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623B1 -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7623B1 KR102507623B1 KR1020220152945A KR20220152945A KR102507623B1 KR 102507623 B1 KR102507623 B1 KR 102507623B1 KR 1020220152945 A KR1020220152945 A KR 1020220152945A KR 20220152945 A KR20220152945 A KR 20220152945A KR 102507623 B1 KR102507623 B1 KR 1025076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
- wheelchair
- safety footrest
- safety
- rotatably installe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4819 Mobility Lim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1110 common millet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휠체어의 양측 팔걸이 외측에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들의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안전 발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휠체어 이동 중 노면에 홈이나 턱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연결 발판을 홈이나 턱 상부에 설치하고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휠체어 이동 중 노면에 홈이나 턱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연결 발판을 홈이나 턱 상부에 설치하고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가 틈이나 턱을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해 주는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리가 불편하여 직접 보행이 불편한 사람들은 이동시 휠체어를 이용한다.
그러나 노면에 홈이나 턱이 있는 경우 휠체어가 이를 넘어 원활히 주행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홈이 큰 경우에는 휠체어의 앞바퀴가 빠지는 일이 빈번하고, 턱이 높은 경우에는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를 자력으로 턱 위로 이동시키는 것이 매우 힘이 든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아래 특허문헌 1과 같은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는 앞바퀴를 2중으로 마련하고, 각각의 바퀴를 랙&피니언 기구를 이용하여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앞바퀴가 노면에 접하는 전체 길이를 증가시켜서 홈이나 턱을 넘어갈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에도 2중 바퀴의 최대 전후 길이를 넘어서는 홈이나 턱을 만나는 경우에는 홈에 바퀴가 빠지거나 턱을 넘어설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동일한 이유에 의해서 휠체어 이용자가 버스를 탑승하려고 할 때 보도 경계석과 버스의 입구 바닥 사이에 간격이 넓게 벌어진 경우에도 휠체어를 이용한 탑승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휠체어의 버스 탑승을 돕기 위해 일부 버스에 휠체어 탑승 보조 장치가 구비된 경우가 있으나 그 수가 적고, 더욱이 고장 상태로 방치되어 무용지물인 경우가 많아, 휠체어 이용자들이 버스에 탑승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휠체어가 이동중 마주치는 홈이나 턱을 자력으로 용이하고 안전하게 넘어갈 수 있도록 해 주는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는, 휠체어의 양측 팔걸이 외측에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들의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안전 발판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의 일측 단부는 제1커넥터를 매개로 휠체어의 팔걸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제2커넥터를 매개로 안전 발판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각각 연결바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캡과, 캡의 측부에 장착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샤프트가 상기 팔걸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샤프트가 상기 안전 발판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커넥터의 샤프트는 상기 안전 발판의 측면 전체 길이에 있어서 일측 단부쪽으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 발판이 자중에 의해 직립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연결바는 서로 텔레스코픽 구조로 조립된 제1바와 제2바 및 제3바로 이루어져 길이가 신축 가능하다.
상기 제1바의 내부에 제2바가 삽입되고, 상기 제1바에 길이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의 일측 단부에 수축위치홈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복수의 신장위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바의 일측 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축위치홈이나 신장위치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걸려질 수 있다.
상기 제2바의 내부에 제3바가 삽입되고, 상기 제2바의 내부 중간 부분에 지지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3바의 삽입 단부와 상기 지지벽 사이에 제3바를 제2바의 외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팔걸이의 하측면에 샤프트를 매개로 연결바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 지지대는 팔걸이의 외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휠체어의 후방으로 회동된 연결바를 수평 상태로 지지한다.
상기 안전 발판의 일측면에 노면 홈의 건너편 엣지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휠체어의 쿠션프레임 측면에 상기 안전 발판의 단부를 걸어 당겨주는데 사용되는 후크스틱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쿠션프레임 측면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후크스틱 고정편이 설치되고, 상기 후크스틱 고정편은 쿠션프레임의 측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연결된 곡선 형상의 지지부와, 지지부에 연결된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탄성편이며, 상기 후크스틱이 상기 가이드부와 쿠션프레임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에 보유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는, 휠체어 후방의 보관 위치와 전방의 사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대형 안전 발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필요시 휠체어 이용자가 조작하여 안전 발판으로 전방의 홈이나 턱을 덮어 줌으로써 휠체어가 안전 발판 위를 지나 홈이나 턱을 자력으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버스 탑승 대기 시 보도 경계석과 버스의 입구 바닥 사이에 간격이 크게 벌어진 경우에도 상기 안전 발판을 상기 간격 상부에 걸쳐 놓음으로써 이를 밟고 버스에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가 구비된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의 일 구성인 연결바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연결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연결바를 지지하기 위한 연결바 지지대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5는 휠체어의 일반적인 사용 상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의 보관 상태도 및 후크스틱 고정편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6은 연결바를 후방으로 최대로 신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연결바를 수직 상방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연결바를 전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후크스틱을 안전 발판에 걸어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후크스틱으로 안전 발판을 당겨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연결바를 하향 회동시켜 안전 발판을 노면의 홈 상부에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설치 완료된 안전 발판 위를 휠체어가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휠체어가 안전 발판을 완전히 통과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의 일 구성인 연결바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연결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연결바를 지지하기 위한 연결바 지지대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5는 휠체어의 일반적인 사용 상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의 보관 상태도 및 후크스틱 고정편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6은 연결바를 후방으로 최대로 신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연결바를 수직 상방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연결바를 전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후크스틱을 안전 발판에 걸어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후크스틱으로 안전 발판을 당겨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연결바를 하향 회동시켜 안전 발판을 노면의 홈 상부에 설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설치 완료된 안전 발판 위를 휠체어가 통과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휠체어가 안전 발판을 완전히 통과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에 "연결", "접속"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직접적으로 접속'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만이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연결',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접속' 또는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결합'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에 "직접 연결", "직접 접속" 또는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는, 중간에 다른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 "후", "상", "하", "좌", "우", "일 단", "타 단", "양 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제 1", "제 2"등의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각 구성을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가 구비된 휠체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의 일 구성인 연결바의 사시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연결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연결바를 지지하기 위한 연결바 지지대의 설치 상태도이며, 도 5는 휠체어의 일반적인 사용 상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의 보관 상태도 및 후크스틱 고정편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는, 연결바(200)와 안전 발판(300)을 포함한다.
먼저 휠체어(100)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휠체어(100)는 이용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110)와, 시트(110)의 양측에 마련된 팔걸이(120), 시트(110)의 후방 하측에 구비되어 이용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메인휠 역할을 하는 후방휠(130), 시트(110)의 전방 하측에 구비되어 시트(110)의 균형을 유지하고 진행 방향 전환을 보조하는 전방휠(140)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110)의 등받이부 양측 상단에는 휠체어 이용자의 동반 보호자가 휠체어(100)를 밀어줄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됨은 물론이다.
상기 연결바(200)는 휠체어(100)의 양측 팔걸이(120) 외측면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360°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 조절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바(200)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조립되는 제1바(210)와 제2바(220) 및 제3바(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210)가 지름이 가장 커서 최외측에 위치되고, 제2바(220)는 상기 제1바(210)의 일측 단부를 통해 그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3바(230)는 상기 제2바(220)의 일측 단부를 통해 그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제1바(2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의 슬릿(211)이 형성되고, 슬릿(211)의 일측 단부에는 제2바(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21)가 걸려지는 하나의 수축위치홈(211a)이 형성되며, 슬릿(211)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걸림돌기(221)가 선택적으로 걸려질 수 있도록 복수의 신장위치홈(211b)이 형성된다.
상기 수축위치홈(211a)과 신장위치홈(211b)은 슬릿(211)의 일측 변으로부터 제1바(2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 성형된다. 이용자의 조작 편의성 향상을 위해 상기 수축위치홈(211a)과 신장위치홈(211b)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바(220)의 일측 단부측 외주면에는 제2바(22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21)가 구비된다. 걸림돌기(221)는 원형 샤프트 형상의 부재로서 제1바(210)의 내측으로 제2바(2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별물로 형성되어 제1바(210)와 제2바(220) 조립 후 상기 슬릿(211)이나 그에 연결된 상기 홈(211a,211b)들을 통해 제2바(220)에 나사 결합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21)가 제2바(220)의 내부로 삽입 후 돌출될 수 있도록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제2바(220)에 걸림돌기(221)가 먼저 설치된 상태에서 제1바(210)에 삽입 조립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조립 상태에서 슬릿(211)과 그에 연결된 상기 홈(211a,211b)들의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221)의 단부에 손으로 잡기 편한 구 형상의 손잡이를 설치함으로써 걸림돌기(221)를 조작레버처럼 사용하여 상기 제2바(220)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걸림돌기(221)에 손잡이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2바(220)는 제1바(210)에 최대한 삽입되어도 도 2, 도 5와 같이 상단부가 제1바(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그 돌출 부분을 잡고 회전시키거나 잡아당기는 등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제2바(220)의 내부에는 대략 중간 위치에 지지벽(22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벽(222)은 제2바(2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스프링(240)의 일단부를 지지한다.
상기 제3바(230)는 상기 제2바(220)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때 상기 스프링(240)에 의해 제2바(220)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1바(210)에 대해 제2바(220)가 삽입 및 인출되면서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길이 조절시 상기 걸림돌기(221)는 상기 수축위치홈(211a) 또는 신장위치홈(211b)으로부터 빠져나와 슬릿(211)을 통해 이동한다. 상기 걸림돌기(221)가 상기 수축위치홈(211a) 또는 신장위치홈(211b)의 내부에 위치할 때는 제1바(210)에 대한 제2바(220)의 위치가 고정되어 제1바(210)와 제2바(220)의 전체 길이가 일정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3바(230)는 제2바(220)에 삽입된 단부가 스프링(240)에 지지되어 있을 뿐 그 외 다른 고정 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3바(230)에 가해지는 외력 조건에 따라 제2바(220)의 내부로 탄력적으로 삽입 또는 인출된다. 제3바(230)를 제2바(220)의 내부로 밀어주는 외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3바(230)는 스프링(240)에 의해 최대한 제2바(220)의 외측으로 밀려져서 가장 긴 길이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연결바(200)는 중량 감소를 위해 상기 제1바(210), 제2바(220), 제3바(230) 모두 알루미늄 재질의 관(pipe)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바(200)의 양단부에는 제1커넥터(250)와 제2커넥터(260)가 구비된다. 제1커넥터(250)와 제2커넥터(26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제1커넥터(250)에 대해서만 간략히 설명한다.
제1커넥터(250)는 일측 단부가 개구되고 타측 단부는 막힌 원통형의 캡(251)과, 캡(251)의 외주 중간 부분에 고정된 샤프트(252)를 포함한다.
상기 캡(251)에는 연결바(200)의 일단부 즉, 제1바(210)의 일단부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샤프트(252)는 휠체어(100)의 팔걸이(120)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연결바(200)가 상기 제1커넥터(250)를 매개로 휠체어(100)의 팔걸이(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바(200)는 위에 설명한 구조에 의해 휠체어(100)의 양측 팔걸이(120)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제1커넥터(250)에 의한 이격 거리) 떨어진 위치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각각 설치된다.
상기 안전 발판(300)은 상기 양측 연결바(200)의 사이에 상기 제2커넥터(26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양측 연결바(200)의 타단부(제3바(230)의 단부)에 제2커넥터(260)의 캡이 장착되고, 그 캡의 측부에 고정된 샤프트가 안전 발판(30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양측 연결바(200)에 대해 안전 발판(300)은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전 발판(300)은 연결바(200)가 도 1, 도 5와 같은 보관 상태(안전 발판(300)이 후방을 향해 수평 상태로 있는 경우)인 경우, 전체 길이 중에서 대략 1/4 정도만 연결바(200)의 상부로 돌출되고 나머지 3/4 정도는 연결바(20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힌지 연결점(제2커넥터(260)의 샤프트 연결 지점)을 기준으로 하측에 안전 발판(300) 하중의 대부분(3/4)이 몰려 있으므로 연결바(200)를 보관 위치에 유지할 때나 회전 조작할 때 상관없이 항상 안전 발판(300)이 중력방향을 향하여 직립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보관 및 조작 시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안전 발판(300)은 무게가 가벼운 것이 사용에 유리하므로 알루미늄 재질의 패널에 다수의 홀(도시 생략)이 형성된 구조의 알루미늄 타공판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5와 같이 안전 발판(300)이 보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연결바(200)를 지지하기 위하여 휠체어(100)의 팔걸이(120)에 연결바 지지대(15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바 지지대(150)는, 도 4와 같이, 팔걸이(120)의 하측면에 샤프트(151)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연결바 지지대(150)는 팔걸이(120)의 외측으로 회동된 상태(실선 도시)에서 연결바(200)를 수평 상태로 지지하고, 안전 발판(300) 사용시 연결바(200)가 회전될 때는 팔걸이(120)의 하면쪽으로 회동되어 보관(점선 도시)됨으로써 연결바(20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이후 설명하겠으나 상기 안전 발판(300)을 사용할 때는 자중에 의해 직립 상태에 있는 안전 발판(300)을 이용자 측으로 당겨줄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별도의 후크스틱(400)을 포함한다.
상기 후크스틱(400)은 가는 막대 형상의 물품으로서 전방 단부에 둥근 곡선 형상의 후크(Hook)(410)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스틱(400)은 이용자가 시트(110)에 앉은 상태에서 안전 발판(300)을 당겨 주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만 하므로 신축식 안테나, 등산 스틱과 같은 텔레스코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총 길이의 1/2에 해당되는 길이로 균등 분할(총 2개) 구성되어, 이를 필요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결합은 나사 결합 구조로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후크스틱(400)은 시트(110)의 쿠션프레임(111) 측면에 보관된다. 이를 위해 쿠션프레임(111)의 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후크스틱 고정편(160)이 설치된다. 후크스틱(400)이 2개로 분할 구성된 경우라면 쿠션프레임(111)의 양측에 각각 1개씩 보관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후크스틱 고정편(160)은 직선 형상의 베이스부(161)와 가이드부(163) 사이에 곡선 형상의 지지부(162)가 형성된 금속재질의 탄성편으로서, 상기 베이스부(161)가 상기 쿠션프레임(111)의 측면에 장착되고, 장착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163)는 쿠션프레임(111)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후크스틱(400)의 진입을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163)와 쿠션프레임(111)의 사이로 후크스틱(400)을 끼워 넣음으로써 후크스틱(400)을 쿠션프레임(111)의 측면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시에는 후크스틱(400)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후크스틱 고정편(160)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일반적인 휠체어(100) 이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는 제2바(220)가 제1바(210)의 내측으로 최대한 삽입된 상태로서 안전 발판(300)이 휠체어(100)의 배면에 근접 위치되어 이동에 방해 되지 않도록 한다. 걸림돌기(221)는 수축위치홈(211a)에 걸려 있다.
주행 중 전방에 홈(버스 탑승의 경우 포함) 또는 턱을 만나게 되어 안전 발판(300)을 사용해야 할 경우, 도 6과 같이, 연결바(200)의 길이를 최대로 신장시킨다. 제2바(220)를 제1바(210)로부터 최대한 인출시키고 걸림돌기(221)는 복수의 신장위치홈(211b)중 가장 단부쪽에 위치한 홈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연결바(200)의 길이를 신장시킴으로써 연결바(200)를 전방으로 회동시킬 때 안전 발판(300)의 하단이 휠체어(100)에 앉은 이용자의 머리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연결바(200)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도 7의 상태를 거쳐, 도 8의 상태와 같이, 안전 발판(300)을 휠체어(100)의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후크스틱(400)을 꺼내 사용하기 전에 미리 상기 연결바 지지대(150)를 팔걸이(120) 하측으로 회동시켜 숨겨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연결바 지지대(150)를 숨긴 후, 후크스틱(400)을 꺼내 그 종류에 따라 길이를 신장시키거나 또는 조립(쿠션프레임(111) 양쪽에 각각 보관된 후크스틱(400,400')을 길이 방향으로 결합함)하여 전방에 위치한 안전 발판(300)의 하단을 끌어당기기에 충분한 길이로 만든다.
이어 후크스틱(400) 단부의 후크(410)로 안전 발판(300)의 하단을 걸어 휠체어(100)쪽으로 당겨준다. 안전 발판(300)은 제2커넥터(260)를 매개로 회동되어 도 9와 같은 경사 상태가 된다.
상기 도 9와 같이 안전 발판(300)을 당긴 후, 도 10과 같이 연결바(200)를 하향 회동시켜 안전 발판(300)의 하단을 홈(G)의 앞쪽 노면(S)에 놓고 휠체어(100)를 전진하면서 연결바(200)를 자연스럽게 더 하향 회동시킨다. 이때 안전 발판(300)을 홈(G) 상부에 정확히 설치하기 위하여 제2바(220)를 제1바(210)의 내측으로 잡아당겨 연결바(200)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신장위치홈(211b) 중 걸림돌기(221)가 걸려지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면 안전 발판(300)이 홈(G)의 상부를 덮으면서 노면(S)과 가까워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안전 발판(300)의 상단이 홈(G)의 건너편 노면(S)에 걸쳐진다. 이때 안전 발판(300)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턱(310)이 홈(G)의 건너편 상단 엣지(E)에 걸림으로써(도 11 참조) 안전 발판(300)이 홈(G)의 상부에 설치된 직후 휠체어(100)가 진행할 때 안전 발판(300)이 전방으로 밀리지 않고 홈(G)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전 발판(300)이 홈(G)의 상부를 덮어준 상태에서 휠체어(100)를 계속 앞으로 이동시키면 도 11, 도 12와 같이 휠체어(100)는 안전 발판(300)의 상부를 지나 홈(G)을 무사히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단, 휠체어(100)의 진행에 따라 연결바(200)의 길이가 자연스럽게 수축될 수 있도록 안전 발판(300) 설치 후 출발 전에 상기 걸림돌기(221)를 신장위치홈(211b)로부터 슬릿(211)쪽으로 이동시켜 두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상태에서 휠체어(1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먼저 제2바(220)가 제1바(210)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어 제3바(230)가 스프링(240)을 압축시키면서 제2바(22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연결바(200)의 길이가 수축된다. 연결바(200)의 길이는 연결바(200)가 노면(S)에 대해 수직이 될 때 가장 짧아진다(도 11의 상태).
도 11의 상태에서 휠체어(100)가 계속 진행하면, 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해 제2바(220)로부터 제3바(230)가 밀려나오면서 연결바(200)의 길이는 다시 신장된다.
휠체어(100)가 안전 발판(300)의 상부를 완전히 통과하면 연결바(200)를 더 들어올려 도 5와 같은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연결바 지지대(150)를 다시 펼쳐서 연결바(200) 및 안전 발판(300)의 하중을 지지토록 한다. 안전 발판(300) 역시 자중에 의해 직립 상태로 회동되어 원래의 보관 위치로 복귀된다.
마지막으로 제2바(220)를 원주방향으로 회동 조작하여 슬릿(211)에 있던 걸림돌기(221)를 수축위치홈(211a)에 걸어주면 주행 중 연결바(200)가 원치 않는 상황에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안전 발판(300)을 이용하여 노면(S)의 홈(G)을 통과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노면에 턱이 형성된 경우도 안전 발판(300)이 노면에 경사 상태로 설치되는 것만 다를 뿐 동일한 방법에 의해 턱을 무사히 통과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를 이용하면, 노면에 형성된 턱이나 홈을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발판(300)은 휠체어(100)의 팔걸이(120) 양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연결바(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휠체어(10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또한 평소 보관시 휠체어(100)의 등받이 뒤쪽에 직립 상태로 보관되므로 이동시 땅에 닿지 않기만 하면 되므로 대략 휠체어의 높이보다 조금 작은 정도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안전 발판(300)을 상기와 같은 정도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대형으로 마련할 수 있는 바, 노면의 홈과 턱의 크기가 상당히 큰 경우에도 대부분 안전하게 넘어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버스 탑승 대기 시 보도경계석과 버스의 입구 바닥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상기 안전 발판(300)을 설치하여 용이하게 탑승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는 휠체어가 노면의 홈이나 턱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버스의 휠체어 탑승 보조 장치가 고장 난 경우에도 휠체어 이용자가 자력으로 용이하게 버스를 탑승할 수 있게 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휠체어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0 : 휠체어 110 : 시트
111 : 쿠션프레임 120 : 팔걸이
130 : 후방휠 140 : 전방휠
150 : 연결바 지지대 151 : 샤프트
160 : 후크스틱 고정편 161 : 베이스부
162 : 지지부 163 : 가이드부
200 : 연결바 210 : 제1바
211 : 슬릿 211a : 수축위치홈
211b : 신장위치홈 220 : 제2바
221 : 걸림돌기 222 : 지지벽
230 : 제3바 240 : 스프링
250 : 제1커넥터 251 : 캡
252 : 샤프트 260 : 제2커넥터
300 : 안전 발판 310 : 걸림턱
400 : 후크스틱 410 : 후크
S : 노면 G : 홈
E : 엣지
111 : 쿠션프레임 120 : 팔걸이
130 : 후방휠 140 : 전방휠
150 : 연결바 지지대 151 : 샤프트
160 : 후크스틱 고정편 161 : 베이스부
162 : 지지부 163 : 가이드부
200 : 연결바 210 : 제1바
211 : 슬릿 211a : 수축위치홈
211b : 신장위치홈 220 : 제2바
221 : 걸림돌기 222 : 지지벽
230 : 제3바 240 : 스프링
250 : 제1커넥터 251 : 캡
252 : 샤프트 260 : 제2커넥터
300 : 안전 발판 310 : 걸림턱
400 : 후크스틱 410 : 후크
S : 노면 G : 홈
E : 엣지
Claims (10)
- 휠체어의 양측 팔걸이 외측에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들의 타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안전 발판;
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바는 서로 텔레스코픽 구조로 조립된 제1바와 제2바 및 제3바로 이루어져 길이가 신축 가능하고,
상기 제1바의 내부에 제2바가 삽입되고, 상기 제1바에 길이 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의 일측 단부에 수축위치홈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복수의 신장위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바의 일측 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축위치홈이나 신장위치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일측 단부는 제1커넥터를 매개로 휠체어의 팔걸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제2커넥터를 매개로 안전 발판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는 각각 연결바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캡과, 캡의 측부에 장착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샤프트가 상기 팔걸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샤프트가 상기 안전 발판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의 샤프트는 상기 안전 발판의 측면 전체 길이에 있어서 일측 단부쪽으로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 발판이 자중에 의해 직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의 내부에 제3바가 삽입되고, 상기 제2바의 내부 중간 부분에 지지벽이 형성되며, 상기 제3바의 삽입 단부와 상기 지지벽 사이에 제3바를 제2바의 외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의 하측면에 샤프트를 매개로 연결바 지지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 지지대는 팔걸이의 외측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휠체어의 후방으로 회동된 연결바를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발판의 일측면에 노면 홈의 건너편 엣지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쿠션프레임 측면에 상기 안전 발판의 단부를 걸어 당겨주는데 사용되는 후크스틱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쿠션프레임 측면의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후크스틱 고정편이 설치되고, 상기 후크스틱 고정편은 쿠션프레임의 측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연결된 곡선 형상의 지지부와, 지지부에 연결된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탄성편이며, 상기 후크스틱이 상기 가이드부와 쿠션프레임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에 보유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2945A KR102507623B1 (ko) | 2022-11-15 | 2022-11-15 |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52945A KR102507623B1 (ko) | 2022-11-15 | 2022-11-15 |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07623B1 true KR102507623B1 (ko) | 2023-03-08 |
Family
ID=8550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52945A KR102507623B1 (ko) | 2022-11-15 | 2022-11-15 |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7623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8373Y1 (ko) * | 2004-05-01 | 2004-08-06 | 김완수 | 휠체어 |
KR200413641Y1 (ko) * | 2006-01-04 | 2006-04-11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턱 이동이 가능한 휠체어 |
KR100663951B1 (ko) * | 2005-01-12 | 2007-01-09 | 정민교 | 전복 방지 휠체어 |
KR101885121B1 (ko) | 2017-03-27 | 2018-08-03 | (주)글록스 |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
KR20190081420A (ko) * | 2017-12-29 | 2019-07-09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휠체어의 보조바퀴장치 |
CN210932310U (zh) * | 2019-08-26 | 2020-07-07 | 李轩逸 | 轮椅 |
CN215273992U (zh) * | 2020-12-23 | 2021-12-24 | 华北电力大学 | 可翻越小型台阶的手动轮椅 |
-
2022
- 2022-11-15 KR KR1020220152945A patent/KR1025076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8373Y1 (ko) * | 2004-05-01 | 2004-08-06 | 김완수 | 휠체어 |
KR100663951B1 (ko) * | 2005-01-12 | 2007-01-09 | 정민교 | 전복 방지 휠체어 |
KR200413641Y1 (ko) * | 2006-01-04 | 2006-04-11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턱 이동이 가능한 휠체어 |
KR101885121B1 (ko) | 2017-03-27 | 2018-08-03 | (주)글록스 | 휠체어용 캐스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
KR20190081420A (ko) * | 2017-12-29 | 2019-07-09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휠체어의 보조바퀴장치 |
CN210932310U (zh) * | 2019-08-26 | 2020-07-07 | 李轩逸 | 轮椅 |
CN215273992U (zh) * | 2020-12-23 | 2021-12-24 | 华北电力大学 | 可翻越小型台阶的手动轮椅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84689B2 (en) | Physical assistance device configurable into a walker/rollator, seat or transport chair | |
US9662264B2 (en) | Ambulatory walker with seat | |
US5320122A (en) | Combined walker and wheelchair | |
EP2844207B1 (en) | Walker device with sitting assembly | |
US20100163087A1 (en) | Physical assistance device configurable into a walker/rollator, seat or transport chair | |
US5373591A (en) | Shower-commode chair and transfer track | |
US20090278325A1 (en) | Walking Aid Adapted For Mounting A Height Obstacle | |
KR20120104186A (ko) | 롤레이터 휠체어 | |
JP3644926B2 (ja) | 歩行補助車 | |
US20080067849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Persons Between a Sitting and a Standing Position | |
KR101163125B1 (ko) | 재활치료 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식 보행기 | |
CN110507520A (zh) | 一种老年人防摔倒步行车 | |
KR102507623B1 (ko) |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 |
US20030151232A1 (en) | Multiple purpose device to assist physically disabled persons | |
JPH10500043A (ja) | 車椅子及び歩行器の複合体 | |
CN210728050U (zh) | 一种方便开合的安全坐具 | |
US11786087B2 (en) | Toilet frame | |
CN211188124U (zh) | 一种老年人防摔倒步行车 | |
KR20090078025A (ko) | 보행보조장치 | |
KR101024492B1 (ko) | 휠체어의 등받이 승강장치 | |
KR200406016Y1 (ko) | 휴대용 접철 휠체어 | |
CN217162579U (zh) | 一种高度可调节的助行器 | |
CN221636405U (zh) | 一种可上楼梯的手动轮椅 | |
CN216091113U (zh) | 折叠轮椅 | |
JP3059342U (ja) | 歩行補助具における補助手す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