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141B1 -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141B1
KR101171141B1 KR1020100106068A KR20100106068A KR101171141B1 KR 101171141 B1 KR101171141 B1 KR 101171141B1 KR 1020100106068 A KR1020100106068 A KR 1020100106068A KR 20100106068 A KR20100106068 A KR 20100106068A KR 101171141 B1 KR101171141 B1 KR 101171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wheelchair
shaft
detachable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653A (ko
Inventor
김용철
김규석
조현석
권칠용
박세훈
윤 허
류제청
문무성
Original Assignee
한국산재의료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재의료원 filed Critical 한국산재의료원
Priority to KR102010010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141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03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 B62K5/007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휠체어와,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킬 수 있는 보조동력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보조동력장치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시트 하부에 설치되는 X자 형상의 크로스바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보조동력장치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샤프트홀더를 포함하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Mounting structure for manual wheelchair power assistive device}
본 발명은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동휠체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보조동력장치의 연결시 원터치 형식으로 손쉽고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장애인, 노약자 그리고 다리가 자유롭지 못한 사람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앉은 상태에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를 말한다.
이러한, 휠체어는 그 구동방법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바퀴를 구동시키는 수동휠체어와,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휠체어로 구분된다.
상술한 수동휠체어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바퀴를 구동시켜야 하므로 장거리 운행이 어렵고 불편할 뿐 아니라 경사도 운행시 사용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뒤로 밀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보호자 또는 사용자가 직접 힘을 가하여 운전해야 하기 때문에 힘이 약한 노약자는 운행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한편, 전동휠체어는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 측면에서 장점이 있으나, 실외용으로 사용되어 실내에서는 별도의 수동휠체어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동휠체어에 별도의 보조동력장치를 구비하여 경우에 따라 상기 보조동력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동휠체어에 보조동력장치를 결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운행이 간편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휠체어(W)와 보조동력장치(P)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착탈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W)의 시트 하부 바디에 고정식으로 체결되어 있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착탈장치(10)를 분리하기 매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분리가 불가능하였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를 지지하는 바디에 상기 보조동력장치(P)와의 결합을 위한 착탈장치(10)를 구비한 고정바(1)를 고정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분리하기가 쉽지 않아 항상 착탈장치(10)가 고정된 상태로 휠체어(W)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종래의 착탈장치(10)가 휠체어(W) 바디에 고정됨으로 인해 휠체어(W)의 바디를 접을 수 없게 되어 차량에 탑재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이동시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됨으로서 이동에 제한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착탈장치(10)의 구성이 특정한 휠체어(W)에 전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휠체어(W)의 형식 변경에 대하여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휠체어와 보조동력장치의 결합 및 분리를 원터치 형식으로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휠체어에 착탈장치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휠체어 바디를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휠체어의 전방 또는 후방에 택일적으로 설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륜형 및 후륜형 보조동력장치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휠체어와,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킬 수 있는 보조동력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보조동력장치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시트 하부에 설치되는 X자 형상의 크로스바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보조동력장치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샤프트홀더를 포함하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이 밀폐되게 형성되되, 개방된 일단에 상기 샤프트홀더의 결합시 구속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부싱이 마련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밀폐된 일단 외측에 회동축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휠체어의 크로스바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로 이루어진 링크부를 포함한다.
또한, 부싱은 상기 샤프트홀더가 삽입되는 일단이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점차 내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링크부 및 제2링크부는 상기 회동축에 의해 바디부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와, 상기 일측이 한 쌍의 링크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휠체어의 크로스바에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결합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구는 상기 크로스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부재의 일단을 밀폐할 수 있도록 볼트 결합되는 구속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구는 상기 크로스바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교체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 또는 제2링크부 중 어느 하나는 구속핀에 의해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홀더의 결합시 상기 샤프트홀더를 탄성지지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하느 샤프트홀더는 일단이 상기 보조동력장치에 결합되는 제2바디부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바디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시 택일적으로 분리 또는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 안전볼이 구비된 외부케이싱과, 상기 제2바디부와 결합된 상기 외부케이싱의 일단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에 원뿔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외부케이싱의 타단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의 이송을 통해 상기 안전볼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 샤프트와, 상기 제2바디부에 결합되며 일부분이 상기 원뿔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압부재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버튼의 가압에 따라 가압부재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 버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시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구속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샤프트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볼이 구비된 외부케이싱 일측에 상기 안전볼과 인접하게 구속볼이 구비되며, 상기 구속볼에 하중을 가압시 상기 샤프트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안전볼이 상기 샤프트의 안착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위치되어 구속력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는 휠체어의 시트 하부에 마련된 크로스바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휠체어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휠체어를 접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로 인해 휠체어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휠체어와 보조동력장치를 연결 및 분리시 원터치 형식으로 손쉽고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등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몸이 불편한 사용자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휠체어의 전방 및 후방에 마련되는 크로스바에 보조동력장치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전륜형 또는 후륜형 보조동력장치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동휠체어와 보조동력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를 이용하여 휠체어와 보조동력장치를 결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의 하우징을 분해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의 삽입부재(134a)의 변경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의 샤프트홀더를 분해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의 샤프트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장치용 착탈장치의 샤프트홀더와 하우징이 보조동력장치와 휠체어에 각각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의 결합 또는 분리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를 이용하여 휠체어와 보조동력장치를 결합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100)는 휠체어(W)와 보조동력장치(P)를 쉽고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크게 휠체어(W)에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보조동력장치(P)에 결합되는 샤프트홀더(1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은 휠체어(W)의 시트 하부를 지지하고 있는 크로스바(C)에 일부분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20)와, 링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디부(1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이 밀폐되게 형성되며 내측에 탄성부재(1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120)에는 개방되게 형성된 일단으로 후술하는 샤프트홀더(140)의 결합시 원활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샤프트홀더(140)의 결합후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부싱(122)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부싱(122)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홀더(140)가 삽입되는 일단은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점차 내경이 축소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크부(130)는 일단이 상기 바디부(120)의 밀폐된 일단 외측에 회동축(13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휠체어(W)의 시트 하부에 "X"자 형태로 형성되는 크로스바(C)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1링크부(130a)와, 제2링크부(130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130a) 및 제2링크부(130b)는 일단이 상기 회동축(131)에 의해 바디부(12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132)와, 상기 한 쌍의 링크(132)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휠체어(W)의 크로스바(C)에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결합구(13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링크부(130a)의 한 쌍의 링크(132)와, 상기 제2링크부(130b)의 한 쌍의 링크(1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번되게 회동축(131)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부(130a) 또는 제2링크부(130b) 중 어느 하나는 구속핀(135)에 의해 상기 바디부(120)에 고정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속핀(135)은 상기 제1링크부(130a) 또는 제2링크부(130b) 중 어느 하나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마감캡(136)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구속핀(135)이 결합되지 않는 제1링크부(130a) 또는 제2링크부(130b) 중 어느 하나는 회전시 상기 구속핀(135)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링크부(130)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후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단턱이 형성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속핀(135)을 이용하여 상기 제1링크부(130a) 또는 제2링크부(130b) 중 어느 하나를 구속하여 바디부(120)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130a) 및 제2링크부(130b) 모두 구속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링크(132) 사이에 위치되는 결합구(134)는 상기 회동축(13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링크(132)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로스바(C)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부재(134a)와,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부재(134a)의 일단을 밀폐할 수 있도록 볼트(S) 결합되는 구속부재(134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삽입공은 상기 크로스바(C)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휠체어(W)에 설치되는 크로스바(C)의 형상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134a)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삽입부재(134a)의 형상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삽입부재(134a)는 교체가능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삽입공을 갖는 복수개의 삽입부재(134a)를 구비한 후 크로스바(C)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교체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로스바(C)를 설치한 모든 휠체어(W)에 적용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구(13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크로스바(C)의 형상에 따라 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C형이링(138a)이 결합되는 회동핀(138b)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링크(132) 사이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상기 링크부(130)를 제1링크부(130a)와 제2링크부(130b)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휠체어(W)에 설치되는 크로스바(C)의 개수에 따라 제3링크부(미도시) 및 제4링크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조동력장치(P)에 결합되는 샤프트홀더(140)는 상기 하우징(110)과 원터치 형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바디부(150)와, 외부케이싱(160)과, 샤프트(170)와, 가압부재(180), 그리고, 버튼(190)을 포함한다.
상기 제2바디부(150)는 일단이 상기 보조동력장치(P)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동력장치(P)와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S)가 삽입되는 체결공(151)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바디부(120)와 결합시 위치를 구속하여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속돌기(15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바디부(150)에 형성된 구속돌기(152)와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110)의 바디부(120)에는 상기 구속돌기(152)가 삽입될 수 있는 구속홈(123)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외부케이싱(160)은 일단이 상기 제2바디부(150)와 볼트(S)에 의해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바디부(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싱(16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에 상기 제2바디부(15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볼트공(161)이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바디부(120) 내에 삽입시 이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속볼(162) 및 안전볼(163)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구속볼(162) 및 안전볼(163)은 상기 외부케이싱(160) 내로 결합되는 샤프트(170)의 수방향향 이송시 택일적으로 승하강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샤프트(170)의 설명시에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외부케이싱(160)은 일단이 상기 제2바디부(15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볼트(S) 결합되되, 상기 제2바디부(150)의 내측에 위치된 외부케이싱(160)의 일단으로는 가압부재(180)가 결합되고, 타단으로는 샤프트(17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싱(160)의 양 끝단으로 각각 결합되는 가압부재(180)와, 샤프트(170)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싱(160)의 내부에서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가압부재(180)는 일단에 상기 샤프트(17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타단은 원뿔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원뿔형상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후술하는 버튼(190)과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샤프트(170)는 수평방향으로의 왕복이송을 통해 상술한 구속볼(162) 및 안전볼(163)을 택일적으로 승하강시켜 상기 하우징(110)의 바디부(120)와의 결합시 하우징(110)에서 샤프트홀더(140)가 이격되는 것을 택일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부재(1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상으로 형성된 일단이 상기 제2바디부(150)의 일측에 직교하게 결합되는 버튼(190)과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190)의 가압시 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일단에 결합된 샤프트(170)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80)와 샤프트(170)는 탄성부재(182)를 통해 상기 외부케이싱(160)에 대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8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80) 및 샤프트(17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180)와 결합된 샤프트(170)의 타단 상에는 상기 구속볼(162)의 승하강을 안내할 수 있는 경사부(172)와, 상기 경사부(172)와 인접하게 형성되며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안전볼(163)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17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외부케이싱(160)에 마련되는 구속볼(162)을 가압할 경우에는 샤프트(170)에 형성된 경사부(172)에 의해 상기 샤프트(170)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구속볼(162)이 내측으로 향하게 되는 구성이며, 구속볼(162)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볼(163)을 가압할 경우에는 상기 샤프트(170)의 안착부(174)에 안전볼(163)이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눌리지 않는 구조이다.
한편 버튼(190)은 일부분이 상기 제2바디부(150)의 내측으로 결합된 가압부재(180)와 직교하게 접촉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탄성부재(192)에 의해 탄성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버튼(190) 상에는 상기 가압부재(180)와 접촉되는 경사부를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제2바디부(150)에서의 이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동제한핀(194)이 결합된다.
상기 이동제한핀(194)은 상기 제2바디부(15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장공(154)을 통해 상기 버튼(190)의 일측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190)의 측면에 돌출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제2바디부(150)에서의 승하강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구조이다.(도7 참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휠체어(W)에 설치된 "X"자형 크로스바(C)에 결합된 상태이며, 샤프트홀더(140)는 보조동력장치(P)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은 휠체어(W)의 크로스바(C) 형상에 따라 결합구(134)를 교체한 후 결합구(134)의 삽입부재(134a)에서 구속부재(134b)를 분리한 다음 삽입공에 크로스바(C)를 삽입한 후 구속부재(134b)를 볼트(S) 결합하는 방식으로 쉽고 간편하게 하우징(110)을 결합할 수 있으며, 샤프트홀더(140)는 보조동력장치(P)에 제2바디부(150)를 위치시킨 후 체결공(151)으로 볼트(S)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110) 내로 샤프트홀더(14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휠체어(W)와 보조동력장치(P)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170)에 형성된 안전볼(163)이 상기 부싱(122)의 일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하우징(110)과 샤프트홀더(140)가 이격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홀더(140)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기 하우징(110) 내로 삽입시 테이퍼지게 형성된 부싱(122)에 의해 구속볼(162)이 가압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170)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안전볼(163)이 상기 안착부(174)의 경사진 부분에 위치되면서 외부케이싱(160) 내측으로 향하게 되어 원활한 결합이 이루어지나, 구속볼(162)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볼(163)이 안착부(174)의 수평한 면에 위치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안전볼(163)이 부싱(122)에 걸리게 되어 이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휠체어(W)와 보조동력장치(P)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샤프트홀더(140)에 마련된 버튼(190)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180)에 의해 샤프트(170)가 슬라이딩 되면서, 안전볼(163)이 샤프트(170)의 안착부(174)에 형성된 경사면에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부싱(122)의 일단에 걸려있던 안전볼(163)이 외부케이싱(160) 내측으로 향하면서 구속력이 해제되고 탄성부재(121)의 탄성력에 의해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홀더(140)가 하우징(110)에서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100)는 휠체어(W)를 지지하는 동시에 택일적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 크로스바(C)에 링크부(1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이 휠체어(W)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휠체어(W)를 접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휠체어(W)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W)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된 크로스바(C)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어 전륜형 또는 후륜형 보조동력장치(P)에 관계없이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홀더(140)와 하우징(110)을 원터치 형식으로 쉽고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노약자 또는 장애인 등이 어려움없이 보조동력장치(P)와 휠체어(W)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인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 착탈장치 110 : 하우징
120 : 바디부 121 : 탄성부재
122 : 부싱 123 : 구속홈
130 : 링크부 130a : 제1링크부
130b : 제2링크부 131 : 회동축
132 : 한 쌍의 링크 134 : 결합구
134a : 삽입부재 134b : 구속부재
135 : 구속핀 136 : 마감캡
137 : 단턱 138a : C형이링
138b : 회동핀 140 : 샤프트홀더
150 : 제2바디부 151 : 체결공
152 : 구속돌기 160 : 외부케이싱
161 : 볼트공 162 : 구속볼
163 : 안전볼 170 : 샤프트
172 : 경사부 174 : 안착부
180 : 가압부재 182 : 탄성부재
190 : 버튼 192 : 탄성부재
194 : 이동제한핀 C : 크로스바
W : 휠체어 P : 보조동력장치

Claims (12)

  1. 휠체어와, 전동기를 통해 바퀴를 구동시킬 수 있는 보조동력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휠체어 보조동력장치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의 시트 하부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보조동력장치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 샤프트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통형상으로 일단이 밀폐되게 형성되되, 개방된 일단에 상기 샤프트홀더의 결합시 구속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부싱이 마련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밀폐된 일단 외측에 회동축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휠체어의 크로스바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로 이루어진 링크부를 포함하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샤프트홀더가 삽입되는 일단이 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점차 내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 및 제2링크부는
    상기 회동축에 의해 바디부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링크와,
    일측이 한 쌍의 링크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휠체어의 크로스바에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결합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크로스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삽입부재의 일단을 밀폐할 수 있도록 볼트 결합되는 구속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기 크로스바의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 교체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 또는 제2링크부 중 어느 하나는 구속핀에 의해 상기 바디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홀더의 결합시 상기 샤프트홀더를 탄성지지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홀더는
    일단이 상기 보조동력장치에 결합되는 제2바디부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2바디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타단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시 택일적으로 분리 또는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구속력을 제공하는 안전볼이 구비된 외부케이싱과,
    상기 제2바디부와 결합된 상기 외부케이싱의 일단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에 원뿔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외부케이싱의 타단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의 이송을 통해 상기 안전볼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안착부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제2바디부에 결합되며 일부분이 상기 원뿔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가압부재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버튼을 포함하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하우징과의 결합시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구속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샤프트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전볼이 구비된 외부케이싱 일측에 상기 안전볼과 인접하게 구속볼이 구비되며, 상기 구속볼에 하중을 가압시 상기 샤프트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안전볼이 상기 샤프트의 안착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위치되어 구속력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KR1020100106068A 2010-10-28 2010-10-28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KR101171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068A KR101171141B1 (ko) 2010-10-28 2010-10-28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068A KR101171141B1 (ko) 2010-10-28 2010-10-28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653A KR20120044653A (ko) 2012-05-08
KR101171141B1 true KR101171141B1 (ko) 2012-08-06

Family

ID=4626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068A KR101171141B1 (ko) 2010-10-28 2010-10-28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329A (ko) * 2018-03-12 2019-09-20 근로복지공단 수전동 휠체어용 구동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478B1 (ko) * 2014-06-23 2016-03-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별도의 장착프레임을 가지는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CN106572937B (zh) * 2014-06-23 2019-07-23 韩国生产技术研究院 具有另外的安装框架的行驶辅助装置
KR101598481B1 (ko) * 2014-06-23 2016-03-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장착프레임 유닛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용 주행보조장치
KR101598484B1 (ko) * 2014-06-23 2016-03-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착탈 가능한 휠체어 주행보조장치
CN107072857B (zh) * 2014-08-12 2018-10-09 韩国生产技术研究院 轮椅用行驶辅助装置
KR101920220B1 (ko) 2017-01-18 2018-11-21 (주)디앤엠솔루션즈 수동 휠체어 보조 동력 장치
KR102267674B1 (ko) 2019-10-02 2021-06-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보조 바퀴
KR102555475B1 (ko) * 2021-09-24 2023-07-13 주식회사 퍼스트씨앤디 조립식 전동휠체어
KR200496348Y1 (ko) 2022-10-24 2023-01-09 문종현 휠체어에 탈착 가능한 보조 동력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449U (ja) 1997-07-16 1998-05-15 東慶 林 身障者用電動車の動力補助防傾輪
JP2004275497A (ja) * 2003-03-17 2004-10-07 Sanyo Electric Co Ltd 車椅子の電動補助ユニット及び電動ユニット
JP2010207454A (ja) * 2009-03-11 2010-09-24 Ko Kumano 電動補助機及び車椅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449U (ja) 1997-07-16 1998-05-15 東慶 林 身障者用電動車の動力補助防傾輪
JP2004275497A (ja) * 2003-03-17 2004-10-07 Sanyo Electric Co Ltd 車椅子の電動補助ユニット及び電動ユニット
JP2010207454A (ja) * 2009-03-11 2010-09-24 Ko Kumano 電動補助機及び車椅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329A (ko) * 2018-03-12 2019-09-20 근로복지공단 수전동 휠체어용 구동모듈
KR102028610B1 (ko) 2018-03-12 2019-10-07 근로복지공단 수전동 휠체어용 구동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653A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141B1 (ko) 휠체어 보조동력장치용 착탈장치
ES2829255T3 (es) Asiento de seguridad infantil manual plegable
US8585075B2 (en) Stroller and support-frame adjusting device
KR101788579B1 (ko)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JP4776736B1 (ja) 介護用車椅子
EP3590789B1 (en) Trailer for stroller
EP2832625B1 (en) A stroller frame and a foldable and detachable chair frame
KR200457630Y1 (ko) 구급차용 환자 이송 들것
CN106999329B (zh) 轮椅及主车轮单元
EP3248835A1 (en) Folding electric child safety seat
KR20160015424A (ko)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KR101496587B1 (ko) 가변식 시트를 갖는 휠체어
US20110219529A1 (en) Commode Chair
CN110693681A (zh) 适配于轮椅上的分体式辅助行走装置
CN111746618A (zh) 婴儿车车架收合关节、婴儿车车架和婴儿车
KR102080545B1 (ko) 이동장치가 장착된 휠체어
KR101743876B1 (ko) 침대형 휠체어용 탈부착 들것
KR200406017Y1 (ko) 휠체어용 발판 접철장치
KR100883421B1 (ko) 전동 휠체어
CN211433756U (zh) 辅助行走装置与轮椅主体间的拆装结构及轮椅
KR20160049779A (ko) 래치형 휠체어 전동 바이크
CN211434012U (zh) 适配于轮椅的分体式辅助行走装置
KR102186013B1 (ko) 실내외 겸용 휠체어
CN210844106U (zh) 老年护理用拐杖
KR200371893Y1 (ko) 휠체어용 탈착식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