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125A - 스마트 휠체어 - Google Patents

스마트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125A
KR20210054125A KR1020190139849A KR20190139849A KR20210054125A KR 20210054125 A KR20210054125 A KR 20210054125A KR 1020190139849 A KR1020190139849 A KR 1020190139849A KR 20190139849 A KR20190139849 A KR 20190139849A KR 20210054125 A KR20210054125 A KR 20210054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heelchair
coupled
fram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864B1 (ko
Inventor
맹환호
강민구
박래진
강성민
Original Assignee
맹환호
박래진
강성민
강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환호, 박래진, 강성민, 강민구 filed Critical 맹환호
Priority to KR102019013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8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for automatically guiding movable devices, e.g. stretchers or wheelchairs in a hospi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휠체어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모터부, 모터부와 동일 선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 구동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체 및 기둥체의 일지점에서 피니언 구동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래크로 구비되는 래크 구동부 및 복수 개의 래크 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바퀴부를 포함하며, 피니언 구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샤프트, 길이 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 샤프트 및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결합되는 피니언으로 구비되되, 복수 개의 피니언은 복수 개의 래크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동 하는 경우, 휠체어의 시트는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휠체어 {SMART WHEELCHAIR}
본 발명은 스마트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휠체어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모터부, 모터부와 동일 선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 구동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체 및 기둥체의 일지점에서 피니언 구동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래크로 구비되는 래크 구동부 및 복수 개의 래크 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바퀴부를 포함하며, 피니언 구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샤프트, 길이 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 샤프트 및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결합되는 피니언으로 구비되되, 피니언은 래크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휠체어의 시트는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하체기능이 원활하지 않은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에 바퀴를 단 의자로,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수동휠체어는 구조의 단순함과 경량, 접이식 구조로 많은 교통약자의 이동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전기의 힘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이동하는 전동휠체어 또는 전동 스쿠터 등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이러한 기존의 휠체어는 평지에서는 그 이동이 수월하지만, 계단, 에스컬레이터 및 경사로와 같이 경사가 진 환경에서는 주행이 불가능하거나, 휠체어의 전복으로 탑승자의 인명피해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휠체어 의자는 탑승자가 앉았을 때, 골반이나 허벅지 부분이 솜이나 스폰지류의 쿠션과 외피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습기가 많은 하절기에는 많은 양의 땀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의자에 사용자가 앉게 되면 의자에 중량이 실려 쿠션 내부를 지나는 통풍이 차단되게 되며, 쿠션 내부를 지나는 통풍이 차단되면 의자 하부로 공기가 순환되지 못하여 쿠션을 깔아도 시원한 느낌을 주지 못하는 한편, 오히려 땀이 발생됨으로 인하여 각종 습진이나 피부병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휠체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225100 B1 KR 10-1694855 B1
본 발명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휠체어에 탑승하고 생활하는 장애인 또는 노인들의 하체에 발생되는 땀으로 인한 땀띠 등을 포함하는 피부질환을 방지 및 경사면에서 휠체어 시트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휠체어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모터부, 모터부와 동일 선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 구동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체 및 기둥체의 일지점에서 피니언 구동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래크로 구비되는 래크 구동부 및 복수 개의 래크 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바퀴부를 포함하며, 피니언 구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샤프트, 길이 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 샤프트 및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결합되는 피니언으로 구비되되, 피니언은 래크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휠체어는 휠체어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모터부, 상기 모터부와 동일 선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 구동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체 및 상기 기둥체의 일지점에서 상기 피니언 구동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래크로 구비되는 래크 구동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래크 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바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니언 구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샤프트, 상기 길이 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 샤프트 및 상기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결합되는 피니언으로 구비되되, 상기 피니언은 상기 래크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휠체어의 시트는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상기 바퀴부를 길이 방향으로 잇는 링크부 및 빛을 점등시키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는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 운행될 경우 자동으로 빛이 점등되고, 상기 링크부는 힌지로 결합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로 구비되되,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바퀴부를 인접하도록 위치시킬 경우, 상기 휠체어의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니언 구동부는, 상기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연장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이동 샤프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래크 구동부는, 상기 기둥체의 양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 홈을 더 구비하되, 상기 삽입 홈은 내부를 향할수록 길이 방향의 길이가 더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 샤프트의 단부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될 경우, 상기 이동 샤프트의 이탈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휠체어에 의하면 내부를 향할수록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삽입 홈의 형상에 따라 이동 샤프트가 삽입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삽입 샤프트 및 삽입 홈에 자성체가 형성되어 삽입 샤프트 및 삽입 홈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정의 각도를 지닌 경사면에서 운행될 때, 경사에 의해 인지하기 어려웠던 점을 빛을 점등시키는 조명부로 인해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되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정의 경사 각도를 이루는 지면에서 운행될 때에 좌석의 위치를 항상 중력 방향으로부터 수직되도록 유지시켜 탑승자가 앞이나 뒤로 쏠리지 않고, 안전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운행하여 승차감과 안전성이 모두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양 측부에 가이드레일이 결합되고, 휠체어 하부 시트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가이드레일이 맞물려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므로, 필요 시에만 날개부를 돌출시켜 외부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로 인해 제1 날개부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어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에 바람을 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습기를 제거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에너지 효율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습기센서 및 압력센서로부터 현재 습도 및 압력을 전달받아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습도 및 기준 압력과 비교하고, 이를 통해 유압부 및 송풍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으로 인해, 탑승자의 별도 조작 없이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화가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 통신부 및 서보모터부의 구성으로 인해, 제1 날개부의 각도를 입력부에 가하는 특정 신호만으로 조절하여 편의성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사고 위험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렉 구동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렉 구동부 및 피니언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리막 길에서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막 길에서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에 습기 제거 유닛이 결합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며, "수직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부"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휠체어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휠체어는 프레임부(100), 모터부(200), 피니언 구동부(300), 래크 구동부(400), 바퀴부(500), 링크부(600) 및 습기 제거 유닛(1000)을 포함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프레임부(100) 및 모터부(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프레임부(100)는 탑승자의 엉덩이 부근(하체)이 안착되는 시트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프레임의 종류로서,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은 탑승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시트의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결합된다.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은 원통 형상의 금속 재질의 샤프트(shaft) 형태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또한,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양단부에서 복수 개의 모터부(200)가 결합된다.
모터부(200)는 전력을 받아 회전하고, 모터 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공지의 동력 기계를 포함하고, 제1 모터(210) 및 제2 모터(220)로 구비된다.
따라서, 제1 프레임(110)의 양 단부에 제1 모터(210)가 한 쌍으로 결합되고, 제2 프레임(120)의 양 단부에 제2 모터(220)가 한 쌍으로 결합된다. 이는, 한 쌍의 제1 모터(210) 및 제2 모터(220)가 후술할 피니언 구동부(300)와 결합되어 탑승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시트가 중력 방향에 수직되도록 구동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피니언 구동부(300) 및 래크 구동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피니언 구동부(300)는 한 쌍의 제1 모터(210) 및 제2 모터(220)의 하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서 피니언 구동부(300) 및 래크 구동부(400)는 복수 개로, 동일한 형상 및 구동이 적용되므로, 제1 모터(210)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 구동부(300) 및 래크 구동부(400)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피니언 구동부(300)는 길이 샤프트(310), 고정 샤프트(320), 이동 샤프트(330) 및 피니언(340)으로 구비된다.
길이 샤프트(310)는 제1 모터(210)의 축과 결합되며, 샤프트 형태를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 샤프트a(311) 및 길이 샤프트b(312)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스플라인 홈과 고리상의 결합 홈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축을 지니는 복수 개의 샤프트가 연장 형성되어 내측면 및 외측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모터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모든 구조를 포함한다.
고정 샤프트(320)는 길이 샤프트(310)의 하부에서 결합된다.
또한, 고정 샤프트(320)는 원통 형상의 네 개의 샤프트가 서로 수직되도록 용접되어 사각형 형태로 밀폐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도 2 참조).
위와 같은 고정 샤프트(320)의 하부에 피니언(340)과 결합된다.
고정 샤프트(320)와 피니언(340)의 결합은 회전하고 있는 기계의 축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기계 요소인 베어링(Bearing) 요소의 결합을 포함하고, 피니언(340)의 회전에 따라 결합된 고정 샤프트(320)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길이 샤프트(310) 역시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
피니언(340)은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공지의 기어장치로, 폭 방향의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래크(430)와 맞물린다.
먼저, 래크 구동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래크 구동부(400)는 기둥체(410), 삽입 홈(420) 및 래크(430)로 구비된다.
기둥체(41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래크(430)는 기둥체(410)의 외측면 중 피니언(340)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피니언(34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래크(430)를 따라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기둥체(4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한 양측면에서 한 쌍의 삽입 홈(4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삽입 홈(420)은 기둥체(410)의 외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두 번 절삭되는데, 첫번째 절삭되는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두번째 절삭되는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 샤프트(330)가 삽입 홈(420)에 삽입되어 피니언(340)이 래크(43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동 샤프트(330)가 삽입 홈(420)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를 향할수록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삽입 홈(420)의 형상에 따라 이동 샤프트(330)가 삽입 홈(4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동 샤프트(330)는 고정 샤프트(320)의 일지점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 샤프트(331) 및 각각의 절곡 샤프트(331)에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 샤프트(332)로 구비된다(도 2 참조).
또한, 각각의 삽입 샤프트(332) 및 삽입 홈(420)에는 자성체(M)가 삽입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성체(M)는 강자성체 물질을 포함하고, 삽입된 방향으로 강하게 자기화 하는 물질로, 삽입 샤프트(332) 및 삽입 홈(420)에 형성되어 삽입 샤프트(332) 및 삽입 홈(42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휠체어 하부(10)에서 사람의 체중을 견디면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는 구조 상, 수직 방향의 이동에 반대되는 적당한 마찰력을 주어 사람의 체중에 의한 빠른 수직방향으로의 빠른 속도를 제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위와 같은 구동은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경사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휠체어가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 운행될 때 마다 경사 센서의 휠체어 하부(10)의 기울기 값에 따라 제어부가 모터부(200)를 구동시켜 탑승자의 하부가 안착되는 시트는 항상 중력으로부터 수직되도록 유지되어 안전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탑승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 센서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및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으로 구비될 수 있고, 3축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평면에서부터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공지의 제어장치(control unit)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휠체어 하부(10)가 중력으로부터 항상 수직하도록 모터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부를 더 포함하여 경사면에서 운행되거나 야간에 운행될 때 빛을 점등시킬 수 있다.
조명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명부 역시 마찬가지로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며, 소정의 각도를 지닌 경사면에서 운행될 때, 경사에 의해 인지하기 어려웠던 점을 빛을 점등시키는 조명부로 인해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되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퀴부(500)는 복수개로 래크 구동부(400)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지면에서부터 위치변경을 위해 운행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600)는 복수 개로 각각의 바퀴부(500)를 길이 방향으로 잇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링크부(600)는 두 개 이상의 막대 형상인 핀을 연결한 공지의 링크 장치(Link motion)의 구조를 포함하고, 도 1에서는 하나의 관절을 지니는 링크부(600)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설계되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의 링크부(600)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휠체어의 미 운행 시, 바퀴부(500)를 서로 근접하도록 접어 운반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에서의 구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 구동부(300) 및 래크 구동부(400)는 도 4에서 도시된 탑승자의 다리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나뉘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a)와 같이, 내리막길에서 운행될 경우, 전방의 피니언 구동부(300)는 전방의 래크 구동부(40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고, 후방의 피니언 구동부(300)는 후방의 래크 구동부(40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여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내리막길에서 탑승자의 하체가 안착된 휠체어 하부 시트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동하여 내리막길 운행에서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b)와 같이, 오르막길에서 운행될 경우, 전방의 피니언 구동부(300)는 전방의 래크 구동부(40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고, 후방의 피니언 구동부(300)는 후방의 래크 구동부(40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오르막길에서 탑승자의 하체가 안착된 휠체어 하부 시트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동하여 오르막길 운행도 마찬가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경사 각도를 이루는 지면(I)에서 운행될 때에 좌석의 위치를 항상 중력 방향으로부터 수직되도록 유지시켜 탑승자가 앞이나 뒤로 쏠리지 않고, 안전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운행하여 승차감과 안전성이 모두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습기 제거 유닛(10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습기 제거 유닛(1000)을 설명하도록 한다.
습기 제거 유닛(1000)은 휠체어 하부(1100), 날개부(1200), 유압부(1300), 송풍부(1400), 제어부(1500), 습기센서(1600), 압력센서(1700) 및 힌지부(1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 예에서의 휠체어 하부(1100)는 일 실시예에서의 휠체어 하부(10)와 동일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구조만이 상이하다.
휠체어 하부(110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탑승자의 엉덩이가 맞닿는 부분이다. 휠체어 하부(1100)의 내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후술하겠지만, 중공부에는 날개부(1200)가 삽입 및 돌출 가능하다.
날개부(1200)는 휠체어 하부(110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개구부를 통해 삽입 및 돌출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판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날개부(1200)는 도 5를 기준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좌, 우측 및 상측 방향으로 돌출이 가능하고, 각각의 휠체어 하부(1100)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중공부에,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삽입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좌, 우측은 도 5에서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측을 지칭하고, 상, 하측은 도 5에서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 하측을 지칭한다.
따라서, 날개부(1200)는 중공부를 기준으로 중공부 외부로 돌출되거나 및 중공부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날개부(1200)의 구조로 인해, 탑승자의 엉덩이가 빗물에 노출되어 젖는 경우, 또는 땀에 젖은 탑승자 엉덩이의 좌, 우측 및 상부 부근을 말릴 수 있어, 습기를 제거하는 범위가 확대되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하체의 장애를 지닌 장애인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 주로 탑승하는 휠체어는 우천시 하체가 비에 젖을 수 있고, 여름철 높은 온도로 인해 휠체어 하부(1100)와 계속해서 맞닿아 있는 엉덩이 부분에 땀이 차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날개부(1200)는 제1 날개부(1201), 제2 날개부(120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날개부(1200)의 일단부 부근을 제1 날개부(1201)라 지칭하고, 날개부(1200)의 타단부 부근을 제2 날개부(1202)라 지칭한다. 도 5를 기준으로 일단부는 후술할 제어부(1500)에서 먼 쪽이며, 타단부는 제어부(1500)에서 가까운 쪽이다. 각각의 날개부는 형상이 동일하다.
제1 날개부(1201) 및 제2 날개부(1202)는 각각이 힌지부(1800)에 결합된다. 힌지부(1800)는 날개부(1200)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날개부(1201) 및 제2 날개부(1202)와 동시에 결합되되, 힌지부(1800)에 양 쪽에 결합된다.
이때, 제2 날개부(1202)는 후술할 유압부(1300)에 결합되어 도 5를 기준으로, 좌, 우측 또는 상,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만 가능하나, 제1 날개부(1201)는 힌지부(1800)를 통해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날개부(1201)는 힌지부(1800)를 기준으로 정면 또는 배면 방향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날개부(1200)가 휠체어 하부(1100) 외부로 돌출 시, 1차적으로 제1 날개부(1201) 및 제2 날개부(1202)가 동시에 돌출되고(도 5를 기준으로 좌, 우측 또는 상측 방향으로), 2차적으로 제2 날개부(1202)는 고정되고, 제1 날개부(1201)가 정면 또는 배면 방향으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2 날개부(1202)에 형성된 후술할 가이드레일(1210)의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2 날개부(1202)가 휠체어 하부(1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탑승자는 날개부(1200) 및 송풍부(140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탑승자의 엉덩이 크기 또는 신체 크기는 다양하다. 따라서, 고정된 위치의 날개부(1200) 및 송풍부(1400)라면, 원하는 부분의 습기를 제거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1차적으로 후술할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날개부(1200) 전체의 위치를 설정하여 송풍부(140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2차적으로 힌지부(1800)를 통해 제1 날개부(1201)의 각도를 조절하여 송풍부(14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좌, 우측의 날개부(1200)는 탑승자의 엉덩이의 양 측면에 가해지는 송풍부(1400)의 송풍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측의 날개부(1200)는 탑승자의 엉덩이의 꼬리뼈 부근에 가해지는 송풍부(1400)의 송풍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하여 탑승자가 원하는 부위를 선택적으로 말릴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국부적으로 습기를 제거하여 습기 제거 시간이 단축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유압부(1300)는 날개부(1200)에 결합되고, 날개부(1200)의 슬라이딩 동작에 동력을 제공한다. 유압부(1300)는 유압을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공지의 구성요소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압부(1300)는 휠체어 하부(1100) 내부에 위치되며, 제2 날개부(1202)의 단부에 결합되어 날개부(1200) 전체에 힘을 가하게 된다.
유압부(1300)는 후술할 제어부(1500)에 연결되고, 제어부(1500)는 유압부(1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유압부(1300)의 동작이라 함은, 유압부(1300)가 날개부(1200)를 휠체어 하부(1100)의 외부로 미는 것을 말하며, 유압부(1300)의 동작의 중지라 함은, 유압부(1300)가 날개부(1200)를 휠체어 하부(1100)의 내부로 끌어당겨 원래의 삽입 상태로 복구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때, 날개부(1200)의 양 측부에는 날개부(1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2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레일(1210)이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휠체어 하부(1100)의 중공부의 내면에는 가이드레일(1210)이 맞물리는 가이드홈(11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레일(1210)은 가이드홈(1110)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고, 날개부(1200) 및 송풍부(1400)가 가이드홈(1110)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송풍부(1400)의 송풍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휠체어 하부(1100) 내부에 날개부(1200) 및 송풍부(1400)를 가이드홈(1110)을 따라 삽입되어 매립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외부 충격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가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
송풍부(1400)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일 예로 팬(fan)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1400)의 기능은 공지의 것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송풍부(1400)는 제어부(1500)와 연결되고, 제어부(15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 송풍부(1400)의 동작이라 함은, 송풍부(1400)의 팬이 돌아가 바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하며, 송풍부(1400)의 동작의 중지라 함은, 송풍부(1400)의 팬이 더 이상 돌아가지 않아 바람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제어부(1500)는 유압부(1300) 및 송풍부(14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도 5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저장부(1510)로부터 압력 및 습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또한, 휠체어 하부(1100)의 중심부에는 습기센서(1600) 및 압력센서(1700)가 결합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작동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의 작동 과정 및 각 구성요소의 연관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휠체어 하부(1100)에는 압력센서(1700)가 형성되고, 압력센서(1700)는 탑승자의 엉덩이가 압력센서(1700)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또는 측정)한다(S101). 이때, 압력센서(1700)가 압력을 감지하지 못하면, 습기센서(1600)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탑승자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엉덩이를 안착시키는 시기에만 송풍부(1400)를 가동하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송풍부(1400)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압력센서(1700)는 별도의 유닛에 의해 on/off가 조절될 수 있으며, 탑승자의 엉덩이에 습기가 없을 때에는 off 작동을 통해 압력센서(1700)가 압력을 감지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70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가해지는 현재 압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500)에 전달한다.
압력센서(1700)에 압력이 감지되면, 습기센서(1600)가 습도를 감지(또는 측정)한다(S102). 습기센서(1600)는 습기센서(1600)와 맞닿는 탑승자의 엉덩이의 습도를 감지한다. 압력센서(1700)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었으나, 습기센서(1600)가 습도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아, 송풍부(1400)가 작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순차적 제어 메커니즘으로 인해, 송풍부(14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탑승자가 운행 중 탑승자의 엉덩이의 습기가 자연풍 등 별도의 환경에 의해 제거된다면, 탑승자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엉덩이를 안착시키고 있더라도, 습기센서(1600)가 습도를 감지하지 않으므로 송풍부(1400)가 작동되지 않게 된다.
제어부(1500)는 압력센서(1700)로부터 현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가해지는 압력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습기센서(1600)로부터 탑승자의 엉덩이 부근의 습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제어부(1500)는 습기센서(1600)로부터 탑승자의 엉덩이 부근의 습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게 되면, 유압부(1300)를 작동시킨다(S103). 전술하였지만, 유압부(1300)가 작동되면, 날개부(1200)는 휠체어 하부(1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유압부(100)가 작동되어 날개부(100)가 돌출되면, 제어부(100)는 송풍부(100)를 작동시킨다(S104). 날개부(100)에 형성된 송풍부(1400)가 작동되면, 송풍부(1400)의 팬이 바람을 발생시킨다.
탑승자는 힌지부(1800)를 통해 날개부(1200) 중 제1 날개부(1201)의 각도를 조절하여, 제1 날개부(1201)에 형성된 송풍부(1400)가 원하는 엉덩이의 위치에 국부적으로 바람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0)는 도 5에서는 미 도시되었지만, 기준 압력 및 기준 습도를 저장하는 저장부(1510)와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제어부(1500)는 압력센서(1700)로부터 현재 가해지는 압력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저장부(1510)에 저장된 기준 압력과 비교한다(S105).
저장부(1510)에 저장된 기준 압력과 비교하여 현재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인 경우, 제어부(1500)는 유압부(1300) 및 송풍부(14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S106).
이때, 기준 압력은 0pa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압력이 0pa라면, 탑승자의 엉덩이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를 가압하고 있는지와 가압하고 있지 않는지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일 예로, 탑승자가 잠시 휠체어에서 내리는 경우, 압력센서(1700)에 가해지는 현재 압력이 0Pa이므로 기 설정된 기준 압력보다 낮게 된다. 이로 인해, 유압부(1300)의 작동이 중지되어, 유압부(1300)가 날개부(1200)를 휠체어 하부(1100) 내부로 당기게 되고, 송풍부(1400)의 작동이 중지되어 더 이상 송풍부(1400)가 바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즉, 탑승자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엉덩이를 안착시키거나, 떼는 동작만으로 송풍부(1400)의 바람의 발생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현재 압력이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즉, 탑승자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엉덩이를 지속적으로 기대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500)는 제어부(1500)에 전달되는 현재 습도를 저장부(1510)의 기준 습도와 비교하게 된다(S107).
저장부(1510)에 저장된 기준 습도와 비교하여 현재 습도가 기준 습도 이하인 경우, 제어부(1500)는 유압부(1300) 및 송풍부(14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S108).
이때, 기준 습도는 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습도가 0%라면, 탑승자의 엉덩이의 습도가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구별할 수 없어 제어부(1500)가 습도를 비교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일 예로, 송풍부(1400)의 지속적인 작동으로 탑승자의 엉덩이의 습기가 완전히 제거되는 경우, 습기센서(1600)에 가해지는 현재 습도가 0%이므로 기 설정된 기준 습도보다 낮게 된다. 이로 인해, 유압부(1300)의 작동이 중지되어, 유압부(1300)가 날개부(1200)를 휠체어 하부(1100) 내부로 당기게 되고, 송풍부(1400)의 작동이 중지되어 더 이상 송풍부(1400)가 바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즉, 탑승자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엉덩이를 안착시키고 있더라도, 탑승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송풍부(1400)의 바람을 발생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탑승자가 운행 중 유압부(1300) 및 송풍부(1400)의 작동을 조절하려면 작동 기구에 조작을 가해야 하므로 신경이 분산되어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510)에 저장된 기준 압력 및 기준 습도를 현재 압력 및 현재 습도와 비교하여 제어부(1500)가 자동으로 송풍부(1400)의 바람의 발생 여부를 조절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탑승자가 엉덩이를 안착시키지 않거나, 엉덩이의 습기가 제거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송풍부(1400)가 바람을 발생시키지 않게 하고, 날개부(1200)가 다시 휠체어 하부(1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막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현재 습도가 기준 습도 초과인 경우에는, 탑승자의 엉덩이에 습기가 존재한다는 것이므로, 송풍부(140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1000)의 구성요소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100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1000)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입력부(1520), 통신부(1521) 및 서보모터부(1900)의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보모터부(1900)는 제1 날개부(1201) 및 제2 날개부(1202)를 잇게 된다. 또한, 힌지부(1800)의 후방에 위치되어 힌지부(1800)와 연계되고, 힌지부(1800)의 회전 동작을 제어한다. 서보모터(servomotor)란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토크로 변화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이다. 서보모터부(1900)는 제어부(150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500)가 서보모터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면, 서보모터부(1900)는 이를 수신하여 서보모터부(1900)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1500)가 서보모터 작동 중지 신호를 발생시키면, 서보모터부(1900)는 이를 수신하여 서보모터부(19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서보모터부(1900)는 서보모터본체, 서보모터작동부, 서보모터신호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보모터부(1900)가 작동되면, 제1 날개부(1201)는 힌지부(1800)를 중심으로 도 5를 기준으로 정면 또는 배면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힌지부(1800)는 제1 날개부(1201)가 제2 날개부(120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고, 서보모터부(1900)는 제1 날개부(201)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입력부(1520)는 휠체어 하부 시트 내부에 별도로 위치되며, 입력부(1520)에는 특정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특정 신호를 통신부(1521)가 수신하고, 통신부(1521)는 특정 신호를 제어부(1500)에 전달한다.
이때, 특정 신호라 함은, 서보모터부(19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탑승자가 '정면 10도'라는 특정 신호를 입력하면, 제1 날개부(1201)가 제2 날개부(1202)를 기준으로 정면 방향으로 10도만큼 회전하도록 서보모터부(1900)가 회전한다.
탑승자가 입력부(1520)에 특정 신호를 입력하면, 통신부(1521)는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1500)에 전달하고, 제어부(1500)는 서보모터 작동 신호를 통해 서보 모터부(1900)를 제어하여 서보모터부(19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날개부(1200)가 휠체어 하부(1100)로부터 돌출 시, 제1 날개부(1201)가 탑승자의 원하는 각도로 위치되도록, 제1 날개부(1201)를 정면 또는 배면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중 탑승자가 제1 날개부(1201)의 각도를 변경하려면, 수동으로 제1 날개부(1201)를 잡고 각도를 조절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운전 중 신경이 분산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에 따르면, 휠체어 운행 중 탑승자는 입력부(1520)에 특정 신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서보모터부(19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보모터부(19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제1 날개부(1201)의 각도를 수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아닌, 전기제어로 자동 조절을 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켜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휠체어 하부, 100 : 프레임부,
110 : 제1 프레임, 120 : 제2 프레임,
200 : 모터부, 210 : 제1 모터,
220 : 제2 모터, 300 : 피니언 구동부,
310 : 길이 샤프트, 311 : 길이 샤프트a,
312 : 길이 샤프트b, 320 : 고정 샤프트,
330 : 이동 샤프트, 331 : 절곡 샤프트,
332 : 삽입 샤프트, 340 : 피니언,
400 : 래크 구동부, 410 : 기둥체,
420 : 삽입 홈, 430 : 래크,
500 : 바퀴부, 600 : 링크부,
610 : 링크a, 620 : 링크b,
700 : 결합부, 1000 : 습기 제거 유닛,
1100 : 휠체어 하부, 1200 : 날개부,
1300 : 유압부, 1400 : 송풍부,
1500 : 제어부, 1600 : 습기센서,
1700 : 압력센서, 1800 : 힌지부,
1900 : 서브모터부.

Claims (3)

  1. 휠체어;
    상기 휠체어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모터부;
    상기 모터부와 동일 선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 구동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체 및 상기 기둥체의 일지점에서 상기 피니언 구동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래크로 구비되는 래크 구동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래크 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바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니언 구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샤프트;
    상기 길이 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 샤프트; 및
    상기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결합되는 피니언;으로 구비되되,
    상기 피니언은 상기 래크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휠체어의 시트는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스마트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바퀴부를 길이 방향으로 잇는 링크부; 및
    빛을 점등시키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는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 운행될 경우 자동으로 빛이 점등되고,
    상기 링크부는 힌지로 결합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로 구비되되,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바퀴부를 인접하도록 위치시킬 경우, 상기 휠체어의 운반이 용이한
    스마트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부는,
    상기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연장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이동 샤프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래크 구동부는,
    상기 기둥체의 양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 홈;을 더 구비하되,
    상기 삽입 홈은 내부를 향할수록 길이 방향의 길이가 더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 샤프트의 단부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될 경우, 상기 이동 샤프트의 이탈이 방지되는
    스마트 휠체어.
KR1020190139849A 2019-11-05 2019-11-05 스마트 휠체어 KR10229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849A KR102298864B1 (ko) 2019-11-05 2019-11-05 스마트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849A KR102298864B1 (ko) 2019-11-05 2019-11-05 스마트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125A true KR20210054125A (ko) 2021-05-13
KR102298864B1 KR102298864B1 (ko) 2021-09-06

Family

ID=7591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849A KR102298864B1 (ko) 2019-11-05 2019-11-05 스마트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8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768A (ko) * 2021-11-25 2023-06-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수평 조절 보행 보조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5308A (ja) * 2002-02-26 2003-09-02 Yamatomekku:Kk 昇降機能付き軽車両
JP3980917B2 (ja) * 2002-03-26 2007-09-26 重勝 花井 車椅子等階段昇降補助装置
KR101225100B1 (ko) 2011-01-07 2013-01-22 주식회사 퓨런티어 경사 각도 보정형 전동 휠체어
KR101241754B1 (ko) * 2010-12-24 2013-03-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전동 휠체어
KR101386197B1 (ko) * 2013-01-04 2014-04-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 휠체어 및 전동 보행 보조기의 전복 방지 장치
KR101393706B1 (ko) * 2013-03-26 2014-05-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등받이와 모노레일시트를 갖는 자가도우미형 휠체어
KR101694855B1 (ko) 2014-10-31 2017-01-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사로용 휠체어 보조장치
KR101885121B1 (ko) * 2017-03-27 2018-08-03 (주)글록스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5308A (ja) * 2002-02-26 2003-09-02 Yamatomekku:Kk 昇降機能付き軽車両
JP3980917B2 (ja) * 2002-03-26 2007-09-26 重勝 花井 車椅子等階段昇降補助装置
KR101241754B1 (ko) * 2010-12-24 2013-03-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 전동 휠체어
KR101225100B1 (ko) 2011-01-07 2013-01-22 주식회사 퓨런티어 경사 각도 보정형 전동 휠체어
KR101386197B1 (ko) * 2013-01-04 2014-04-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전동 휠체어 및 전동 보행 보조기의 전복 방지 장치
KR101393706B1 (ko) * 2013-03-26 2014-05-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등받이와 모노레일시트를 갖는 자가도우미형 휠체어
KR101694855B1 (ko) 2014-10-31 2017-01-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사로용 휠체어 보조장치
KR101885121B1 (ko) * 2017-03-27 2018-08-03 (주)글록스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768A (ko) * 2021-11-25 2023-06-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수평 조절 보행 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864B1 (ko) 202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0069B2 (ja) 走行装置
CA1140445A (en) Wheel chair
KR102197894B1 (ko) 로봇
JP2015047986A (ja) 階段昇降機
JP2012085854A (ja) 段差昇降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車椅子
KR102298864B1 (ko) 스마트 휠체어
KR20130006902A (ko) 이동 보조 시스템
KR101382632B1 (ko) 접이식 전동 보행 보조차
JP4734038B2 (ja) 階段昇降装置
KR200483525Y1 (ko)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KR20170064024A (ko) 휠체어용 자세 유지 장치
KR20160092112A (ko) 휠체어용 자세 유지 장치
KR101841879B1 (ko) 전동식 스마트 유모차
KR101623825B1 (ko) 휠체어용 자세 유지 장치
KR101485809B1 (ko)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KR101406144B1 (ko) 효도의자
KR101673166B1 (ko)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 보조 장치
KR101053691B1 (ko) 전동 스쿠터
JP2001163098A (ja) 自動車の座席の傾斜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自動車用座席装置
KR102395512B1 (ko) 자체 안전제동 전동기 구동 노약자 보행보조장치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KR101393452B1 (ko) 탑승형 자세 균형 이동장치
JP2001025488A (ja) 身体障害者および高齢者用三輪式電動カート
JP3058272B2 (ja) 電動車椅子
JP4128789B2 (ja) 運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