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121B1 -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121B1
KR101885121B1 KR1020170038296A KR20170038296A KR101885121B1 KR 101885121 B1 KR101885121 B1 KR 101885121B1 KR 1020170038296 A KR1020170038296 A KR 1020170038296A KR 20170038296 A KR20170038296 A KR 20170038296A KR 101885121 B1 KR101885121 B1 KR 101885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guide
wheel support
horizontal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재
Original Assignee
(주)글록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글록스 filed Critical (주)글록스
Priority to KR102017003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상적으로는 동축 모드에서 복수의 바퀴가 동축상에 위치되어 일반적인 휠체어의 사용에 아무런 불편함을 끼치지 않으며, 오직 틈새를 지나갈 때만 복수의 바퀴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이격 모드로 전환하여 안전하게 틈새를 지나갈 수 있는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WHEEL CHAIR AND CASTER DEVICE FOR WHEEL 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비교적 넓은 간격의 틈새를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는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바퀴가 부착된 의자로서,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의 이동수단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기본적인 휠체어의 구조는 메인 프레임(좌석포함)의 하부에 뒷바퀴(Mainwheel)와 앞바퀴(Caster)가 부착된 형태이다.
이 경우 뒷바퀴는 휠체어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력을 전달받는 바퀴이므로 반경이 크게 설계되고, 앞바퀴는 휠체어의 균형을 잡고 휠체어를 타고 내리기 용이하도록 작게 설계된다.
이러한 통상적인 휠체어는 장애물을 통과할 때, 주로 앞바퀴의 반경이 작아 지면에 형성된 틈새에 앞바퀴가 걸려 이동하기 힘든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지하철 플랫폼에서 지하철 내부로 이동시에, 또는 지하철 내부에서 지하철 플랫폼으로 이동시에 지하철과 플랫폼의 간격이 넓어 지하철을 승하차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만일 앞바퀴가 틈새에 빠지면 탑승자의 힘으로 틈새로부터 탈출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나아가서, 앞바퀴가 틈새에 빠지면 휠체어가 앞으로 기울어지면서 휠체어가 전복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이 틈새를 안전하게 지나가기 위한 휠체어에 관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3966호 "보조바퀴가 부착된 안전휠체어" (2012. 5. 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8076호 "보조 바퀴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휠체어" (2013. 1.2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4137호 "높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장치" (2009. 6.15.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1163호 "무한궤도 바퀴 어셈블리가 장착된 개량형 휠체어 장치" (2007.11. 5. 공개) 등이 그러한 예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휠체어에 별도의 장치를 부착하고 이를 이용하여 틈새를 지나가려고 하기 때문에, 틈새를 지나가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별도의 장치로 인하여 일상적인 휠체어의 사용에 불편함을 주게 된다. 즉 휠체어의 앞바퀴는, 휠체어의 균형을 잡고 휠체어를 타고 내리기 용이하도록 작게 설계되기 때문에 틈새를 지나갈 때 문제가 발생하는데, 종래의 기술들은 오히려 별도의 장치를 더 부착하여 휠체어를 타고 내리는데 불편함을 주게 된다. 이러한 시도라면 차라리 휠체어용 앞바퀴의 직경을 크게 하여 틈새를 지나가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3966호 "보조바퀴가 부착된 안전휠체어" (2012. 5. 2.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8076호 "보조 바퀴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휠체어" (2013. 1.24.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4137호 "높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장치" (2009. 6.15.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1163호 "무한궤도 바퀴 어셈블리가 장착된 개량형 휠체어 장치" (2007.11. 5.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8128호 "휠체어 앞바퀴 보조장치" (2000.10.1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상적인 휠체어의 사용에 아무런 불편함을 끼치지 않으면서 오직 틈새를 지나갈 때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바퀴 지지대 ; 제2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바퀴 지지대 ; 상기 제2바퀴의 회전축이 상기 제1바퀴의 회전축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동축 모드와, 상기 제2바퀴의 회전축이 상기 제1바퀴의 회전축의 연장선과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는 이격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바퀴 지지대가 상기 제1바퀴 지지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 자세 변환부 ; 상기 자세 변환부의 자세 변환에 필요한 자세 변환용 힘을 인가하는 자세 변환용 구동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환부는, 상기 제2바퀴 지지대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방향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 안내부는, 상기 제1바퀴 지지대가 상기 제2바퀴 지지대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환부는 상기 자세 변환용 구동부로부터 자세 변환용 힘을 인가받아 상기 제2바퀴 지지대와 상기 제1바퀴 지지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수평방향 안내부는 상기 제2바퀴 지지대의 수평방향 이동과 상기 제1바퀴 지지대의 수평방향 이동을 동시에 안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 상기 수평방향 안내부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면에 구동축 지지홈이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방향 안내바이며 ; 상기 수평방향 안내바는 캐스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며 ; 상기 제1바퀴 지지대는, 일측면 하부에 상기 수평방향 안내바의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되도록 제1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일측면 상부에 제1랙기어가 형성되며 ; 상기 제2바퀴 지지대는, 일측면 하부에 상기 수평방향 안내바의 제2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되도록 제2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일측면 상부에 제2랙기어가 형성되며 ;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단부가 상기 구동축 지지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하방향 중간부에 상기 제1랙기어 및 상기 제2랙기어와 랙 앤 피니언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가 마련되는 구동축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환용 구동부로서 구동모터가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으로 상기의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를 앞바퀴로서 구비한 휠체어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일상적으로는 동축 모드에서 복수의 바퀴가 동축상에 위치되어 일반적인 휠체어의 사용에 아무런 불편함을 끼치지 않으면서, 오직 틈새를 지나갈 때만 복수의 바퀴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이격 모드로 전환하여 안전하게 틈새를 지나갈 수 있는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캐스터 장치의 정면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캐스터 장치의 개념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캐스터 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캐스터 장치가 동축 모드일 때의 평면 개념도 및 정면 개념도,
도 7은 도 4의 캐스터 장치가 이격 모드일 때의 평면 개념도 및 정면 개념도,
도 8은 도 1의 휠체어가 틈새를 지나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캐스터 장치의 개념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휠체어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캐스터 장치의 정면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캐스터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캐스터 장치의 주요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캐스터 장치가 동축 모드일 때의 평면 개념도 및 정면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4의 캐스터 장치가 이격 모드일 때의 평면 개념도 및 정면 개념도이며, 도 8은 도 1의 휠체어가 틈새를 지나가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체어(100)는, 메인 프레임(좌석포함)(110)과, 메인 프레임(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뒷바퀴(Main wheel)(120)와 캐스터 장치(앞바퀴, caster device)(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캐스터 장치(200)의 주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주요 구성은 제1바퀴 지지대(210), 제2바퀴 지지대(220), 수평방향 안내바(230), 구동모터(240), 캐스터 프레임(250), 연결대(2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캐스터 프레임(250)은 연결대(260)에 의하여 메인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캐스터 장치(200)가 메인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은 매우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캐스터 프레임(250)에 구동모터(240) 및 수평방향 안내바(230)가 고정 결합된다. 고정 결합은 일반적으로 볼트 조립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은 매우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캐스터 프레임(250)의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방향 안내바(230)가 마련된다.
수평방향 안내바(230)는 일측면에 길이방향(휠체어 기준으로는 전후방향)으로 제1가이드홈(231)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제2가이드홈(232)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수평방향 안내바(230)의 상면에는 구동축 지지홈(23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평방향 안내바(230)는 후술하는 제1바퀴 지지대(210) 및 제2바퀴 지지대(220)의 수평방향 이동을 동시에 안내하기 위하여 형성된 구조이다.
수평방향 안내바(230)의 일측면에 제1바퀴 지지대(210)가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되도록 결합되며 타측면에 제2바퀴 지지대(220)가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되도록 결합된다.
제1바퀴 지지대(210)는 내측면 하부에 제1가이드돌기(211)가 돌출 형성되며, 제1바퀴 지지대(210)는 내측면 상부에 제1랙기어(212)가 형성되어 있다.
제1바퀴 지지대(210)는 제1가이드돌기(211)가 수평방향 안내바(230)의 제1가이드홈(231)에 삽입되어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된다.
제1바퀴 지지대(210)의 외측면의 외측에는 제1바퀴(213)가 제1바퀴 지지대(2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바퀴 지지대(210)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제1바퀴 지지축(214)이 마련되며, 제1바퀴(213)는 제1바퀴 지지축(21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바퀴가 바퀴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술은 매우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제2바퀴 지지대(220)는 내측면 하부에 제2가이드돌기(221)가 돌출 형성되며, 제2바퀴 지지대(220)는 내측면 상부에 제2랙기어(222)가 형성되어 있다.
제2바퀴 지지대(220)는 제2가이드돌기(221)가 수평방향 안내바(230)의 제2가이드홈(232)에 삽입되어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된다.
제2바퀴 지지대(220)의 외측면의 외측에는 제2바퀴(223)가 제2바퀴 지지대(2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바퀴 지지대(220)의 외측 수평방향으로 제2바퀴 지지축(224)이 마련되며, 제2바퀴(223)는 제2바퀴 지지축(22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캐스터 프레임(250)의 상부에 구동모터(240)가 고정되게 마련되며, 구동모터(240)의 구동축(출력축)(241)은 하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며 구동축(241)의 하단부는 수평방향 안내바(230)의 구동축 지지홈(23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40)의 구동축(241)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축(241)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피니언 기어(242)가 구동축(241)과 동심으로 결합되며, 피니언 기어(242)는 제1랙기어(212) 및 제2랙기어(222)와 랙 앤 피니언(rack and pinion) 결합된다. 즉 피니언 기어(242)에 의하여 구동모터(240)의 회전력이 제1,2바퀴 지지대(210, 220)의 수평방향 이동으로 전환된다.
캐스터 프레임(250)은 수평방향 안내바(230) 및 구동모터(240)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면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캐스터 장치(200)는 일반적인 휠체어(100)의 사용시에는, 도 6과 같이, 제1바퀴(213)의 회전축이 제2바퀴(223)의 회전축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동축 모드로 작동한다. 따라서 본 캐스터 장치(200)는 단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바퀴를 구비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휠체어의 앞바퀴와 완전히 동일하다. 즉 본 캐스터 장치(200)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편함이 전혀 없다.
다음으로 본 휠체어(100)로 틈새를 지나가려고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틈새를 만나게 되면, 도 7과 같이 구동모터(240)가 구동하여 피니언 기어(24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의하여 제1,2바퀴 지지대(210, 220)가 수평방향 이동하며, 특히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2바퀴 지지대(220)가 제1바퀴 지지대(21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2바퀴(223)의 회전축이 제1바퀴(213)의 회전축의 연장선과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는 이격 모드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이격 모드에서 틈새의 간격이 제1바퀴(213)와 제2바퀴(223)의 간격보다 넓지 않다면 틈새를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틈새를 안전하게 통과한 후 구동모터(240)가 구동하여 피니언 기어(24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본 캐스터 장치(200)는 도 6의 동축 모드로 전환되어 일반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8의 (a)와 같이 동축 모드로 본 휠체어를 사용하며, 틈새를 만나면 도 8의 (b)와 같이 이격 모드로 틈새를 안전하게 지나게 되며, 틈새를 지난 후 도 8의 (c)와 같이 다시 동축 모드로 본 휠체어를 편리하게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 제1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바퀴 지지대 ; 제2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바퀴 지지대 ; 상기 제2바퀴의 회전축이 상기 제1바퀴의 회전축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동축 모드와, 상기 제2바퀴의 회전축이 상기 제1바퀴의 회전축의 연장선과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는 이격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바퀴 지지대가 상기 제1바퀴 지지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 자세 변환부 ; 상기 자세 변환부의 자세 변환에 필요한 자세 변환용 힘을 인가하는 자세 변환용 구동부 ; 를 포함한다.
이때 자세 변환용 구동부는 자세 변환부의 자세 변환에 필요한 자세 변환용 힘을 인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이던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자세 변환용 구동부는 전기에 의하여 작동되는 구동모터를 채택하였지만, 핸들과 같이 수동방식으로 사용자의 힘을 직접 입력받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자세 변환용 구동부에서 회전력을 인가한다면 이를 제2바퀴 지지대(및/또는 제1바퀴 지지대)의 수평상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방식 또한 매우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랙 앤 피니언 결합 뿐만 아니라 스크류 너트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산업계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자세 변환용 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직접 직선상 힘을 인가하는 구동원이 선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세 변환용 구동부는 제2바퀴 지지대를 직접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자세 변환부는 제2바퀴 지지대가 제1바퀴 지지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면 어떠한 구조던지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세 변환부는 제1바퀴 지지대는 고정되고 제2바퀴 지지대는 이동하도록 설계하거나, 혹은 제1,2바퀴 지지대 모두가 이동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세 변환부는, 제2바퀴 지지대의 수평방향 이동, 바람직하게는 제1,2바퀴 지지대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방향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방향 안내부의 하나의 예로서 수평방향 안내바(230)가 제시되었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캐스터 장치의 개념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2바퀴 지지대(220)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홈(225)을 형성하고 제2바퀴 지지대(220)의 제2가이드홈(225)에 삽입되어 제2가이드홈(225)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제1바퀴 지지대(210)에 제1가이드돌기(211)를 형성하였다.즉, 제2바퀴 지지대(220)가 제1바퀴 지지대(210)에 의하여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되며, 아울러 제1바퀴 지지대(210)가 제2바퀴 지지대(220)에 의하여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될 수 있으므로, 제1,2바퀴 지지대(210, 220) 모두가 수평방향 안내부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아울러 캐스터 프레임(250) 또한 제1,2바퀴 지지대(210, 220)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9에서 구동모터(240)의 피니언 기어(242)는 제1,2랙기어(212, 222)와 랙 앤 피니언 기어 결합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동모터(240)의 피니언 기어(242)가 제1랙기어(212)에만 랙 앤 피니언 결합되어 제1바퀴 지지대(210)만이 수평방향 이동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휠체어 110 : 메인 프레임
120 : 뒷바퀴
200 : 캐스터 장치
210 : 제1바퀴 지지대 211 : 제1가이드돌기
212 : 제1랙기어 213 : 제1바퀴
214 : 제1바퀴 지지축
220 : 제2바퀴 지지대 221 : 제2가이드돌기
222 : 제2랙기어 223 : 제2바퀴
224 : 제2바퀴 지지축
230 : 수평방향 안내바 231 : 제1가이드홈
232 : 제2가이드홈 233 : 구동축 지지홈
240 : 구동모터 241 : 구동축
242 : 피니언 기어
250 : 캐스터 프레임
260 : 연결대

Claims (7)

  1. 제1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바퀴 지지대 ;
    제2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바퀴 지지대 ;
    상기 제2바퀴의 회전축이 상기 제1바퀴의 회전축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동축 모드와, 상기 제2바퀴의 회전축이 상기 제1바퀴의 회전축의 연장선과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는 이격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바퀴 지지대가 상기 제1바퀴 지지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 자세 변환부 ;
    상기 자세 변환부의 자세 변환에 필요한 자세 변환용 힘을 인가하는 자세 변환용 구동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환부는, 상기 제2바퀴 지지대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방향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 안내부는, 상기 제1바퀴 지지대가 상기 제2바퀴 지지대의 수평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환부는 상기 자세 변환용 구동부로부터 자세 변환용 힘을 인가받아 상기 제2바퀴 지지대와 상기 제1바퀴 지지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수평방향 안내부는 상기 제2바퀴 지지대의 수평방향 이동과 상기 제1바퀴 지지대의 수평방향 이동을 동시에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
    상기 수평방향 안내부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제1가이드홈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제2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면에 구동축 지지홈이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방향 안내바이며 ;
    상기 수평방향 안내바는 캐스터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며 ;
    상기 제1바퀴 지지대는, 일측면 하부에 상기 수평방향 안내바의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되도록 제1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일측면 상부에 제1랙기어가 형성되며 ;
    상기 제2바퀴 지지대는, 일측면 하부에 상기 수평방향 안내바의 제2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수평방향 이동이 안내되도록 제2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일측면 상부에 제2랙기어가 형성되며 ;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단부가 상기 구동축 지지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하방향 중간부에 상기 제1랙기어 및 상기 제2랙기어와 랙 앤 피니언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가 마련되는 구동축이 마련되는 것 ;
    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변환용 구동부로서 구동모터가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를 앞바퀴로서 구비한 휠체어.
KR1020170038296A 2017-03-27 2017-03-27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KR101885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296A KR101885121B1 (ko) 2017-03-27 2017-03-27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296A KR101885121B1 (ko) 2017-03-27 2017-03-27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121B1 true KR101885121B1 (ko) 2018-08-03

Family

ID=63250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296A KR101885121B1 (ko) 2017-03-27 2017-03-27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1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125A (ko) * 2019-11-05 2021-05-13 맹환호 스마트 휠체어
KR102507623B1 (ko) 2022-11-15 2023-03-08 조윤성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247A (ja) * 1998-11-02 2000-05-1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車椅子用二輪キャスター
JP2000316913A (ja) * 1999-05-12 2000-11-21 Kimihiko Shimizu 車椅子及び荷車
KR200208128Y1 (ko) 2000-07-24 2000-12-15 나기태 휠체어 앞바퀴 보조장치
JP2002035053A (ja) * 2000-07-24 2002-02-05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等におけるキャスタの取付構造
KR20070001163U (ko) 2007-10-09 2007-11-05 윤주선 무한궤도 바퀴 어셈블리가 장착된 개량형 휠체어 장치
KR100904137B1 (ko) 2007-08-30 2009-06-24 윤주선 높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장치
KR101143966B1 (ko) 2009-11-06 2012-05-11 고길환 보조바퀴가 부착된 안전휠체어
KR101228076B1 (ko) 2011-04-19 2013-01-30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보조 바퀴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휠체어
KR101339780B1 (ko) * 2010-10-21 2013-12-11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장애물을 승월할 수 있는 이동 기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5247A (ja) * 1998-11-02 2000-05-16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車椅子用二輪キャスター
JP2000316913A (ja) * 1999-05-12 2000-11-21 Kimihiko Shimizu 車椅子及び荷車
KR200208128Y1 (ko) 2000-07-24 2000-12-15 나기태 휠체어 앞바퀴 보조장치
JP2002035053A (ja) * 2000-07-24 2002-02-05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等におけるキャスタの取付構造
KR100904137B1 (ko) 2007-08-30 2009-06-24 윤주선 높이 조절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장치
KR20070001163U (ko) 2007-10-09 2007-11-05 윤주선 무한궤도 바퀴 어셈블리가 장착된 개량형 휠체어 장치
KR101143966B1 (ko) 2009-11-06 2012-05-11 고길환 보조바퀴가 부착된 안전휠체어
KR101339780B1 (ko) * 2010-10-21 2013-12-11 주식회사 스페이스솔루션 장애물을 승월할 수 있는 이동 기구
KR101228076B1 (ko) 2011-04-19 2013-01-30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보조 바퀴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휠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125A (ko) * 2019-11-05 2021-05-13 맹환호 스마트 휠체어
KR102298864B1 (ko) * 2019-11-05 2021-09-06 맹환호 스마트 휠체어
KR102507623B1 (ko) 2022-11-15 2023-03-08 조윤성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448B2 (en) Elevating manual wheelchair
EP2758018B1 (en) Stabilized raising wheelchair
US20130168931A1 (en) Indoor Walker
JP2005517614A (ja) 昇降機構及びその昇降機構を組み込んだ医療設備
KR101885121B1 (ko)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EP3072489A1 (en) Multifunctional transport and rehabilitation robot
JPH1170146A (ja) 車椅子
KR102150594B1 (ko) 휠체어
KR101409202B1 (ko) 휠체어
KR20110050044A (ko) 보조바퀴가 부착된 안전휠체어
KR20200061722A (ko) 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보조동력장치와 휠체어 간의 연결 어셈블리
CN111469950A (zh) 智能移动装置
JP4746147B1 (ja) 移乗機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JP4508760B2 (ja) 立ち上がり補助椅子
JP2017124263A (ja) 車椅子
KR20090078025A (ko) 보행보조장치
CN101288616B (zh) 具有离地距离可变化的脚踏板的垂直式座椅
KR20230004154A (ko) 후면 진입 휠체어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RU2542557C1 (ru) Инвалидная коляска с изменяемой базой
JP2001161752A (ja) 分離合体型車椅子
KR101772509B1 (ko) 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중심축이 없는 전동 휠체어
KR102622797B1 (ko) 취약계층을 위한 주행 가변형 전동 휠체어
CN219579346U (zh) 一种按摩机芯滑动调节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