module, a personal mobility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for a personal mobil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8735A (ja) 2011-08-31 2013-03-14 Ox Engineering:Kk 組立式電動車いす
KR101391403B1 (ko) 2013-04-24 2014-06-03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휠체어용 전동 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8735A (ja) 2011-08-31 2013-03-14 Ox Engineering:Kk 組立式電動車いす
KR101391403B1 (ko) 2013-04-24 2014-06-03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휠체어용 전동 카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247B1 (ko) 2015-05-29 2017-06-01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휠체어용 보조 구동장치
KR101978667B1 (ko) * 2017-12-20 2019-05-21 주식회사 로보쓰리 전동주행 전환용 휠체어 동력장치
KR20220022546A (ko) * 2020-08-19 2022-02-28 주식회사 프론테크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KR102395852B1 (ko) 2020-08-19 2022-05-10 주식회사 프론테크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US20220096292A1 (en) * 2020-09-28 2022-03-31 Hyundai Motor Company Towing module, a personal mobility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for a personal mobility
US11701275B2 (en) * 2020-09-28 2023-07-18 Hyundai Motor Company Towing module, a personal mobility including the same, and a control method for a personal mo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484B1 (ko) 착탈 가능한 휠체어 주행보조장치
JP6450782B2 (ja) 別途の装着フレームを持つ走行補助装置
KR101552963B1 (ko)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US10758436B2 (en) Powered wheelchair, wheelchair powering device and method
KR101598481B1 (ko) 장착프레임 유닛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2528662B1 (ko) 사용에 따라 조절 가능한 핸들 위치를 구비하는 롤레이터-트롤리
US9585801B2 (en) Powered mobility device
US20180353356A1 (en) Attaching and detaching type driving device and wheelchair having the same
EP3589253B1 (en) Motor-driven chair steered by seat rotation
JP2008183228A (ja) 歩行車
KR200486351Y1 (ko) 보행안정성이 향상된 의자겸용 보행보조장치
US7971893B1 (en) Wheelchair
KR20170090371A (ko) 착탈식 전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KR101610632B1 (ko) 자가접근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2395852B1 (ko)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KR101598478B1 (ko)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JP2011087728A (ja) 車椅子電動化装置
KR101605362B1 (ko) 휠체어 전륜의 리프팅 기능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504097B1 (ko) 동작모드 변경이 가능한 모터보드
KR101310840B1 (ko) 콘트롤러 가변수단을 가지는 전동휠체어
JP2020192266A (ja) 電動車椅子
KR20210039548A (ko) 이동기기에 보조동력원으로 사용되는 전동보조기구 및 이의 탈부착장치
JP4488364B2 (ja) 肘掛歩行器
KR20040069374A (ko) 다기능 유아운반장치
JP5316052B2 (ja) 走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