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99334A1 -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주행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주행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99334A1
WO2015199334A1 PCT/KR2015/005086 KR2015005086W WO2015199334A1 WO 2015199334 A1 WO2015199334 A1 WO 2015199334A1 KR 2015005086 W KR2015005086 W KR 2015005086W WO 2015199334 A1 WO2015199334 A1 WO 20151993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wheelchair
selectively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508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고철웅
홍재수
최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7665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9847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7666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9848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7665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9848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7665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52963B1/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JP2016575132A priority Critical patent/JP6450782B2/ja
Priority to CN201580045529.8A priority patent/CN106572937B/zh
Publication of WO20151993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993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3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 B62K5/025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power-drive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veling assistance device for a wheel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veling assistance device having a separate mounting frame configured to be easily detachable from the traveling assistance device by having a separate mounting frame in a manual wheelchair.
  • Wheelchairs generally used include manual wheelchairs and electric wheelchairs.
  • the electric wheelchair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is, and the electric wheelchair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parts such as a built-in power supply unit and a separate driving motor, so that the weight or volume becomes large, and handling is inconvenient.
  •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developed in the prior art is simply configured to selectively combine the driving aid with a drive motor and a separate mounting means installed on the wheelchair.
  • the frame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user's leg in the seated state of the wheelchair, so that the user's quick response is difficult when the wheelchair is overturned There was a problem that falls can occur.
  •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art, by installing a separate mounting frame in a manual wheelchair, the user can separate the driving aid and the wheelchair with one touch in the state of riding in the wheelchair. It is to provide a driving aid having a mounting frame of.
  • Driving assistance device devised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mounting frame which is installed in the frame of the manual wheelchair lo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wheelchair, the main frame supporting the whole, the main frame Rotationally inserted and fixed, the handle is formed on one side, the other side of the drive frame is coupled to the stem frame is formed long and connected to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It includes a frame, the connection frame is rotationally constrained to prevent rotation with the mounting frame by a one-way external force by the user.
  • the mounting fram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frame in the central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frame is located between the user's legs while the user is seated in the wheelchair can do.
  • the mounting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is formed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 the coupling portion is opened at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into which the first shaft is inserted and the second shaf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aft by opening one sid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oupling groove is coupled.
  • the coupl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mean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to selectively fix the second shaft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 the locking means is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a locking member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opened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the coupl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locking member is the second defect groove
  •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first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be opened in the main frame direction
  • second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open in the upper direction
  • the locking means is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shaft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and the second shaft may be formed to be coupled.
  • the mounting frame is symmetrical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each of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is provided with the mounting portion in the center along the length direction It may include a main body which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fixing means for selectively fixedly coupled with the coupling member.
  • the coupl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tepped reces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periphery, the fixing means to selectively wrap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p and to secure the coupling member is not separated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mounting frame is install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frame of the wheelchair, each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coupling member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recessed in the same direction and formed in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mounting portion may be provided, and both ends may include a main body inserted into the coupler and selectively fixed.
  • the mounting fram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s length is selectively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wheelchair.
  • the mounting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mounting portion on the main body, and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ing means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main body.
  • the main body may be configured to be slidable a plurality of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length adjusting mean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selectively adjusts whether or not the sliding of the plurality of members.
  • the mounting frame may be configured to be replaceab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wheelchair, the length thereof.
  • connection fram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sition with the main frame is selectively adjusted.
  • the main frame is formed with a slit groove elongat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the connection fram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protruding member 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slit groove, the connection frame is selectiv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t groove Accordingly, the posi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adjusted.
  • the slit groove is formed to be curv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angle is also adjusted together with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main frame.
  • connection fram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electively stretch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connection frame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the coupling angle with the main frame.
  • the stem frame is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and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adjusted in conjunction with the coupling angle of the main frame and the connection frame.
  • the driving motor is connected to the drive wheel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and i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e motor.
  • the main frame may have a slope in front of the power supply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the rear relative to the drive wheel in the slope.
  • the inclined portion may include a sliding guid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power supply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ively coupled by sliding with the sliding gu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disposed on a center lin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 the drive moto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uilt in the drive wheel.
  • the left and right of the main frame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wer direction may further comprise an auxiliary frame provided with an auxiliary wheel at the end.
  • auxiliary frame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the main frame to selectively control the contact of the auxiliary wheel with the floor.
  • the mounting frame installed on the frame of the wheelchair and the connecting frame of the driving aid is selectively detachable by a separate locking means, and the driving aid and the wheelchair are coupled by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in a rotational restraint state.
  • connection frame is located between the user's leg in the driving assist device and the wheelchair coupled st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injuries during upset.
  • the mounting frame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member fixed to the wheelchair and the body coupled to both ends to the coupling memb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folded to separate the body from the wheelchair selectively.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a manual wheelchair coupled there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1;
  • FIG. 3 is a side view of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1;
  •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unit is disposed on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left-right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in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1;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wer supply unit is mounted on a main frame in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1;
  • FIG. 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in the connecting frame of FIG.
  •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frame is coupled to the wheelchair in the driving aid of FIG.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onnection frame and a mounting frame are coupled in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1;
  •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haft is inserted into a first coupling groove in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8;
  •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shaft is inserted into a second coupling groove in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9;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connection frame is adjusted in the driving aid of FIG.
  • FIG. 12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mounting frame in the driving aid of Figure 1;
  • 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and a coupling member are separated in the mounting frame of FIG. 12;
  • FIG.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form of the mounting frame in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 FIG. 1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and a coupling member are separated in the mounting frame of FIG. 14;
  • FIG.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mounting frame of FIG. 14 is increased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wheelchair;
  • FIG.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mounting frame of Figure 14 is reduced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wheelchair;
  • FIG. 1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main frame in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 FIG. 1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upling angle between a main frame and a connection frame is adjusted in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18;
  • FIG.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stem frame is adjusted in the driving aid of Figure 18;
  • FIG. 2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em frame and the handle are tilted in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18.
  • FIGS. 1 to 4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al wheelchair coupled thereto
  •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ar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1.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driving aid of FIG. 1
  •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wer supply is disposed on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in the driving aid of Figure to be.
  •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is a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attaching and detaching to a general manual wheelchair 10 and assisting the driving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is separately mounted to the frame 12 of the manual wheelchair 10.
  • the frame 1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nect the connection frame 400 and the mounting frame 100.
  •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includes a mounting frame 100, a main frame 200, a stem frame 300, and a connection frame 400.
  • Mounting frame 10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wheelchair 10,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rame 12 provided in the wheelchair 1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wheelchair (10). .
  • the mounting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mounting portion 110 in the central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connecting frame 4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mounting frame 100 is fixedly coupled to the frame 12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10 as shown in the figure, and has a pair of shafts 112 and 114 in the cent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Mounting unit 110 is provided.
  • the mounting unit 11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frame 100 and a plurality of shafts 112 and 114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mounting unit 110 includes a first shaft 112 (see FIG. 5) disposed in front of the wheelchair 10 and a second shaft 114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irst shaft 112.
  • the coupling part 410 and the first shaft 112 and the second shaft 114 which are formed on the connection frame 400 to be described later are combined to freely rotate the connection frame 400 and the mounting frame 100. It constrains the state and allows you to maintain a constrained bond.
  • the mounting frame 100 is dispose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wheelchair 10 so that both ends are installed in the frame 12 of the wheelchair 10, the connection frame 4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electively coupled.
  • the mounting frame 100 can be replaced so that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wheelchair 10, or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the length.
  • the main frame 20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whole in the driv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m frame 300 and the connection frame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ly coupled.
  • connection frame 400 supports the whole by supporting it so as to protrude rearward.
  • the power supply unit 21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driving wheel 32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frame 200, optionally the power supply unit 210 and the main frame 200 is separated It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 the main frame 200 has a separate inclined portion 230 is formed in the front, the power supply 21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inclined portion 230. And as shown,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in an inclined state from the front.
  • the inclined portion 230 is configured to obtain a separate sliding guide 232 to be selectively coupled with the power supply 210 by sliding.
  • the power supply unit 210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frame 20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200 as shown in Figure 4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not deflected to the left and right It is configured to be located on the center line L2.
  • the main frame 200 is coupled to the stem frame 300 and the connection frame 400 to maintain a combined state, and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power supply unit 210 together.
  • the stem frame 300 is formed long, a part is inserted and fixed to be rotatable with the main frame 200, the handle 310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driving wheel 32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 the stem frame 3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imilar to the frame 12 of a general bicycle, and has a handle 310 that is formed to be long and gripped by a user on one side.
  • the handle 310 may be formed in a form similar to a general bicycle, it may also be provided with a brake (not shown) for adjusting the drive and stop of the drive wheel 320 by the user's operation.
  • the stem frame 300 may be selectively rotated by the user's handle 310 manipulation.
  • the other end of the stem frame 300 may be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driving wheel 320,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the driving wheel 3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other end of the stem frame 300 It is coupled to have a rotating shaft, and a separate drive motor (not shown) is integrally built therein.
  • the drive motor may be embedded in the wheel of the drive wheel 320 as shown, and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driven and stopp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210 described above.
  • the drive mot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utside of the drive wheel 320, as shown.
  • the center of gravity is located at the bottom, and thus the stability of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can be increased.
  • the power supply unit 210 provided on the main frame 200 is positioned above the driving wheel 320 as shown, the grounding force between the driving wheel 320 and the floor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driving force. The loss can be minimized.
  • the stem frame 30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user grips and rotates the handle 310 to adjust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wheel 320.
  • the connecting frame 400 is coupl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main frame 200 and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upled with the other side mounting frame 100.
  • connection frame 400 is formed to be long, and 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20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410 that is selectively coupled with the mounting unit 110 described above.
  • connection frame 4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the coupling position with the main frame 200 as shown, optionally the coupling angle with the main frame 200 may be adjusted.
  • connection frame 400 is the coupling portion 41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portion, the coupling portion 410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fixedly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10 described above.
  • the coupling part 410 includes a first coupling groove 412 into which the first shaft 112 is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haft 112 and the second shaft 114 of the mounting unit 110 described above.
  • the second shaft 114 includes a second coupling groove 414 is inserted.
  • the coupling part 410 allows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shaft 112 or the second shaft 114 to be selectively fix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or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Also provided with a separate locking means (416).
  • the connecting frame 400 and the mounting frame 100 are fixed. This can be stably fixed, and is constrained so as not to rotate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frame 400 and the mounting frame 100 are coupled through the two-point coupling.
  • connection frame 400 and the mounting frame 100 is the rotational restraint coupling as the coupling portion 410 and the mounting portion 110 are two-point combined, accordingly the connection frame 400 and the manual wheelchair 10 Can stably maintain the bonding state.
  • connection frame 400 is configured in this way, since the mounting portion 110 is located in the center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frame 100, when the coupling portion 410 and the mounting portion 11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frame 400 is located between the legs of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eated in the wheelchair (10).
  • connection frame 400 is located between the legs of the user, the user can easily respond quickly when the wheelchair 10 is overturned, thereby minimizing the injuries caused by the overturning of the wheelchair 10. .
  •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has a mounting frame 100 installed on the manual wheelchair 10 and a connection frame 400 connected to the main frame 200 to be selectively detachable. Accordingly, the driving of the wheelchair 10 may be assisted.
  • connection frame 400 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move by the magnetic force while sitting in the manual wheelchair 10 by separating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frame 400 and the mounting frame 100, the mounting frame 10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10 Only in a coupled state, the user can move the wheelchair 10 by himself.
  • the driving wheel 320 may assist the driving of the wheelchair 10, and the user may adjust the driving direction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310.
  •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can stably assist the driving of the wheelchair 10 by selectively coupling the user to the wheelchair 10.
  • the power supply unit 210 may be provided on the main frame 200 as described above to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drive motor, a general rechargeable battery may be used.
  •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weight center of the main frame 200, as show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e wheel 320,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t the same time By concentrating the load on the driving wheel 320,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wheel 320 can be increased.
  •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formed long and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main frame 200,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not deflected to the left and right.
  •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disposed in the rear relative to the drive wheel 320 on the inclined portion 230 as shown.
  • the driving wheel 320 is provided with a built-in driving motor at the other end of the stem frame 300,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disposed on the main frame 200, driving assistance device The weight distribution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n be evenly distributed.
  • the stem frame 300 is coupled to the main frame 200 in an inclined stat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uch that the driving wheel 320 is dispos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line L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do.
  • the drive motor is built in the drive wheel 320.
  •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disposed on the inclined portion 230 formed in the main frame 200, but is disposed in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line L1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driving wheels 320 and the power supply unit 210 in which the driving motors are built in front and rear, respectively, based on the center of gravity L1, are arranged to evenly distribute the weight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and increase driving stability.
  •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frame 500 which is formed to extend to the lower left of the main frame 200 and is provided with a separate auxiliary wheel 510 at the lower end.
  • the auxiliary frame 50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so that the mounting frame 100 and the connection frame 4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auxiliary frame 500 runs in a three-point support form on the floor together with the driving wheel 320. Allow the assistive device to stand up.
  • the auxiliary frame 500 is symmetrically dispos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main frame 200 and is disposed downward. And by the auxiliary wheel 510 and the drive wheel 320 provided in the stem frame 300 is provided to the lower end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driving aid.
  • auxiliary frame 500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rotated with the main frame 200, so that the user can rotate so that the driving aid is not hindered in driving in the state coupled with the wheelchair (10).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wer supply unit is mounted on a main frame in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1.
  •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formed long and is coupled on the inclined portion 230 formed in the main frame 200.
  • the inclined portion 230 is formed to be inclined to form one surface in the front position of the main frame 200, and one surface of the inclined portion 23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liding guide 232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liding guide 232 is protruded forward on the inclined portion 230 inclined downward in the front of the main frame 200 as shown, and is formed lo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liding guide 232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paced apart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200.
  •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inclined portion 230 as shown, the sliding guide 232 and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bed above It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engage by sliding.
  •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maneuvering shape formed long as shown, the groove to which the sliding guide 232 is coupled is formed lo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the power supply unit 210 has a groove formed to have a number and a separation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sliding guide 232, i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liding guide 232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liding guide 232 is formed on the inclined portion 230, and the power supply 21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correspond to the sliding guide 232,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he mainframe 200 and the power supply unit ( 210 may optionally be combined.
  •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coupled with the sliding guide 232 so as not to be deflected on the left and right centerline L2 along the width direction on the main frame 200,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frame 200 itself is not deflected to one side.
  • the driving stability of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can be increased.
  •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disposed rearward relative to the driving wheel 320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main frame 200, as described above, the weight distribu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itself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ased on the L1 center line You can even out.
  •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dispos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n inclined state from the inclined portion 230 formed in front of the main frame 200 and is not bias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width direction.
  • the weight distribution of the driving aid itself can be evenly combined.
  • FIG. 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410 in the connecting frame 400 of Figure 1
  • Figure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frame 100 is coupled to the wheelchair 10 in the driving aid of Figure 1 Drawing.
  • the coupling part 410 includes a first coupling groove 412, a second coupling groove 414, and a locking means 416. do.
  • first coupling groove 412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are formed so that the above-described first shaft 112 and the second shaft 114 can be selectively inserted.
  • the locking means 416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or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and optionally the opening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or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Configured to block.
  • the locking means 416 is provid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or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to block the opened por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shaft 112 or the second shaft 114 is inserted
  • the coupling part 410 and the mounting part 110 are configured not to be separated.
  • first coupling groove 412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are open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correspondence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first shaft 112 and the second shaft 114 described above.
  •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is formed to be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frame 200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is upper in the rear of the connection frame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pening is formed in a direction.
  • the second shaft 11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in a state where the first shaft 112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Is coupled downward in the upper direction.
  • the locking means 416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block the opened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 the locking means 41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cludes a locking member 416a, an elastic member (not shown) and the separating means 416b.
  • the locking member 416a is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to partially block the opened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 the locking member 416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a rotation axis,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a part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te. Opening part blocking is controlled.
  •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on the connecting frame 400 and disposed so that the elastic force ac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member 416a blocks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 the elastic member provides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locking member 416a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us, when no additional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ocking member 416a, the locking member 416a is The opened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is blocked.
  • the separating means 416b is provided on the coupling part 410 and moves the locking member 416a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elastic force worn by the elastic member by a user's manipulation to open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Unblock the section.
  • the separating means 416b is formed in a separate wire shape as shown in this embodiment so that one end is coupled to the locking member 416a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on the main frame 200 so as to be pulled by the user.
  • the member 416a is configured to rotate clockwise.
  • the locking means 416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grips the coupling part 410 and pulls the stem frame 300 upward while the first shaft 112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In the case of pushing forward, the connecting frame 400 rotates using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as the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shaft 11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 the engaging member 416a is formed in the tapered portion blocking the opening of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described above, the second shaft 114 by the external force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inside.
  • the second shaft 114 is temporarily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shaft 114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 the locking member 416a is rotated by receiving the elastic force by the elastic member while the second shaft 11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to open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Will block.
  • the user simply pulls the coupling portion 410 upwards or pushes the stem frame 300 forward while sitting on the wheelchair 10, thereby mounting the connection frame 400.
  • the frame 100 may be combined.
  •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maintains a stable coupling state with the wheelchair 10 through rotational restraint coupling of the connection frame 400 and the mounting frame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mounting frame 100 and the connection frame. Separation of 400 can be facilitated.
  • connection frame 400 and the mounting fram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connecting frame 400 and the mounting frame 100 are coupled to the driving aid of FIG. 1, and FIG. 9 is a first shaft inserted into a first coupling groove in the driving aid of FIG. 8.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haf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in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of FIG. 9.
  • the user grips the handle 310 so that the coupling part 410 is disposed below the mounting frame 100. Position it.
  • the first shaft 112 formed in the mounting unit 1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formed in the coupling unit 410. At this time, the user may perform such a process in a state sitting on the wheelchair (10).
  • the user can operate the handle 310 or grip the main frame 20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portion 410 first shaft To allow 112 to be s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 the user pushes the handle 310 forward while the first shaft 112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 One coupling groove 412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 the connecting frame 400 rotates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to the rotation axis
  •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haft 114, so that the second shaft 114 is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is inserted inside.
  • the second shaft 114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is stably positioned in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without being separated by the locking means 416.
  • first coupling groove 412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are opened in different directions, even if only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and the second shaft 114 remain coupled,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 the shaft 112 is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 first shaft 112 and the second shaft 114 are stably position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 412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414 so that the connection frame 400 and the mounting frame ( 100) is coupled to the rotational restraint state.
  • the shapes of the main frame 200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ain frame 200 and the connection frame 400 are as follows.
  • connection frame 400 is adjusted in the driving aid of FIG.
  • connection frame 4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protruding member 402 on one side is coupled to the slit groove 220 do.
  • connection frame 400 is one end portion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along the slit groove 220, according to the user's body or manual wheelchair 10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connection frame The position of 400 can be adjusted.
  • the main frame 200 and the connection frame 400 are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frame 400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heelchair 10. Accordingly, the connection frame 400 and the mounting frame ( 100) can be stably combined.
  • connection frame 4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separately from the above-described protruding member 402 and the coupling portion 410 may be configured to be variable in length by sliding mutu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connection frame 400 includes a first member 420 and a second member 430,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to each other, and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separate adjusting means 440. By controlling the sliding of the first member 420 and the second member 430.
  •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frame 400 is adjusted to fit the user's body as shown.
  • connection frame 400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frame 400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to the handle 310 in a user sitting on the wheelchair 10, it is possible to use the driving ai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 the mainframe 200 and the connection frame 400 are form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and the size of the wheelchair 10, the size of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may be selectively adjusted.
  • FIG. 12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mounting frame 100 in the driving aid of Figure 1
  • Figure 13 is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20 and the coupling member 130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frame 100 of FIG. The figure which shows.
  • the mounting frame 100 includes a main body 120 and the coupling member 130.
  • the coupling member 130 is install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frame 12 of the wheelchair 10 and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 the coupling member 130 may be configured to be stably fixed without being easily separated on the frame 12 of the wheelchair 10.
  • the coupling member 130 is fixedly coupled to both sid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wheelchair 10 as shown, and a coupling hole 134 recessed downward is formed.
  • the coupler 134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s opened downward, and a part of the main body 120 is inserted into the coupler 134.
  • the main body 120 is formed long and the mounting portion 110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it is configured so that both ends can be inserted into the above-described coupling hole 134.
  • the main body 120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so that both ends thereof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upler 134, and both ends thereof are coupled to b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coupler 134 in the downward direction.
  • the main body 12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fixing member 122 that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130 so that both ends are not separated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34.
  • the fixing member 122 is formed in the form of a screw is inserted into a separate hole formed in the coupling hole 134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main body 120 and the coupling member 130.
  • the coupling member 130 and the main body 120 may be selectively fixed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main body 120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34 through the fixing member 122.
  • both ends of the main body 120 is formed to have a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sphere 134 described above, so that the main body 120 is free to rotate even if the main body 120 and the coupling member 130 are coupled. It is possible to keep the bonding state stably without doing so.
  • the mounting fram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easily detach the main body 120 on the wheelchair 10 as illustrated in FIG. 13.
  • the mounting frame 100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mounting frame 1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wheelchair 10 to facilitate folding of the wheelchair 10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 FIG.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form of the mounting frame 100 in the driving aid of Figure 1
  • Figure 15 is the main body 120 and the coupling member 130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frame 100 of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 FIG.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mounting frame of FIG. 14 is increased in correspondence to the width of the wheelchair
  • FIG.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mounting frame of FIG. 14 is reduced in correspondence to the width of the wheelchair.
  •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mounting frame 100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but the shape of the coupling member 130 and the main body 120 is different.
  • the coupling member 130 is installed symmetrically on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n the frame 12 of the wheelchair 10, each of which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 the coupling member 130 has a cylindrical shape as shown, and is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132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recessed relatively smaller than the periphery in the protruding direction.
  • the main body 120 is elongated, and the mounting unit 110 is provided at the center thereof, and fixing means 124 selectively fixed to the coupling member 130 is formed at both ends.
  • the fixing means 124 is recessed and partially formed as shown to surround the step 132 of the coupling member 130 described above, and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130.
  • the fixing means 124 is formed in the form of a snatch lock, and surrounds at least a part of the step 132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130 and fixes the coupling member 130 so as not to be separated.
  • each of the fixing means 124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20 is recessed in the same direction to each other is formed so that it can be mounted in one direction when combined with the above-mentioned coupling member 130.
  • each fixing means 124 formed in the main body 120 is recessed to open rearward, so that the main body 120 moves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wheelchair 10 to the rear. I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the coupling member 130 in a moving form.
  • the above-described coupling member 13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protrudes, but unlike this, the coupling member 130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protrudes. It wraps around a part of the step 132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coupling member 130.
  • the mounting frame 100 As the mounting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folds the wheelchair 10 and receives the mounting frame 100, only the main body 120 and the coupling member 130 are not separated from the mounting frame 100. Separately, the wheelchair 10 can be folded.
  • the body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its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wheelchair 10.
  • the mounting frame 100 has a separate length adjusting means 126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adjust the length of the body 120.
  • the length adjusting means 126 is provided with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mounting portion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ain body 120, each of which is operated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to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20 Can be adjusted.
  • main body 120 may be configured to be slidable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be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as shown.
  • the main body 1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and the mutual length is adjusted by sliding, whether the mutual sliding between the plurality of members by the length adjusting means 126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around the mounting portion 110 Is adjusted.
  • the main body 120 is composed of three members and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ther, and the mounting portion 110 is provided on the centrally located member. And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20 is adjusted by being provided with a pair of length adjusting means 126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mounting unit 110, respectively.
  •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20 when the main body 120 has a large width of the wheelchair 10 as shown in FIG. 16,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20 also lengthens correspondingly, and the width of the wheelchair 10 as shown in FIG. 17.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20 is also shortened correspondingly.
  • the main body 1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as described above and the length is selectively adjusted by the length adjusting means 126,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mounting frame 100 regardless of the width of the wheelchair (10).
  • the main body 12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130 by the fixing means 124, and the length of the main body 120 can be selectively adjusted by the length adjusting means 126. It is configured to.
  • the mounting frame 100 includes a main body 120 and a coupling member 130 as described above, and at least a part of the mounting frame 100 may be selectively detachable from the wheelchair 10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 the wheelchair 10 is configured to be easily folded.
  •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is constrained to be selectively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unting frame 100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chair 10 and the connecting frame 400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main frame 200.
  •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detachment of the wheelchair 10 and the driving aid.
  • the modified shape of the mainframe and the state in which the siz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 Figure 18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form of the main frame in the driving aid of Figure 1
  • Figure 1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angle of the main frame and the connection frame in the driving aid of Figure 18 is adjusted.
  • Figure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stem frame is adjusted in the driving aid of Figure 18
  • Figure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m frame and the handle tilt in the driving aid of Figure 18.
  •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but the shape of the mainframe 200 is modified.
  • the slit groove 220 formed in the main frame 200 is formed to be curved, unlike the above-described, the coupling angle is adjusted together with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onnection frame 400 and the main frame 200.
  • the slit groove 220 is formed long, the protruding member 402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t groove 220 to adjust its position. At this time, since the slit groove 220 is formed to be curved, when the protruding member 402 moves along the slit groove 220, the coupling angle between the main frame 200 and the connection frame 400 is naturally adjusted.
  • the coupling angle of the main frame 200 and the connection frame 400 can be easily adjusted.
  • the handle 31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em frame 300 based on a sitting key of a user sitting on the wheelchair 10. ) Up and down position is adjusted.
  • the stem frame 300 may also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members are slid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in the connection frame 400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handle 310 may be adjusted. Can be.
  • the handle 310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em frame 300 may be configured to be til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 the stem frame 300 is provided with a handle 310 at one end, the handle 310 is configured to be til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combination of the stem frame 300 and the handle 310 The angle is adjusted.
  • This may be configured to be tilted in conjunction with the up and down position adjustment of the handle 310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tem frame 300 described above.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andle 310 may be adjusted together wit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upling angle of the main frame 200 and the connection frame 400 is adjusted.
  • the stem frame 300 is reduced in the inclination angle rearward to the body direction of the user seated on the wheelchair 10 Protrudes.
  • the length of the stem frame 300 is adjusted to prevent the handle 310 from being excessively adjacent to the user's body by the inclination of the stem frame 300, so that the user can stably grip the handle 310. have.
  • the length is also adjusted so that the stem frame 300 is adjusted to fit the user's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size of the driving assistance device to fit the body.
  •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stem frame 300,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frame 400, the coupling angle of the main frame 200 and the connection frame 400 and the front and rear tilting of the handle 310, respectively By being configured to be adjustab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djusted in size roll to fit the user's body.
  • each component operates independently to adjust the size of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and the user can adjust the size of th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more conveniently by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 the position and the tilting of the handle 310 together with the coupling angle of the main frame 200 and the connection frame 400 is configured to be adjustable, the user sitting on the wheelchair 10 is easily adapted to his body.
  • the size of the driving aid can be adjusted.
  • mounting portion 120 main body
  • coupling member 200 mainframe
  • power supply unit 220 slit groove
  • stem frame 310 handle
  • coupling portion 412 first coupling groo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휠체어의 프레임에 상기 휠체어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장착프레임, 전체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는 핸들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구동바퀴가 결합되는 스템프레임 및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장착프레임상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사용자에 의한 일방향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프레임과 상호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구속 결합되는 주행보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주행보조장치
본 발명은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식 휠체어에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구비하여 주행보조장치와 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주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되고 있는 휠체어에는, 수동식 휠체어와 전동식 휠체어가 있다.
장거리나 언덕길 등을 이동하는 때, 수동식의 휠체어는 사용자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으며, 특히, 휠체어의 사용자 대부분은 신체가 불편한 사람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장거리나 언덕길 이동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개발된 것이 전동식 휠체어이며, 전동식의 휠체어는 전력공급부를 내장하고, 별도의 구동용 모터를 구비하는 등 다수의 부품을 장비하기 때문에 중량이나 부피가 커지고, 취급이 불편하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휠체어의 사용자 대부분은 생활 형편이 넉넉하지 못해 고가의 전동식 휠체어를 구매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동식 휠체어에 별도의 주행보조장치를 장착하는 주행보조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에 개발된 주행보조장치를 살펴보면 단순히 구동모터를 구비한 주행보조장치가 휠체어에 설치된 별도의 장착수단과 선택적으로 결합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주행보조장치의 경우 착탈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쉽게 이루어 질 수 없으며, 휠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다리부분 외측을 감싸도록 프레임이 형성됨으로써 휠체어의 전복 시 사용자의 빠른 대응이 어려워 낙상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행보조장치와 휠체어의 결합 방법이 복잡하여 사용자의 상체에 많은 힘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수동식 휠체어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원터치로 주행보조장치와 휠체어를 착탈할 수 있는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주행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수동식 휠체어의 프레임에 상기 휠체어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장착프레임, 전체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는 핸들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구동바퀴가 결합되는 스템프레임 및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장착프레임상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사용자에 의한 일방향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프레임과 상호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구속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은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상기 연결프레임의 타측 끝단부와 결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휠체어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이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에서 개구되어 상기 제1샤프트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 및 상기 제1결합홈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제1샤프트와 이격된 상기 제2샤프트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결합홈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샤프트와 상기 제2결합홈이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제2결합홈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일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2결합홈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는 걸림부재, 상기 결합부상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2결함홈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착용하는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상기 제2결합홈의 개구된 부분의 차단을 해제하는 분리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홈의 개구된 방향과 상기 제2결합홈의 개구된 방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메인프레임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은 상부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제1결합홈에 상기 제1샤프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결합홈과 상기 제2샤프트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좌 우측에 대칭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일부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에 상기 장착부가 구비되며, 양단에 각각 상기 결합부재와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돌출된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의 둘레가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함몰 형성된 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단턱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감싸며 상기 결합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은 휠체어의 프레임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좌 우측에 대칭되어 설치되며 각각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구가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에 상기 장착부가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결합구 내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휠체어의 폭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본체상에서 상기 장착부를 중심으로 좌 우측에 한 쌍이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복수 개의 부재의 슬라이딩 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휠체어의 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대응하도록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과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측에 별도의 돌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슬릿홈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선택적으로 상기 슬릿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에 따른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홈은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결합위치와 함께 결합각도도 함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선택적으로 결합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템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핸들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결합각도와 연동하여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바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전방에 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구동바퀴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공급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와 슬라이딩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 방향에 따른 좌 우측의 중심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바퀴 내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 우측에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끝단부에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바퀴가 바닥과 접촉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주행보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휠체어의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장착프레임과 주행보조장치의 연결프레임이 별도의 걸림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연결프레임과 장착프레임이 회전 구속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주행보조장치와 휠체어가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쉽게 착탈 가능한 이점이 있다.
둘째, 주행보조장치와 휠체어의 결합 상태에서 연결프레임이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전복 시 부상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장착프레임이 휠체어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부재 및 결합부재에 양단부가 결합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선택적으로 휠체어에서 본체를 분리하여 휠체어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와 이에 결합된 수동식 휠체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전력공급부가 메인프레임의 좌 우측 폭 방향에 따른 무게중심상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메인프레임에 전력공급부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연결프레임에서 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이 휠체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과 장착프레임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제1결합홈에 제1샤프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제2결합홈에 제2샤프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의 길이 및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의 장착프레임에서 본체와 결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4의 장착프레임에서 본체와 결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4의 장착프레임의 길이가 휠체어의 폭에 대응하여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4의 장착프레임의 길이가 휠체어의 폭에 대응하여 줄어든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메인프레임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은 도 18의 주행보조장치에서 메인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결합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0는 도 18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스템프레임의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21은 도 18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스템프레임과 핸들이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 ? 후방 또는 상측 ? 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와 이에 결합된 수동식 휠체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의 후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전력공급부가 메인프레임의 좌 우측 폭 방향에 따른 무게중심상에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일반적인 수동식 휠체어(10)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주행을 보조할 수 있는 장치로써, 수동식 휠체어(10)의 프레임(12)에 별도의 장착프레임(100)을 설치치하여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크게 장착프레임(100), 메인프레임(200), 스템프레임(300) 및 연결프레임(400)을 포함한다.
장착프레임(100)은, 상기 휠체어(10)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휠체어(10)의 폭 방향을 따라 양단부가 상기 휠체어(10)에 구비된 프레임(12)상에 결합된다.
그리고 장착프레임(100)은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별도의 장착부(110)를 구비하여 후술하는 연결프레임(400)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프레임(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의 하부에 구비된 프레임(12)에 고정 결합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에 한 쌍의 샤프트(112, 114: 도 7 참조)로 이루어진 장착부(110)가 구비됩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110)는 장착프레임(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로 구성된 샤프트(112, 114)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110)는 휠체어(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샤프트(112: 도5참조) 및 제1샤프트(112)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샤프트(114)를 포함하며, 후술하는 연결프레임(400)에 형성된 결합부(410)와 상기 제1샤프트(112) 및 제2샤프트(114)가 모두 결합됨으로써,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의 자유 회전상태를 구속하며 구속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410)와 장착부(110)의 구체적인 결합 형태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장착프레임(100)은 휠체어(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양단부가 휠체어(10)의 프레임(12)에 설치됨으로써, 후술하는 연결프레임(400)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프레임(100)은 휠체어(10)의 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대응하도록 교체 가능하거나, 선택적으로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프레임(200)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에서 전체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후술하는 스템프레임(300) 및 연결프레임(400)이 고정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프레임(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프레임(300)의 일부가 삽입 고정되고, 연결프레임(400)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전체를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구동바퀴(320)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공급부(210)가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전력공급부(210)와 메인프레임(200)이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인프레임(200)은 전방에 별도의 경사부(230)가 형성되며, 경사부(230)의 전방에 전력공급부(2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공급부(210)가 전방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부(230)는 별도의 슬라이딩 가이드(232)를 구하여 전력공급부(210)와 슬라이딩을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 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인 경사부(230)의 구성 및 전력공급부(210)와의 결합상태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력공급부(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의 좌 우측 폭 방향에 대한 중앙에 위치하여 무게중심이 좌 우측으로 편향되지 않고 중심선L2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은 스템프레임(300) 및 연결프레임(400)과 결합되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전력공급부(210)도 함께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스템프레임(300)은 길게 형성되며, 일부가 메인프레임(200)과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는 핸들(310)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구동바퀴(320)가 결합된다.
스템프레임(300)은 일반적인 자전거의 프레임(12)과 유사하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길게 형성되어 일측에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핸들(3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핸들(310)은 일반적인 자전거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바퀴(320)의 구동 및 정지를 조절할 수 있는 브레이크(미도시)도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템프레임(300)은 사용자의 핸들(310)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템프레임(300)의 타측 끝단부에는 상술한 구동바퀴(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320)는 스템프레임(300)의 타측 끝단부에서 횡 방향으로 회전축을 가지며 결합되고, 내부에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가 일체로 내장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320)의 휠 내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전력공급부(2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구동 및 정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구동모터가 도시된 바와 달리 구동바퀴(320)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바퀴(320) 내부에 구비됨에 따라 무게중심이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주행보조장치의 안정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상에 구비된 전력공급부(210)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3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구동바퀴(320)와 바닥의 접지력이 증가하여 구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템프레임(300)이 구성되며 사용자가 핸들(310)을 그립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구동바퀴(32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연결프레임(400)은 메인프레임(200)에서 후방으로 길게 돌출 되도록 결합되며 타측이 상술한 장착프레임(100)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연결프레임(400)은 길게 형성되어 일측 끝단부가 메인프레임(200)과 결합되며 타측 끝단부에는 상술한 장착부(11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4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프레임(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과 선택적으로 결합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메인프레임(200)과의 결합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한편, 연결프레임(400)은 상술한 결합부(410)가 타측 끝단부에 구비되며, 결합부(410)는 상술한 장착부(110)와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410)는 상술한 장착부(110)의 제1샤프트(112) 및 제2샤프트(114)의 구성에 대응하여 제1샤프트(112)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412) 및 제2샤프트(114)가 삽입되는 제2결합홈(414)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결합부(410)는 상술한 제1샤프트(112) 또는 제2샤프트(114)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결합홈(412) 또는 제2결합홈(414) 내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걸림수단(416)도 함께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1결합홈(412) 및 제2결합홈(414)에 제1샤프트(112) 및 제2샤프트(114)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됨에 따라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2점 결합을 통해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된다.
즉,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은 결합부(410)와 장착부(110)가 2점 결합됨에 따라 회전 구속결합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프레임(400)과 수동식 휠체어(10)가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연결프레임(400)이 구성됨에 따라, 장착부(110)는 장착프레임(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결합부(410)와 장착부(110)가 결합되는 경우 연결프레임(400)은 휠체어(10)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결프레임(400)이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휠체어(10)의 전복 시 사용자가 빠른 대응을 하기 용이하며, 이에 따라 휠체어(10)의 전복에 의해 발생되는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수동식 휠체어(10)에 설치되는 장착프레임(100)과, 메인프레임(200)에 연결된 연결프레임(400)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휠체어(10)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동식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자력으로 이동하기를 원하는 경우 상술한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을 분리함으로써, 휠체어(10)의 하부에 장착프레임(100)만 결합된 상태로 사용자가 자력으로 휠체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사용자가 구동바퀴(320)를 이동하여 휠체어(10)의 이동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을 결합시킴으로써, 구동바퀴(320)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휠체어(10)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핸들(310)의 조작을 통해 주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휠체어(10)에 결합 시켜 휠체어(10)의 주행을 안정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공급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상에 구비되어 전력을 상기 구동모터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충전식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력공급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의 좌우 측 무게중심상에 배치되고, 구동바퀴(320)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주행보조장치의 안정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구동바퀴(320)로 하중을 집중시킴으로써, 구동바퀴(320)의 접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부(210)는 길게 형성되어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무게중심이 좌 우측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상에 구비된 전력공급부(210)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바퀴(32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구동바퀴(320)와 지면의 접지력이 증가하여 구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공급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30)상에서 구동바퀴(320)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구동바퀴(320)가 스템프레임(300)의 타측 끝단부에 상기 구동모터를 내장하여 구비되고, 메인프레임(200)상에 전력공급부(210)가 배치됨으로써, 주행보조장치의 전후방향에 따른 무게 배분을 고르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프레임(300)이 메인프레임(200)과 상하방향을 따라 경사진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구동바퀴(320)가 전후방향 무게중심선 L1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다. 이때, 구동바퀴(320)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모터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전력공급부(210)는 메인프레임(200)에 형성된 경사부(230)상에 배치되지만,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무게중심선 L1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된다.
즉, 무게중심선 L1을 기준으로 전 후방에 각각 상기 구동모터가 내장된 구동바퀴(320)와, 전력공급부(210)가 배치됨으로써, 주행보조장치의 무게 배분을 고르게 하며 주행안정성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메인프레임(200)의 좌 우측에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끝단부에 별도의 보조바퀴(510)가 구비된 보조프레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프레임(500)은 장착프레임(100)과 연결프레임(400)이 분리된 상태에서 주행보조장치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구성으로써, 구동바퀴(320)와 함께 바닥에서 3점 지지형태로 주행보조장치가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프레임(500)이 메인프레임(200)의 좌 우측에 대칭을 이루며 하부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하측 끝단부에 구비된 보조바퀴(510)와 스템프레임(300)에 구비된 구동바퀴(320)에 의해 주행보조장치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보조프레임(500)이 메인프레임(200)과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주행보조장치가 휠체어(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주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사용자가 회전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에서 메인프레임과 전력공급부가 결합되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메인프레임에 전력공급부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에서 전력공급부(210)는 길게 형성되며 메인프레임(200)에 형성된 경사부(230)상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경사부(230)는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위치에서 일면을 형성하며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부(230)의 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별도의 슬라이딩 가이드(232)가 구비된다.
슬라이딩 가이드(2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에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230)상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232)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메인프레임(200)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를 가지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전력공급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경사부(230)의 일면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술한 슬라이딩 가이드(232)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전력공급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된 사각 기동 형태로 형성되며, 슬라이딩 가이드(232)가 결합되는 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전력공급부(210)는 슬라이딩 가이드(232)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 및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가이드(232)와 상하방향을 따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경사부(230)상에 슬라이딩 가이드(232)가 형성되고, 전력공급부(210)가 슬라이딩 가이드(232)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메인프레임(200)과 전력공급부(210)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전력공급부(210)는 메인프레임(200)상의 폭 방향에 따른 좌우 측 중심선 L2상에서 편향되지 않도록 슬라이딩 가이드(232)와 결합됨으로써, 메인프레임(200) 자체의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향되지 않아 주행보조장치의 주행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전력공급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의 전후방향을 따라 구동바퀴(320)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됨으로써, 주행보조 자체의 무게 배분을 L1중심선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에 따라 고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전력공급부(210)가 메인프레임(200)의 전방에 형성된 경사부(230)에서 경사진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폭 방향에 따른 좌 우측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결합됨으로써 주행보조장치 자체의 무게배분을 고르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상술한 결합부(410) 및 장착부(1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1의 연결프레임(400)에서 결합부(4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100)이 휠체어(1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살펴보면 상술한 결합부(4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410)는 제1결합홈(412), 제2결합홈(414) 및 걸림수단(41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결합홈(412) 및 제2결합홈(414)은 상술한 제1샤프트(112) 및 제2샤프트(114)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수단(416)은 제1결합홈(412) 또는 제2결합홈(4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제1결합홈(412) 또는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걸림수단(416)은 제1결합홈(412) 또는 제2결합홈(414)에 구비되어 제1샤프트(112) 또는 제2샤프트(114)가 삽입된 상태에서 개구된 부분을 차단함으로써, 결합부(410)와 장착부(110)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홈(412) 및 제2결합홈(414)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며,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결합홈(412) 및 제2결합홈(414)은 상술한 제1샤프트(112) 및 제2샤프트(114)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홈(4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제2결합홈(414)은 연결프레임(400)의 길이방향에 따른 후방에 상부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410)와 장착부(110)의 결합 시, 먼저 제1결합홈(412)에 제1샤프트(1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결합홈(414)에 제2샤프트(114)가 상부방향에 하부로 결합된다. 이때, 걸림수단(416)은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걸림수단(416)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걸림부재(416a), 탄성부재(미도시) 및 분리수단(416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걸림부재(416a)는 제2결합홈(414)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일부가 선택적으로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걸림부재(416a)가 제2결합홈(414)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횡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일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회전상태에 따라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 차단여부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는 연결프레임(400)상에 구비되며 걸림부재(416a)가 제2결합홈(414)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는 걸림부재(416a)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외력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걸림부재(416a)에 추가적인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걸림부재(416a)는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는 상태가 된다.
분리수단(416b)은 결합부(410)상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걸림부재(416a)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착용하는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의 차단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분리수단(416b)은 본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부가 걸림부재(416a)에 결합되고 타측이 메인프레임(200)상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당김으로써, 걸림부재(416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2결합홈(414)은 걸림부재(416a)의 회전에 의해 개구된 부분의 차단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걸림수단(416)이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제1결합홈(412)에 제1샤프트(112)를 삽입한 상태에서 결합부(410)를 그립하여 상부로 당기거나 스템프레임(300)을 전방으로 미는 경우, 제1결합홈(412)을 회전축으로 하여 연결프레임(400)이 회전하며 제2결합홈(414) 내부로 제2샤프트(114)가 삽입된다.
이때, 걸림부재(416a)는 상술한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는 부분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제2샤프트(114)가 제2결합홈(414)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일시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2샤프트(114)가 제2결합홈(414)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걸림부재(416a)는 제2샤프트(114)가 제2결합홈(414)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받아 회전하여 제2결합홈(414)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걸림수단(416)에 의해 사용자는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단순히 결합부(410)를 상부로 당기거나, 스템프레임(300)을 전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을 분리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메인프레임(200)상에 구비된 분리수단(416b)을 당김으로써, 걸림부재(416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2샤프트(114)는 제2결합홈(414) 내부에서 이탈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의 회전 구속결합을 통해 휠체어(10)와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장착프레임(100)과 연결프레임(40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결합되는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제1결합홈에 제1샤프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제2결합홈에 제2샤프트가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살펴보면 수동식 휠체어(10)의 프레임(12)에 장착프레임(100)이 설치된 상태로써, 사용자가 핸들(310)을 그립하여 결합부(410)가 장착프레임(1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10)에 형성된 제1결합홈(412)에 장착부(110)에 형성된 제1샤프트(112)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합홈(4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핸들(310)을 조작하거나 메인프레임(200)을 파지하여 결합부(41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샤프트(112)가 안정적으로 제1결합홈(412)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홈(412) 내부에 제1샤프트(1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310)을 전방으로 밀어주며, 이에 따라 연결프레임(400)은 제1결합홈(412)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프레임(400)이 제1결합홈(412)을 회전축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결합홈(414)은 제2샤프트(114)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샤프트(114)가 제2결합홈(414)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제2결합홈(414) 내부로 삽입된 제2샤프트(114)는 걸림수단(416)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2결합홈(414)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제1결합홈(412)과 제2결합홈(414)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제2결합홈(414)과 제2샤프트(114)만 결합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연동되어 제1샤프트(112)가 제1결합홈(412)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1결합홈(412)과 제2결합홈(414) 내부에 안정적으로 제1샤프트(112) 및 제2샤프트(114)가 위치하게 되어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회전구속상태로 결합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메인프레임(200)의 형상 및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연결프레임(400)의 길이 및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00)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슬릿홈(220)이 형성되고, 연결프레임(400)은 일측에 별도의 돌출부재(402)가 구비되어 상기 슬릿홈(2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프레임(400)은 일단부가 슬릿홈(220)을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또는 수동식 휠체어(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연결프레임(4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200) 및 연결프레임(400)이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휠체어(10)의 높이에 따라 적절히 연결프레임(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프레임(400)과 장착프레임(10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결프레임(400)은 상술한 돌출부재(402) 및 결합부(410)와 별도로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슬라이딩하여 길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400)이 제1부재(420) 및 제2부재(430)를 포함하며,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추가적으로 별도의 조절수단(440)을 구비하여 제1부재(420)와 제2부재(430)의 슬라이딩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도록 연결프레임(400)의 길이를 조절한다.
특히, 사용자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핸들(310)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연결프레임(4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주행보조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200) 및 연결프레임(400)이 형성됨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휠체어(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100)의 변형된 형태들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2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100)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장착프레임(100)에서 본체(120)와 결합부재(13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장착프레임(100)은 크게 본체(120) 및 결합부재(1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130)는 휠체어(10)의 프레임(12)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좌 우측에 대칭되어 설치되며 각각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결합부재(130)는 휠체어(10)의 프레임(12)상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의 폭 방향에 따른 양측에 고정 결합되며, 하부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결합구(13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구(134)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본체(120)의 일부가 결합구(134)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본체(120)는 길게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술한 장착부(110)가 형성되고, 양단부가 상술한 결합구(134)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결합구(134)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방향에서 양단부가 각각의 결합구(134) 내부로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이와 함께 본체(120)는 양단부가 결합구(134)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부재(130)와 결합하는 별도의 고정부재(122)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22)는 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구(134) 내부에 형성된 별도의 홀에 삽입됨으로써 본체(120)와 결합부재(130)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130)와 본체(120)는 고정부재(122)를 통해 본제(120)의 양단부가 결합구(134)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본체(120)의 양단부가 상술한 결합구(134)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본체(120)와 결합부재(130)가 결합하더라도 본체(120)가 자유회전을 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착프레임(1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상에서 쉽게 본체(120)를 착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프레임(100)이 구성됨으로써, 휠체어(10)에서 쉽게 장착프레임(100)의 일부를 분리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휠체어(10)의 접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착프레임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4는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장착프레임(100)의 또 다른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도 14의 장착프레임(100)에서 본체(120)와 결합부재(13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은 도 14의 장착프레임의 길이가 휠체어의 폭에 대응하여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7은 도 14의 장착프레임의 길이가 휠체어의 폭에 대응하여 줄어든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장착프레임(100)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바와 유사하지만 결합부재(130) 및 본체(120)의 형상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재(130)는 휠체어(10)의 프레임(12)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좌 우측에 대칭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일부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가지며 돌출된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의 둘레가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함몰 형성된 단턱(132)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20)는 길게 형성되며 중앙에 상술한 장착부(110)가 구비되고 양단에 각각 상술한 결합부재(130)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수단(12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수단(1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함몰 형성되어 상술한 결합부재(130)의 단턱(132)을 감싸며, 결합부재(13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24)은 스내치 락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부재(130)에 형성된 단턱(13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결합부재(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본체(120)의 양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수단(124)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함몰되어 상술한 결합부재(130)와 결합 시 일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수단(124)이 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20)는 휠체어(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결합부재(13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결합부재(130)가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돌출되어 형성되고, 고정수단(124)은 이에 대응하여 사각형성으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단턱(132)의 일부를 감싸며 결합부재(1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착프레임(100)이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휠체어(10)를 접어서 수납하는 경우 장착프레임(100)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 상술한 본체(120)만 결합부재(130)와 분리하여 휠체어(10)를 접을 수 있다.
한편, 도 16 및 도 1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본체(120)은 휠체어(10)의 폭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착프레임(100)은 별도의 길이조절수단(126)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본체(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길이조절수단(1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부(110)를 중심으로 좌 우측에 한 쌍이 구비되며 각각이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조작되어 본체(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체(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체(120)이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슬라이딩을 통해 상호 길이가 조절되며, 장착부(110)를 중심으로 좌 우측에 구비된 길이조절수단(126)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부재간 상호 슬라이딩 여부가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이 세 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상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중앙에 위치한 부재상에 장착부(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장착부(110)를 중심으로 좌 우측에 한 쌍의 길이조절수단(126)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본체(120)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본체(12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의 폭이 큰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본체(120)의 길이도 함께 길이지고,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10)의 폭이 작은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본체(120)의 길이도 함께 짧아지게 된다.
즉, 이와 같이 본체(120)이 복수 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길이조절수단(126)에 의해 선택적으로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휠체어(10)의 폭에 상관없이 장착프레임(10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20)가 구성됨에 따라 고정수단(124)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부재(13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조절수단(126)에 의해 선택적으로 본체(120)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착프레임(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20) 및 결합부재(130)를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휠체어(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휠체어(10)를 쉽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휠체어(10)의 하부에 장착되는 장착프레임(100)과 메인프레임(20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결합된 연결프레임(400)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회전 구속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휠체어(10)와 주행보조장치의 착탈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에서 메인프레임의 변형된 형태 및 이에 따라 사이즈가 조절되는 상태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8은 도 1의 주행보조장치에서 메인프레임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9은 도 18의 주행보조장치에서 메인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결합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0는 도 18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스템프레임의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1은 도 18의 주행보조장치에서 스템프레임과 핸들이 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에서 기본적은 구성은 상술한 바와 유사하지만 메인프레임(200)의 형태가 변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프레임(200)에 형성된 슬릿홈(220)이 상술한 바와 달리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400)과 상기 메인프레임(200)의 결합위치와 함께 결합각도가 함께 조절된다.
도 19을 살펴보면 슬릿홈(220)은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재(402)는 슬릿홈(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그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슬릿홈(220)이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재(402)가 슬릿홈(220)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자연스레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 각도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에서 슬릿홈(220)이 만곡지게 형성됨으로써,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20을 살펴보면 스템프레임(30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상태로서, 사용자가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의 앉은키를 기준으로 스템프레임(300)의 길이를 조절 함으로써, 핸들(310)의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프레임(300) 역시 상술한 연결프레임(400)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핸들(310)의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21을 살펴보면 스템프레임(300)의 일측 끝단부에 구비된 핸들(310)이 전후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템프레임(300)은 일측 끝단부에 핸들(310)이 구비되며, 핸들(310)이 전후방향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스템프레임(300)과 핸들(310)의 결합각도가 조절된다.
이는 상술한 스템프레임(300)의 길이조절을 통한 핸들(310)의 상하 위치조절과 함께 연동되어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가 조절되는 구성과 함께 연동되어 핸들(310)의 경사각도가 함께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조절되는 경우, 스템프레임(300)은 후방으로 경사각도가 감소하게 되어 휠체어(10)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스템프레임(300)의 경사에 의해 핸들(310)이 사용자의 신체에 과도하게 인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템프레임(300)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사용자가 핸들(310)을 그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도록 스템프레임(300)의 경사각도와 함께 길이도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신체에 알맞도록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행보조장치는 스템프레임(300)의 길이, 연결프레임(400)의 길이,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 및 핸들(310)의 전후방 틸팅을 각각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도록 사이즈롤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가,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상호 연동되어 동시에 동작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사용자가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메인프레임(200)과 연결프레임(400)의 결합각도와 함께 핸들(310)의 위치 및 틸팅이 연동되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휠체어(10)에 앉은 상태의 사용자가 쉽게 자신의 신체에 알맞도록 주행보조장치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휠체어 100: 장착프레임
110: 장착부 120: 본체
130: 결합부재 200: 메인프레임
210: 전력공급부 220: 슬릿홈
230: 경사부 232: 슬라이딩 가이드
300: 스템프레임 310: 핸들
320: 구동바퀴 400: 연결프레임
410: 결합부 412: 제1결합홈
414: 제2결합홈 416: 걸림수단
500: 보조프레임

Claims (28)

  1. 수동식 휠체어의 프레임에 상기 휠체어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장착프레임;
    전체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일측에는 핸들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구동바퀴가 결합되는 스템프레임; 및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장착프레임상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연결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사용자에 의한 일방향 외력에 의해 상기 장착프레임과 상호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구속 결합되는 주행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부에 상기 연결프레임의 타측 끝단부와 결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휠체어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이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에서 개구되어 상기 제1샤프트가 삽입되는 제1결합홈 및 상기 제1결합홈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제1샤프트와 이격된 상기 제2샤프트가 결합되는 제2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결합홈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샤프트와 상기 제2결합홈이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주행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제2결합홈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일부가 선택적으로 상기 제2결합홈의 개구된 부분을 차단하는 걸림부재;
    상기 결합부상에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2결함홈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착용하는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상기 제2결합홈의 개구된 부분의 차단을 해제하는 분리수단;
    을 포함하는 주행보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의 개구된 방향과 상기 제2결합홈의 개구된 방향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메인프레임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은 상부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제1결합홈에 상기 제1샤프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결합홈과 상기 제2샤프트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휠체어의 프레임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좌 우측에 대칭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일부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에 상기 장착부가 구비되며, 양단에 각각 상기 결합부재와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되는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본체;
    를 포함하는 주행보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돌출된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의 둘레가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함몰 형성된 단턱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단턱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감싸며 상기 결합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휠체어의 프레임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좌 우측에 대칭되어 설치되며 각각이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함몰된 결합구가 형성되는 결합부재; 및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에 따른 중앙에 상기 장착부가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결합구 내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본체;
    을 포함하는 주행보조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휠체어의 폭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그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본체상에서 상기 장착부를 중심으로 좌 우측에 한 쌍이 구비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복수 개의 부재의 슬라이딩 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프레임은,
    상기 휠체어의 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대응하도록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과의 결합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릿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측에 별도의 돌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슬릿홈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선택적으로 상기 슬릿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에 따른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홈은,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결합위치와 함께 결합각도도 함께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선택적으로 결합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핸들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결합각도와 연동하여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메인프레임상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주행보조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전방에 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구동바퀴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공급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와 슬라이딩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 방향에 따른 좌 우측의 중심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바퀴 내부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좌 우측에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끝단부에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바퀴가 바닥과 접촉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보조장치.
PCT/KR2015/005086 2014-06-23 2015-05-21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주행보조장치 WO2015199334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575132A JP6450782B2 (ja) 2014-06-23 2015-05-21 別途の装着フレームを持つ走行補助装置
CN201580045529.8A CN106572937B (zh) 2014-06-23 2015-05-21 具有另外的安装框架的行驶辅助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50A KR101598478B1 (ko) 2014-06-23 2014-06-23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2014-0076650 2014-06-23
KR1020140076664A KR101598484B1 (ko) 2014-06-23 2014-06-23 착탈 가능한 휠체어 주행보조장치
KR10-2014-0076653 2014-06-23
KR1020140076653A KR101598481B1 (ko) 2014-06-23 2014-06-23 장착프레임 유닛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2014-0076664 2014-06-23
KR1020140076659A KR101552963B1 (ko) 2014-06-23 2014-06-23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2014-0076659 2014-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334A1 true WO2015199334A1 (ko) 2015-12-30

Family

ID=54938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5086 WO2015199334A1 (ko) 2014-06-23 2015-05-21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주행보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50782B2 (ko)
CN (1) CN106572937B (ko)
WO (1) WO201519933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10024B3 (de) * 2016-08-12 2017-06-01 Walter Föhl Rollstuhl-Vorsatzträgervorrichtung
CN109070967A (zh) * 2017-03-16 2018-12-21 Whill株式会社 电动移动车和其拆解方法
US10307315B2 (en) 2017-10-12 2019-06-04 The Center for Discovery, Inc. Drive assembly for manually powered wheelchai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3772451A1 (en) * 2019-08-09 2021-02-10 Li Yuan Transmission Co., Ltd. Quick-release mechanis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8346B (zh) * 2018-04-03 2020-10-16 蔡书洪 一种可连接轮椅的电动车头
CN108514480A (zh) * 2018-05-10 2018-09-11 姚水福 用于轮椅的连接装置和轮椅助力车
TWI676471B (zh) * 2018-05-24 2019-11-11 伍氏科技股份有限公司 輪椅載具及其輪椅結合裝置
TWI681767B (zh) * 2018-08-16 2020-01-11 中華民國照護型機器人發展協會 具有爬梯能力的載具
CN108852674B (zh) * 2018-08-20 2023-08-04 古交市银河镁业有限公司 一种轮椅用多功能双向安全连接装置及连接方法
CN109481167A (zh) * 2018-12-29 2019-03-19 陈立新 一种轮椅移动辅助装置及轮椅
CN112455582B (zh) * 2019-09-06 2023-05-05 竺宸有限公司 电动手推两用车
IT202100003680A1 (it) * 2021-02-23 2022-08-23 Pandhora Srl Ruota supplementare per carrozzine con cavalletto a ruota ottimizzat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0964A (ja) * 2009-08-05 2011-02-17 Ox Engineering:Kk 車いす用組み立て式電気駆動装置とそれを備える電動車いす
KR20120044653A (ko) * 2010-10-28 2012-05-08 한국산재의료원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JP2013048735A (ja) * 2011-08-31 2013-03-14 Ox Engineering:Kk 組立式電動車いす
KR101391403B1 (ko) * 2013-04-24 2014-06-03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휠체어용 전동 카트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4985A (en) * 1982-07-01 1984-02-29 Jones Edward Daniel Steerable drive unit for wheelchair
EP0629390A1 (en) * 1993-06-04 1994-12-21 Hendrik Jan Ordelman Auxiliary frame for a wheelchair and wheelchair for use with an auxiliary frame
US5826670A (en) * 1996-08-15 1998-10-27 Nan; Huang Shun Detachable propulsive device for wheelchair
JP2000135250A (ja) * 1998-11-02 2000-05-16 Aisin Seiki Co Ltd 電動式車椅子における電源バッテリの取付構造
JP2000262563A (ja) * 1999-03-18 2000-09-26 Araco Corp 電動車両の連結構造
JP2001186836A (ja) * 1999-12-29 2001-07-10 Sanee:Kk 薬剤散布装置
JP4214552B2 (ja) * 2002-12-24 2009-01-28 アイ・アール・ケア株式会社 組立て式電動車いす及び電動車いすの組立て方法
US20050206115A1 (en) * 2004-03-22 2005-09-22 Jung-Tien Lee Wheelchair with a steering/driving device
CN2805728Y (zh) * 2005-07-08 2006-08-16 郑敏雄 便于拆装之电动轮椅车
DE202006009717U1 (de) * 2006-06-22 2006-09-28 Pfau-Tec Gmbh Vorspannfahrrad
ES2443085B1 (es) * 2013-07-08 2014-11-25 Batec Mobility, S.L. Sistema de acoplamiento de un elemento auxiliar en una silla de ruedas
ES2425316B1 (es) * 2013-07-08 2014-08-05 Batec Mobility, S.L. Sistema auxiliar de movilidad para silla de rueda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0964A (ja) * 2009-08-05 2011-02-17 Ox Engineering:Kk 車いす用組み立て式電気駆動装置とそれを備える電動車いす
KR20120044653A (ko) * 2010-10-28 2012-05-08 한국산재의료원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JP2013048735A (ja) * 2011-08-31 2013-03-14 Ox Engineering:Kk 組立式電動車いす
KR101391403B1 (ko) * 2013-04-24 2014-06-03 주식회사 스마트가이 휠체어용 전동 카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10024B3 (de) * 2016-08-12 2017-06-01 Walter Föhl Rollstuhl-Vorsatzträgervorrichtung
EP3290015A1 (de) 2016-08-12 2018-03-07 Walter Föhl Rollstuhl-vorsatzträgervorrichtung
CN109070967A (zh) * 2017-03-16 2018-12-21 Whill株式会社 电动移动车和其拆解方法
US10307315B2 (en) 2017-10-12 2019-06-04 The Center for Discovery, Inc. Drive assembly for manually powered wheelchai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3772451A1 (en) * 2019-08-09 2021-02-10 Li Yuan Transmission Co., Ltd. Quick-release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18838A (ja) 2017-07-13
JP6450782B2 (ja) 2019-01-09
CN106572937B (zh) 2019-07-23
CN106572937A (zh)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99334A1 (ko)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주행보조장치
WO2018044070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22085943A1 (ko)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WO2018044068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WO2020096246A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WO2019177260A1 (ko) 동작 모드에 따라 자세가 제어되는 근력 보조 장치
WO2017171500A1 (ko) 청소기
WO2017171501A1 (ko) 청소기
WO2020027452A1 (ko)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WO2015137774A1 (en) Latch system for door
WO2016024715A1 (ko)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WO2017082599A1 (ko) 스프라켓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5088175A1 (en) Headrest folding apparatus
WO2021060661A1 (ko) 로봇 청소기
WO2020159123A1 (ko) 엔드이펙터
WO2021141375A1 (ko) 변형 완구 및 변형 완구를 포함하는 완구 세트
WO2015102460A1 (ko) 휠체어
WO2020141625A1 (ko) 이동 로봇
WO2015122704A1 (ko) 삼각휠 구동 장치
WO2014175707A1 (ko) 가변좌석유닛, 보행보조유닛, 및 이들을 포함하는 휠체어
WO2012005404A1 (ko) 자동 청소기
WO2015190812A1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WO2015167205A1 (ko) 의자 틸팅장치
WO2018080136A1 (en) Headrest moving device
WO2012074297A2 (ko) 고령친화형 샤워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118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57513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1186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