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809B1 -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809B1
KR101485809B1 KR20130076456A KR20130076456A KR101485809B1 KR 101485809 B1 KR101485809 B1 KR 101485809B1 KR 20130076456 A KR20130076456 A KR 20130076456A KR 20130076456 A KR20130076456 A KR 20130076456A KR 101485809 B1 KR101485809 B1 KR 101485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nge
standing
seat fram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508A (ko
Inventor
이삼규
최인성
한재영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7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809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프레임 일측 하단에 설치되는 프론트휠과, 타측 하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프레임에 발지지프레임, 시트프레임, 등받이프레임, 기립프레임이 서로 관절부가 형성되도록 힌지부로 연결되되, 상기 등받이프레임은 상기 시트프레임이 기립하면 가변부에 의해 상기 등받이프레임이 상기 시트프레임과 수평이 되도록 각도가 가변되고, 상기 시트프레임과 상기 발지지프레임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번갈아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중앙이 양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립프레임은 상기 시트프레임에 힌지부로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프레임에 지지되고, 구동부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은 상기 기립프레임에 의해 기립되고, 가동부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중심부로 하여 상기 시트프레임 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구성들을 포함하여 기립 및 보행이 불가한 거동 불편 환자들로 하여금 정상 수준에 가까운 보행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Electronic system Wheelchair-Stander-Walker mobilizer: Electric Wheelchair with motor-driven standing and walking}
본 발명은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 불편 환자들이 착좌하는 시트프레임을 기립시키고, 기립된 시트프레임을 번갈아 전진하도록 함으로써, 기립 및 보행이 불가한 거동 불편 환자들로 하여금 정상 수준에 가까운 보행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일반적으로, 전동휠체어(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프레임(2)에 프론트휠(3)과 구동모터(4), 시트프레임(5), 발지지대(6), 조작부(7), 구동휠(8) 등을 장착하고, 구동모터를 주동력으로하여 주행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
종래에는 거동 불편 환자를 기립시키고, 이 상태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휠체어에 대해서는 공개되어 있었으나, 기립 후 보행이 가능한 동력 휠체어에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기립 및 보행이 힘들거나 불가한 거동 불편 환자들로 하여금 정상 수준에 가까운 기립 및 보행 이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동휠체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실험이 필요하게 되었다.
삭제
한국등록특허 제10-101273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8499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57449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거동 불편 환자들이 착좌하는 시트프레임이 승하강되도록 하고, 시트프레임을 양분시켜 번갈아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거동 불편 환자들이 사용하는 전동휠체어를 통해 기립 및 보행할 수 있는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거동 불편 환자들로 하여금 이동, 기립 및 보행을 가능하도록 도와 기립 및 보행이 힘들거나 불가한 환자들로 하여금 독립이동, 기립 및 보행을 할 수 있는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프론트프레임(10) 전방측 하단에 설치되는 프론트휠(30)과, 후방측 하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모터(100)와, 상기 구동모터(100)의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휠(101)을 포함하는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프레임(10)에 발지지프레임(70), 시트프레임(50), 등받이프레임(60), 기립프레임(40)이 서로 관절부가 형성되도록 힌지부(68)로 연결되되, 상기 등받이프레임(60)은 상기 시트프레임(50)이 기립하면 가변부(99a)에 의해 상기 등받이프레임(60)이 상기 시트프레임(50)과 수평이 되도록 각도가 가변되고, 상기 시트프레임(50)과 상기 발지지프레임(70)은 상기 힌지부(68)를 중심으로 하여 번갈아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중앙이 양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립프레임(40)은 상기 시트프레임(50)에 상기 힌지부(68)로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프레임(10)에 지지되고, 구동부(300)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시트프레임(50)은 상기 기립프레임(40)에 의해 기립되고, 가동부(99b)에 의해 상기 힌지부(68)를 중심부로 하여 상기 시트프레임(50) 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기립프레임(40)은 상기 프론트프레임(10)의 전방측에서 제1힌지(200)로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프레임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시트프레임(50) 상기 기립프레임(40)의 후방측에서 제2힌지(201, 201')로 연결되어 양분된 좌우측이 양쪽 허벅지 및 엉덩이를 각각 떠받치도록 형성되고,
삭제
상기 등받이프레임(60)은 상기 시트프레임(50)의 후방측에서 제3힌지(203)로 연결되어 상기 가변부(99a)에 의해 각도가 가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지지프레임(70)은 상기 시트프레임(50)의 전방측에서 제4힌지(204)로 연결되어 하부에는 지지부(71)와 발지지대(72)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프론트프레임(1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립프레임(40)의 후방측이 상기 제1힌지(200)를 중심으로 승하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99b)는 상기 기립프레임(40)이 상기 제2힌지(201, 20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300)은 엑추에이터(301)와 신장장치(302)로 구성되되, 상기 엑추에이터(301)의 몸체(303)는 프론트프레임(10) 하단에 지지되고, 상기 엑추에이터 신장부(304)는 상기 신장부(304)의 신장여부에 따라 제8힌지(208)를 중심으로 상측부재(305)와 하측부재(306)가 절곡되거나 펼쳐지는 신장장치(302)와,
삭제
제6힌지(206)로 연결하고, 상기 상측부재(305)의 상단은 기립프레임(40) 저면에 제7힌지(207)로 연결되며 상기 하측부재(306)는 프론트프레임(10) 하단과 제9힌지(209)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지지프레임(70) 하단에 상하로 유동하는 상하 가변부재(74)가 장착되되, 상기 가변부재(74)는 제2구동휠(75)을 갖춘 제2구동모터(76)를 장착하여 상기 제2구동휠(75)이 지면에 압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상인에 가까운 이동, 기립 및 보행 양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거동 불편 환자들에게 흔히 나타날 수 있는 다수의 부동증후군 관련한 합병증과 속발증(욕창, 골다공증, 근위축, 관절강직,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감각둔마, 우울감, 낙상 등 다수의 합병증과 속발증)을 줄일 수 있으며, 본 장치의 도움에 따른 기립 및 보행 등 활동 보조를 통한 이동보행성을 높여 신경근육계 재활성화를 유도하고, 하지 근골격계 위축과 퇴행을 방지하며 하지 관절운동성을 증진하여 거동 불편 환자들에서 기립보행이란 정상 수준의 보행이동성을 확보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가 제공된다.
삭제
또한, 기존의 휠체어에만 의존하는 거동 불편 환자들은 특히 바라보는 시야와 시각이 휠체어에 앉은 높이 또는 휠체어가 기립된 수준에서만 극히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반면, 본원은 하지 보행이 가능하여 안정된 보행이동성에 따른 주위 경관의 변화가 정상인 수준에서와 마찬가지로 시지각 인지할 수 있는 이점으로 거동 불편 환자의 시지각 인지 제한 핸디캡을 줄이는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휠체어로써, 가)는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나)는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로써, 가)는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나)는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의 시트프레임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6,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가 기립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의 요부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기립하고 있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수직으로 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의 요부도를 이용하여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가)는 시트프레임이 수직으로 기립하여 등받이 프레임과 수평이 된 상태, 나)는 가)상태에서 양분된 시트프레임 중 좌측 시트프레임이 제2힌지(201, 201')를 중심으로 가동부에 의해 회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의 후면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3의 가)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가 기립 및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나)는 가)의 측면사시도이고,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의 설명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원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은 복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흑백도면으로 첨부하게 되면 이해하기가 다소 불편할 것을 감안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컬러도면으로 첨부하였다.
여기서, 설명을 생략한 부호중 400은 팔걸이, 401은 제어기, 402는 배터리, 403은 보조바퀴, 404는 라이트이다.
삭제
삭제
첨부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론트프레임(10) 전방측 하단에 설치되는 프론트휠(30)과, 후방측 하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모터(100)와, 구동모터(100)의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휠(101)을 포함하는 이동장치에 있어서, 기립프레임(40), 시트프레임(50), 등받이프레임(60), 발지지프레임(7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이들 프레임(10, 40, 50, 60, 70)은 힌지부(68, 200, 201, 201', 203, 204)로 연결되어 상호 관절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때, 등받이프레임(60)은 시트프레임(50)이 기립하면, 가변부(99a)에 의해 등받이프레임(60)이 시트프레임(50)과 수평이 되도록 각도가 가변되고, 시트프레임(50)과 발지지프레임(70)은 힌지부(68), 보다 상세하게는 제4힌지(204)를 중심으로 하여 번갈아가면서 가동부(99b)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중앙이 양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기립프레임(40)은 프론트프레임(10)의 전방측에서 힌지부(68), 보다 상세하게는 제1힌지(200)로 연결되어 지지되고, 구동부(300)에 의해 승하강 되며, 기립프레임(40)이 승강함에 따라 시트프레임(50) 후방이 기립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프론트프레임(10)과 기립프레임(40)의 연결부에는 구동부(300)를 보조하여 기립프레임(40) 및 시트프레임(50)의 승강을 보조하는 회동부(99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립프레임(40)에 의해 기립되는 시트프레임(50)은 가동부(99b)에 의해 힌지부(68), 보다 상세하게는 제2힌지(201, 201')를 중심부로 하여 시트프레임(50) 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시트프레임(50)은 도 7과 같이 가동부(99b)에 의해 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는데, 발지지프레임(70)은 제4힌지(204)에 의해 시트프레임(50) 하단에 연결되어 있어 시트프레임(5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시트프레임(40)과 발지지프레임(7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일체가 되도록 서로 고정하여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프레임(10) 전방에서 전방이 제1힌지(200)로 연결되어 프론트프레임(10) 상단에 안착되는 기립프레임(40)과, 구동모터(100)의 구동축에 각각 설치된 구동휠(101)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100)는 배터리(402)에 충전된 전력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것이며, 제어부(401)에 의해 기립, 보행, 주행 등이 제어된다.
그리고, 프론트프레임(10) 전방에서 제1힌지(200)로 연결하여 프론트프레임(10) 상단에 기립프레임(40)을 안착하면 된다.
여기서, 기립프레임(40)은 프론트프레임(10)에 안착되되, 기립프레임 후방이 구동부(300)에 의해 제1힌지(100)를 중심으로 후방이 승강하거나 하강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기립프레임(40) 후방측에는 제2힌지(201)로 연결하여 양 허벅지 및 양 엉덩이를 떠받치도록 분할시킨 시트프레임(50)이 설치된다.
이때, 제2힌지(201, 201')는 2개로 구성되어 분할된 시트프레임(50)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그 2개의 제2힌지(201, 201')에는 각각 가동부(99b)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시트프레임(50)은 좌우 양측으로 분할되어 있어 분할된 시트프레임(50)이 가동부(99b)의 도움으로 번갈아가면서 보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프레임(50) 후방측에는 가변부(99)에 의해 각도가 가변되도록 하단이 제3힌지(203)와 연결된 등받이프레임(60)이 설치된다.(도 14 참조)
여기서, 등받이프레임(60)의 각도를 가변하면 다음과 같다.
제3힌지(203)에 미도시한 모터의 구동축을 연결하여 구동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등받이프레임(60)은 제3힌지(203)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점차 도 9 내지는 도 12와 같이 시트프레임(50)과 수평에 가깝게 각도가 가변된다.
여기서 제3힌지(203)는 등받이프레임(60)에 용접 및 기타 공지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그리고, 도 14와 같이 기립프레임(40)에 제2엑추에이터(500)의 몸체를 지지시키고, 제2엑추에이터(500)의 신장부(501)는 등받이프레임(6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시킨 연장금속(502) 끝단부와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는 제2엑추에이터(500)의 신장부(501)를 신장시키면 등받이프레임(60) 하단이 제3힌지(203)를 중심으로 상단이 회전하여 각도가 가변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시트프레임(40)의 전방측에는 지지부(71)와 발지지대(72)를 포함하여 형성된 발지지프레임(70)이 제4힌지(204)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상태에서 시트프레임을 다음과 같이 기립시킨다.
제1힌지(200)에 회동부(99c)의 구동축을 연결하여 구동축이 정회전하면 기립프레임(40)이 도 8 상태에서 제1힌지(200)를 중심으로 기립프레임(40) 후방이 상측으로 회동하여 도 9 상태로 승강을 진행하면서 도 10 상태로 승강한다.
이 과정에서 앞서 상술한 등받이프레임(60)의 각도가 가변되고, 동시에 시트프레임(50) 후방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도 11과 같이 이용자가 기계의 도움으로 수직으로 기립상태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힌지(200)는 기립프레임(4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기립프레임(40)은 제1힌지(200)가 회동함에 따라 제1힌지(200)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이 승강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프레임(50) 전방과 제4힌지(204)로 연결된 발지지프레임(70)은 제4힌지(204)가 관절 역할을 하므로, 시트프레임(50)이 기립프레임(40)의 도움으로 수직으로 기립되고, 그로 인해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발지지프레임(70)과 시트프레임(50)이 수평에 가깝게 된다.
이와 같이 시트프레임(50)이 기립하여 발지지프레임(70)과 수평하게 되면,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시트프레임(50)과 발지지프레임(70)을 서로 고정한다.
여기서, 발지지프레임(70)은 분할된 시트프레임(50)에 각각 제4힌지(204)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발지지프레임(70)과 시트프레임(50)은 각각 한 쌍으로 되어 있다.(도 7, 12 참조)
이와 같이 기립된 상태에서, 제2힌지(201, 201')로 연결된 2개의 가동부(99b)가 번갈아가면서 회동하면, 그로 인해 제2힌지(201, 201')에 고정된 시트프레임(40) 하단이 (기립상태에서) 번갈아가면서 소정 위치까지 전진하는 것이다.(도 6, 16 참조)
이와 같이, 시트프레임(50)의 이동만으로 이용자가 전방으로 전진할 수 있고, 이어지는 후술에 의해 이용자가 보행기능을 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하지를 번갈아가면서 앞으로 이동하도록 보행기능을 설정하면, 설정된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모터(100)가 작동하게 되어 구동휠(101)이 주행하게 됨으로써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으로 이동(주행)하는 기능은 구동휠(101)이 주행 동력원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구동부(30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부(300)는 엑추에이터(301)와 신장장치(302)로 이루어져 있다.
엑추에이터(301)의 몸체(303)는 프론트프레임(10) 하단에 지지되고, 엑추에이터 신장부(304)는 신장부(304)의 신장여부에 따라 제8힌지(208)를 중심으로 상측부재(305)와 하측부재(305)가 절곡되거나 펼쳐지는 신장장치(302)와 제6힌지(206)로 연결된다.(도 5참조)
그리고, 상측부재(305)의 상단은 기립프레임(40) 저면에 제7힌지(207)로 연결되며, 하측부재(306)는 프론트프레임(10) 하단과 제9힌지(209)로 연결되는 구성이다.(도 3, 8, 9 참조)
도 8의 상태에서 엑추에이터 신장부(304)를 신장하면 절곡된 상측부재(305)와 하측부재(306)가 천천히 펼쳐진다.
이로 인해, 기립프레임(40)이 도 8 상태에서 제1힌지(200)를 중심으로 기립프레임(40) 후방이 상측으로 회동하여 도 9 상태로 승강을 진행하면서 도 10 상태로 승강한다.
그리고 한쌍의 발지지프레임(70) 하단에 각각의 일측은 제10힌지(210)로 연결되고, 타측은 후방으로 향하되 상하작용을 하는 가변부재(74)가 설치된다.
이때, 가변부재(74)의 후방은 제2구동휠(75)을 갖춘 제2구동모터(76)가 장착되어 제2구동휠(75)이 지면에 탄성압력으로 압박받도록 구성된다.(도 3,6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는, 도 6, 10, 11, 12 및 1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한쌍의 가변부재(74)에 각각 설치된 제2구동모터(76)가 번갈아가면서 구동되면, 가변부재(74)는 제2구동휠(75)에 의해 번갈아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발지지프레임(70)이 번갈아가면서 앞으로 진행하므로, 발지지프레임(70)과 연결된 시트프레임(50)이 전진방향으로 번갈아가면서 이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2구동모터(76)는 발지지프레임(70)을 전방으로 번갈아가면서 이동시키는 역할일 뿐, 주행은 구동휠(101)에 의해 주행된다.
끝으로, 기립 보행 및 주행에 따른 제어방법의 실시예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행설정 프로그램은 거동 불편 환자의 운동 수준, 장애 등급에 따라 다르게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데이터 값은 마이콤을 이용하며, 그 입력 값은 언제든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립상태에서 방향전환을 할 경우, 전복의 위험이 있으므로 방향을 전환할 시에는 자유로(미도시)가 그 값을 읽어들여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설정한다. 또한, 내리막길이나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에도 정면이나 측면으로 전복될 위험이 있으므로 자유로가 그 값을 읽어들여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설정한다.
이에 따라, 직선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만 고속주행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입력함으로써, 주행시 낙상의 우려가 없고, 목적지를 향한 방향회전이 자유로우며, 전진 및 후진 이동성과 기립 및 보행성이 안정되게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리고, 기립 후 보행장치를 작동하게 되면, 하지의 교행적인 보행이 일어나게 하면서 마비된 다리의 움직임을 정상보행 수준에 맞도록 좌우측 하지의 교행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제 걷는다는 훈련경험 감각 즉, 고유수용체성 신경인지감각을 인입하여 신경근 재교육을 통한 재활훈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 방법을 추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 1) 좌우측 하지 교행 보행은 이용자의 운동 수준에 맞추어 단계별 속도 설정을 통해 낮은 보행 수준에서 높은 보행 수준에 이르는 다양한 보행 수준을 경험할 수 있도록 이용자 맞춤형 보행운동프로그램으로 제어한다.
제어 2) 위성항법 위치추적 방법(GPS)을 활용하거나 근거리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목적지를 설정하고 자동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별도의 프로그램 및 각각의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콘트롤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위성항법 주행이 가능하다.
제어 3) 보행 이동 중(초음파감지장치나 적외선감지장치를 이용하여) 주행로 상의 경사로나 위험물을 감지하고 자동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주행로(도로 등) 상에 별도의 적외선감지장치를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발생장치 시설이 요구된다.
10 : 프론트프레임 30 : 프론트휠
40 : 기립프레임 50 : 시트프레임
60 : 등받이 프레임 68 : 힌지부
70 : 발지지프레임 71 : 지지부
72 : 발지지대 74 : 가변부재
75 : 제2구동휠 76 : 제2구동모터
99a : 가변부 99b : 가동부
99c : 회동부 100 : 구동모터
101 : 구동휠
200 : 제1힌지 201 : 제2힌지
203 : 제3힌지 204 : 제4힌지
206 : 제6힌지 207 : 제7힌지
208 : 제8힌지 209 : 제9힌지
300 : 구동부 301 : 엑추에이터
302 : 신장장치 303 : 몸체
304 : 신장부 305 : 상측부재
306 : 하측부재
500 : 제2엑추에이터 501 : 제2엑추에이터 신장부
502 : 연장금속

Claims (4)

  1. 프론트프레임 일측 하단에 설치되는 프론트휠과, 타측 하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휠을 포함하는 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프레임에 발지지프레임, 시트프레임, 등받이프레임, 기립프레임이 서로 관절부가 형성되도록 힌지부로 연결되되, 상기 등받이프레임은 상기 시트프레임이 기립하면 가변부에 의해 상기 등받이프레임이 상기 시트프레임과 수평이 되도록 각도가 가변되고, 상기 시트프레임과 상기 발지지프레임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번갈아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중앙이 양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립프레임은 상기 시트프레임에 상기 힌지부로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프레임에 지지되고, 구동부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시트프레임은 상기 기립프레임에 의해 기립되고, 가동부에 의해 상기 힌지부를 중심부로 하여 상기 시트프레임 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프레임은 상기 프론트프레임의 전방측에서 제1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프론트프레임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시트프레임은 상기 기립프레임의 후방측에서 제2힌지로 연결되어 양분된 좌우측이 각각 양쪽 허벅지 및 엉덩이를 떠받치도록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프레임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후방측에서 제3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가변부에 의해 각도가 가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발지지프레임은 상기 시트프레임의 전방측에서 제4힌지로 연결되어 하부에는 지지부와 발지지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론트프레임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기립프레임의 후방측이 상기 제1힌지를 중심으로 승하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는 상기 기립프레임이 상기 제2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엑추에이터와 신장장치로 구성되되,
    상기 엑추에이터의 몸체는 프론트프레임 하단에 지지되고, 상기 엑추에이터 신장부는 상기 신장부의 신장여부에 따라 제8힌지를 중심으로 상측부재와 하측부재가 절곡되거나 펼쳐지는 신장장치와 제6힌지로 연결하고,
    상기 상측부재의 상단은 기립프레임 저면에 제7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하측부재는 프론트프레임 하단과 제9힌지로 연결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지지프레임 하단에 각각의 일측은 제10힌지로 연결되고, 타측은 후방으로 향하면서 상하작용을 하는 가변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가변부재의 후방은 제2구동휠을 갖춘 제2구동모터가 장착되어 상기 제2구동휠이 지면에 탄성압력으로 압박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KR20130076456A 2013-07-01 2013-07-01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KR101485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456A KR101485809B1 (ko) 2013-07-01 2013-07-01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6456A KR101485809B1 (ko) 2013-07-01 2013-07-01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08A KR20150003508A (ko) 2015-01-09
KR101485809B1 true KR101485809B1 (ko) 2015-01-26

Family

ID=5247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6456A KR101485809B1 (ko) 2013-07-01 2013-07-01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864B1 (ko) * 2015-10-21 2017-04-03 근로복지공단 착탈식 액츄에이터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동 기립형 휠체어
KR101937351B1 (ko) * 2017-01-02 2019-01-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뇌파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능동적인 재활을 유도하는 보행 재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544382B1 (ko) * 2019-12-24 2023-06-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가 이동 및 사용자의 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한 승강 의자
KR102542882B1 (ko) * 2021-05-03 2023-06-12 박인화 성인용 보행보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970A (ja) * 1994-12-22 1996-07-09 Kuroisutaa Kemikaruzu:Kk 浴用剤
WO2003026549A1 (en) 2001-09-21 2003-04-03 Levo Ag Raising wheel chair
KR20050090194A (ko) * 2004-03-08 2005-09-13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전동 기립형 휠체어
KR100784503B1 (ko) 2007-04-25 2007-12-11 주식회사 대세 엠.케어 기립기능을 갖는 휠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970A (ja) * 1994-12-22 1996-07-09 Kuroisutaa Kemikaruzu:Kk 浴用剤
WO2003026549A1 (en) 2001-09-21 2003-04-03 Levo Ag Raising wheel chair
KR20050090194A (ko) * 2004-03-08 2005-09-13 재단법인 산재의료관리원 전동 기립형 휠체어
KR100784503B1 (ko) 2007-04-25 2007-12-11 주식회사 대세 엠.케어 기립기능을 갖는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08A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0046B2 (ja) 輸送装置
KR101869968B1 (ko) 하지 외골격을 구비한 보행 보조 로봇
JP6208155B2 (ja) 介助ロボット
KR101433284B1 (ko) 자세조절부를 포함하는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JP5416240B2 (ja) 歩行訓練機器
JP5316994B2 (ja) 歩行補助装置
TWI597060B (zh) Electric walking aid based on man-machine position and its control method
KR101485809B1 (ko) 전동 시스템 휠체어 기립보행 이동장치
KR101356520B1 (ko) 보행 보조 시스템
CN102802583A (zh) 换乘/移动装置
JP2011019571A (ja) 歩行介助装置
KR20180045575A (ko) 보행 훈련 장치
CN108338895A (zh) 一种平面行走跟随支撑助力装置及方法
CN106333803B (zh) 一种多用途代步车
KR101433281B1 (ko) 자세균형 훈련용 보행보조기
KR101416068B1 (ko) 보행훈련기기 결합형 보행보조기
KR101049526B1 (ko) 동력식 보행 보조기
KR101219305B1 (ko) 보행보조용 플랫폼
JP5715270B2 (ja) 歩行介助装置
KR20130006902A (ko) 이동 보조 시스템
KR101299351B1 (ko) 휠체어 결합형 하지 운동/재활훈련 장치
JP2011050557A (ja) 歩行訓練機
KR101673166B1 (ko)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 보조 장치
KR101592321B1 (ko) 지능형 보행 보조차의 제어방법
JP6408666B2 (ja) 介助ロ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