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749Y1 -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749Y1
KR200381749Y1 KR20-2005-0001385U KR20050001385U KR200381749Y1 KR 200381749 Y1 KR200381749 Y1 KR 200381749Y1 KR 20050001385 U KR20050001385 U KR 20050001385U KR 200381749 Y1 KR200381749 Y1 KR 200381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fastening
bar
fixed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진
Original Assignee
신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진 filed Critical 신용진
Priority to KR20-2005-0001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8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03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 B62K5/007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powe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3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 B62K5/025Tricycl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three wheels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결수단에 의해 휠체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착탈식 전동장치에 있어서, 휠체어의 푸시바가 고정된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내측으로 체결바가 돌출 형성된 체결판과, 상단 좌우측에 핸들을 갖고 하단에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바퀴가 축고정되며 중심측에 경첩을 축으로 절첩회동되고 고정되는 절첩부를 갖는 핸들축과, 일단은 하부로 개방되어 체결바를 상측에서 끼움 결합하는 체결장홈이 형성된 체결구를 갖고 타단은 핸들축에 체결 고정되며 다수개의 충전식 배터리가 보관되는 견인프레임과, 핸들축의 하부에 고정되고 구동바퀴의 구동기어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충전식 배터리로 감속기에 의해 감속되어 구동되는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휠체어의 하부에 충전식 배터리를 장착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다수개의 충전식 배터리를 장착하여 교환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주행시 휠체어 앞바퀴가 들려서 주행이 원활하고 휠체어와 전동장치의 체결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Separatable electric motor for wheelchair}
본 고안은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휠체어의 하부에 충전식 배터리를 장착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다수개의 충전식 배터리를 장착하여 교환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주행시 휠체어 앞바퀴가 들려서 주행이 원활하고 휠체어와 전동장치의 체결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wheelchair)는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구분된다.
수동식 휠체어는 양측바퀴의 측면에 휠(Wheel)이 고정되어 수동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염가 제작이 가능하고 가벼우며 본체를 절첩시킬 수 있는 레버가 형성되어 차량에 승차할 때에는 접어서 탑재시킬 수 있게 되고. 양측 바퀴 외측에 형성된 링형의 손잡이휠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손으로 굴려서 휠체어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수동식 휠체어는 손으로 손잡이휠을 굴려서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데에 별다른 문제점이 없는 것이지만, 보다 편리한 사용성과 수동으로 손잡이휠을 굴려서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데에도 상당한 부담과 불편을 가질 수 있는 사용자를 위하여 전동을 이용하여 휠체어를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휠체어가 보급되고 있다.
이런 전동식 휠체어는 축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기로 감속시켜 바퀴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동력전달수단의 구성이 복잡하고 축전지로 인해 무게가 무거우나 사용이 아주 간편하여 거동이 불편한 많은 장애우들이 원하고 있으나, 그 가격이 고가로 구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로 인해 많은 사회단체에서 전동식 휠체어를 구입하여 보급하는 운동을 펼치고 있으나, 가격이 15∼20만원하는 수동식 휠체어에 비해 전동식 휠체어는 200∼400만원하기 때문에 그 보급실적이 많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런 전동식 휠체어는 축전기를 양단 프레임에 고정하고 있어서, 절첩용 레버를 구성할 수 없고 전동모드에서 수동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전동장치의 고장이나 축전기의 과소모시에 장애자가 대처하기 곤란하며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2002년 6월 1일자로 등록 공고되고 2003년 8월 30일자로 정정 공고된 착탈이 가능한 전동부를 갖는 휠체어가 제안되어 있는 바, 그 구성을 살펴보면, 휠체어부와, 핸들지지대의 하부측에 모터 및 감속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바퀴가 형성된 전동부와, 상기 휠체어부와 전동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와 휠체어부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휠체어 연결부로 구성됨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연결부는, 휠체어부의 양내측 휠체어 연결봉상에 고정체를 구비하되, 상기 고정체는 상면에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중간부 직교되는 방향으로 작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에는 힌지축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에 캠돌부를 갖는 가압레버가 레버연결봉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대의 일측 단부에는 횡방향의 지지봉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의 양단부에 고정체의 삽입홈에 상응하는 형상의 삽입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의 상부측에는 전면 중간부에 관통홈을 갖는 덮개가 힌지부에 의해 고정체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바, 상기 고정체는 상부고정체 및 하부고정체로 분리 구성되어 상호 볼트 체결되고 상기 상부고정체 및 하부고정체의 각 대향면 중간부에는 휠체어 연결봉의 상하부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상하부 밀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와 전동부는 전동연결부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동연결부는 전동부의 후방측에 수직의 고정돌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대의 단부측에는 상기 고정돌부의 외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고정공이 상하로 관통형성된 삽입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부에 환형의 로킹홈이 형성되고 삽입구에는 상기 로킹홈에 삽입고정되는 와이어 로킹이 상기 삽입구의 외측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삽입구의 고정공측으로 상시 탄력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돌부는 상단부에 라운딩부를 갖는 상협하광식의 원추형 몸체로 형성되고 삽입구의 고정공은 고정돌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런 구조를 갖는 종래의 휠체어는, 전동부의 핸들축 전방에 충전지가 장착되어 핸들의 작동이 무겁고 힘들며, 미관이 좋지 못하고, 전동장치와 휠체어의 체결후 주행시 휠체어 앞바퀴가 지면과 닿으면서 좌우측으로 요동되어 주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핸들축에 고정된 축전지의 용량이 한정되어 장시간 사용하지 못하고 자주 교환하여 주어야 하고, 휠체어와 전동장치의 체결이 복잡하여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체결하고 잠금장치를 체결하여야 되기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휠체어의 하부에 충전식 배터리를 장착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다수개의 충전식 배터리를 장착하여 교환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주행시 휠체어 앞바퀴가 들려서 주행이 원활하고 휠체어와 전동장치의 체결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차체를 이루고 중심측에 시트와 등받이를 형성하며 좌우측 프레임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좌우측 프레임 하부에 후방으로 돌출된 푸시바를 갖으며 좌우측 프레임의 전방측 하부에 앞바퀴가 장착되는 휠체어와, 체결수단에 의해 휠체어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휠체어를 구동시키는 착탈식 전동장치에 있어서, 휠체어의 푸시바가 고정된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내측으로 체결바가 돌출 형성된 체결판과, 상단 좌우측에 핸들을 갖고 하단에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바퀴가 축고정되며 중심측에 경첩을 축으로 절첩 회동되고 고정되는 절첩부를 갖는 핸들축과, 일단은 하부로 개방되어 체결바를 상측에서 끼움 결합하는 체결장홈이 형성된 체결구를 갖고 타단은 핸들축에 체결 고정되며 다수개의 충전식 배터리가 보관되는 견인프레임과, 핸들축의 하부에 고정되고 구동바퀴의 구동기어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충전식 배터리로 감속기에 의해 감속되어 구동되는 구동축을 갖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보관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체결구가 체결판의 체결바에 체결된 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저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인 전동장치가 휠체어와 연결되기 전의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인 전동장치가 휠체어와 연결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인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1)는, 푸시바(105)에 결합되고 체결바(11)가 돌출된 체결판(10)을 갖는 휠체어(100)와, 휠체어(100)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구동바퀴(23)와 핸들(25)을 갖는 핸들축(20)과, 일단은 체결판(10)의 체결바(11)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핸들축(20)에 고정되며 중심측에 충전식 배터리(33)가 고정되고 전방측의 체결손잡이(37)에 의해 체결구(31)를 체결바(11)에 결속시키고 분리시키는 견인프레임(30)과, 핸들축(20)에 고정되어 구동바퀴(2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절첩부(21)의 경첩(22)에 의해 절첩된 상태로 보관된 본 고안 착탈식 전동장치(1)의 핸들축(20) 상부의 핸들(25)을 상측으로 직립시켜서 체결 고정시킨 다음, 도 5와 같이, 휠체어(100)의 푸시바(105)를 눌러 전방측을 약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체결손잡이(37)를 후방측으로 당겨 체결구(31)의 보조바퀴(34)를 접은 상태로 체결장홈(32)을 체결판(10)의 체결바(11)에 끼움 결합시키면 된다.
이때, 휠체어(100)의 앞바퀴(106)는 들려 올려져 지면과 접촉되지 않고 양 뒷바퀴(104)와 구동바퀴(23)만이 지면과 접지되어 구동된다.
견인프레임(30)의 중심측에 수납된 다수개의 충전식 배터리(33)는 휠체어(100)의 시트(도시않음) 하부에 위치되어 시트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견인프레임(30) 전방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체결손잡이(37)를 축(38)을 중심으로 후방측으로 회동시키면, 도 1 및 도 5와 같이, 체결손잡이(37) 타단에 축결합된 작동바(39)는 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일측단이 축고정된 연결바(35)를 지지바(36) 상에서 회동시켜 보조바퀴(34)를 시계반대방향으로 90도로 회동시켜 지면에서 끌어올리면서 체결구(31)의 체결장홈(32)이 체결판(10)의 체결바(11) 직상방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휠체어(100)의 체결바(11)에 체결구(31)의 체결장홈(32)을 끼움 결합시키면 된다.
이때, 체결구(31)의 체결장홈(32)은 자중에 의해 체결판(10)의 체결바(11)에 완강히 안착 고정되어 별도의 체결유지장치(도시않음)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나, 안전장치로 별도의 체결유지장치를 장착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휠체어(100)가 착탈식 전동장치(1)에 완강히 체결된 상태에서 스위치(도시않음)를 넣어 구동모터(40)의 감속기(42)를 거쳐 구동축(41)을 구동시키면, 동력전달수단(43)에 의해 연결된 구동바퀴(23)의 구동기어(24)는 동반 회동되어 휠체어(100)를 서서히 끌어 주행하게 된다. 핸들축(20) 상단의 핸들(25)에는 구동바퀴(23)의 브레이크를 위한 장치가 장착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고안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1)는 절첩부(21)의 경첩(22)에 의해 핸들축(20)의 중심부를 절첩 보관시킬 수 있어 크기를 크게 줄여 이동성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체결손잡이(37)에 의해 착탈식 전동장치(1)를 휠체어(100)와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으며, 휠체어(100)의 앞바퀴(106)를 지면에서 들어올린 상태로 주행할 수 있어 주행시 주행안정성이 있고, 충전식 배터리(33)를 휠체어(100)의 시트 하부로 넣어 외부로부터 가릴 수 있어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꾸밀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휠체어의 하부에 충전식 배터리를 장착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다수개의 충전식 배터리를 장착하여 교환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주행시 휠체어 앞바퀴가 들려서 주행이 원활하고 휠체어와 전동장치의 체결이 손쉽게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고 쉽게 절첩되어 이동시 부피가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보관시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체결구가 체결판의 체결바에 체결된 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인 전동장치가 휠체어와 연결되기 전의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인 전동장치가 휠체어와 연결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면도,
도 7은 종래 전동장치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종래 전동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착탈식 전동장치 10 : 체결판
11 : 체결바 20 : 핸들축
21 : 절첩부 22 : 경첩
23 : 구동바퀴 24 : 구동기어
25 : 핸들 30 : 견인프레임
31 : 체결구 32 : 체결장홈
33 : 충전식 배터리 34 : 보조바퀴
35 : 연결바 36 : 지지바
37 : 체결손잡이 38 : 축
39 : 작동바 40 : 구동모터
41 : 구동축 42 : 감속기
43 : 동력전달수단 100 : 휠체어
101 : 프레임 104 : 뒷바퀴
105 : 푸시바 106 : 앞바퀴

Claims (2)

  1. 휠체어(100)를 구동시키는 착탈식 전동장치에 있어서;
    휠체어(100)의 푸시바(105)가 고정된 프레임(101)에 고정 결합되고 내측으로 체결바(11)가 돌출 형성된 체결판(10)과;
    상단 좌우측에 핸들(25)을 갖고 하단에 구동기어(24)를 갖는 구동바퀴(23)가 축고정되며 중심측에 경첩(22)을 축으로 절첩 회동되고 고정되는 절첩부(21)를 갖는 핸들축(20)과;
    일단은 하부로 개방되어 체결바(11)를 상측에서 끼움 결합하는 체결장홈(32)이 형성된 체결구(31)를 갖고 타단은 핸들축(20)에 체결 고정되며 다수개의 충전식 배터리(33)가 보관되는 견인프레임(30)과;
    핸들축(20)의 하부에 고정되고 구동바퀴(23)의 구동기어(24)와 동력전달수단(43)에 의해 연결되며 충전식 배터리(33)로 감속기(42)에 의해 감속되어 구동되는 구동축(41)을 갖는 구동모터(4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홈(32)을 갖는 체결구(31)의 전방측 측단면에 결합된 보조바퀴(34)와;
    상기 좌우 양측의 체결구(31)를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연결바(35)와;
    일단은 견인프레임(30)에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바(35)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바(36)와;
    일단은 연결바(35)에 다른 축 상으로 축결합되고 타단은 견인프레임(30)의 전방측에 축(38)으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체결손잡이(37)의 타단에 축결합되어 작동바(39)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
KR20-2005-0001385U 2005-01-17 2005-01-17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 KR200381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85U KR200381749Y1 (ko) 2005-01-17 2005-01-17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385U KR200381749Y1 (ko) 2005-01-17 2005-01-17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749Y1 true KR200381749Y1 (ko) 2005-04-18

Family

ID=4368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385U KR200381749Y1 (ko) 2005-01-17 2005-01-17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74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21B1 (ko) 2008-08-08 2009-02-11 주식회사 세광테크 전동 휠체어
KR20160140143A (ko)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휠체어용 보조 구동장치
CN107773358A (zh) * 2017-12-07 2018-03-09 兰邦翔 一种轮椅助力驱动装置
KR20180097402A (ko) 2017-02-23 2018-08-31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421B1 (ko) 2008-08-08 2009-02-11 주식회사 세광테크 전동 휠체어
KR20160140143A (ko)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휠체어용 보조 구동장치
KR20180097402A (ko) 2017-02-23 2018-08-31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CN107773358A (zh) * 2017-12-07 2018-03-09 兰邦翔 一种轮椅助力驱动装置
CN107773358B (zh) * 2017-12-07 2024-02-27 兰邦翔 一种轮椅助力驱动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1848B2 (en) Foldable personal mobility vehicle
US6916028B2 (en) Collapsible compact carrier device with collapsible wheel construction
KR101047342B1 (ko) 전동 휠체어
WO2016170364A1 (en) A reconfigurable wheeled personal mobility device
CN110251326A (zh) 一种可折叠电动轮椅
KR200381749Y1 (ko) 휠체어의 착탈식 전동장치
US20020088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orizing a wheelchair
KR20180097402A (ko) 탈, 부착식 휠체어 견인장치
CN107468438B (zh) 折叠式电动轮椅车
CN110934696A (zh) 一种可折叠电动轮椅及其折叠方法
CN101224753A (zh) 儿童推车
CN202386871U (zh) 一种三轮式多功能助行车
CN209422279U (zh) 一种轮椅
KR100883421B1 (ko) 전동 휠체어
CN208626035U (zh) 便携式轮椅
EP1374818B1 (en) Portable folding wheelchair
CN205469504U (zh) 可折叠变形的两用三轮车车厢
CN209382183U (zh) 一键折叠代步车
CN212699380U (zh) 一种轮椅的电动折叠结构及其轮椅
CN201719457U (zh) 带搁脚板的四轮康复行走车
CN209916423U (zh) 一种轮椅车
CN108524124B (zh) 一种折叠锁定机构、扶手装置及轮椅
JP2023521561A (ja) リフティング機能付き車いす
CN207955914U (zh) 微型便携折叠电动车
CN211271759U (zh) 一种可折叠电动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