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186A - 롤레이터 휠체어 - Google Patents

롤레이터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186A
KR20120104186A KR1020127009893A KR20127009893A KR20120104186A KR 20120104186 A KR20120104186 A KR 20120104186A KR 1020127009893 A KR1020127009893 A KR 1020127009893A KR 20127009893 A KR20127009893 A KR 20127009893A KR 20120104186 A KR20120104186 A KR 20120104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ator
frame
wheelchair
chair
rollator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스카퍼
드 보어 바우케 잔 보크마
드 워터링 휴고 반
Original Assignee
밥에르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밥에르고 비.브이. filed Critical 밥에르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20104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clamps or friction lock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propulsion mechanisms
    • A61G5/02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propulsion mechanisms acting on wheels, e.g. on tires or hand ri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8Special adaptations or provisions on hand rim, e.g. for facilitating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5Wheelchairs having br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By limiting the applied torque or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ntistry (AREA)
  • Handcar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적어도 두 개의 바퀴가 제공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후방 지지체와 제1 안착부를 포함하는 제1 의자부, 및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제2 안착부를 포함하는 제2 의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의자부와 제2 의자부는 안착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의자부는 탈착가능하며, 상기 제2 의자부는 상기 제1 의자부가 탈거될 때 상기 적어도 두 바퀴 사이에 자유로이 걸을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도록 배치되는 롤레이터 휠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롤레이터 휠체어{ROLLATOR WHEELCHAIR}
본 발명은 롤레이터-휠체어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롤레이터(rollator)는 흔히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육체적 장애로 인하여 걷기가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이용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자력으로 걸을 수 있도록 하고, 어느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롤레이터에는 장애가 있는 사람이 앉아서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작은 보드(board)가 제공된다. 장시간 또는 장거리를 걷을 때, 장애가 있는 사람은 피곤해지고 장시간 휴식을 원하거나 휠체어로 하여 밀어지길 원할 수 있다.
동반자와 걸을 때,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은 그의 롤레이터 상태에서는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을 이용하여 장애가 있는 사람이 잠시 걸을 수 있도록 하고, 예를 들면 너무 피곤해질 때 상기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은 그의 휠체어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장애가 있는 사람은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의 시트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 한편 동반자는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을 밀어 함께 더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은 통상적으로 롤레이터와, 발판 및 시트와 후방 지지체를 갖는 의자와 같은 휠체어 두 특성들을 모두 영구적으로 갖추며, 이는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을 상대적으로 무겁게 할 수 있다. 또한, 롤레이터로서 이용될 때 사람이 지탱하고, 뿐만 아니라 휠체어로서 이용될 때 사람이 미는 것을 제공할 수 있는 핸들이 필요하다. 또한, 롤레이터로서 이용될 때 장치에서의 사람의 지탱은 롤레이터의 바퀴 간의 위치를 고려하는 반면, 휠체어로서 이용될 때 사람이 장치를 미는 것은 장치의 후방 위치를 고려한다. 따라서,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은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의 어떠한 기능들을 방해하지 않고 두 상태들을 제공하도록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롤레이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상태와 휠체어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상태 간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롤레이터 휠체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적어도 두 개의 바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의자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 의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의자부는 후방 지지체 및 제1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의자부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는 롤레이터 휠체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의자부는 안착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의자부는 탈착가능하고, 상기 제2 의자부는 상기 제1 의자부가 분리될 때 적어도 두 바퀴 사이에서 자유로이 걷을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도록 배치되어 작동의 두 모드 간을 전환시킬 수 있다. 롤레이터로서의 작동의 제1 모드에서, 적어도 두 바퀴 사이에 사람이 설 수 있고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에 지탱할 수 있다. 휠체어로서의 작동의 제2 모드에서, 사람은 앉을 수 있고 다른 사람이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을 밀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은 종속항들에서 설명된다.
또한,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을 접고 펼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구성은 본 발명으로서 알 수 있다. 유사하게 형성된 두 외곽부 사이에 십자형으로 제공되는 두 개의 스위블링 암이 제공되며, 상기 외곽부에는 힌지와 캐칭 스탑(catching stop)이 제공되고, 각 스위블링 암은 일단에서 상기 하나의 외곽부의 힌지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상기 다른 외곽부의 캐칭 스탑과 연결되며, 상기 스위블링 암은 연결 힌지에 의해 중심으로 서로 연결되어 두 외곽부를 서로 접을 수 있고 외곽부를 서로 떨어지게 펼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은 용이하고 확실하게 접히고 펼쳐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블링 암은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이 사용 모드에 있을 때, 예를 들면 롤레이터 모드 또는 휠체어 모드에 있을 때 대략 수평적으로 지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의 프레임에서의 발판의 연결은 본 발명으로서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부착 부재 및 보드가 제공된 암을 포함하는 발판이 제공되며, 상기 부착 부재는 가압 메커니즘에 의해 펼쳐진 위치로 동작가능하며, 상기 가압 메커니즘의 작동에 의해 릴리즈(release) 위치로 서로를 향하여 이동가능한 두 개의 죠 부재(jaw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죠 부재의 내측들은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의 프레임의 외곽부의 치수에 적용되며, 각 죠 부재에는 핀을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홈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상기 발판은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의 프레임의 외곽부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연결 및 연결해제될 수 있다.
또한,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의 프레임의 외곽부는 본 발명으로서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외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를 포함하는 외곽부가 제공되고, 중공부에는 설치홈에 너트가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할 수 있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탑 리지(stop ridge)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볼트 및/또는 너트는 외곽부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작용효과들 및 상세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레이터 휠체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롤레이터 휠체어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발판을 갖는 도 1의 롤레이터 휠체어의 외곽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롤레이터 휠체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부분적으로 접힌 도 1의 롤레이터 휠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완전히 접힌 도 1의 롤레이터 휠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형상 단면을 나타내는 외곽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발판의 부착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부착 부재를 나타내는 절단 측면도이다.
도 11은 롤레이터 위치에서의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휠체어 위치에서의 도 11의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클램프 링(clamp ring)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작동의 다른 모드에서의 도 1의 롤레이터 휠체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후방 바퀴 및 외곽부를 나타내는 절단 측면도이다.
도 18은 제동 케이블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제동 케이블 홀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롤레이터 휠체어는 한 세트의 전방 바퀴(2, 3)가 제공되는 프레임(1), 한 세트의 후방 바퀴(4, 5) 및 한 세트의 핸들(34, 35)을 포함한다. 안착 장치(6)는 제1 의자부(chair section)(7) 및 제2 의자부(8)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제1 의자부(7)는 제1 안착부(9)를 수반하는 안착 프레임(12)에 힌지 연결되는 후방 지지체(11)를 구비하는 후방 프레임(10)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의자부(8)는 접을 수 있는 제2 안착부(13)를 구비한다.
상기 후방 프레임(10)에는 상기 프레임(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6, 17)로 슬라이드하는 두 개의 롤러(14, 15)가 제공된다. 상기 안착 프레임(12)은 프레임(1)에 의해 전방(20)에 지지된다. 상기 제1 의자부(7)는 가이드 레일(16, 17)로부터 빠져나오게 롤러(14, 15)를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프레임(1)으로부터 롤러를 상승시킴으로써 프레임(1)으로부터 분리가능하다. 상기 제2 의자부(8)는 제1 의자부(7)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될 때, 자유로이 걸을 수 있는 공간(23)이 확보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자유로이 걸을 수 있는 공간(23)이 확보될 때, 롤레이터 휠체어는 롤레이터로서의 작동의 제1 모드에 있고, 사람은 후방 바퀴(4, 5) 사이에 설 수 있고, 핸들(34, 35)에 지탱할 수 있으며,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로부터 지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의자부(7)가 제 위치에 설치될 때, 상기 롤레이터 휠체어는 휠체어로서 작동의 제2 모드에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1)은 도 3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하게 형성된 두 개의 외곽부(profile section)(26, 27)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스위블링 암(swiveling arm)(18, 19)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곽부(26, 27)는 서로 이격되며, 좌측 외곽부(27)와 우측 외곽부(26)를 형성하여 중앙 평면(28)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각 외곽부(26, 27)는 각각 핸들(34, 35), 전방 바퀴(2, 3) 및 후방 바퀴(4, 5)에 대한 부착 포인트를 제공하는 세 개의 암(31, 32, 33)을 구비한다. 또한, 여기에서 암(32)에는 발판(36)이 제공된다. 스위블링 암(18)은 힌지(21)를 통해 우측 외곽부(26)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 외곽부(27)의 캐칭 스탑(catching stop)(25)에 정렬된다. 스위블링 암(19)은 힌지(22)를 통해 좌측 외곽부(27)에 연결되고, 상기 우측 외곽부(26)의 캐칭 스탑(24)에 정렬된다. 상기 스위블링 암(18, 19)은 결합 힌지(30)에 의해 연결되는 중앙 평면(28)의 교차부(29)에서 교차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위블링 암(18, 19)과 안착부(13)의 높이는 착석한 사람의 발이 땅에 닿지 않고 자유롭게 매달릴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허용하는 자유 레그룸(free legroom: 자유롭게 다리를 뻗을 수 있는 공간)을 남기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곽부(26, 27)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곽부(26, 27)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중공부(38-40)를 갖고 알루미늄으로 압출 성형된다. 중공부(39)에는 두 개의 정지 리지(stop ridge)(41, 42)가 제공되며, 너트(43)가 설치홈(44)에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홈(44)의 사이즈는 너트와 볼트 조합물의 M8 너트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그에 맞춰 압출 성형된 윤곽부에 구멍을 드릴가공함으로써, 볼트는 설치홈(44)에 존재하는 너트(4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캐칭 스탑(24, 25)으로부터 스위블링 암(18, 19)을 연결해제함으로써, 상기 외곽부(26, 27)는 접을 수 있는 제2 안착부(13)를 강제로 접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를 향하여 밀어 젖힐 수 있다. 도 6의 접혀진 위치에서, 상기 스위블링 암(18, 19)은 중앙 평면(28)을 따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접힌 위치에서, 상기 롤레이터 휠체어는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작은 공간을 차지한다.
휠체어로서 완전한 기능을 하기 위하여, 롤레이터 휠체어에는 발판(36)이 제공된다. 그의 부착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의 개개 자격에 있어서 발명이다. 발판(36)은 부착 부재(45) 및 보드(board)(47)가 제공된 암(46)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재(45)는 펼쳐진 위치에서 가압 메커니즘(5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가압 메커니즘(50)의 동작에 의해 릴리즈 위치(release-position)로 서로를 향하여 이동가능한 두 개의 죠 부재(jaw member)(48, 49)를 포함하며, 각 죠 부재(48, 49)에는 핀(53, 54)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51, 52)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죠 부재(48, 49)의 내측은 외곽부(26, 27)를 수용하도록 적용된다. 이 예시에서, 상기 죠 부재(48, 49) 각각에는 핀(53, 54)을 수용하기 위한 제2 홈(52)이 더 제공된다. 상기 외곽부(26, 27)에는 핀(53, 54)이 박힌다. 상기 발판(36)의 부착은 가압 메커니즘(50)을 밀고, 핀(53) 주위에 죠 부재(48)의 홈(51, 52)을 위치시키고, 하부 죠 부재(49)의 홈(51, 52)이 핀(54) 후방에 위치될 때까지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발판(36)의 암(46)을 회전시키며, 가압 메커니즘(50)을 릴리즈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상기 발판(36)은 간단하고 직접적으로 부착 및 고정된다.
롤레이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상태와 휠체어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상태 간의 완전한 전환을 목적으로 하는 추가적 발명은 핸들(34, 35)의 실시 예이다. 핸들(34, 35)은 서로에 대하여 직교하는 두 방향으로 굽혀지며, 클램핑 링(clamping ring)(56)이 제공된다. 도 16에서 핸들(34, 35)은 휠체어 기능을 위한 위치에 있고,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레이터에 대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2에서, 핸들(34)은 클로즈-업(close-up)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핸들(34)은 외곽부(26)의 암(31)의 핸들 홀더(57)에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 링(56)은 롤레이터 위치에서 도 11 및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람이 롤레이터를 이용하는데 편안한 높이에 핸들(34)이 있도록 위치된다. 이 높이는 통상 휠체어를 미는 사람이 원하는 높이보다 낮다. 상기 클램핑 링(56)은 핸들(34)이 실제로 휠체어 기능에 대한 위치에 있을 때, 롤레이터 기능을 위한 핸들(34)의 원하는 위치를 기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핸들(34, 35)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59) 및 너트와 볼트 조합물의 너트를 제공받기 위한 홈(60)을 갖는 상기 클램핑 링(56)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었다. 너트와 볼트 조합물에 의해, 상기 클램핑 링(56)은 핸들(34, 35)에 클램핑된다.
도 14 및 도 15는 다른 모드들의 작동에서의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을 나타낸다. 도 14는 롤레이터 모드의 작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쇼핑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백(61)이 제공된다. 도 15는 롤레이터 모드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서, 안착 장치(6)가 저장 위치에 있다. 그리고 도 16은 휠체어 모드의 작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안착 장치(6)가 설치 위치에 있으며, 이 설치 위치는 롤레이터 휠체어 조합물에 앉은 사람이 동반자에 의해 앞으로 밀어질 수 있으며, 앉은 사람은 이동 방향을 향한다.
도 17, 도 18 및 도 19는 제동 케이블(63)에 대한 홀더(62)를 나타낸다. 상기 홀더(62)는 후방 바퀴(5) 부근의 외곽부(27)의 암(33)에 설치된다. 상기 장방형 홀더(62)에는 홀더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클릭-핑거(click-finger)(64, 65)가 제공된다. 암(33)에 대한 부착을 위하여, 상기 암(33)에는 클릭-핑거(64, 65)를 제공받기 위한 구멍이 제공된다. 상기 클릭-핑거(64, 65)의 사이즈는 홀더와 암(33) 사이에서 좁고 사방이 막힌 공간이 확보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동 케이블(63)의 제동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는 핸들의 높이가 적용될 때, 예를 들면 핸들이 어느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제동 케이블(63)은 상기 사방이 막힌 좁은 공간 내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앞의 설명에서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되고 있지만, 이러한 도시 및 설명은 도시 예 또는 예시로 고려되는 것이고,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제안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안된 실시 예들에 대한 다른 변형들이 이해될 수 있으며, 도면들,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들로부터 청구된 발명을 실시하는데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Claims (6)

  1. 적어도 두 개의 바퀴가 제공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후방 지지체와 제1 안착부를 포함하는 제1 의자부, 및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제2 안착부를 포함하는 제2 의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의자부와 제2 의자부는 함께 안착 상태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의자부는 상기 프레임에 탈착가능하며;
    상기 제2 의자부는 상기 제1 의자부의 탈거로 인해 상기 적어도 두 바퀴 사이에 자유로이 걸을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는
    롤레이터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두 개의 스위블링 암(swivelling arms)이 십자형으로 배치되는 사이에서의 중앙 평면에 대하여 상호 거리에서 대칭으로 이격되는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 두 개의 외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곽부 각각은 전방 바퀴, 하방 바퀴 및 핸들에 대한 장착 위치에 각각 제공되는 세 개의 암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부에는 힌지와 캐칭 스탑(catching stop)이 각각 제공되고;
    각 스위블링 암은 일단에서 상기 두 외곽부 중 하나의 힌지에 의해 각각 연합되고, 타단에서 상기 두 외곽부 중 다른 하나의 캐치 포인트에 받쳐지고(rest);
    상기 스위블링 암은 중앙 평면에서 연결 힌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의자부는 접힐 수 있는
    롤레이터 휠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곽부는 중공이고, 중공부에는 적어도 폐쇄된 장착 홈과 적어도 스탑 리지(stop ridge)가 연결되는
    롤레이터 휠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 부재 및 보드(board)가 제공된 암(arm)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 부재는 가압 메커니즘에 의해 펼쳐진 위치로 동작가능하며, 상기 가압 메커니즘의 작동에 의해 릴리즈 위치(release position)로 서로를 향하여 가압되는 두 개의 죠 부재(jaw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죠 부재의 내측들은 상기 외곽부의 주변에 적용되며;
    각 죠 부재에는 핀을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홈이 제공되는
    롤레이터 휠체어.
  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핸들을 더 포함하고, 각 핸들에는 그 핸들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클램핑 링이 제공된 로드(rod)가 제공되는
    롤레이터 휠체어.
  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외곽부 중 하나에 거리를 갖고 연결되기 위하여 두 개의 클릭-핑거(click-finger)가 제공된 긴 제동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롤레이터 휠체어.
KR1020127009893A 2009-09-17 2010-09-17 롤레이터 휠체어 KR201201041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03506 2009-09-17
NL2003506A NL2003506C2 (en) 2009-09-17 2009-09-17 ROLLATOR WHEELCHAI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186A true KR20120104186A (ko) 2012-09-20

Family

ID=4206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893A KR20120104186A (ko) 2009-09-17 2010-09-17 롤레이터 휠체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678425B2 (ko)
EP (1) EP2477592B1 (ko)
JP (1) JP5635101B2 (ko)
KR (1) KR20120104186A (ko)
CN (1) CN102711705B (ko)
AU (1) AU2010296136A1 (ko)
CA (1) CA2774194A1 (ko)
DK (1) DK2477592T3 (ko)
ES (1) ES2435297T3 (ko)
NL (1) NL2003506C2 (ko)
WO (1) WO20110344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577A (ko) 2015-06-18 2016-12-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이금속 칼코겐화물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2137A (ko) * 2015-09-14 2017-03-22 김규성 의자부와 바퀴부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3535S1 (en) * 2013-04-11 2016-08-09 Truper Sa De Cv Trolley wheel
EP3013302B1 (de) 2013-06-24 2020-01-08 Bemotec GmbH Griffeinheit für eine fahrbare gehhilfe und fahrbare gehhilfe
JP6391450B2 (ja) * 2014-12-03 2018-09-19 リョーエイ株式会社 歩行アシスト装置及び歩行アシストロボット
JP2016116567A (ja) * 2014-12-18 2016-06-30 宏之 河上 歩行器兼用車いす
DE102015202926A1 (de) 2015-02-18 2016-08-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der Mobilität
NL2014343B1 (en) 2015-02-24 2016-10-13 Bobergo B V Rollator-trolley.
US9585807B2 (en) 2015-05-16 2017-03-07 Protostar, Inc., a Delaware Corporation Collapsible upright wheeled walker apparatus
US10667979B2 (en) 2016-03-31 2020-06-02 University Of Maine System Board Of Trustees Stylized adaptive mobility device
CN106389024B (zh) * 2016-11-02 2017-12-01 上海理工大学 可变结构多功能电动助行器
US9849057B1 (en) 2016-11-18 2017-12-26 More Joyful Living, LLC Stroller rollator
USD851543S1 (en) 2017-08-18 2019-06-18 More Joyful Living, LLC Stroller rollator
US10617592B2 (en) 2017-10-06 2020-04-14 Protostar, Inc., a Delaware Corporation Wheeled walker
CN208710425U (zh) 2017-10-06 2019-04-09 原星股份有限公司 助行车的座面结构
US10555866B2 (en) 2017-10-06 2020-02-11 Protostar, Inc., a Delaware Corporation Wheeled walker wheel direction lock apparatus and method
CN208799424U (zh) * 2018-02-02 2019-04-30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可折叠轮椅
US11071676B2 (en) 2019-04-05 2021-07-27 Protostar, Inc. Collapsible wheeled walker with stability enhancing bracket apparatus and method
CA3139539A1 (en) * 2019-05-08 2020-11-12 Triumph Mobility, Inc. Convertible mobility device
JP7275838B2 (ja) * 2019-05-16 2023-05-1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歩行支援装置
EP3968930A4 (en) * 2019-05-17 2023-06-07 Can Mobilities, Inc. MOBILITY ASSISTANCE DEVICE
USD961463S1 (en) * 2019-10-23 2022-08-23 Triumph Mobility Inc. Convertible mobile device
US11642258B2 (en) 2020-11-13 2023-05-09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Multi-function mobility device with transitional handles
US11285059B1 (en) * 2020-12-09 2022-03-29 Alexander Ideas Inc. Wheelchair convertible to a walker
CN114681222A (zh) * 2020-12-30 2022-07-01 广东博方众济医疗科技有限公司 轮椅助行器
US11844735B2 (en) 2021-08-20 2023-12-19 Nicholas Reif Wheelchair push hand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4436B1 (en) * 1994-01-25 2002-04-23 Hill-Rom Services, Inc. Hospital bed
US5050899A (en) * 1990-07-06 1991-09-24 Stensby Harold F Medical crash-chair and treatment table
AU2521995A (en) * 1994-05-16 1995-12-05 Care Dimension A/S Combination wheelchair and walker
DK1145696T3 (da) * 1999-11-13 2008-02-04 Nippon Clean Engine Res Inst C Köretöj til hjælp ved gang
US6338493B1 (en) * 2000-04-19 2002-01-15 Eli Wohlgemuth Walker chair
US20030151232A1 (en) * 2002-02-14 2003-08-14 Tianfu Li Multiple purpose device to assist physically disabled persons
CN2571350Y (zh) 2002-10-11 2003-09-10 杭州爱特老幼生活用品厂 一种多功能生活自助车
CN2574667Y (zh) 2002-11-04 2003-09-24 凤麟 多功能老年人行走助力车
JP2007117479A (ja) * 2005-10-28 2007-05-17 Og Giken Co Ltd 座部収納式歩行車
TWM308748U (en) * 2006-05-19 2007-04-01 Link Treasure Ltd Foldable walker frame
JP2008079649A (ja) * 2006-09-26 2008-04-10 Yamatomekku:Kk 歩行器兼足こぎ車いす
US20080121258A1 (en) * 2006-11-28 2008-05-29 Mei Ru Lin Walker with folding seat
JP4884244B2 (ja) * 2007-01-30 2012-02-29 ピジョン株式会社 歩行車
JP4422169B2 (ja) * 2007-04-11 2010-02-24 株式会社カワムラサイクル 車いす兼用歩行器
CN101224155B (zh) 2008-01-31 2010-06-02 李茂顺 助行和轮椅两用车
SE532000C2 (sv) * 2008-02-04 2009-09-22 Liko Res & Dev Ab Rollatorbroms
CN201734911U (zh) * 2010-02-09 2011-02-09 佛山市南海建泰铝制品有限公司 一种助行推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577A (ko) 2015-06-18 2016-12-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이금속 칼코겐화물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2137A (ko) * 2015-09-14 2017-03-22 김규성 의자부와 바퀴부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296136A1 (en) 2012-04-12
EP2477592A1 (en) 2012-07-25
DK2477592T3 (da) 2013-10-28
US8678425B2 (en) 2014-03-25
EP2477592B1 (en) 2013-08-14
WO2011034427A1 (en) 2011-03-24
ES2435297T3 (es) 2013-12-18
CA2774194A1 (en) 2011-03-24
CN102711705B (zh) 2014-10-29
JP2013505054A (ja) 2013-02-14
CN102711705A (zh) 2012-10-03
JP5635101B2 (ja) 2014-12-03
US20120256384A1 (en) 2012-10-11
NL2003506C2 (en) 201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4186A (ko) 롤레이터 휠체어
US5741020A (en) Collapsable combination chair walker
US8584689B2 (en) Physical assistance device configurable into a walker/rollator, seat or transport chair
US5058912A (en) Combination chair/walker
US7886855B2 (en) Folding and fixing device for a seat of an electric walk-substituting vehicle
US7073801B2 (en) Foldable mobility support device
US7841610B2 (en) Foldable people-carrying vehicle
US7926606B2 (en) Fixing device for a foldable chassis of an electric walk-substituting vehicle
US6412795B1 (en) Assembly of nestable wheelchairs and wheelchair for use in such an assembly
US7472921B2 (en) Assistive mobility device
US20100163087A1 (en) Physical assistance device configurable into a walker/rollator, seat or transport chair
US9936777B1 (en) Sidewalker mobility aid
US7887085B2 (en) Folding and fixing structure of a people-carrying vehicle
US20170202727A1 (en) Folding step for use with mobility device
US20090194975A1 (en) Assistive mobility device
US7155757B1 (en) Store away shower chair
KR20110101851A (ko) 기립형 휠체어
JP6886885B2 (ja) キャリーカート
KR102507623B1 (ko)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US20240130920A1 (en) Indoor rollator with rise-up structure
JP2024507813A (ja) 立ち上がり構造を備える室内歩行器
JP2000237243A (ja) 車椅子の車台
JP3074081U (ja) 理・美容椅子装置
EP2020219B1 (en) Rollator
WO2018030902A1 (en) Adapter for child car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