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836Y1 -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 - Google Patents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836Y1
KR200398836Y1 KR20-2005-0021186U KR20050021186U KR200398836Y1 KR 200398836 Y1 KR200398836 Y1 KR 200398836Y1 KR 20050021186 U KR20050021186 U KR 20050021186U KR 200398836 Y1 KR200398836 Y1 KR 200398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rmrest
wheelchair
lower horizontal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정민
Original Assignee
반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정민 filed Critical 반정민
Priority to KR20-2005-0021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8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8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휠체어(100)의 하측 좌, 우측에 형성된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전, 후방에 장착된 바퀴(120)와,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시트(140)가 장착된 시트 프레임(130)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시트 프레임(130)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부측을 절곡하여 손잡이(151)를 형성하고 외주연 좌, 우 측방에 고정부재(152)를 마련한 등받이 프레임(150)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전방에 직립되게 형성된 전방 지지프레임(160)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150)의 고정부재(152)에 후방부를 고정하고 전방부을 하측으로 절곡시켜 전방 지지프레임(160)과 대응되게 형성한 팔걸이 프레임(170)과, 상기 팔걸이 프레임(170)과 전방 지지프레임(160)의 사이에 결합되어 팔걸이 프레임(170)이 접철 가능하게 절곡되는 다관절 힌지(180)로 구성 하므로 팔걸이 프레임(170)이 시트 프레임(130) 하측으로 접철되면서 휠체어(100) 좌, 우 이동시 장애가 되었던 팔걸이 프레임(170)이 없게 되어 환자가 휠체어(100)에서 전방은 물론이고 좌, 우측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Wheel Chair With Fold able arm-frames}
본 고안은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휠체어의 팔걸이 프레임이 측방으로 접철되게 하여 환자 혼자서 휠체어에 오르거나 내릴 때 장애물이 없도록 한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지체부자유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이동할 때 환자가 바퀴에 구비된 구동핸들을 구동시키거나 간호사, 간병인의 도움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이다.
또한, 전동기와 같은 전동장치를 바퀴에 연결 설치하여 환자가 스위치 조작만으로 바퀴를 구동시켜 이동할 수 있는 전동식 휠체어도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의 훨체어(1)는 휠체어(1)의 하측 좌, 우측으로 평행하게 하측 수평 프레임(10)이 위치하여 하측 수평 프레임(10)의 후방 외측으로 메인 바퀴(20)가 장착되며 메인 바퀴(20)의 외측에는 메인 바퀴(20)를 구동시키는 구동핸들(21)이 구비된다.
또한, 하측 수평 프레임(10)의 전방에는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보조 바퀴(22)가 장착된다.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0)의 상부에는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연질의 시트(30)가 장착된 시트 프레임(11)이 위치한다.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0)과 시트 프레임(11)의 후방에 등받이 시트(31)가 장착된 등받이 프레임(14)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고정되며 그 상단부를 절곡하여 손잡이(14a)를 마련한다.
상기 시트 프레임(11)의 상부에는 환자의 팔을 지지하기 위한 소정 높이로 팔걸이 프레임(12)을 형성하되 후단부를 등받이 프레임(14)에 고정하고 전방측을 하향으로 절곡하여 하측 수평프레임(10)에 고정된다.
상기 팔걸이 프레임(10)이 절곡된 위치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발판 프레임(13)이 고정되며 발판 프레임(13)에는 종아리 시트(32)와 발판 플레이트(33)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휠체어에서 환자가 침대, 의자 등으로 이동하거나, 침대, 의자 등에서 휠체어로 이동할 경우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팔걸이 프레임(12)이 환자에게 장애물로 작용하여 휠체어의 좌, 우측을 통하여 이동하면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전방을 통해 이동하여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환자가 많은 힘을 사용해야 하거나 간호사,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하였으며 환자 혼자서 이동하는데 있어서 불편한 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휠체어의 팔걸이 프레임을 접철 가능하게 형성하여 환자 혼자 휠체어에 오르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므로 휠체어의 이용률을 높이는 동시에 간편하고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환자가 휠체어의 전방은 물론 좌, 우측으로 간편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도록 한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휠체어의 하측에 형성된 하측 수평프레임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에 장착된 바퀴와,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한 시트 프레임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과 시트 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고 외주연의 좌, 우 측방에 고정부재를 마련한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의 전방에 직립되게 형성된 전방 지지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고정부재에 후방부를 결합하고 전방부를 하향으로 절곡시켜 지지프레임과 대응되게 형성한 팔걸이 프레임과, 상기 팔걸이 프레임과 전방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결합되어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하게 절곡되는 다관절 힌지로 구성된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휠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의 힌지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팔걸이가 접철 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3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휠체어(100)의 하측 좌, 우측에 형성된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전, 후방에 장착된 바퀴(120)와,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시트(140)가 장착된 시트 프레임(130)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시트 프레임(130)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부측을 절곡하여 손잡이(151)를 형성하고 외주연의 좌, 우 측방에 고정부재(152)를 마련한 등받이 프레임(150)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전방에 직립되게 형성된 전방 지지프레임(160)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150)의 고정부재(152)에 후방부를 결합 분리되게하고 전방부을 하측으로 절곡시켜 전방 지지프레임(160)의 상단부와 대응되게 형성한 팔걸이 프레임(170)과, 상기 팔걸이 프레임(170)과 전방 지지프레임(160)의 대응부분에 상호 결합하여 팔걸이 프레임(170)이 접철 가능하게 절곡되는 다관절 힌지(180)로 구성한다.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은 휠체어(100)의 하측에 좌, 우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대응되게 형성한다.
상기 바퀴(120)는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후방부 외측에 메인바퀴(121)가 장착되고 메인바퀴(121)의 측방으로 메인바퀴(121)를 구동하는 환 형상의 구동핸들(122)를 구비하며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전방부 하측에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보조바퀴(123)가 장착된다.
상기 시트 프레임(130)은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상측으로 대응되게 형성하여 시트 프레임(130) 사이에 환자가 착석할 수 있는 연질의 시트(140)가 마련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150)은 휠체어(100)의 후방 좌, 우측에 직립 되게 설치하여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시트 프레임(130)의 후단부를 고정하며 상부측을 후방으로 절곡하여 손잡이(151)를 마련한다.
여기서, 좌, 우측으로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150)의 사이에는 등받이 시트(141)가 장착되며 등받이 프레임(150)의 외주연 좌, 우 측방에는 하부측을 상측으로 절곡하되 라운드로 형성하여 텐션부(152a)를 갖는 고정부재(152)가 구비된다.
상기 전방 지지프레임(160)은 적정의 길이로 형성하되 하측 수평프레임(110) 전방부에 하단부가 고정되어 상향으로 직립되게 형성되며 상부측 외주연에 시트 프레임(130)의 전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팔걸이 프레임(170)의 후방측이 등받이 프레임(150)의 고정부재(152)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며 전방측을 하측으로 절곡하여 절곡된 끝단부가 전방 지지프레임(160)과 대응되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팔걸이 프레임(150)에는 쿠션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다관절 힌지(180)는 팔걸이 프레임(170)의 절곡된 끝단부에 상단부를 고정하고 하부측에 삽입홈(181a)을 측방으로 형성한 팔걸이 프레임 힌지(181)와, 상기 팔걸이 프레임(170)의 삽입홈(181a)에 삽입되는 삽입편(182a)을 상측에 대응되게 형성하여 연결핀(185)으로 결합하고 삽입편(182a)의 하측에 삽입홈(182a)을 측방으로 형성한 연결힌지(182)와, 상기 연결힌지(182)의 삽입홈(182b)에 삽입되는 삽입편(183a)을 대등되게 형성하여 연결핀(185)으로 결합한 지지프레임 힌지(183)로 구성하여 팔걸이 프레임(170)과 전방 지지프레임(160)을 대응되게 연결한다.
여기서, 삽입홈(181a, 182b) 하단과 삽입편(182a, 183a)의 상단을 반원으로 형성하되 반원의 중심부에 핀 결합공(184)을 각각 관통시켜 핀 결합공(184)에 연결핀(185)을 각각 삽입하여 팔걸이 프레임 힌지(181), 연결힌지(182) 및 지지프레임 힌지(183)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다관절 힌지(180)가 원활히 절곡되어 팔걸이 프레임(150)이 하측으로 접철 되도록 한다.
나아가, 삽입홈(181a, 182b)의 양측을 개방시키면서 삽입홈(181a, 182b) 보다 삽입편(182a, 183a)의 크기를 약간 작게 형성하여 힌지(181,182,183)의 절곡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가 휠체어(100)에서 차량, 의자, 침대 등으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휠체어(100)를 차량의 시트, 의자, 침대 등에 근접하게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휠체어(100)가 근접하게 위치하면 고정부재(152)에 착, 탈 가능하게 안착 된 팔걸이 프레임(170) 후측을 들어올려 고정부재(152)로 부터 팔걸이 프레임(170)을 이탈 시킨다.
상기 팔걸이 프레임(170)이 이탈된 상태에서 팔걸이 프레임(170)을 외향으로 밀면 다관절 힌지(180)가 연결핀(185)을 중심으로 각각 절곡된다.
여기서, 다관절 힌지(180)가 절곡되면서 팔걸이 프레임(170)이 접철되어 전방 지지프레임(160)의 외주연에 밀찰되게 된다.
이때, 팔걸이 프레임(170)이 시트 프레임(130)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좌, 우 이동시 장애가 되었던 팔걸이 프레임(170)이 하측으로 접철되게 된다.
특히, 장애가 되었던 팔걸이 프레임(170)이 없게 되어 환자가 휠체어(100)에서 전방은 물론이고 좌, 우측으로도 손쉽고 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휠체어(100)의 하측 좌, 우측에 형성된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에 전, 후방에 장착된 바퀴(120)와,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 상측에 위치하여 시트(140)가 장착된 시트 프레임(130)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시트 프레임(130)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부측을 절곡하여 손잡이(151)를 형성하며 외주연 좌, 우 측방에 고정부재(152)를 마련한 등받이 프레임(150)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 전방에 직립되게 형성된 전방 지지프레임(160)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150)의 고정부재(152)에 고정되며 전방측을 하측으로 절곡시켜 전방 지지프레임(160)과 대응되게 형성한 팔걸이 프레임(170)과, 상기 팔걸이 프레임(170)과 전방 지지프레임(160)의 사이에 결합되어 팔걸이 프레임(170)이 접철 가능하게 절곡되는 다관절 힌지(180)로 구성하여 팔걸이 프레임(150)이 시트 프레임(130) 하측으로 접철되면서 휠체어(100) 좌, 우 이동시 장애가 되었던 팔걸이 프레임(150)이 없게 되어 환자가 휠체어(100)에서 전방은 물론이고 좌, 우측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간호사 또는 간병인 등의 주변 사람의 도움없이 환자 혼자서 휠체어(100) 로 이동할 수 있으며 팔걸이 프레임(150)이 휠체어(1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절곡되면서 접첩되어 분실될 경우가 없다.
도 1은 종래의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휠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의 힌지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 팔걸이가 접철 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휠체어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휠체어 110: 하측 수평프레임
120: 바퀴 121: 메인바퀴
122: 구동핸들 123: 보조바퀴
130: 시트 프레임 140: 시트
141: 등받이 시트 150: 등받이 프레임
151: 손잡이 152: 고정부재
152a: 텐션부 160: 전방 지지프레임
170: 팔걸이 프레임 180: 단관절 힌지
181: 팔걸이 프레임 힌지 181a: 삽입홈
182: 연결힌지 182a: 삽입편
182b: 삽입홈 183: 지지프레임 힌지
183a: 삽입편 184: 핀 결합공
185: 연결핀

Claims (2)

  1. 휠체어(100)의 하측부 좌, 우측에 대응되게 형성된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전, 후방에 장착된 바퀴(120)와,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시트(140)를 장착한 시트 프레임(130)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과 시트 프레임(130)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부측을 후방으로 절곡하여 손잡이(151)를 형성하며 외주연의 좌, 우 측방에 텐션부(152a)가 형성된 고정부재(152)를 구비한 등받이 프레임(150)과,
    상기 하측 수평프레임(110)의 전방에 직립되게 형성하되 상부측에 시트 프레임(130)의 전단부가 결합된 전방 지지프레임(160)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150)의 고정부재(152)에 후방부가 결합 분리되게하고 전방측을 하측으로 절곡하여 전방 지지프레임(160)의 상단과 대응되게 형성한팔걸이 프레임(170)과,
    상기 팔걸이 프레임(170)과 전방 지지프레임(160)의 대응부분에 상호 결합하여 팔걸이 프레임(170)이 접철 가능하게 절곡되는 다관절 힌지(1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힌지(180)는 팔걸이 프레임(150)의 절곡부 끝단에 하부에 삽입홈(181a)이 형성된 팔걸이 프레임 힌지(181)를 결합하고 팔걸이 프레임 힌지(181)의 삽입홈(181a)에 삽입하여 체결되는 삽입편(182a)과 하부에 삽입홈(182b)을 형성한 연결힌지(182)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힌지(182)의 삽입홈(182b)에 삽입되어체결되는 삽입편(183a)을 형성한 지지프레임 힌지(183)를 전방 지지프레임(160)의 상단에 부착하여 결합하되 각각의 삽입홈(181a, 182b)에 끼워진 삽입편(182a,183a)에 연결핀(186)을 결합하여 절곡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걸이 프레임이 절첩 가능한 휠체어.
KR20-2005-0021186U 2005-07-20 2005-07-20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 KR200398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186U KR200398836Y1 (ko) 2005-07-20 2005-07-20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186U KR200398836Y1 (ko) 2005-07-20 2005-07-20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836Y1 true KR200398836Y1 (ko) 2005-10-17

Family

ID=4369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186U KR200398836Y1 (ko) 2005-07-20 2005-07-20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8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656A (ko) 2018-07-11 2020-01-21 문현덕 측면승하차용 휠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656A (ko) 2018-07-11 2020-01-21 문현덕 측면승하차용 휠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6736B1 (ja) 介護用車椅子
JP2001008991A (ja) 歩行補助器
US7097189B2 (en) Wheelchair with self-raising seat
JP6722868B2 (ja) ベッド
JPH1170146A (ja) 車椅子
KR102150594B1 (ko) 휠체어
JP3135395U (ja) 人載せキャリヤー用折畳み装置
KR200398836Y1 (ko) 팔걸이 프레임이 접철 가능한 휠체어
KR102289619B1 (ko) 휠체어 탈부착식 침대
KR101310840B1 (ko) 콘트롤러 가변수단을 가지는 전동휠체어
JP3201241U (ja) 介護用ベッド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KR20160049779A (ko)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JP2002078756A (ja) ベッド及び車椅子
JP2001161752A (ja) 分離合体型車椅子
JP2003052754A (ja) 車いすあるいは椅子のための身体起こし装置、及びこれを取付けまたは組み込んだ車いすあるいは椅子
JP2001293041A (ja) 多機能ベッド
TW201720403A (zh) 行動輔具模組化轉換機構
JP3347181B2 (ja) 多用途走行装置
KR200165584Y1 (ko) 다기능 침대
CN213697566U (zh) 看护机器人的适用于座式便器基架结构
KR102581667B1 (ko)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KR200358373Y1 (ko) 휠체어
KR101690424B1 (ko)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JP2017077253A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