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697B1 -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Google Patents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2697B1 KR102112697B1 KR1020180064075A KR20180064075A KR102112697B1 KR 102112697 B1 KR102112697 B1 KR 102112697B1 KR 1020180064075 A KR1020180064075 A KR 1020180064075A KR 20180064075 A KR20180064075 A KR 20180064075A KR 102112697 B1 KR102112697 B1 KR 1021126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king
- frame
- person
- aid device
- join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230 mo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166076 Diapheromera femor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272996 Polyphylla full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38 discontinuous diafiltration by volum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체가 앞으로 숙여지는 파킨슨 환자를 포함한 보행 장애자가 재활 또는 일상생활에서 몸을 의지한 채 걸어다닐 수 있도록 하는 보행도움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안정성과 보관성 및 사용성이 우수한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체가 앞으로 숙여지는 파킨슨 환자를 포함한 보행 장애자가 재활 또는 일상생활에서 몸을 의지한 채 걸어다닐 수 있도록 하는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킨슨 환자는 상체를 전방으로 숙이고 총총걸음을 걷는 보행적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보행적 특징을 갖는 파킨슨 환자, 거동 불편자, 노인과 같이 보행이 불편한 사람들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행 교정기나 장치들은 갓난아기용 유모차에서부터 할아버지의 지팡이를 포함한 보행보조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보행 보조기들은 정상적인 보행이 불가능한 환자 내지 장애자들의 재활을 위해 손잡이를 위한 그립이 있는 그립(grip)형, 직립이 힘든 환자 등의 재활을 돕기 위한 지그재그(zigzag)형 보행기 등 다양한 형태의 전문 보행 보조기들이 있다.
이와 같은 보행 보조기 특히 보행기는 전체적으로 일측부가 개방된 '⊃'자 형상의 본체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이동이 편리하도록 캐스터가 부설되어 일정한 높이를 갖는 카트형 보행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보행 보조기는 보행자가 몸체를 손으로 집고 밀면서 보행을 하기 때문에 보행자가 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최근에는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절이 가능하고 하단에 캐스터가 구비된 것들이 다수 소개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보행 보조기를 예로 들자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163435호(이하 문헌 1이라 함)와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460767호(이하 문헌 2이라 함)가 있다.
상기 문헌 1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기 주행시의 제동 및 주차시의 제동을 한개의 레버조작에 의해 제동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행기의 상측지지관에 결합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보행기의 바퀴를 브레이크레버의 압지력으로 제동하기 위해 보행기의 하측지지관에 결합되는 제동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기의 주행 및 주차제동장치이다.
이때, 상기 조작부는 상측지지관에 고정되는 수납홈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납홈에 결합되어 레버에 의해 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는 레버와 연결된 캠판과, 상기 캠판을 지지시키기 위해 케이스의 수납홈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하측 고정축으로 결합되는 캠판에 형성된 상,하측캠공과, 상기 캠판의 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와이어를 당겨서 제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와이어의 끝단부를 고정하고 있는 상측고정체를 고정시킬수 있도록 캠판에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캠판을 역회전시켜 주차시 제동을 할때 캠판이 자연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캠판에 형성되는 정지편과, 상기 정지편이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케이스의 수납홈에 결합되는 정지축으로 구비한 것이다.
한편, 문헌 2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의 재질로 지면 위에서 보행자를 지탱하는 한 쌍의 프레임;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이 연결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연결대;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여 보행자가 원하는 각도로 파지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부;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전방 하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이동시 충격을 흡수하는 동시에 보행자의 체중을 가해 제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부는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립이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중앙 하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에 이격하여 상기 샤프트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각도를 변경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의 변경된 각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샤프트 외측으로 삽입하여 고정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를 잡아당겨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스프링의 외측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제1 보호캡이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문헌 1,2를 포함한 종래 기술은 프레임 내지 샤프트 전체가 접히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 후 보관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보관의 어려움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령 프레임 내지 샤프트가 접힌다 하더라도 일직선 형태로 접히지 않고 구조물에 의해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부피 축소의 한계에 따른 보관의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주로 거동에 어려움이 있는 보행 장애자가 사용하게 되므로, 재활운동이나 일상생활 보행 시 힘이 힘들 경우, 보행기(보행 보조장치)에서 벗어나 의자로 이동하여 앉아 쉬었다가 다시 보행기(보행 보조장치)로 이동하여 보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손잡이 부분이 보행기(보행 보조장치)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체중이 실리게 되는 손잡이 부분을 중심으로 보행기(보행 보조장치) 전방이 들리면서 넘어질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상체가 전방으로 기울어져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파킨슨 환자의 경우 더욱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심화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 문헌의 좀 더 상세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문헌1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3435호(명칭 : 보행기의 주행 및 주차제동장치 ; 출원일: 1999년07월09일)
문헌2 :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60767호(명칭 : 보행 보조장치 ; 출원일: 2013년10월1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상체가 앞으로 숙여지는 파킨슨 환자를 포함한 보행 장애자가 재활 또는 일상생활에서 몸을 의지한 채 걸어다닐 수 있도록 하는 보행도움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안정성과 보관성 및 사용성이 우수한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조인트부(11); 상기 각 조인트부(11) 전방에 마련되는 그립부(12); 상기 각 조인트부(11) 후방을 연결 지지하는 연결프레임(13); 상단은 조인트부(11)에 위치하고, 하단은 전방으로 경사 연장된 전방프레임(14); 상단은 조인트부(11)에 위치하고, 하단은 후방으로 경사 연장된 후방프레임(15); 상기 각 조인트부(11)와 전,후방프레임(14,15)의 상단을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피벗(16 : Pivo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한 쌍의 조인트부(11)는 그립부(12)와 연결프레임(13) 및 전,후방프레임(14,15)이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한 쌍의 조인트부(11)는 전,후방프레임(14,15)이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회전하여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그립부(12)는 좌우 한 쌍의 조인트부(1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12a); 상기 프레임 선단 부분의 외부를 감싸는 그립(1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방프레임(14)은 하단에 캐스터(14a)가 마련되고, 상단에 피벗(16)이 관통하는 홀(1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후방프레임(15)은 하단에 캐스터(15a)가 마련되고, 상단에 피벗(16)이 관통하는 홀(15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방프레임(14)과 후방프레임(15)의 피벗(16)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각도는 전방프레임(14)이 후방프레임(15) 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피벗(16)은 센터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프레임(14,15)의 관통 부위에 대해 진퇴 구조를 가지며, 진퇴 위치에 따라 상기 전,후방프레임(14,15)의 관통 부위와 일치 또는 어긋나면서, 상기 전,후방프레임(14,15)의 회동을 저지하여 고정시키거나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전방프레임(14)과 후방프레임(15)이 조인트부(11)의 피벗(1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펼쳐져 사용 가능하거나 접혀서 보관 가능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부피를 축소시켜 보관 가능하도록 하는 보관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피벗(16)을 중심으로 전방프레임(14)의 각도(θ)가 후방프레임(15)의 각도(θ')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피벗(16)의 직하방 지면을 기준으로 전방프레임(14)의 하단(캐스터(14a))이 위치하는 지면과의 거리(D)가 후방프레임(15)의 하단(캐스터(15a))이 위치하는 부분과의 거리(D') 보다 길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조인트부(11)의 전방에 위치하는 그립(12b)을 사용자가 잡았을 때 손의 위치(하중이 발생되는 중심) 내지 보행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중심으로 전방프레임(14)의 하단(캐스터(14a))이 위치하는 부분과의 간격(W)과 후방프레임(15)의 하단(캐스터(15a))이 위치하는 부분과의 간격(W')이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의지한 채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정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프레임(13)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절첩 가능한 시트(19)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재활운동이나 보행 도중 앉아서 쉴 수 있도록 하는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피벗(16)이 센터축을 중심으로 전,후방프레임(14,15)의 관통 부위에 대해 진퇴 구조를 가지며, 진퇴 위치에 따라 상기 전,후방프레임(14,15)의 관통 부위와 일치 또는 어긋나면서, 상기 전,후방프레임(14,15)의 회동을 저지하여 고정하거나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후방프레임(14,15)의 절첩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보행기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 보행 보조기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중 조인트부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중 조인트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행에 따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절첩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자가 구비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보행 보조기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중 조인트부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중 조인트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보행에 따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절첩 단계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자가 구비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10)는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조인트부(11); 상기 각 조인트부(11) 전방에 마련되는 그립부(12); 상기 각 조인트부(11) 후방을 연결 지지하는 연결프레임(13); 상단은 조인트부(11)에 위치하고, 하단은 전방으로 경사 연장된 전방프레임(14); 상단은 조인트부(11)에 위치하고, 하단은 후방으로 경사 연장된 후방프레임(15); 상기 각 조인트부(11) 중앙과 전,후방프레임(14,15)의 상단을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피벗(16 : Pivot);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한 쌍의 조인트부(11)는 그립부(12)와 연결프레임(13) 및 전,후방프레임(14,15)이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조인트부(11)는 전,후방프레임(14,15)이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회전하여 펼쳐지되, 그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유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인트부(11)는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프레임(14,15)이 연결되는 부위에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유지시키는 절결홈(11a)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그립부(12)는 좌우 한 쌍의 조인트부(1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12a); 상기 프레임 선단 부분의 외부를 감싸는 그립(12b);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12a)은 일측 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인트부(11)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조인트부(11)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져 조인트부(11)를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조임 결합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연결프레임(13)과 동일체로 이루어져 조인트부(11)를 관통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12b)은 전방프레임(14)과 후방프레임(15) 하단이 위치하는 중간 선상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연결프레임(13)은 ']'자 형태로 절곡된 프레임으로서,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인트부(11)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조인트부(11)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져 조인트부(11)를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조임 결합 고정될 수도 있으며, 상기 그립부(12)와 동일체로 이루어져 조인트부(11)를 관통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전방프레임(14)은 하단에 캐스터(14a)가 마련되고, 상단에 피벗(16)이 관통하는 홀(14b)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후방프레임(15)은 하단에 캐스터(15a)가 마련되고, 상단에 피벗(16)이 관통하는 홀(15b)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프레임(14)과 후방프레임(15)의 피벗(16)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각도는 전방프레임(14)이 후방프레임(15) 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14)의 홀(14b)과 후방프레임(15)의 홀(15b) 내경에 각각 내경톱니(14c,15c)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피벗(16)은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부(11)의 중앙을 중심으로 전,후방프레임(14,15)의 홀(14b,15b)에 대해 진퇴 구조를 가지며, 진퇴 위치에 따라 상기 전,후방프레임(14,15)의 홀(14b,15b)과 일치 또는 어긋나면서, 상기 전,후방프레임(14,15)의 회동을 저지하여 고정하거나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벗(16)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일측 단부가 조인트부(1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중앙에 인입되고, 상기 전방프레임(14)의 홀(14b)과 후방프레임(15)의 홀(15b) 내경에 각각 마련되는 내경톱니(14c,15c)에 대응 치합되는 외경톱니(16a,16b)가 외경에 각각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전방프레임(14)의 캐스터(14a) 또는 후방프레임(15)의 캐스터(15a)에 브레이크(18a)가 마련되고, 상기 그립부(12)의 그립(12b)에 인접한 위치에 브레이크레버(18b)가 마련되고, 상기 브레이크(18a)와 브레이크레버(18b)가 브레이크와이어(미도시)로 연결된 브레이크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좌우 한 쌍의 조인트부(11); 상기 각 조인트부(11) 전방에 마련되는 그립부(12); 상기 각 조인트부(11) 후방을 연결 지지하는 연결프레임(13); 상단은 조인트부(11)에 위치하고, 하단은 전방으로 경사 연장된 전방프레임(14); 상단은 조인트부(11)에 위치하고, 하단은 후방으로 경사 연장된 후방프레임(15); 상기 각 조인트부(11) 중앙과 전,후방프레임(14,15)의 상단을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피벗(16);을 포함하는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10)이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한 쌍의 조인트부(11)는 그립부(12)와 연결프레임(13) 및 전,후방프레임(14,15)이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블록체로서,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프레임(14,15)이 연결되는 부위에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유지시키는 절결홈(11a)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전,후방프레임(14,15)이 각각 조인트부(11)를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회전하여 펼쳐지되, 그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그립부(12)는 좌우 한 쌍의 조인트부(1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12a); 상기 프레임 선단 부분의 외부를 감싸는 그립(12b);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2a)은 일측 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인트부(11)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결합되거나, 일측 단이 상기 조인트부(11)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져 조인트부(11)를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조임 결합 고정되거나, 상기 연결프레임(13)과 동일체로 이루어져 조인트부(11)를 관통하여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프레임(12a) 일측 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조인트부(11)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결합되거나, 일측 단이 상기 조인트부(11)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져 조인트부(11)를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조임 결합 고정될 경우, 조인트부(11)에 대한 프레임(12a)의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2a)이 연결프레임(13)과 동일체로 이루어져 조인트부(11)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경우, 상기 조인트부(11)에 대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그립(12b)은 전방프레임(14)과 후방프레임(15) 각각의 하단에 마련된 캐스터(14a,15b)가 위치하는 중간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14)과 후방프레임(15)운 피벗(16)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각도가 전방프레임(14)이 후방프레임(15) 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부(11)의 중앙 즉, 피벗(16)을 중심으로 전방프레임(14)의 각도(θ)가 후방프레임(15)의 각도(θ') 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피벗(16)의 직하방 지면을 기준으로 전방프레임(14)의 하단(캐스터(14a))이 위치하는 지면과의 거리(D)가 후방프레임(15)의 하단(캐스터(15a))이 위치하는 부분과의 거리(D') 보다 길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상기 조인트부(11)의 전방에 위치하는 그립(12b)을 사용자가 잡았을 때 손의 위치(하중이 발생되는 중심) 내지 보행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중심으로 전방프레임(14)의 하단(캐스터(14a))이 위치하는 부분과의 간격(W)과 후방프레임(15)의 하단(캐스터(15a))이 위치하는 부분과의 간격(W')이 동일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의지한 채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전방프레임(14)은 하단에 캐스터(14a)가 마련되고 상단에 피벗(16)이 관통하는 홀(14b)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프레임(15) 역시 하단에 캐스터(15a)가 마련되고 상단에 피벗(16)이 관통하는 홀(15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캐스터(14a,15a)에 의해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방 캐스터(14a)는 방향 전환 가능하도록 축 회동구조를 가지는 것도 바람직하며, 후방 캐스터(15a)에 브레이크(18a)가 설치되어, 보행 중 필요에 따라 정지시켜 휴식을 취하거나 보관 시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18a)는 브레이크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브레이크레버(18b)의 조작에 의해 동작한다.
또한, 상기 전방프레임(14)의 홀(14b)과 후방프레임(15)의 홀(15b) 내경에 각각 내경톱니(14c,15c)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피벗(16)의 외경톱니(16a,16b)와 치합 또는 해제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피벗(16)은 조인트부(11)의 중앙을 중심으로 전,후방프레임(14,15)의 홀(14b,15b)에 대해 진퇴 구조를 가지며, 진퇴 위치에 따라 상기 전,후방프레임(14,15)의 홀(14b,15b)과 일치 또는 어긋나면서, 상기 전,후방프레임(14,15)의 회동을 저지하여 고정하거나 회동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피벗(16)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일측 단부가 조인트부(1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중앙에 인입되고, 상기 전방프레임(14)의 홀(14b)과 후방프레임(15)의 홀(15b) 내경에 각각 마련되는 내경톱니(14c,15c)에 대응 치합되는 외경톱니(16a,16b)가 외경에 각각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피벗(16)의 누름 동작에 의해 전,후방프레임(14,15)의 절첩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벗(16)을 누른 상태에서 피벗(16)을 중심으로 전방프레임(14)과 후방프레임(15)을 회전시켜 접어서 보관하거나, 접힌 상태에서 피벗(16)을 눌러 펼쳐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3)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절첩 가능한 시트(19)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재활운동이나 보행 도중 앉아서 쉴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보행도움장치 11 : 조인트부
11a : 절결홈 12 : 그립부
13 : 연결프레임 14 : 전방프레임
14b : 홀 14c : 내경 톱니
15 : 후방프레임 15b : 홀
15c : 내경톱니 16 : 피벗
16a,16b : 외경톱니
11a : 절결홈 12 : 그립부
13 : 연결프레임 14 : 전방프레임
14b : 홀 14c : 내경 톱니
15 : 후방프레임 15b : 홀
15c : 내경톱니 16 : 피벗
16a,16b : 외경톱니
Claims (13)
- 좌우 한 쌍의 조인트부;
상기 각 조인트부 전방에 마련되는 그립부;
상기 각 조인트부 후방을 연결 지지하는 연결프레임;
상단은 조인트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전방으로 경사 연장된 전방프레임;
상단은 조인트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후방으로 경사 연장된 후방프레임;
상기 각 조인트부 중앙과 전,후방프레의 상단을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피벗;을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는 좌우 한 쌍의 조인트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프레임 및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 하단의 중간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 선단 부분 외부를 감싸는 그립으로 이루어져, 보행자가 상기 한 쌍의 프레임 내측 중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립을 파지하고 보행할 수 있도록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인트부는 그립부와 연결프레임 및 전,후방프레임이 결합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조인트부는 전,후방프레임이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회전하여 펼쳐지되, 그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유지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는 전,후방프레임이 연결되는 부위에 펼쳐지는 각도를 제한하고 유지시키는 절결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삭제
- 삭제
-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은 각각 하단에 캐스터가 마련되고, 상단에 피벗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 후방프레임의 피벗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각도는 전방프레임이 후방프레임 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의 홀과 후방프레의 홀 내경에 각각 내경톱니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피벗은 상기 조인트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전,후방프레임의 각 홀에 대해 진퇴 구조를 가지며, 진퇴 위치에 따라 상기 전,후방프레임의 홀과 일치 또는 어긋나면서, 상기 전,후방프레임의 회동을 저지하여 고정하거나 회동 가능하게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피벗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일측 단부가 조인트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중앙에 인입되고, 상기 전방프레임의 홀과 후방프레임의 홀 내경에 각각 마련되는 내경톱니에 대응 치합되는 외경톱니가 외경에 각각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의 캐스터 또는 후방프레임의 캐스터에 브레이크가 마련되고, 상기 그립부의 그립에 인접한 위치에 브레이크레버가 마련되고, 상기 브레이크와 브레이크레버가 브레이크와이어로 연결된 브레이크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절첩 가능한 시트가 더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4075A KR102112697B1 (ko) | 2018-06-04 | 2018-06-04 |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4075A KR102112697B1 (ko) | 2018-06-04 | 2018-06-04 |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8034A KR20190138034A (ko) | 2019-12-12 |
KR102112697B1 true KR102112697B1 (ko) | 2020-05-19 |
Family
ID=6900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4075A KR102112697B1 (ko) | 2018-06-04 | 2018-06-04 |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269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6910Y1 (ko) * | 2000-08-02 | 2000-12-15 | 현준구 | 다목적 유모차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57008A (ja) * | 1994-08-25 | 1996-03-05 | Aprica Kassai Inc | 歩行補助器 |
KR20140002433A (ko) * | 2012-06-29 | 2014-01-08 | 서종근 | 보행보조기능을 가지는 쇼핑카트 |
-
2018
- 2018-06-04 KR KR1020180064075A patent/KR1021126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6910Y1 (ko) * | 2000-08-02 | 2000-12-15 | 현준구 | 다목적 유모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8034A (ko) | 2019-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206068A1 (en) | Collapsible upright wheeled walker apparatus | |
US5785070A (en) | Dual handled walking and uprisal assist device | |
US4341381A (en) | Invalid walker | |
US7540527B2 (en) | Mobile support assembly | |
JP2007503264A (ja) | 歩行器 | |
US20060033297A1 (en) | Collapsible walker for injured person | |
US2244869A (en) | Glider cane | |
JPH09154902A (ja) | 活動領域を増す機能を有する歩行杖 | |
EP2777677A1 (en) | A mobile support assembly | |
US11648922B2 (en) | Manually-operated, height-adjustable wheeled vehicle, and a brake assembly and wheel fork assembly thereof | |
KR102218837B1 (ko) | 접이식 이동보조장치 | |
KR102112697B1 (ko) | 보행 장애자를 위한 보행도움장치 | |
KR102075321B1 (ko) | 접이식 보행보조기 | |
US20020070533A1 (en) | Foldable rollator with transport feature | |
AU2022204027B2 (en) | Walking aid and wheel assembly therefor | |
US6755203B1 (en) | Two-legged walker | |
EP2777669A1 (en) | A mobile support assembly | |
JP2003024398A (ja) | 車椅子兼歩行補助具 | |
KR20230106879A (ko) |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 |
JP2001017491A (ja) | 歩行器 | |
KR102541389B1 (ko) |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 |
US20150014964A1 (en) | Ambulatory Assistance Device | |
KR20230106878A (ko) |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 |
JP2002065771A (ja) | 歩行補助具 | |
KR20230011647A (ko) | 노약자용 보행 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