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025A - 보행보조장치 - Google Patents

보행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025A
KR20090078025A KR1020080003775A KR20080003775A KR20090078025A KR 20090078025 A KR20090078025 A KR 20090078025A KR 1020080003775 A KR1020080003775 A KR 1020080003775A KR 20080003775 A KR20080003775 A KR 20080003775A KR 20090078025 A KR20090078025 A KR 20090078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ndle
support
hood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2840B1 (ko
Inventor
추이치 시노기
Original Assignee
추이치 시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이치 시노기 filed Critical 추이치 시노기
Priority to KR102008000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8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행보조장치는 보행장애자나 발, 허리가 약한 고령자가 정상에 가까운 상태로 걸을 수 있도록 한 보행보조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 제] 사이드프레임과 손잡이가 붙어있는 손잡이프레임과 시트를 둘러싸듯 구성되어 구성요소를 최소한의 지지와 걸어맞춤을 해제하므로서 간단히 접을 수 있도록 한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지주1의 상부에 등판2와 하부에 배설되어 일륜차6이 회전가능토록 유지시킨 타이어유지프레임7과 지주1에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일륜차6의 축심과 중심이 거의 일치되는 위치에 배설된 시트9와 타이어유지프레임7의 일단이 고정되어 전후에 차륜10이 붙어있는 평면 "U"자 형상의 후드프레임5와 이 후드프레임5의 일단이 회전가능토록 지지되어 다른쪽 지주1의 상부에 배설시킨 걸림판13과 걸거나 빠지는 "U"자 형상의 사이드프레임11과 중간부를 사이드프레임11에 회전가능토록 지지한 하단을 후드프레임5에 붙이고 떼고 할 수 있도록 고정한 손잡이17과 손잡이프레임18이 배설된 손잡이프레임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행보조장치, 드판, 후드프레임, 일륜차, 사이드프레임, 걸림판, 고정스탠드

Description

보행보조장치{Walking aid equipment}
본 발명은 보행장애자나 다리 및 허리가 약한 고령자가 정상에 가까운 상태로 보행할 수 있도록 한 보행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보행장애자나 다리 및 허리의 약한 고령자를 위해 보행 보조기구로서 휠체어 일륜보행차 등의 보행차, 보행보조지팡이, 목발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휠체어나 일륜보행차 등의 보행차는 시트에 앉아 보호자가 조작하거나 자신의 수족으로 주행 조작을 하기 때문에 간단히 주행 이동하는 것이 가능케 되었다. 이런 것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먼저 일륜차를 이용한 일륜보행차를 제안하게 된 것으로서, 이 기술은 전후방 양쪽에 각각 차륜이 붙어있어 후방측의 차륜이 다른 차륜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후드파이프(Hood pipe)와 관상의 상부와 두 고간상(股間狀) 하부로 구성되며, 이 하부의 하단이 각각 후드파이프에 고정된 포크와 이 포크의 하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차륜과 상기 포크 상단에 상하이동이 가능케 설치된 받침판과 이 받침판 상단에 설치된 차륜 시트와 이 시트의 후방에 배치된 좌우의 등받이파이프와 이동유지파이프에 각각 부착되어 전방쪽으로 뻗어나온 좌우의 팔목받침부를 비치한 구성으로 한다(일본국특개2001-95865공보참조 ).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으로서는 일륜차 바퀴가 붙어 있는 후드파이프, 등받이, 팔목받침부, 그립, 시트 등의 구성요소에 의해 장치화된 보행보조기구로서 인체를 유지하면서 주행 이동하기 때문에 전체의 장치구성은 상당히 크게 형성되어 보관 관리에 많은 스페이스(Space)가 필요하게 되며, 일반가정에서 사용하는데는 통로 등 보관 스폐이스의 확보가 큰 과제가 된다. 또한 일본국 특개2005-58672호 공보에서와 같이 등받이에 상반신을 안전밴드로 고정하여 안전성을 높이고 있으나, 사용때 마다 안전밴드의 장치를 해제한다는 것은 아주 귀찮고 번거로운 과제를 지니고 있다. 또한 시트 지주를 수납하는 것이 곤란한 과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사이드프레임과 손잡이가 설치된 손잡이프레임으로써 시트를 둘러 싸도록 구성하며, 그 위에 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이나 구성요소를 최소한의 지지와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간단히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행보조장치는 상부에 등판과 지지판이 배설된 지주와, 이 지주 하부에 배설되어 일륜차가 회전가능토록 유지된 타이어유지프레임과 상기 지주에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이 가능토록 일륜 일륜차의 축심(軸心)과 중심(重心)이 거의 일치되는 위치에 배설된 시트와 상기 타이어유 지프레임의 일단이 고정되어 전후에 차륜이 붙어 있는 평면 "U"자 형상의 후드프레임(Hood frame)과 이 후드프레임의 일단으로 회전가능토록 지지되어 다른쪽의 상기 지주 상부에 배설된 지지판과 빠지는 "U"자 형상의 사이드프레임에 회전 가능토록 유지하는 동시에 하단을 상기 후드프레임에 탈착가능토록 고정된 상단 손잡이가 설치된 손잡이프레임이 배설되어 있는 손잡이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차의자와 같이 안정된 주행이동과 일륜차를 중심으로 한 회전기능으로 주행조작이 극히 양호하도록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의 보행보조장치는 상기 손잡이지지프레임의 하단을 상기 후드프레임으로부터 고정을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다른쪽을 상기 지주 상부에 배설된 지지판으로부터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지주를 조인트 부분에서 전방으로 눕히므로 접을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보관 스페이스가 종래와 비교하여 아주 적어도 되는 작용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보행보조장치는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프레임으로서 상기 시트를 둘러싸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후좌우가 프레임으로 둘러 싸이는 고로 안전이 확보되며 사용시 일일이 안전벨트를 장착할 필요가 없는 작용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의 보행보조장치는 상기 손잡이를 상기 후드프레임부터 안쪽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좁은 통로에서도 후드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이 통과할 수 있으며, 손잡이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의 보행보조장치는 상기 손잡이지지프레임의 상단에 배치 된 손잡이와 이 손잡이로부터 여유가 있는 손잡이프레임을 상기 손잡이로부터 손잡이 쪽으로 상승하여 경사를 짓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6의 보행보조장치는 상기 손잡이로부터 여유가 있는 좌우의 손잡이프레임을 접쳐서 앞쪽을 맞출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손잡이 혹은 손잡이프레임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돌출부분의 손잡이프레임을 뒷쪽 혹은 아래쪽으로 개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개방시 출입이 자유로워지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는 작용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보조장치는 상기 구성을 이루므로 프레임에 둘러 싸여서 휠체어 처럼 안전한 주행 이동과 일륜차를 중심으로 한 회전기능으로 주행 조작이 극히 양호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조장치를 구성하는 프레임이나 구성요소를 최소한의 지지와 결합을 해제하므로서 간단히 접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콤팩트(Compact)하게 되므로 보관 스페이스가 종래에 비해 아주 적게 소요되는 작용 효과를 얻는다. 또한 전후좌우가 프레임으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안전히 확보되며 사용시 매번 안전벨트를 쓸 필요가 없는 작용 효과를 얻는다. 또한 손잡이를 후드프레임으로부터 안쪽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므로 좁은 통로라도 후드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이 통과되면 손잡이가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 효과를 얻는다.
또한 손잡이를 손앞이 아래로 되도록 경사를 둔 구성으로 이루어져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신장차가 있어도 손앞부터 뒷쪽으로 잡는 위치를 바꿀 수 있는 작용 효과를 얻는다. 그 위에 손잡이로부터 뻗어나온 좌우의 프레임을 접쳐서 끄부분을 맞대며 손잡이를 회전하므로서 맞대인 프레임을 상방 혹은 아래쪽으로 개방하도록 구성하므로서 개방시 출입이 자유로워지므로 사용이 편리해지는 작용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보행보조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금속제 파이프나 프레임으로 된 지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부의 등판2가 넣고 빼기가 가능토록 설치되어 있고, 지주1의 하부에는 지주1을 꾸부리기가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인트3이 설치되어 상기 조인트3은 지주1을 지지하는 "L"자형의 프레임4호 후드프레임5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후드프레임5에는 일륜차6이 회전가능토록 유지된 "U"자 형상의 타이어유지프레임7이 고정되어 있고, 그 위에 타이어유지프레임7은 지주1을 지지하는 "L"자형의 프레임4에 고정되어 있어도 관계가 없으며, 또한 타이어유지프레임7의 고정 끝과는 반대쪽에 한쪽이 고정되어, 일륜차6에 따라 꾸부려서 다른쪽이 "L"자형의 프레임4에 고정시켜 서포트프레임8을 설치하고, 지주1에 하중이 부가되었을 때 타이어유지프레임7의 고정 끝과는 반대쪽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되도록 되어 있으나, 프레임 강도가 크면 특히 필요가 없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9는 앉는 자리용 시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지주1에 상 하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설치되어 전술한 것과 같은 지지구성으로 지주1의 상하임의 위치에 걸리도록 되어 있으며, 또 상기 시트9는 아래쪽으로 배치된 일륜차6의 축심과 중심이 거의 일치하는 위치에 배설되어 있고, 따라서 사용자의 부하는 일륜차6에 직접 걸리는 상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후드프레임5에는 전후좌우의 네곳에 회전이 자유로운 차륜10이 설치되어 있으며,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일륜차6의 착지시 시야가 기울어진 쪽의 차륜10이 착지하여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주행 이동 중에 좌우로 돌려고 할 때 일륜차6의 착지만 할 때 저항이 없이 부드럽게 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1은 한쪽이 상기 후드프레임5의 일단과 핀12 등으로 회전가능케 지지되어 "U"자 형상으로 연결된 사이드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다른쪽이 상기한 지주1의 상부에 설치된 걸림판13에 빼고 끼우기가 가능토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프레임11은 아래쪽 일단에서 위쪽 상방의 타단으로 향하여 경사진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사이드측을 방어하도록 되어 있으며, 14는 손잡이지지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거의 중간부가 상기 사이드프레임11에 핀15 등으로 회전가능토록 유지되어 하단이 상기 후드프레임5에 핀16 등으로 붙이고 떼기가 가능토록 고정하는 구성에 대신하여 손잡이지지프레임14의 하단을 후드프레임5에 눌러 넣어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이라든가 하단을 후드프레임5에 고리(Hook)로서 연결하는 타입(Type)으로 하여 착탈 가능케 고정하는 구성으로도 좋고, 그리고 상단에는 손잡이17이 설치된 손잡이프레임1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프레임18은 손잡이17부터 뻗어 나온 좌우의 프레임을 꾸부려서 앞부분을 마주치듯 구성하여 상기 손잡이프레임18을 회전하므로서 마주친 후 프레임을 화살표 처럼 위쪽 혹은 아래쪽으로 개방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개방시에 사용자의 출입이 자유스러워지므로 사용이 편리해진다. 더우기 손잡이17을 회전하여 손잡이프레임18을 회전시켜도 좋다, 또한 손잡이17 및 이 손잡이17에서 뻗어 나온 손잡이프레임18은 손잡이17의 앞쪽이 아래로 되고 상기 손잡이프레임18의 돌출부가 위로 올라가도록 경사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은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신장차가 있어도 앞쪽에서 뒤쪽으로 지지하는 위치가 바꾸어지도록 손잡이 부분을 길게 형성하여 손앞부터 위로 올라가도록 경사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손잡이17이 설치된 손잡이프레임18과 사용자의 옆쪽을 지키는 사이드프레임11으로서, 시트9를 둘러싸고 있는 구성이므로, 전후좌우가 프레임으로 싸여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것이다. 그리고 손잡이17을 후드프레임5로부터 안쪽으로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좁은 통로라도 후드프레임5와 사이드프레임11이 통과되면 손잡이17이 방해되는 일이 없게 된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9는 주행 정지시에 보행보조장치를 안정시켜 착지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 고정스탠드(Lock stand)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면상으로는 두 고간(股間)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입출가이드20이 후드프레임5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부호 21은 고정스탠드19를 조작하기 위한 발로 밟는 페달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페달21을 대신하여 손잡이지지프레임18에 배설된 조작박스22의 조작노브23을 조작하므로 와이어24로서 고정스탠드19를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렇게 하면 사용자 자신이 조작할 수 있어 편리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구성으로 된 보행보조장치의 접는 순서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처음 시트9를 지주1의 상부에 이동시켜, 다음으로 손잡이지지프레임14의 착탈 가능토록 고정 지지되어 있는 하단의 핀16을 후드프레임5로부터 빼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한다. 다음 도 2와 같이 지주1의 상부에 붙어 있는 걸림판13을 화살표와 같이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빼서 개방시켜, 사이드프레임11의 다른쪽 걸림지지를 해제한다. 다음에 사이드프레임11을 후드프레임5의 일단과 핀12의 지지부를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낮추면 손잡이지지프레임14는 핀15를 중심으로 손잡이프레임18이 전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따라서 지주1을 조인트2를 중심으로 앞으로 제치면 시트9가 일륜차6과 손잡이프레임18과의 사이에 들어가 평탄하게 접어진다. 따라서 보조장치 전체로서 콤팩트(Compact) 해지므로 보관 스페이스가 종래에 비하여 휠씬 적게 차지 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시는 상기한 순서를 역으로 하여 조립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행보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행보조장치를 접은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지주
2 : 등판
3 : 조인트
4 : 프레임
5 : 후드프레임
6 : 일륜차
7 : 타이어유지프레임
8 : 지지프레임
9 : 시트
10 : 차륜
11 : 사이드프레임
12, 15, 16 : 핀
13 : 걸림판
14 : 손잡이지지프레임
17 : 손잡이
18 : 손잡이프레임
19 : 고정스탠드
20 : 입출가이드
21 : 발페달
22 : 조작박스
23 : 조작노브
24 : 와이어

Claims (6)

  1. 상부에 등판과 걸림판이 설치된 지주와, 그 지주 하부에 설치된 일륜차가 회전가능케 유지하는 타이어유지프레임과 상기 지주에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그 위에 상기 일륜차의 축심과 중심이 거의 같은 위치에 설치된 시트와 상기 타이어유지프레임의 일단이 고정되어 전후에 차륜이 부착된 평면 "U"자 형상의 후드프레임과 이 후드프레임의 일단으로 회전가능케 지지되어 다른쪽 상기 지주 상부에 설치된 걸림판과 빠져나오는 "U"자 형상의 사이드프레임 중간부를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회전가능케 유지하는 동시에 하단을 상기 후드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상단에 핸들이 설치된 핸들지지프레임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지지프레임의 하단을 상기 후드프레임에서 고정을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다른쪽 지주 상부에 설치된 걸림판으로부터 풀어줘 상기 지주를 조인트 부분에서 전방에 눕힙으로 휴대에 편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핸들이 설치된 핸들프레임으로서 상기 시트를 둘 러 싸는듯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을 상기 후드프레임부터 안쪽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지지프레임의 상단에 배치된 핸들과 핸들에서 빠져나온 핸들프레임을 핸들로부터 핸들프레임 쪽으로 올라가도록 경사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로부터 빠져나온 좌우의 핸들프레임을 꾸부려서 앞쪽부분을 맞추도록 구성하며, 상기 핸들 또는 핸들프레임을 회전하므로서 상기 튀어나온 부분의 핸들프레임을 상하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보행보조장치.
KR1020080003775A 2008-01-14 2008-01-14 보행보조장치 KR100932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775A KR100932840B1 (ko) 2008-01-14 2008-01-14 보행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775A KR100932840B1 (ko) 2008-01-14 2008-01-14 보행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025A true KR20090078025A (ko) 2009-07-17
KR100932840B1 KR100932840B1 (ko) 2009-12-21

Family

ID=4133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775A KR100932840B1 (ko) 2008-01-14 2008-01-14 보행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4709A (zh) * 2020-01-20 2020-05-01 南京平方医疗科技有限公司 可折叠助步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997B1 (ko) 2010-09-08 2012-12-04 한경희 파워 보행기
WO2013006137A1 (en) * 2011-07-04 2013-01-10 Nanyang Polytechnic Walking aid device with foldable seat
KR101433284B1 (ko) 2012-11-28 2014-09-17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자세조절부를 포함하는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123Y1 (ko) 2003-07-07 2003-10-17 한복남 실버보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4709A (zh) * 2020-01-20 2020-05-01 南京平方医疗科技有限公司 可折叠助步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840B1 (ko) 2009-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6698B2 (en) Manually operable standing wheelchair
US4431076A (en) Adjustable collapsible wheelchair
US6161860A (en) Collapsible and convertible walker for disabled persons
US5647602A (en) Hemi-wheeled walker
US5338048A (en) Collapsible wheelchair
US20090033052A1 (en) Reversible walker assembly
CN208301852U (zh) 一种折叠式多功能助行器
JP2005087415A (ja) 杖兼用の車椅子
TWI649079B (zh) 移動支撐組件
KR200443845Y1 (ko) 노약자용 보행보조차
KR20090078025A (ko) 보행보조장치
KR200423562Y1 (ko) 자활능력 강화용 휠체어
WO2008103143A1 (en) Mobile support assembly
WO2020029751A1 (zh) 一种婴儿推车
JP4822190B2 (ja) 歩行補助装置
JPH10295749A (ja) 歩行補助器
TWI649076B (zh) 移動支撐組件
KR200366683Y1 (ko) 카트형 보행보조기
ITMI20020241U1 (it) Passeggino pieghevole per bambini
KR20130012341A (ko) 휠체어 및 전동스쿠터용 차양막
CN209236627U (zh) 一种履带式爬楼轮椅
CN209519001U (zh) 具有可伸缩轮的轮椅及轮椅系统
KR20120002374A (ko) 보행 보조차
KR200406016Y1 (ko) 휴대용 접철 휠체어
JP4147569B2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