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373Y1 - 휠체어 - Google Patents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373Y1
KR200358373Y1 KR20-2004-0012279U KR20040012279U KR200358373Y1 KR 200358373 Y1 KR200358373 Y1 KR 200358373Y1 KR 20040012279 U KR20040012279 U KR 20040012279U KR 200358373 Y1 KR200358373 Y1 KR 200358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frame
seat portion
presen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20-2004-0012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3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3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 A61G5/06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with obstacle mounting facilities, e.g. for climbing stairs, kerbs or steps for climbing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등받이와 쿠션부재로 된 좌석부가 구비되고, 좌석부의 양측면에 후방 휠이 형성되며, 좌석부의 전방 양측면에는 방향의 전환을 위해 형성된 가이드 휠을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의 좌우측 손잡이 프레임의 전방 외측으로 고정된 고정프레임과,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단부와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단계로 프레임이 접철되게 형성된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내측으로 접혀지게 체결된 지지체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휠체어{Wheelchair}
본 고안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단이나 걸림턱과 같은 장애물을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도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지체 장애인이나 기타 보행이 어려운 환자들의 대부분은 편리한 이동을 위하여 휠체어를 사용하게 된다. 이 휠체어는 기본적으로 이용자가 앉은 자세를 유지하면서 이동을 할 수 있는 좌석이 구비되어 있으며, 방향전환이 자유롭다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휠체어는 등받이와 쿠션부재로 된 좌석부가 구비되고, 좌석부의 양측면에는 후방 휠이 형성되며, 좌석부의 전방 양측면에는 방향의 전환을 위해 형성된 가이드 휠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통상의 휠체어는 그 구조상 평탄한 길에서의 이동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으나, 이동하는 과정에서 계단이나 걸림턱과 같은 장애물을 만나게 되면 이동이 곤란하여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만 통과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휠체어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이동하는 과정에서 계단이나 걸림턱과 같은 장애물을 만날 경우 타인의 도움 없이 이용자가 직접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이하게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어 이용자의 편의성를 도모할 수있는 휠체어를 연구한 끝에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동하는 과정에서 계단이나 걸림턱과 같은 장애물을 만날 경우에도 타인의 도움 없이 이용자가 직접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휠체어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고안 휠체어 요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 휠체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좌석부
11 : 손잡이 프레임
20 : 후방 휠
30 : 가이드 휠
40 : 고정프레임
50 : 회전프레임
51 : 힌지 52 : 걸림홈
60 : 지지체인
61 : 연결고리 62 : 걸고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등받이와 쿠션부재로 된 좌석부가 구비되고, 좌석부의 양측면에 후방 휠이 형성되며, 좌석부의 전방 양측면에는 방향의 전환을 위해 형성된 가이드 휠을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의 좌우측 손잡이 프레임의 전방 외측으로 고정된 고정프레임과,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단부와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단계로 프레임이 접철되게 형성된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내측으로 접혀지게 체결된 지지체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휠체어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고안 휠체어 요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 휠체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는 등받이와 쿠션부재로 된 좌석부(10)가 구비되고, 좌석부(10)의 양측면에 후방 휠(20)이 형성되며, 좌석부(10)의 전방 양측면에는 방향의 전환을 위해 형성된 가이드 휠(30)을 포함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좌석부(10)의 좌우측 손잡이 프레임(11)의 전방 외측으로 고정된 고정프레임(40)과,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40)의 단부와 힌지(5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단계로 접철되게 형성된 회전프레임(50)과, 상기 회전프레임(50)의 타측 단부에 내측으로 접혀지게 체결된 지지체인(6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휠체어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계단이나 걸림턱과 같은 장애물을 만날 경우 회전프레임(50)의 단부에 체결된 지지체인(60)을 계단이나 층계의 사이에 올려놓고 그 위를 지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타인의 도움 없이도 이용자가 직접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40)은 상기 좌석부(10)의 좌우측 손잡이 프레임(11)의 전방 외측에 고정된 것으로서, 그 단부가 후방 휠(20)을 벗어나는 위치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40)의 단부에는 회전프레임(50)이 힌지(5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회전프레임(50)은 다단계로 프레임이 접철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회전프레임(50)이 다단계로 접철되게 형성됨에 따라 후방 휠(20)이 지지체인(60) 위를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프레임(50)의 타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접혀지게 체결된 지지체인(60)이 형성되는데, 이 지지체인(60)은 휠체어가 계단이나 걸림턱을 올라가는 과정에서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때, 이동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지지체인(6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지지체인(60)은 그 끝단의 연결고리(61)를 이용하여 회전프레임(50)을 감싸도록 결합시켜 놓고 측면에 형성된 걸고리(62)를 이용하여 회전프레임(50)의 걸림홈(52)에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계단이나 걸림턱과 같은 장애물을 만날 경우 지지체인(60)을 장애물에 올려놓고 통과할 수 있게 되어 타인의 도움 없이 이용자가 직접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이하게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의 작동관계를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를 타고 이동을 하는 과정에서 걸림턱이나 계단을 만나게 되면 회전프레임(50)에 감겨 있는 지지체인(60) 펼친 다음 충분히 잡아당겨 지지체인(60)을 가이드 휠(30) 앞쪽에 있는 걸림턱이나 계단의 사이에 놓는다. 이후 후방 휠(20)을 밀면 휠체어는 장애물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프레임(50)은 접철된 프레임이 연속적으로 연장되면서 후방 휠(20)의 뒷부분까지 길어지게 된다.
장애물을 통과한 후에는 회전프레임(50)을 상측으로 올린 다음 연장된 프레임을 접철시켜 그 길이를 줄이고, 이후 지지체인(60)을 내측으로 접은 다음 그 끝단의 연결고리(61)를 서로 체결시켜 회전프레임(50)을 감싸도록 한 후 측면에 형성된 걸고리(62)를 이용하여 회전프레임(50)에 걸어 놓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계단이나 걸림턱과 같은 장애물을 만날 경우에도 타인의 도움 없이 이용자가 직접 간단한 조작을 통해 용이하게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어 이용자의 편의성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따라서 본 고안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자명하게 도출가능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

  1. 등받이와 쿠션부재로 된 좌석부가 구비되고, 좌석부의 양측면에 후방 휠이 형성되며, 좌석부의 전방 양측면에는 방향의 전환을 위해 형성된 가이드 휠을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좌석부의 좌우측 손잡이 프레임의 전방 외측으로 고정된 고정프레임과;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단부와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단계로 프레임이 접철되게 형성된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 단부에 내측으로 접혀지게 체결된 지지체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KR20-2004-0012279U 2004-05-01 2004-05-01 휠체어 KR200358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279U KR200358373Y1 (ko) 2004-05-01 2004-05-01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279U KR200358373Y1 (ko) 2004-05-01 2004-05-01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373Y1 true KR200358373Y1 (ko) 2004-08-06

Family

ID=4943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279U KR200358373Y1 (ko) 2004-05-01 2004-05-01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3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40B1 (ko) 2011-11-14 2013-02-26 유승곤 경사면이나 경사진 계단을 내려올 수 있게 도와주는 보조기구가 장착된 수동식 휠체어
KR102507623B1 (ko) * 2022-11-15 2023-03-08 조윤성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40B1 (ko) 2011-11-14 2013-02-26 유승곤 경사면이나 경사진 계단을 내려올 수 있게 도와주는 보조기구가 장착된 수동식 휠체어
KR102507623B1 (ko) * 2022-11-15 2023-03-08 조윤성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7342B1 (ko) 전동 휠체어
US9655806B2 (en) Multiple use ambulatory device
CN101505709A (zh) 一种轮式助行器
WO2003031249A2 (en) Inwardly folding rollator with an upwardly pivotable seat
JP2005087415A (ja) 杖兼用の車椅子
US6425634B1 (en) Assist apparatus for patients in a wheelchair
JP2008131961A (ja) スライド式ベッド
CA2828666C (en) Transport chair allowing transport of multiple passengers
KR200443845Y1 (ko) 노약자용 보행보조차
KR200358373Y1 (ko) 휠체어
KR20070115191A (ko) 전동휠체어
KR200423562Y1 (ko) 자활능력 강화용 휠체어
KR20160049779A (ko)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JP4822190B2 (ja) 歩行補助装置
CN2928070Y (zh) 多功能折叠椅式担架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JP2001321402A (ja) 介護用車椅子装置
JP3347181B2 (ja) 多用途走行装置
KR200398836Y1 (ko)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
JP2003010254A (ja) 座椅子を備えた介護・診療用車椅子
JP2002272788A (ja) 担架椅子
JP2008188146A (ja) 車椅子の足台操作機構
KR101734526B1 (ko) 휠체어 견인용 측면 핸들
CA2868010A1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TWI469772B (zh) The locking device for the moving wheel of the trolley type w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