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046B1 -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및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및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046B1
KR101917046B1 KR1020177000707A KR20177000707A KR101917046B1 KR 101917046 B1 KR101917046 B1 KR 101917046B1 KR 1020177000707 A KR1020177000707 A KR 1020177000707A KR 20177000707 A KR20177000707 A KR 20177000707A KR 101917046 B1 KR101917046 B1 KR 101917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ope
double
passenger convey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963A (ko
Inventor
아키히코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6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0Carry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4Slings with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9/00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는, 승객 컨베이어의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체(2)와 프레임체(2)에 지지된 유닛 기기(3)를 포함하는 유닛(1)을 양중하는 것이며, 양중 장착구(12) 및 양중 로프(13)를 가지고 있다. 양중 장착구(12)는, 프레임체(2)의 폭 방향 양단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프레임부(4)의 각각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대(121)와, 한 쌍의 측프레임부(4) 사이에 배치된 유닛 기기(3)의 상부에서 한 쌍의 장착대(121)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재(122)를 가지고 있다. 양중 로프(13)는, 각 측(側)프레임부(4)에 걸려진 상태에서 유닛(1)을 매다는 것이다.

Description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및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LIFTING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AND LIFTING METHOD FOR PASSENGER CONVEYOR}
본 발명은, 승객 컨베이어(예를 들면 에스컬레이터 또는 움직이는 보도 등)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유닛을 양중(揚重)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및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객 컨베이어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승객 컨베이어의 메인 프레임을 분할한 복수의 프레임체에 난간 의장(意匠) 부품을 미리 장착하여 두고, 난간 의장 부품을 프레임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각 프레임체를 개별로 양중하도록 한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의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에서는, 프레임체 내에 매닮용 부재를 수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좌우의 측(側)프레임의 세로재(材) 사이에 매닮용 부재를 고정한 후, 매닮용 부재에 와이어 로프를 접속하고, 프레임체에 난간 의장 부품을 장착한 채로 프레임체를 와이어 로프에 의해 매달도록 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0-198648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져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에서는, 매닮용 부재가 프레임체 내에서 고정되므로, 프레임체에 지지되는 기기 중, 매닮용 부재 및 와이어 로프에 간섭하는 기기(예를 들면 스텝 등)를 프레임체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프레임체의 양중 후에는, 매닮용 부재 및 와이어 로프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떼어내어 둔 기기를 프레임체에 장착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 프레임체를 매다는 와이어 로프가 좌우의 측프레임의 내측에서 접속되므로, 와이어 로프에 의해 매달아진 프레임체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승객 컨베이어의 설치 작업에 수고가 들어 버린다.
또, 프레임체의 측프레임의 세로재에 매닮용 부재가 고정되므로, 세로재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프레임체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거나 프레임체의 중량이 증대되거나 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프레임체의 구조의 복잡화 및 프레임체의 중량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승객 컨베이어의 설치 작업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및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는, 승객 컨베이어의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체와 프레임체에 지지된 유닛 기기를 포함하는 유닛을 양중(揚重)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로서, 프레임체의 폭 방향 양단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側)프레임부의 각각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대와, 한 쌍의 측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된 유닛 기기의 상부에서 한 쌍의 장착대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재를 가지는 양중 장착구(具), 및 각 측(側)프레임부에 걸려진 상태에서 유닛을 매다는 양중 로프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및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에 의하면, 프레임체에 지지되는 유닛 기기 중, 프레임체를 양중하기 위해서 프레임체로부터 떼어내는 유닛 기기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프레임체를 안정되어 매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객 컨베이어의 설치 작업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 프레임체를 양중할 때의 프레임체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프레임체의 구조의 복잡화 및 프레임체의 중량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양중 장치와, 양중 장치에 의해서 매달려 있는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II를 따라서 보았을 때의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양중 장치와, 양중 장치에 의해서 매달려 있는 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도 2는, 도 1의 화살표 II를 따라서 보았을 때의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승객 컨베이어인 에스컬레이터는, 상층과 하층과의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 에스컬레이터는, 상층 및 하층 중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해 복수의 유닛(1)을 늘어놓아 서로 이웃하는 유닛(1)끼리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층과 하층과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 예에서는, 상층의 받이빔(beam)에 지지되는 상층측의 유닛(1)과, 하층의 받이빔에 지지되는 하층측의 유닛(1)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에스컬레이터에 포함되는 유닛(1)의 수가 2개로 되어 있다.
각 유닛(1)은, 에스컬레이터의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체(2)와, 프레임체(2)에 지지된 유닛 기기(3)를 가지고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메인 프레임체는, 에스컬레이터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놓여진 각 유닛(1)의 프레임체(2)끼리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프레임체(2)는, 프레임체(2)의 폭 방향 양단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프레임부(4)와, 한 쌍의 측프레임부(4)의 하단부 사이에 고정되고, 프레임체(2)의 저부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폭 방향재(앵글재)를 가지고 있다. 각 측(側)프레임부(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떨어져서 배치된 상부 길이 방향 빔(4a) 및 하부 길이 방향 빔(4b)과, 상부 길이 방향 빔(4a) 및 하부 길이 방향 빔(4b) 사이에 고정된 복수의 세로재(4c)를 가지고 있다. 상부 길이 방향 빔(4a) 및 하부 길이 방향 빔(4b)의 각각의 강도는, 각 세로재(4c)의 강도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각 폭 방향재는, 한 쌍의 측프레임부(4)의 하부 길이 방향 빔(4b)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유닛 기기(3)는, 스텝(step) 체인에 의해서 연결된 복수의 스텝(도시하지 않음)과, 스텝의 양측면의 각각에 간극을 매개로 하여 대향하는 복수의 판 모양의 스커트 가드(skirt guard)(5)를 가지고 있다. 각 유닛 기기(3)의 복수의 스텝은, 각 유닛(1)이 에스컬레이터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놓여진 상태에서, 스텝 체인에 의해서 무단(無端) 모양으로 연결된다. 무단 모양으로 연결된 각 스텝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상층과 하층과의 사이에서 순환 이동된다.
각 스커트 가드(5)는, 도시하지 않은 장착암을 매개로 하여 측프레임부(4)의 세로재(4c)에 장착되어 있다. 또, 각 스커트 가드(5)는, 스커트 가드(5)의 일부를 프레임체(2)의 상면(즉, 상부 길이 방향 빔(4a)의 상면)의 높이보다도 상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프레임체(2)에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스커트 가드(5)의 상단부의 위치는, 프레임체(2)의 상면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상층과 하층과의 사이에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할 때에는, 양중 장치(11)에 의해서 각 유닛(1)을 개별로 양중하면서 운반한다. 양중 장치(11)는, 프레임체(2)에 장착되는 복수의 양중 장착구(12)와, 프레임체(2)에 걸려진 상태에서 유닛(1)을 매다는 양중 로프(13)와, 양중 로프(13)를 유닛(1)과 함께 상하 이동시키는 체인 블록(양중기)(14)을 가지고 있다.
이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통의 프레임체(2)에 2개의 양중 장착구(12)가 프레임체(2)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서로 떨어져 장착된다. 양중 장착구(1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상부 길이 방향 빔(4a)의 상면(즉, 한 쌍의 측프레임부(4)의 상면)의 각각에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대(121)와, 한 쌍의 장착대(121)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재(122)를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장착대(121)는, 프레임체(2)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길이 방향 빔(4a)의 상면에 장착대(121)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장착대(121)의 상단부의 위치가 스커트 가드(5)의 상단부의 위치보다도 높은 위치로 되어 있다.
각 장착대(121)의 하면에는, 레일 클립(15)이 체결구(16)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다. 체결구(16)는, 장착대(121)의 하단부 및 레일 클립(15)을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나사 결합된 너트를 가지고 있다. 장착대(121)는, 레일 클립(15)과 장착대(121)의 하면과의 사이에 상부 길이 방향 빔(4a)의 상부를 끼운 상태에서 레일 클립(15)을 체결구(16)에 의해 단단히 조이는 것에 의해, 상부 길이 방향 빔(4a)의 상면에 장착된다.
보강재(122)는, 한 쌍의 장착대(12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앵글재이다. 이 예에서는, 보강재(122)가 각 장착대(121)의 상단부에 각각 볼트(17)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양중 장착구(12)는, 스커트 가드(5)의 상부에 보강재(122)를 프레임체(2)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치한 상태에서 각 상부 길이 방향 빔(4a)의 상면에 장착된다. 보강재(122)의 길이는, 각 측(側)프레임부(4)에 장착된 한 쌍의 장착대(121) 사이의 거리에 맞추어서 결정된다. 이 예에서는, 서로 길이가 다른 복수의 보강재(122)가 준비되어 있으며, 준비되어 있는 복수의 보강재(122)로부터, 각 측(側)프레임부(4)에 장착된 한 쌍의 장착대(121) 사이의 거리에 맞는 길이를 가지는 보강재(122)가 선택되며, 선택된 보강재(122)가 한 쌍의 장착대(121) 사이에 장착된다.
체인 블록(14)은, 유닛(1)의 상부에 위치하는 건축빔(10)에 장착되어 있다. 또, 체인 블록(14)은, 체인 블록 본체(양중기 본체)(14a)와, 체인 블록 본체(14a)로부터 가동 체인을 매개로 하여 매달린 훅(hook)(14b)을 가지고 있다. 훅(14b)은, 가동 체인의 이동에 따라 체인 블록 본체(14a)에 대해서 상하로 이동된다. 훅(14b)에는, 양중 로프(13)가 걸려진다. 유닛(1)을 매다는 양중 로프(13)가 훅(14b)에 걸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체인 블록 본체(14a)에 대해서 훅(14b)이 상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유닛(1)이 상하 이동된다.
양중 로프(13)는, 프레임체(2)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보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2)의 단부의 위치와, 프레임체(2)의 양중 장착구(12)가 장착되는 위치에 걸려진다. 또, 양중 로프(13)는, 프레임체(2)의 폭 방향에 대해서 보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프레임부(4)의 각각에 걸려진다.
각 측(側)프레임부(4)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재(4c)와 상부 길이 방향 빔(4a)과의 교차부에 양중 로프(13)가 걸려진다. 양중 장착구(12)의 위치에 대응하는 양중 로프(13)는, 각 측(側)프레임부(4)로부터, 양중 장착구(12)의 폭 방향 외측을 통과한 후, 서로 가까워지면서 상부의 체인 블록(14)의 훅(14b)에 이른다.
양중 장착구(12)의 양측면에는, 각 측(側)프레임부(4)로부터 훅(14b)에 이르는 양중 로프(13)를 개별로 받는 로프 받이 부재(18)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양중 로프(13)와 양중 장착구(12)와의 접촉은, 로프 받이 부재(18)가 양중 로프(13)를 받는 것에 의해 회피된다. 로프 받이 부재(18)의 양중 로프(13)를 받는 면은, 곡면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양중 로프(13)가 로프 받이 부재(18)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양중 로프(13)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 예에서는, 로프 받이 부재(18)가 단면이 원형인 환봉(丸棒)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유닛(1)을 양중 장치(11)에 의해서 양중하는 양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에스컬레이터의 제조 공장에서는, 프레임체(2)에 대한 유닛 기기(3)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프레임체(2)에 유닛 기기(3)를 장착하여 복수의 유닛(1)을 제작한 후(유닛 제작 공정), 각 양중 장착구(12)를 유닛(1)의 프레임체(2)에 장착하여 둔다. 양중 장착구(12)를 유닛(1)에 장착할 때에는, 보강재(122)를 유닛 기기(3)의 상부에 피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각 장착대(121)를 프레임체(2)의 상면에 장착한다(양중 장착구 장착 공정). 이 후, 유닛(1)에 양중 장착구(12)를 장착한 상태에서 각 유닛(1)을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현장으로 수송한다.
이 후,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현장에서는, 프레임체(2)의 각 측(側)프레임부(4)에 양중 로프(13)를 건다. 이 때, 측프레임부(4)의 상부 길이 방향 빔(4a)과 세로재(4c)와의 교차부에 양중 로프(13)가 걸린 상태로 함과 아울러, 로프 받이 부재(18)보다도 양중 장착구(12)의 폭 방향 외측으로 양중 로프(13)를 통과시킨 상태로 한다. 또,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현장에서는, 건축빔(10)에 체인 블록(14)을 장착한 후, 체인 블록(14)의 훅(14b)에 양중 로프(13)를 건다(양중 로프 걺 공정).
이 후, 양중 로프(13)를 체인 블록(14)의 훅(14b)에 건 상태에서 훅(14b)을 상하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양중 로프(13)와 함께 유닛(1)을 매달아 양중한다. 이 후, 유닛(1)을 양중하면서 운반하고, 유닛(1)을 설치 장소에 설치한다(양중 공정).
유닛(1)을 설치 장소에 설치한 후, 체인 블록(14)의 훅(14b) 및 측프레임부(4)의 각각으로부터 양중 로프(13)를 떼어냄과 아울러, 양중 장착구(12)를 프레임체(2)로부터 떼어낸다(철거 공정). 이것에 의해, 유닛(1)의 양중 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의 양중 장치에서는, 양중 장착구(12)가, 각 측(側)프레임부(4)의 상면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대(121)와, 유닛 기기(3)의 상부에서 한 쌍의 장착대(121)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재(122)를 가지고 있으므로, 양중 장착구(12) 및 양중 로프(13)의 각각과 유닛 기기(3)와의 사이에서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체(2)로부터 유닛 기기(3)의 일부를 떼어내지 않아도 유닛(1)을 양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커트 가드(5)를 프레임체(2)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스텝의 위치와의 관계에 의해 스커트 가드(5)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현장에서 스커트 가드(5)의 위치의 조정 작업을 행하면, 발판 등의 작업 환경이 나빠지므로, 에스컬레이터의 제조 공장에 비해 작업 시간이 길어져 버린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체(2)에 스커트 가드(5)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닛(1)을 양중할 수 있으므로, 에스컬레이터의 제조 공장에서 스커트 가드(5)의 위치를 미리 조정해 둘 수 있고,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현장에서의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측프레임부(4)에 걸려진 양중 로프(13)에 의해서 유닛(1)을 매다는 것이므로, 양중 로프(13)에 의해 프레임체(2)를 매다는 개소를 프레임체(2)의 폭 방향에 대해 넓힐 수 있어, 유닛(1)을 안정되게 매달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작업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유닛(1)을 양중할 때에 양중 장착구(12)를 측프레임부(4)의 세로재(4c)에 장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세로재(4c)의 복잡화 및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양중 로프(13)에 의해 유닛(1)을 매달 때에 프레임체(2)에 폭 방향 내측으로의 힘이 가해져도, 양중 장착구(12)에 의해서 프레임체(2)의 폭 방향에 대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프레임체(2)의 구조의 복잡화 및 프레임체(2)의 중량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러한 에스컬레이터의 양중 방법에서는, 유닛 기기(3)의 상부에 보강재(122)를 배치하면서 양중 장착구(12)를 한 쌍의 측프레임부(4)의 상면에 장착하고, 양중 로프(13)를 한 쌍의 측프레임부(4)에 건 후, 양중 로프(13)에 의해 유닛(1)을 매다는 것이므로, 양중 장착구(12) 및 양중 로프(13)의 각각과 유닛 기기(3)와의 사이에서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유닛 기기(3)를 프레임체(2)로부터 떼어내지 않아도 유닛(1)을 양중할 수 있다. 또, 양중 로프(13)에 의해 유닛(1)을 안정되게 매다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설치 작업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양중 로프(13)에 의해 유닛(1)을 매달 때의 프레임체(2)의 변형을 억제하면서, 세로재(4c)의 구조의 복잡화 및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어, 프레임체(2)의 구조의 복잡화 및 프레임체(2)의 중량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장착대(121)는, 레일 클립(15) 및 체결구(16)에 의해서 측프레임부(4)의 상부 길이 방향 빔(4a)에 장착되므로, 측프레임부(4)에 대해서 예를 들면 드릴 가공 등을 행하지 않고, 장착대(121)를 측프레임부(4)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측프레임부(4)의 상면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대(121)를 장착할 수 있고, 측프레임부(4)에 대한 장착대(121)의 장착 위치의 선택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양중 로프(13)를 받는 로프 받이 부재(18)가 양중 장착구(12)의 측면에 마련되고, 로프 받이 부재(18)의 양중 로프(13)를 받는 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로프 받이 부재(18)에 양중 로프(13)가 접촉해도 양중 로프(1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로프 받이 부재(18)가 양중 로프(13)를 받는 것에 의해, 양중 로프(13)가 양중 장착구(1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양중 로프(13)가 양중 장착구(12)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양중 로프(1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보강재(122)는, 한 쌍의 장착대(12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서로 길이가 다른 보강재(122)를 한 쌍의 장착대(121) 사이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장착대(121) 사이의 보강재(122)를 바꾸는 것에 의해 양중 장착구(12)의 폭치수를 조정할 수 있어, 복수의 유닛(1)의 폭치수가 다른 경우라도 양중 장착구(12)를 용이하게 한 쌍의 측프레임부(4)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양중 로프(13)를 받는 로프 받이 부재(18)가 양중 장착구(12)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지만, 양중 로프(13)가 양중 장착구(12)에 접촉해도 양중 로프(13)가 손상될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는, 로프 받이 부재(18)는 없어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장착대(121)가 측프레임부(4)의 상부 길이 방향 빔(4a)에 레일 클립(15) 및 체결구(16)에 의해서 장착되지만, 예를 들면 측프레임부(4)의 상부 길이 방향 빔(4a)을 가공하여 상부 길이 방향 빔(4a)에 볼트 통과 구멍을 마련하고, 볼트 통과 구멍을 통과한 볼트와, 볼트에 나사 결합한 너트에 의해 장착대(121)를 상부 길이 방향 빔(4a)에 장착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보강재(122)가 한 쌍의 장착대(12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보강재(122)가 한 쌍의 장착대(12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용접 등에 의해 보강재(122)를 한 쌍의 장착대(121)에 장착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 받이 부재(18)가 단면이 원형인 환봉으로 되어 있지만, 로프 받이 부재(18)의 양중 로프(13)를 받는 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으면, 로프 받이 부재(18)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로프 받이 부재(18)가 단면이 반원형인 봉이라도 괜찮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보강재(122)가 신축 불가능한 앵글재로 되어 있지만, 보강재(122)를 신축 가능하게 해도 괜찮다. 이 경우, 보강재(122)는, 신축 가능한 보강재 본체와, 보강재 본체의 길이를 고정하는 고정구로 구성된다. 보강재 본체로서는, 예를 들면, 서로 슬라이드 가능한 복수의 앵글재에 의해 구성되고, 앵글재끼리를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보강재 본체의 길이가 변화되는 신축체가 이용된다. 또, 고정구로서는, 예를 들면, 앵글재끼리를 한꺼번에 체결하여 앵글재끼리의 슬라이드를 저지하는 볼트 및 너트가 이용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에스컬레이터를 복수의 유닛(1)에 분할하여 각 유닛(1)을 양중 장치에 의해 양중하도록 되어 있지만, 양중 대상이 소형의 에스컬레이터인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를 분할하지 않고, 양중 로프(13)가 걸어지는 프레임체를 메인 프레임 전체로 하고, 메인 프레임 전체와 메인 프레임 전체에 지지된 유닛 기기를 포함하는 1개의 유닛을 양중 장치에 의해 양중해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본 발명이 에스컬레이터에 적용되어 있지만, 움직이는 보도(승객 컨베이어)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괜찮다.

Claims (10)

  1. 승객 컨베이어의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에 지지된 유닛 기기를 포함하는 유닛을 양중(揚重)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로서,
    상기 프레임체의 폭 방향 양단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側)프레임부의 각각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대와, 상기 한 쌍의 측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유닛 기기의 상부에서 상기 한 쌍의 장착대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재를 가지는 양중 장착구(具), 및
    각 상기 측(側)프레임부에 걸려진 상태에서 상기 유닛을 매다는 양중 로프를 구비하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상기 장착대에는, 레일 클립이 체결구(具)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고,
    상기 레일 클립과 상기 장착대와의 사이에 상기 측프레임부의 빔(beam)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레일 클립을 상기 체결구에 의해 단단히 조이는 것에 의해, 각 상기 장착대가 상기 프레임체에 장착되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중 장착구의 측면에는, 상기 양중 로프를 받아 상기 양중 장착구와 상기 양중 로프와의 접촉을 회피시키는 로프 받이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로프 받이 부재의 상기 양중 로프를 받는 면(面)은, 곡면으로 되어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중 장착구의 측면에는, 상기 양중 로프를 받아 상기 양중 장착구와 상기 양중 로프와의 접촉을 회피시키는 로프 받이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로프 받이 부재의 상기 양중 로프를 받는 면(面)은, 곡면으로 되어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한 쌍의 장착대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신축 가능한 보강재 본체와, 상기 보강재 본체의 길이를 고정하는 고정구(具)를 가지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신축 가능한 보강재 본체와, 상기 보강재 본체의 길이를 고정하는 고정구(具)를 가지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8. 승객 컨베이어의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에 지지된 유닛 기기를 포함하는 유닛을 양중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로서,
    상기 프레임체의 폭 방향 양단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프레임부의 각각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대와, 상기 한 쌍의 측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유닛 기기의 상부에서 상기 한 쌍의 장착대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재를 가지는 양중 장착구를 구비하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9. 승객 컨베이어의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에 지지된 유닛 기기를 포함하는 유닛을 양중 로프에 의해 양중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로서,
    상기 프레임체의 폭 방향 양단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프레임부의 각각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대와, 상기 한 쌍의 측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유닛 기기의 상부에서 상기 한 쌍의 장착대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재를 가지는 양중 장착구를 구비하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10. 승객 컨베이어의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프레임체와 상기 프레임체에 지지된 유닛 기기를 포함하는 유닛을 양중하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으로서,
    상기 프레임체의 폭 방향 양단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프레임부의 상면에 한 쌍의 장착대를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한 쌍의 장착대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재를 상기 유닛 기기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장착대 및 상기 보강재를 포함하는 양중 장착구를 상기 프레임체에 장착하는 양중 장착구 장착 공정,
    상기 한 쌍의 측프레임부의 각각에 양중 로프를 거는 양중 로프 걺 공정,
    상기 양중 장착구 장착 공정 후이고, 또한 상기 양중 로프 걺 공정 후, 상기 유닛을 상기 양중 로프에 의해 매다는 양중 공정, 및
    상기 양중 공정 후, 상기 양중 장착구 및 상기 양중 로프를 상기 프레임체로부터 떼어내는 철거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
KR1020177000707A 2014-07-09 2014-07-09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및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 KR1019170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8325 WO2016006061A1 (ja) 2014-07-09 2014-07-09 乗客コンベヤの揚重装置、及び乗客コンベヤの揚重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963A KR20170016963A (ko) 2017-02-14
KR101917046B1 true KR101917046B1 (ko) 2018-11-08

Family

ID=5506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707A KR101917046B1 (ko) 2014-07-09 2014-07-09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및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04381B2 (ko)
JP (1) JP6271014B2 (ko)
KR (1) KR101917046B1 (ko)
CN (1) CN106488880B (ko)
DE (1) DE112014006791B4 (ko)
WO (1) WO20160060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266568A1 (en) * 2020-05-07 2022-12-08 Inventio Ag Transport uni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moving walkw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6802A (ja) 2005-03-17 2006-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の揚重方法
JP2007290826A (ja) 2006-04-26 2007-11-08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入方法と構成部品搬出方法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乗客コンベアの改修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出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5713A (en) * 1956-02-21 blakeley
DE7329570U (de) * 1973-12-06 Wehowsky H Kran Sicherungsvorrichtung fur einen Palettenstapel von Bausteinen
DE7145950U (de) * 1972-08-17 Pannkoke K Vorrichtung zum Heben und Verladen von Glas
US2793904A (en) * 1954-02-19 1957-05-28 Newco Mfg Company Inc Rope sling protector
JP3377544B2 (ja) * 1993-03-02 2003-02-17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のフレームの据付方法
JPH07277661A (ja) * 1994-04-12 1995-10-24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乗客コンベアの踏板用脱着装置
JP2860313B2 (ja) * 1995-06-21 1999-02-24 株式会社シライエレメカ エスカレータ・トラスの揚重方法
JPH10250964A (ja) * 1997-03-14 1998-09-22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乗客コンベアのフレーム据付け方法
JP4313451B2 (ja) * 1999-01-08 2009-08-12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揚重方法
WO2000077309A1 (en) * 1999-06-14 2000-12-21 Caterpillar Commercial Sarl Hoist arrangement for a dragline rigging
FR2854393B1 (fr) * 2003-04-30 2005-06-17 Potain Sa Dispositif de lestage pour grue
JP4512403B2 (ja) * 2004-04-15 2010-07-28 東急建設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ーの設置工法
JP5203599B2 (ja) * 2005-12-07 2013-06-05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リフトシステム、搬送システム受け座、搬送システム受け座と搬送システム構造体とを備える中間製品
JP4867677B2 (ja) 2007-01-25 2012-0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送風機と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US8550517B1 (en) * 2010-09-02 2013-10-08 Albert Richard Bates Telescopic barrel lifting attachment device
CN203497915U (zh) * 2013-06-14 2014-03-26 昆山通祐电梯有限公司 起吊装置
US9440820B2 (en) * 2015-01-09 2016-09-13 Kone Coporation Escalator lifting fr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6802A (ja) 2005-03-17 2006-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客コンベアの揚重方法
JP2007290826A (ja) 2006-04-26 2007-11-08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入方法と構成部品搬出方法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乗客コンベアの改修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出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83201A1 (en) 2017-06-29
KR20170016963A (ko) 2017-02-14
JPWO2016006061A1 (ja) 2017-04-27
US10604381B2 (en) 2020-03-31
CN106488880B (zh) 2019-01-29
DE112014006791B4 (de) 2020-04-02
WO2016006061A1 (ja) 2016-01-14
JP6271014B2 (ja) 2018-01-31
DE112014006791T5 (de) 2017-03-16
CN106488880A (zh)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06621A (ja) エレベータ昇降路にガイドレールを設置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5974985B2 (ja)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工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門型揚重装置
RU2492131C2 (ru) Порт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монтажа или обслуживания тяжелых частей движущегося устройства
KR101917046B1 (ko)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장치, 및 승객 컨베이어의 양중 방법
JP4921810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据付工法
JP2016079002A (ja) エレベータ機器の揚重方法
KR200479223Y1 (ko) 비계용 리프트 장치
JP4313451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揚重方法
JP6172636B2 (ja) 足場システム
JP6467283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7156530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の交換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非常止め装置の交換装置
JP6765334B2 (ja) 乗客コンベア
JP5003539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られる据付治具及び据付治具の製造方法
KR200484337Y1 (ko) 케이블 가이드용 지그
JP6298781B2 (ja) 乗客コンベア
JP6970552B2 (ja) 作業用防護装置
JP6911880B2 (ja) マンコンベア、マンコンベアの製造方法
JP6911094B2 (ja) 作業床装置
KR20130024455A (ko) 용접기 이송용 지그
JP2002128415A (ja) エレベーター昇降路天井面近傍高さ位置への駆動機の吊上げ方法及び装置
CN107792764B (zh) 电梯对重装置、对重装置的施工器具以及施工方法
JP3907843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吊下装置及びかご吊下方法
JP2005138939A (ja) エレベータ昇降路の据付作業装置
JP602073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23035488A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の保持具および乗客コンベアの手摺の駆動シーブ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