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710B1 -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710B1
KR102161710B1 KR1020180147355A KR20180147355A KR102161710B1 KR 102161710 B1 KR102161710 B1 KR 102161710B1 KR 1020180147355 A KR1020180147355 A KR 1020180147355A KR 20180147355 A KR20180147355 A KR 20180147355A KR 102161710 B1 KR102161710 B1 KR 102161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upling unit
coupling
wheelchai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722A (ko
Inventor
이창우
김경희
최일항
신시경
신창용
곽정현
윤대환
Original Assignee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엠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디앤엠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8014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7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에 기반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듈; 연결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 견인될 휠체어에 결합되는 링크 모듈; 및 상기 전동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고, 개방된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안착되며 상기 연결 링크의 일 부분인 중앙 로드부를 구비하는 제2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동 모듈이 상기 링크 모듈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는 상기 중앙 로드부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상대 회전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장애인, 노약자 그리고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상태에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설치한 의자를 말한다.
휠체어는 그 구동방법에 따라 이용자가 손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휠체어와,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휠체어로 구분된다.
수동휠체어는 이용자가 직접 손으로 바퀴를 구동시켜야 하므로 장거리 운행이 어렵고 불편하다. 또한, 경사도에서 운행시 이용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뒤로 밀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호자 또는 이용자가 직접 힘을 가하여 수동휠체어를 구동해야 하기 때문에 힘이 약한 노약자는 수동휠체어를 구동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전동휠체어는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써 이용자의 편리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으나, 실외용으로 사용되어 실내에서는 별도의 수동휠체어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수동휠체어에 별도의 보조동력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동 방식 또는 전동 방식으로 휠체어를 운용할 수 있게 하기도 한다.
수동휠체어에 보조동력장치를 결합함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전방의 구성과, 휄체어와 전방의 구성을 연결하는 중간의 구성 간에는 결합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 장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중간의 구성에는 복잡한 브라켓 등이 설치하여야 한다. 그에 따라, 결합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중간의 구성이 분리된 상태에서 브라켓 등이 돌출되어 있어 이용자가 그에 의해 부상을 입을 수 있는 우려도 있다. 또한, 중간 구성은 전방의 구성에 대해 한 가지 모드로만 결합되어, 전방의 구성과의 관계를 다양하게 할 수 없는 한계도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동 모듈과 링크 모듈을 결합하는 결합 모듈 중 링크 모듈에 형성되는 부분을 최대한 단순화할 수 있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전동 모듈과 링크 모듈이 분리된 상태에서 결합 모듈에 의한 이들 간의 결합 모드를 다양화할 수 있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는, 전력에 기반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듈; 연결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력에 의해 견인될 휠체어에 결합되는 링크 모듈; 및 상기 전동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고, 개방된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안착되며 상기 연결 링크의 일 부분인 중앙 로드부를 구비하는 제2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동 모듈이 상기 링크 모듈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될 때,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는 상기 중앙 로드부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중앙 로드부에서 절곡 연장되고, 상기 휠체어와 연결되는 한 쌍의 사이드 로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는, 전동 모듈; 연결 링크를 구비하고, 휠체어에 결합되는 링크 모듈; 및 상기 전동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고, 개방된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제1 결합 유닛; 상기 연결 링크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안착되어 상기 전동 모듈이 상기 링크 모듈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 시에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의 회전 중심축이 되는 중앙 로드부를 구비하는 제2 결합 유닛;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는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링크 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 모듈이 상기 링크 모듈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 시에 상기 제3 결합 유닛과 결합되는 제4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제2 결합 유닛 간의 결합, 그리고 상기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제4 결합 유닛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전동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을 2점 결합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는, 전동 모듈; 연결 링크를 구비하고, 휠체어에 결합되는 링크 모듈; 및 상기 전동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고, 개방된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연결 링크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직접 안착되는 중앙 로드부를 구비하는 제2 결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중앙 로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로드부가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대해 상기 중앙 로드부의 중심축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제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의 폭 이상의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돌출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는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링크 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제3 결합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결합 유닛은,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제4 결합 유닛 중 하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제4 결합 유닛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래치에 구속되는 구속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결합 유닛은, 상기 중앙 로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속 로드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기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 로드부는, 상기 중앙 로드부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보조동력장치와 휠체어 간의 연결 어셈블리는, 전동 모듈에 설치된 개방된 리세스부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중앙 로드부; 상기 중앙 로드부에서 연장되고, 휠체어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로드부; 및 상기 중앙 로드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된 래치에 구속되는 구속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 로드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의 폭 이상의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돌출 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돌출링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구속 로드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기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의하면, 전동 모듈과 링크 모듈을 결합하는 결합 모듈 중 제1 결합 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리세스가 되고 링크 모듈에 형성되는 제2 결합 유닛은 링크 모듈의 중앙 로드부 자체가 되므로, 제2 결합 유닛이 링크 모듈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일이 없어진다. 그에 의해, 링크 모듈을 별도로 분리하여 두더라도, 이용자가 그에 넘어지는 등의 경우에 제2 결합 유닛에 의해 부상을 당할 염려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또한, 제2 결합 유닛으로서 별도의 브라켓 등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그의 제작비/공정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개방된 리세스에 중앙 로드부가 안착되어 제1 결합 유닛과 제2 결합 유닛이 결합되므로, 링크 모듈을 뒤집에서 제1 결합 유닛과 제2 결합 유닛이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동 모듈과 링크 모듈은 기본적 결합 모드와 다른 모드로 결합되고, 이러한 모드는 보조동력장치의 운반/보관 등에 유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대한 부분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2 결합 유닛(330)이 제1 결합 유닛(310)에 맞물린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4 결합 유닛(370)이 제3 결합 유닛(350)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보조동력장치 및 휠체어(H) 전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링크 모듈(200)이 도 3에 비해 뒤집혀진 상태로 전동 모듈(100)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보조동력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에 대한 부분 분리 상태의 사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100, 200, 및 300)는, 전동 모듈(100), 링크 모듈(200), 및 결합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동 모듈(100)은 전력을 기반으로 휠체어(H)를 움직이게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전동 모듈(100)은, 베이스 프레임(110), 스티어링 프레임(120), 핸들(130), 구동 바퀴(140), 구동 모터(150), 지원 박스(160), 및 지지 브라켓(17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대체로 중공 파이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의 중공 부분에는 스티어링 프레임(120)이 삽입된다. 스티어링 프레임(120)의 상부에는 핸들(130)이 연결된다. 이용자가 핸들(130)을 좌우로 회전 조작함에 의해, 스티어링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된다. 스티어링 프레임(120)의 하부에는 구동 바퀴(140) 및 구동 모터(150)가 연결된다. 구동 모터(150)는 구동 바퀴(14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150)에 대한 전력 공급 및 제어는 지원 박스(16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원 박스(160)는 컨트롤러(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구동 모터(15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저장하고, 컨트롤러의 제어 등에 의해 구동 모터(15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원 박스(16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지지 브라켓(170)은 전동 모듈(100)이 지면에 대해 세워지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링크 모듈(200)은 휠체어(H)를 전동 모듈(100)에 연결하기 위해 휠체어(H)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링크 모듈(200)은 연결 링크(210)와 클램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링크(210)는 대체로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링크(210)는 중앙 로드부(211)와 한 쌍의 사이드 로드부(215)로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 로드부(215)가 휠체어(H)의 양측 프레임에서 연장된 형태라면, 중앙 로드부(211)는 한 쌍의 사이드 로드부(215)를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그에 의해, 중앙 로드부(211)는 휠체어(H)에 앉은 이용자의 전방에 위치하고, 한 쌍의 사이드 로드부(215)는 이용자의 양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중앙 로드부(211)는 사이드 로드부(215)와 다른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클램프(230)는 한 쌍의 사이드 로드부(215)의 자유단에 각각 설치되어, 연결 링크(210)를 휠체어(H)의 프레임에 결합시킨다.
결합 모듈(300)은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결합 모듈(300)은 이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을 결합시키거나, 그들의 결합이 해제되게 한다.
결합 모듈(300)은, 구체적으로, 제1 결합 유닛(310) 및 제2 결합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유닛(310)은 전동 모듈(100)에 설치되고, 제2 결합 유닛(330)의 링크 모듈(2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결합 유닛(310)은 개방된 리세스부(311)를 가질 수 있다. 개방된 리세스부(311)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진 형태일 수 있다. 아울러, 개방된 리세스부(311)에서 개방된 부분은 상부가 될 수 있다.
제2 결합 유닛(330)은 개방된 리세스부(311)에 대응하여, 연결 링크(210)의 중앙 로드부(211) 자체일 수 있다. 제2 결합 유닛(330)의 구체적 구성으로서 중앙 로드부(211)를 파악함에 의해, 중앙 로드부(211)는 다른 참조 번호로서 331이 부여될 수 있다.
제1 결합 유닛(310)과 제2 결합 유닛(330)이 서로 결합된 상태는 도 2에 예시된다. 도 2는 도 1의 제2 결합 유닛(330)이 제1 결합 유닛(310)에 맞물린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중앙 로드부(331)는 개방된 리세스부(311)에 수용 안착되어, 그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그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 로드부(331)는 개방된 리세스부(311)에서 회전할 때 중앙 로드부(331)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휠체어(H)의 앞바퀴(AW)가 지면에서 들리게 한다(도 4 참조).
이러한 중앙 로드부(331)가 개방된 리세스부(311)에 대해 중앙 로드부(331)의 중심축을 따라 유동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제한 부재(335)가 형성된다. 제한 부재(335)는 중앙 로드부(331)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한 부재(335)는 개방된 리세스부(311)의 폭 이상의 간격을 갖는 한 쌍의 돌출 링일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링은 개방된 리세스부(311)를 형성하는 제1 결합 유닛(310)의 양 측면에 걸리기만 하면 되므로, 그 돌출 정도는 미미한 수준이다. 또한, 링 형태로 형성되므로, 어느 한 방향으로 뾰족하게 돌출하는 것만큼 이용자의 부상을 유발하지는 않는다.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을 연결하기 위한 제1 결합 유닛(310)과 제2 결합 유닛(330)의 결합은, 추가적인 결합 구성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 모듈(300)은 제3 결합 유닛(350) 및 제4 결합 유닛(3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 결합 유닛(350)은 전동 모듈(100)에 설치되며, 제4 결합 유닛(370)은 그에 대응하여 링크 모듈(200)에 설치된다. 제3 결합 유닛(350)은 상부가 개방된 리세스부(311)에 대응하여, 그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4 결합 유닛(370)도 중앙 로드부(331)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제3 결합 유닛(350)으로는, 래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래치는, 그를 향해 접근하는 대상물을 자동으로 구속하고,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대상물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구성이다.
제4 결합 유닛(370)은 상기 대상물이 되는 구속 로드부(371)를 포함한다. 구속 로드부(371)는 중앙 로드부(33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4 결합 유닛(370)은 중앙 로드부(331)와 구속 로드부(371)를 연결하는 한 쌍의 기둥부(37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기둥부(375)는 앞서의 제한 부재(335)인 한 쌍의 돌출링에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이상과 달리, 제4 결합 유닛(370)이 래치를 포함하고, 제3 결합 유닛(350)이 그에 대응하는 구속 로드부(3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앞선 형태에서 래치와 구속 로드부(371)가 서로 간의 위치만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그들의 결합 관계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링크 모듈(200) 및 링크 모듈(200)에 설치된 제2 결합 유닛(330) 그리고 제4 결합 유닛(370)의 구성은 보조동력장치와 휠체어(H) 간의 연결 어셈블리라고 칭해질 수도 있다.
제3 결합 유닛(350) 및 제4 결합 유닛(370)이 서로 결합된 상태는 도 3에 예시된다. 도 3은 도 2의 제4 결합 유닛(370)이 제3 결합 유닛(350)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결합 유닛(310)과 제2 결합 유닛(330) 간의 결합에 더하여, 제3 결합 유닛(350)과 제4 결합 유닛(370) 간에도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서는, 구동 바퀴(140)가 뒤로 후진하는 형태로 전동 모듈(1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 중심축은 중앙 로드부(331)가 되고, 개방된 리세스부(311)는 중앙 로드부(331)와 접촉하면서 그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한 회전에 의해, 제3 결합 유닛(350)의 래치는 제4 결합 유닛(370)의 구속 로드부(371)에 접근하여, 구속 로드부(371)를 구속하게 된다.
이상의 제1 결합 유닛(310)과 제2 결합 유닛(330) 간의 결합, 및 제3 결합 유닛(350) 및 제4 결합 유닛(370) 간의 결합은,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 간의 2점 결합 지지를 달성하게 한다. 상기 2점 결합 지지는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 간의 보다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2점 결합된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 그리고 휠체어(H) 간의 관계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보조동력장치 및 휠체어(H) 전체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전동 모듈(100)과 링크 모듈(200) 간의 결합에 의해, 휠체어(H)의 앞바퀴(AW) 및 지지 브라켓(170)이 지면(E)에서 들려진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전동 모듈(100)의 구동 바퀴(140) 및 휠체어(H)의 주 바퀴(MW) 만이 지면(E)에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 모터(150)가 작동됨에 의해, 보조동력장치 및 휠체어(H)는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링크 모듈(200)은 전동 모듈(100)에 대해 앞서와 다른 결합 모드에 따라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링크 모듈(200)이 도 3에 비해 뒤집힌 상태로 전동 모듈(100)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보조동력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링크 모듈(200)은 앞선 도면들에 비해 뒤집힌 상태가 된다. 그에 의해, 연결 링크(210)의 중앙 로드부(331) 보다 구속 로드부(371)가 더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뒤집힌 상태에서도, 연결 링크(210)의 중앙 로드부(331)는 개방된 리세스부(311)에 맞물릴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연결 링크(210)가 뒤집힘에 의해, 제1 결합 유닛(310) 및 제2 결합 유닛(330)은 서로 결합되어도, 제3 결합 유닛(350) 및 제4 결합 유닛(370)은 서로 결합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제3 결합 유닛(350) 및 제4 결합 유닛(370) 간에도 결합된 상태(도 3 참조)에 비해, 사이드 로드부(215)가 지지 브라켓(170)을 향해 아래로 쳐진 상태가 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전동 모듈(100) 및 링크 모듈(200)[나아가, 결합 모듈(300)]을 휠체어(H)로부터 분리하여 운반하는 경우에, 그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전동 모듈 110: 베이스 프레임
140: 구동 바퀴 150: 구동 모터
170: 지지 브라켓 200: 링크 모듈
210: 연결 링크 211: 중앙 로드부
215: 사이드 로드부 230: 클램프
300: 결합 모듈 310: 제1 결합 유닛
311: 개방된 리세스 330: 제2 결합 유닛
331: 중앙 로드부 350: 제3 결합 유닛
370: 제4 결합 유닛 371: 구속 로드부
375: 기둥부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전동 모듈;
    연결 링크를 구비하고, 휠체어에 결합되는 링크 모듈; 및
    상기 전동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고, 개방된 리세스부를 구비하는 제1 결합 유닛;
    상기 연결 링크의 일 부분으로서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안착되어 상기 전동 모듈이 상기 링크 모듈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 시에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의 회전 중심축이 되는 중앙 로드부를 구비하는 제2 결합 유닛;
    상기 전동 모듈에 설치되는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링크 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전동 모듈이 상기 링크 모듈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링크 모듈에 대해 상대 회전 시에 상기 제3 결합 유닛과 결합되는 제4 결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모듈은,
    상기 제1 결합 유닛 및 상기 제2 결합 유닛 간의 결합, 그리고 상기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제4 결합 유닛 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전동 모듈과 상기 링크 모듈을 2점 결합 지지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휠체어와 연결되는 한 쌍의 사이드 로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로드부는,
    상기 중앙 로드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 로드부와 다른 방향을 따르도록 배열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유닛은,
    상기 중앙 로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앙 로드부가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에 대해 상기 중앙 로드부의 중심축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제한 부재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부재는,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의 폭 이상의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돌출 링을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 유닛은,
    상기 개방된 리세스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제4 결합 유닛 중 하나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 유닛 및 상기 제4 결합 유닛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래치에 구속되는 구속 로드부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결합 유닛은,
    상기 중앙 로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속 로드부가 설치되는 한 쌍의 기둥부를 더 포함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로드부는,
    상기 중앙 로드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147355A 2018-11-26 2018-11-26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216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355A KR102161710B1 (ko) 2018-11-26 2018-11-26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355A KR102161710B1 (ko) 2018-11-26 2018-11-26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722A KR20200061722A (ko) 2020-06-03
KR102161710B1 true KR102161710B1 (ko) 2020-10-06

Family

ID=7108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355A KR102161710B1 (ko) 2018-11-26 2018-11-26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7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693A (ko) * 2020-09-28 2022-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의 견인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어방법
KR102532981B1 (ko) * 2021-08-19 2023-05-16 (주)네오엘에프엔 휠체어와 휠체어동력보조장치의 연결구조
KR102522093B1 (ko) * 2021-08-19 2023-04-14 (주)네오엘에프엔 흙받이와 지지대 일체형 모터브라켓이 구비된 휠체어동력보조장치와 휠체어의 연결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326B1 (ko) * 2015-10-07 2017-03-13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326B1 (ko) * 2015-10-07 2017-03-13 주식회사 네오엘에프엔 휠체어와 구동장치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722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1710B1 (ko)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KR102199618B1 (ko)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JP6400046B2 (ja) 輸送装置
ES2453193T3 (es) Dispositivo y cama para girar a personas tumbadas horizontalmente
ES2770430T3 (es) Dispositivo eléctrico montable/desmontable y silla de ruedas que incluye el mismo
US6378642B1 (en) Motorized scooter
US5199520A (en) Wheeled chair
US10857046B2 (en) Wheelchair power apparatus for electronic driving conversion
US8763733B2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US10272786B2 (en) Wheelchair safety, power and shade device and method
JP2017140916A (ja) 小型電動車両
ES2913124T3 (es) Dispositivo robótico para la verticalización y ayuda al movimiento de sujetos con discapacidades motrices severas
ES2845132T3 (es) Montaje de rampa de vehículo
NO20023548D0 (no) Et lite kjöretöy, n¶rmere bestemt en rullestol
KR200496348Y1 (ko) 휠체어에 탈착 가능한 보조 동력 장치
KR20160049778A (ko) 클램프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US9387145B2 (en) Care support apparatus
US20050016780A1 (en) Portable mid-wheel drive scooter
CN106236428A (zh) 分体式电动车把、电动轮椅
KR20110074161A (ko) 수동휠체어용 동력보조장치
ES2321456T3 (es) Dispositivo de accionamiento adicional para sillas de ruedas manuales.
KR101885121B1 (ko)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JP2002078756A (ja) ベッド及び車椅子
CN113397844B (zh) 助行器
KR101564833B1 (ko) 재활훈련이 가능한 휠체어 결합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