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447B1 - 핸들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핸들 보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8447B1 KR102238447B1 KR1020190133482A KR20190133482A KR102238447B1 KR 102238447 B1 KR102238447 B1 KR 102238447B1 KR 1020190133482 A KR1020190133482 A KR 1020190133482A KR 20190133482 A KR20190133482 A KR 20190133482A KR 102238447 B1 KR102238447 B1 KR 1022384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handle
- fixing
- fastening
- steering wh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3—Hand wheels with a device allowing single-hand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운전자의 핸들 조작을 보조해주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핸들과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결합되는 보조 핸들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핸들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 핸들부를 통하여, 손의 장애 특성에 맞춤형 핸들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핸들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핸들에 보조적으로 설치되어 장애인과 같이 핸들을 조작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손쉽게 핸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핸들(steering wheel)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보조장치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보조장치들은 차량의 핸들의 일측에 결합되어, 힘이 부족한 노인이나 여성들이 보다 쉽게 핸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보조해 준다. 이러한 핸들 보조 장치는, 손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없어 일반적인 핸들 조작이 어려운 장애인들에게 더욱 효과적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0057151호는, 장애인 차량용 핸들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조 손잡이를 조작하지 않을 때에는 핸들의 중앙측으로 자동 회전되는 구조를 통해 사고 시 흉부와의 접촉이나 충격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게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형태의 그립구조를 구비하고 있어, 손을 자유롭게 활용하지 못하는 장애인들이 사용하기 어려운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6646호는 장애인용 스티어링 휠의 보조 핸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노브 탈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보조 핸들 장치에 대해서 게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선행기술과 마찬가지로, 본 선행기술 역시 손을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없는 장애인들이 해당 보조 장치를 제대로 잡을 수 없는 구조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더욱이 상기 두 개의 선행기술들은 모두, 핸들과 결합되는 몸체 부분이 핸들과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으며, 핸들에 설치하는 것이 번거롭거나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핸들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손쉬운 설치가 가능하고, 손의 자유로운 사용이 불편한 장애인이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핸들 보조 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목적은 손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들이 보다 핸들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사고의 발생으로 운전자와 핸들이 충격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충격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핸들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 보조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핸들과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결합되는 보조 핸들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핸들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 핸들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체결되는 기본바(bar); 상기 기본바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조절바; 및 상기 길이조절바에 체결되는 보조핸들 팁을 포함하는 다단구조일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바가 상기 기본바 및 보조핸들 팁 사이에 체결되는 개수에 따라서 상기 보조 핸들부의 길이 조절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조핸들 팁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와 충격하였을 때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핸들 팁의 재질은, 스펀지, 고무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바의 일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바의 일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가 상기 기본바의 암나사부에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바의 타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길이조절바가 서로간에 결합될 때, 제 1 길이조절바의 암나사부에 제 2 길이조절바의 수나사부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핸들 팁의 일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핸들 팁의 수나사부가 상기 길이조절바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길이 조절 가능한 보조 핸들부를 통하여 손 관련 장애 별 맞춤형 보조 핸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차량 사고시 핸들에 보조 장치로 인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100)가 핸들(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100)의 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체결부(403)의 구조 및 레버체결부(403)와 아랫면덮개부(402)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용레버(801)가 결합되기 위한 윗면덮개부(401)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체결부(403)의 체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핸들부(201)의 다단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핸들부(20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100)의 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체결부(403)의 구조 및 레버체결부(403)와 아랫면덮개부(402)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용레버(801)가 결합되기 위한 윗면덮개부(401)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체결부(403)의 체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핸들부(201)의 다단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핸들부(20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손에 장애가 있는 운전자의 경우 핸들 조작이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핸들을 잡을 수조차 없는 장애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운전자들을 위하여, 다양한 핸들 보조 장치들이 개발되어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존 핸들 보조 장치의 경우, 다양한 손 장애 형태에 적합한 그립(grip)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핸들 보조 장치의 경우 핸들과의 탈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매우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기존의 체결 구조들은, 핸들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힘든 구조일 뿐만 아니라, 탈착 시에 까다로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핸들에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구조이면서 동시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다양한 손 장애의 형태에 적합할 수 있는 맞춤형 핸들 보조 장치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100)가 핸들(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100)의 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100)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핸들 보조 장치(100)는 차량 핸들의 일측에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핸들에 결합되는 베이스부(202) 및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보조 핸들부(201)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조 핸들부(201)는 베이스부(202)에 회동결합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운전자가 보조 핸들부(201)를 잡은 상태로 핸들을 회전하더라도, 보조 핸들부(201)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세부 구조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베이스부(202)는 핸들(10)의 위쪽을 덮는 윗면덮개부(401) 및 아래쪽을 덮는 아랫면덮개부(402)로 구성되며,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핸들(10)을 고정시키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 각각은 핸들을 위아래에서 덮기 위해서 핸들의 형상대로 홈을 형성하는 핸들수용부(601-1, 601-2)를 구비한다.
특히,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는 핸들을 덮은 상태에서 서로 보다 강하게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603) 및 고정돌기가 수용될 수 있는 돌기수용홈(60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가 핸들을 덮으면, 고정돌기(603)는 돌기수용홈(602) 내부에 삽입되어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가 서로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고정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예시에서는 윗면덮개부(401)에 돌기수용홈(602)이 형성되고 아랫면덮개부(402)에 고정돌기(603)를 형성하고 있으나, 반대로 아랫면덮개부(402)에 돌기수용홈(602)이 형성되고 윗면덮개부(401)에 고정돌기(603)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는 이하에서 후술할 레버체결부(403)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부수용홈(610)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보다 견고한 고정을 하기 위하여, 레버체결부(403) 및 체결부수용홈(610)은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 각각 두 개씩 구비될 수 있다.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는 핸들을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 중 하나에 레버체결부(403)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버체결부(403)가 채워지면,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는 서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 및 체결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체결부(403)의 구조 및 레버체결부(403)와 아랫면덮개부(402)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예시에서는, 아랫면덮개부(402)에 레버체결부(403)가 결합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윗면덮개부(401)에 체결되는 경우 역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도면과 같이, 레버체결부(403)는 고정용레버(801), 레버체결로드(802) 및 로드고정부(80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로드고정부(803)는, 아랫면덮개부(402)에 회동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아랫면덮개부(402)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수용홈(610)에 로드고정부(803)가 위치되고, 체결부수용홈(610)의 내측면에 로드고정부(803)가 회동결합될 수 있다. 회동결합의 일예시로,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내측면에 회동결합홈(810)이 형성되고, 로드고정부(803)의 양측면에 회동결합돌기(811)가 형성되고, 회동결합돌기(811)가 회동결합홈(810)에 끼워지는 형태로 회동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로드고정부(803)는, 레버체결로드(802)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812, hole)을 형성할 수 있다. 레버체결로드(802)는 결합홀(812)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로드고정부(803)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레버체결로드(802)는 일단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수나사부에 너트(804)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체결되는 경우, 레버체결로드(802)의 길이가 너트(804)만으로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수나사부와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이러한 결합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로드고정부(802)의 타단에는 고정용레버(801)가 회동결합된다. 고정용레버(801)가 회동결합되기 위하여, 로드고정부(802)의 타단에는 레버용홀(813)이 형성되고, 레버용홀(813)에 고정용레버(801)가 회동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용레버(801)가 결합되기 위한 윗면덮개부(401)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윗면덮개부(401)는 체결부수용홈(610) 양측면에 레버고정가이드면(901)이 형성될 수 있다. 레버고정가이드면(901)은 체결부수용홈(610) 양측면으로부터 소정높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버고정가이드면(901)의 굴곡면은 상술한 고정용레버(801)의 형상에 대응되는 굴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레버체결부(403)의 체결 방식을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체결부(403)의 체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체결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1은 체결을 위해서 레버체결부(403)가 회동된 상태, 그리고 도 12는 고정용레버(801)가 회동되어 최종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에서와 같이 레버체결부(403)가 회동된 상태에서 고정용레버(801)가 젖혀지면, 레버체결부(403)에 의해서 윗면덮개부(401)와 아랫면덮개부(402)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고정가이드면(901)은 일측에 돌출된 고정턱(902)을 형성할 수 있다. 레버체결부(403)가 고정턱(902)을 넘은 상태에서 고정용레버(801)가 젖혀지면, 고정용레버(801)의 돌출된 일단(1201, 도시된 예시에서는 r보다 큰 R에 의해서 돌출)이 상기 고정턱(902)에 걸리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핸들부(201)는 길이 조정 가능하도록 다단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핸들부(201)의 다단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 따르면, 상기 보조 핸들부(201)의 다단바(1300)는, 상기 베이스부에 체결되는 기본바(1303, bar), 상기 기본바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조절바(1302) 및 상기 길이조절바에 체결되는 보조핸들 팁(1301)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보조핸들 팁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와 충격하였을 때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펀지, 고무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보조 핸들부(201)는 길이조절바(1302)가 상기 기본바 및 보조핸들 팁 사이에 체결되는 개수에 따라서 전체 보조 핸들부(201)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보다 긴 보조 핸들부(201)가 필요한 사람은, 중간 길이조절바(1302)의 개수를 늘리고, 짧은 보조 핸들부(201)가 필요한 사람은 길이조절바(1302)의 개수를 줄이거나 아예 없애고 보조핸들 팁(1301)이 바로 기본바(1303)에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바(1303)의 일단에 암나사부(1305)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바(1302)의 일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1306)가 상기 기본바(1303)의 암나사부(1305)에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길이조절바(1302)의 타단에 암나사부(1307)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길이조절바가 서로 간에 결합될 때, 길이조절바의 암나사부(1307)에 다른 길이조절바의 수나사부(1306)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조핸들 팁(1301)에도 일단에 수나사부(1308)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핸들 팁(1301)의 수나사부(1308)가 상기 길이조절바(1302)의 암나사부(1307)에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보조 핸들부(201)의 일단에는 베이스부(202)와 체결될 수 있는 회동체결돌기(1304)가 형성되고, 회동체결돌기(1304)가 베이스부(202)의 회동체결홈(410)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회동체결홈(410)에 끼워진 후, 핸들고정부(1101)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고정부(1101)를 조작하여, 보조 핸들부(201)를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베이스부(202)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나온 핸들고정부(1101)가 눌러진 상태에서는 보조 핸들부(201)를 체결 해제할 수 있으며, 핸들고정부(1101)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보조 핸들부(201)가 베이스부(202)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 상술한 보조 핸들부(201)는 하나의 다단바(1300)로 구비되는 형태이나, 다른 형태의 보조 핸들부(201) 역시 가능하다. 이러한 예시에 대해서 도 14 ~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 핸들부(20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시된 보조 핸들부(201)는 바고정틀(1401)에 복수 개의 다단바(1300-1 ~ 1300-3)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다단바(1300-1 ~ 1300-3) 중 일부는 고정된 길이의 바(bar)로 대체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바고정틀(1401)에 결합되는 다단바(1300-1 ~ 1300-3)는 중심이 되기 위한 메인 다단바(1300-1)와, 메인 다단바(1300-1)와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 다단바(1300-2, 1300-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시된 보조 핸들부(201)는 다단바(1300) 및 다단바(1300)의 측면에 다단바(13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501)가 설치된다. 운전자는 지지대(1501)와 다단바(1300) 사이에 손을 집어 넣는 방식으로 보조 핸들부(201)를 잡아 핸들(10)을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핸들 보조 장치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5)
- 차량의 핸들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 보조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핸들과 결합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회동결합되는 보조 핸들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 핸들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 구조이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핸들의 위쪽을 덮는 윗면덮개부 및 아래쪽을 덮는 아랫면덮개부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핸들을 고정시키며,
상기 윗면덮개부와 아랫면덮개부 각각은 레버체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부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레버체결부가 채워지면 상기 윗면덮개부와 아랫면덮개부가 상기 핸들을 위아래에서 덮고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고정되며,
상기 윗면덮개부 및 아랫면덮개부 중 하나는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돌기수용홈을 형성하여, 상기 윗면덮개부와 아랫면덮개부가 서로 맞물리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돌기수용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윗면덮개부와 아랫면덮개부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고정하고,
상기 레버체결부는 고정용레버, 레버체결로드 및 로드고정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로드고정부는 상기 아랫면덮개부에 형성된 체결부수용홈의 내측면에 회동결합되고,
상기 레버체결로드의 일단은 상기 로드고정부에 형성되는 결합홀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레버체결로드의 타단은 상기 고정용레버가 회동결합되고,
상기 윗면덮개부는 상기 윗면덮개부에 형성된 체결부수용홈의 양측면으로부터 소정높이 돌출되는 형태의 레버고정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상기 레버고정가이드면의 굴곡면은 상기 고정용레버의 형상에 대응되는 굴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버고정가이드면의 일측에 돌출되는 형태의 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체결부가 상기 고정턱을 넘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레버가 젖혀지면, 상기 고정용레버의 돌출된 일단이 상기 고정턱에 걸리는 형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핸들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체결되는 기본바(bar);
상기 기본바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조절바; 및
상기 길이조절바에 체결되는 보조핸들 팁을 포함하는 다단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바가 상기 기본바 및 보조핸들 팁 사이에 체결되는 개수에 따라서 상기 보조 핸들부의 길이 조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핸들 팁은, 상기 차량의 운전자와 충격하였을 때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핸들 팁의 재질은,
스펀지, 고무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보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482A KR102238447B1 (ko) | 2019-10-25 | 2019-10-25 | 핸들 보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482A KR102238447B1 (ko) | 2019-10-25 | 2019-10-25 | 핸들 보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8447B1 true KR102238447B1 (ko) | 2021-04-08 |
Family
ID=7548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3482A KR102238447B1 (ko) | 2019-10-25 | 2019-10-25 | 핸들 보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844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8091A (ko) | 2022-08-24 | 2024-03-05 | 신준혁 | 졸음운전 방지용 핸들바 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20612A (ko) * | 1995-10-24 | 1997-05-28 | 한승준 | 길이조정 가능 차량 변속 레버 |
KR19990035671A (ko) * | 1997-10-31 | 1999-05-15 | 양재신 | 가변식 기어 시프트 레버 |
KR19990035935U (ko) * | 1998-02-11 | 1999-09-15 | 채수완 |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보조 핸들 구조 |
KR200405049Y1 (ko) * | 2005-10-14 | 2006-01-10 | 이태근 |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도구 |
KR200440704Y1 (ko) * | 2006-08-17 | 2008-06-26 | 양순모 | 자전거 핸들의 충격 흡수장치 |
CN207773211U (zh) * | 2017-12-14 | 2018-08-28 | 贺州市迪朗电子科技有限公司 | 残疾人用方向盘辅助u形手柄组件 |
-
2019
- 2019-10-25 KR KR1020190133482A patent/KR1022384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20612A (ko) * | 1995-10-24 | 1997-05-28 | 한승준 | 길이조정 가능 차량 변속 레버 |
KR19990035671A (ko) * | 1997-10-31 | 1999-05-15 | 양재신 | 가변식 기어 시프트 레버 |
KR19990035935U (ko) * | 1998-02-11 | 1999-09-15 | 채수완 |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보조 핸들 구조 |
KR200405049Y1 (ko) * | 2005-10-14 | 2006-01-10 | 이태근 |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도구 |
KR200440704Y1 (ko) * | 2006-08-17 | 2008-06-26 | 양순모 | 자전거 핸들의 충격 흡수장치 |
CN207773211U (zh) * | 2017-12-14 | 2018-08-28 | 贺州市迪朗电子科技有限公司 | 残疾人用方向盘辅助u形手柄组件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28091A (ko) | 2022-08-24 | 2024-03-05 | 신준혁 | 졸음운전 방지용 핸들바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677725B1 (en) | Ergonomic collapsible crutch | |
US10799406B2 (en) | Wheelchair handlebar adjuster | |
US10448552B2 (en) | Gardening tool | |
ES2299129T3 (es) | Freno de estacionamiento, en particular para una silla de ruedas. | |
KR102238447B1 (ko) | 핸들 보조 장치 | |
ES2318093T3 (es) | Sistema para distribuir el peso del cuerpo en las manos. | |
KR101460767B1 (ko) | 보행 보조장치 | |
KR20160049778A (ko) |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 |
CN107693231B (zh) | 轮椅 | |
US9737120B2 (en) | Mobility device | |
KR101552963B1 (ko) | 자세조절이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 |
US6655708B2 (en) | Wheelchair with safety bumpers | |
KR102182201B1 (ko) | 목발 거치수단이 구비된 휠체어 | |
US20090302570A1 (en) | Wheelchair wonderbar | |
JPH10257957A (ja) | 傘保持装置 | |
JP4565643B2 (ja) | 支柱取付型介助装置 | |
ES2788154T3 (es) | Disposición de trinquete para un dispositivo de apoyo a la movilidad | |
KR101128853B1 (ko) | 재활 훈련 기능을 갖는 목발 | |
KR100499346B1 (ko) | 하반신 마비 환자의 보행 훈련 장치 | |
KR100936398B1 (ko) | 안전 보행용 보조 기구 | |
JP2023530496A (ja) | 頭部支持組立体及び頭部支持ユニット | |
TWI731621B (zh) | 助行器 | |
KR101598478B1 (ko) |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 |
KR20220091022A (ko) | 휠체어용 전동 보조 구동 장치 | |
JP2001187096A (ja) | 歩行補助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