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916B1 -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916B1
KR101912916B1 KR1020170086230A KR20170086230A KR101912916B1 KR 101912916 B1 KR101912916 B1 KR 101912916B1 KR 1020170086230 A KR1020170086230 A KR 1020170086230A KR 20170086230 A KR20170086230 A KR 20170086230A KR 101912916 B1 KR101912916 B1 KR 101912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vertical
present
vertical post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명순
한승희
Original Assignee
심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명순 filed Critical 심명순
Priority to KR102017008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66F9/072Travell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하 및 전후 이동하며 화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 일측은 상기 이동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유닛과 함께 승하강하고, 타측은 상기 수직 포스트를 감싸도록 외측부, 내측부, 전면부 및 후면부를 포함하며, 내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직 포스트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포스트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부에는 상기 플레이트에 구름 접촉하는 제1 및 제2 롤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본 발명은 자동창고에 사용되는 물품을 탑재 및 하역하는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창고는 컴퓨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관리되는데, 다수의 적재 공간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다수의 적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의 종류 및 개수 등을 컴퓨터에서 인식하여 자동으로 가져오거나 저장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자동창고는 중량의 물품을 운반하는데 이용되는 경우에는 이동시에 전후 또는 좌우로 흔들릴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일예로, 수십 톤(TON)이 넘는 철 제품을 운반하는 경우에 제품의 하중에 의해 자동창고를 지지하는 부분이 전후로 움직이게 되면 물품을 운반하는 동안 자동창고의 일 부분이 손상되게 된다.
다시 말해, 수직 포스트를 감싸면서 승하강하는 부품이 있다면 상기 수직 포스트에 접촉되면서 수직 포스트 또는 이와 접촉하는 다른 부품이 손상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중량품의 물품을 운반하더라도 기울어짐이 없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하 및 전후 이동하며 화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 일측은 상기 이동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유닛과 함께 승하강하고, 타측은 상기 수직 포스트를 감싸도록 외측부, 내측부, 전면부 및 후면부를 포함하며, 내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직 포스트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포스트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부에는 상기 플레이트에 구름 접촉하는 제1 및 제2 롤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수직 포스트의 외측 단부에까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구름 접촉하는 제3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롤러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각각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측면지지부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수직 포스트의 외측 단부보다 더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3 롤러부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하나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직 포스트의 외측면에 제3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부에는 상기 제3 플레이트와 구름 접촉하는 제3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는 각각 상기 외측부 및 내측부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롤러부는 상기 외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내측부에는 상기 수직 포스트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구름 접촉하는 제4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는 제1 구동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구동부에 의해 상기 연결부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구비되는 상부 스프로킷과 상기 수직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는 하부 스프로킷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측면지지부 및 이동 유닛이 승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중량품(重量品)을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운반시에도 흔들림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플레이트를 수직 포스트에 고정시키고, 플레이트에 구름접촉하는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수직 포스트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이동 유닛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롤러부를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롤러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 유닛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롤러의 표면이 닳았을 경우 보다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롤러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롤러의 플라스틱 부분만을 교체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 주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측면지지부 주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가 수직 포스트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윗부분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윗부분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윗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롤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 롤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동창고에 물품을 입출고시키는 장치가 개시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 (이하 입출고장치(100)라 칭하기로 한다.)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120)와,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상하 및 전후 이동하며 화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130)과, 일측은 상기 이동 유닛(13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유닛(130)과 함께 승하강하도록 하고, 타측은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감싸도록 외측부(143), 내측부(144), 전면부(141) 및 후면부(142)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부(143), 내측부(144), 전면부(141) 및 후면부(142)의 내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측면지지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 중 하나에 측면지지부(140)가 형성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쪽에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 모두에 측면지지부(14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출고장치(10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를 중심으로 적재부(105)에 인접한 면을 전면(111)이라 칭하고, 전면(111)과 반대의 면을 후면(112)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111)과 후면(112)을 잇는 양 측면 중, 입출고장치(100)의 외측에 형성된 면을 외측면(113), 상기 외측면(113)과 반대의 면으로 입출고장치(100)의 내측에 형성된 면을 내측면(114)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측면지지부(140)는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111)과 대향하는 전면부(141), 수직 포스트(110)의 후면(112)과 대향하는 후면부(142),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면(113)과 대향하는 외측부(143),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과 대향하는 내측부(144)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지지부(140)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이며,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부(140)의 상단부, 특히 외측부(143)의 상면은 일정 크기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연결부(120)는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이동 유닛(130)이 이동하면서 적재부(105)에 중량품(重量品)을 저장하거나 반출하기도 한다. 상기 이동 유닛(130)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며,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중량품이 탑재된 상태로 상하 이동 또는 전후 이동을 하게 된다. 만약, 적재부(105)에 구비된 중량품이 상기 이동 유닛(130)에 탑재되면 상기 이동 유닛(130)은 전후 방향으로 다소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130)이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측면지지부(140)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접촉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에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수직 포스트(110)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수직 포스트(110)의 넓은 영역에 걸쳐 손상을 입히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이동 유닛(13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플레이트(151,152)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부(140)에는 상기 플레이트(151,152)에 구름 접촉하는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이동 유닛(130)이 수직 포스트(11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구름가능한 롤러가 수직 포스트(110)의 플레이트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151,152)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중량품을 이송하는 장치인 만큼 철재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유닛(130)은 프레임(frame) 형태의 골격을 가지거나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plate)일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닛(130)은 중량품이 탑재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거나 전후 이동하게 되며, 상기 측면지지부(14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지지부(140)와 일체로 승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유닛(130)이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사이에 구비되고, 작동하기 전의 최초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 유닛(130)의 중간 정도의 지점이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상기 이동 유닛(130)이 최초 상태에서 승하강시에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중량품을 이동 유닛(130)에 탑재하거나 하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유닛(13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적재부(105)에 저장되어 있던 중량품을 상기 이동 유닛(130)에 탑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유닛(130)은 최초 상태에서 상승한 다음 적재부(105)로 전진 이동하고 중량품이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pallet)를 들어올린 다음 후진 이동하여 상기 이동 유닛(130)의 중심이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 유닛(130)이 전진 이동한 상태에서 중량품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유닛(130)이 전방으로 다소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 유닛(130)과 연결되어 있는 측면지지부(140)의 내측면 중 일부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접촉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 유닛(130)이 측면지지부(140)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적재부(105)에 중량품을 적재하기 위한 과정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다만, 적재부(105)로 저장하는 과정에서는 적재부(105)에서 반출하는 과정과는 반대로, 측면지지부(140)와 수직 포스트(110)가 접촉하는 면이 반대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플레이트(151,152)를 부착하고, 상기 플레이트(151,152)와 구름 접촉하는 롤러부(161,163)를 상기 측면지지부(140)에 배치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에 배치된 제1 플레이트(151)와 접촉하는 롤러부를 제1 롤러부(161)라 칭하고,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후면에 배치된 제2 플레이트(152)와 접촉하는 롤러부를 제2 롤러부(163)라 칭하기로 한다. 이때,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부(143)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인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는 각각 상기 외측부(143)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며 쌍으로 형성된다. 도 4는 측면지지부(140)의 전면부(141)와 후면부(142)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측면지지부(140)가 수직 포스트(110)를 감싼 상태의 사시도인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롤러부(163)가 상하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에 다수 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측면지지부(140)는 보다 견고하게 수직 포스트(110)에 접촉될 수 있으며, 롤러에 작용하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롤러부(161) 및 제2 롤러부(163)는 각각 3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롤러부(161) 및 제2 롤러부(163)의 롤러들은 상기 측면지지부(140)의 외측부(143)의 외부에서 관통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외측부(143)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 리벳 등의 부품일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1 플레이트(151)와 제2 플레이트(152)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수직 포스트(110)에 고정되며, 용접 또는 다른 접착수단에 의해 수직 포스트(1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플레이트(151) 및 제2 플레이트(152)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과 후면을 전부 덮을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소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 단부에까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에 구름 접촉하는 제3 롤러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 주변의 평면도인데, 상기 제3 롤러부(165)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두께를 형성하는 면에 구름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은 상기 수직 포스트(110)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거나 수직 포스트(110)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부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가 수직 포스트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인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3 롤러부(165)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에 각각 동시에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165a)를 포함하는데, 상기 한 쌍의 롤러(165a)가 하나의 지지부재(165b)에 결합될 수도 있고, 각각의 롤러(165c)가 각각의 지지부재(165d)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165b,165d)는 상기 외측부(143)에 고정된다.
만약, 한 쌍의 롤러(165a)가 하나의 지지부재(165b)에 의해 상기 측면지지부(14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에 각각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165a)는 지지부재에(165b) 의해 상기 측면지지부(14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가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 단부보다 더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3 롤러부(165)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외측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하나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롤러는 후술하는 제4 롤러부(167)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롤러(165c)가 각각 분리된 독립된 지지부재(165d)에 의해 상기 측면지지부(14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지지부재(165d)에 각각의 롤러(165c)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측면지지부(140)에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외측부(143)를 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측면지지부(140)가 수직 포스트(110)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인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한 쌍의 롤러(165c)가 각각의 지지부재(165d)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부(143)의 내측벽(147)에 홀(148)이 형성되고, 상기 홀(148)을 관통하여 한 쌍의 롤러(165c)가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롤러부(165)도 앞선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측부(143)의 상면에는 하나의 지지부재(165b)에 한 쌍의 롤러(165a)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에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165a)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부(143)의 중간 일 영역(지점)에는 각각의 지지부재(165d)에 분리 형성된 한 쌍의 롤러(165c)가 형성된다. 도 6에서는 제3 롤러부(165)가 외측부(143)의 상면과 중간 일 지점의 2개소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3 롤러부(165)의 롤러 형성 개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면(113)에 별개의 평판 플레이트(미도시)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면(113)에 제3 플레이트(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부(140)에는 상기 제3 플레이트와 구름 접촉하는 제3 롤러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 플레이트를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면(113)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 단부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3 롤러부(165)는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롤러부(161), 제2 롤러부(163) 또는 제4 롤러부(167)와 같이 하나의 롤러가 제3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4개 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면지지부(140)에 수직 포스트(110)와 접촉하는 롤러를 설치하는데,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과 대향하는 내측부(144)에도 롤러를 설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는 상기 내측부(144)에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에 구름 접촉하는 제4 롤러부(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롤러부(167)의 롤러는 상기 제3 롤러부(165)의 롤러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의 두께를 이루는 면에 구름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에 제4 플레이트(154)를 형성하여 상기 제4 플레이트(154)에 구름 접촉하는 제4 롤러부(167)를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플레이트(154)를 설치하여 제4 롤러부(167)를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내측면(114)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151,152)는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의 롤러들의 접촉만 이루어지면 충분하므로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전면(111)과 후면(112)을 모두 덮을 필요는 없으며,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롤러부(165)와의 접촉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외측 단부에서부터 내측 단부까지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내측 일 지점까지만 형성되면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에 작용하는 힘이 제3 롤러부(165) 및 제4 롤러부(167)에 작용하는 힘보다 크므로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161,163)를 구성하는 롤러는 상기 제3 롤러부(165) 및 제4 롤러부(167)를 구성하는 롤러보다 크고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측면지지부(140)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부(143)는 체인(19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는 하부 스프로킷(191)과 상기 연결부(120)에 설치되는 상부 스프로킷(19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측면지지부(140) 및 이동 유닛(130)이 승하강하게 된다. 즉, 상기 외측부(143)에는 하나 이상의 플랜지(1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145)에 형성된 제1 체결구(171) 및 제2 체결구(172)에 체인(195)의 양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195)은 자동창고용 입출고장치(100)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부 스프로킷(191)과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스프로킷(192)에 체인 결합하면서 상기 이동 유닛(130)과 측면지지부(140)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인(195)은 상기 플랜지(145)에 형성된 홀(146)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70)의 일측에는 제1 구동부(196)가 구비되고, 상기 제1 구동부(196)에 연결된 체인(198)에 의해 회전축(197)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스프로킷(192)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체인(195)에 의해 상기 하부 스프로킷(191)을 회전시킴으로써 측면지지부(140)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197)은 상기 연결부(120)와 평행하게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196)에 구비되는 구동 스프로킷(196a)과 상기 회전축(197) 상에 구비되는 종동 스프로킷(197a)이 상기 체인(198)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전축(197)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135)을 횡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수직 포스트(110), 이동 유닛(130), 지지 프레임(135) 및 연결부(120)가 일체로 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윗부분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윗부분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윗부분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0는 본 발명과 관련된 롤러(180)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롤러(18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180)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7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는 하부에는 하부 레일(101)이 횡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레일(102)이 횡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레일(102) 및 하부 레일(101)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입출고장치(100)의 전면에는 적재부(10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부(105)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팔레트(pallet)가 적재되어 중량품(重量品)이 팔레트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입출고장치(100)에 의해 적재부(105) 중 특정 공간에 중량품을 입고하거나 특정 공간에 있는 중량품을 반출하는 경우에 입출고장치(100)가 전후로 흔들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입출고장치(10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120)와, 상기 연결부(120)의 중간 일 지점에 구비되고 외측으로 보다 돌출되는 지지부(170)와, 상기 지지부(170)의 하면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연결부(120)와 이격 형성되며 연결부(120)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부 레일(102)의 양측에 구름 접촉하는 한 쌍의 롤러(180a,18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연결부(120)는 대략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롤러(180)에 의해 수직 포스트(110)의 상부가 흔들리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롤러(180)는 내부 중심에 관통홀(18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81a)을 관통하는 고정축에 의해 상기 지지부(170)에 고정되는 코어(181)와, 상기 코어(18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코어(181)와 동심원을 그리며 일체로 회전하는 도넛 형상의 접촉부(183)와, 상기 코어(181)의 양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코어(181)의 양 단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덮개부(185a,185b)와, 상기 접촉부(183)와 상기 한 쌍의 덮개부(185a,185b)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고정부재(187)와, 상기 덮개부(185)와 코어(181)를 결합하는 제2 고정부재(18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덮개부(185a,185b) 중 어느 하나(185b)는 상기 코어(181)와 일체로 형성되어 대략 'T'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180)의 단면도인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덮개부(185a,185b)가 분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 고정부재(187)와 제2 고정부재(188)에 의해 상기 코어(181)와 접촉부(183)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고장치(100)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상하 및 전후 이동하며 화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130)과, 상기 이동 유닛(13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 유닛(130)과의 상대적인 높이차에 의해 물품을 탑재하거나 반출하는 지지 프레임(13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 유닛(130) 상에 탑재된 중량품을 지지 프레임(135)에 적재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 유닛(130)을 지지 프레임(135)의 위치보다 낮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 유닛(130)을 단순히 하강시킴으로써 이동 유닛(130)에 탑재된 중량품을 지지 프레임(135)에 적재하게 된다. 이후에, 상기 지지 프레임(135)에 적재되어 있는 중량품을 다시 외부에 반출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135)은 베이스부재(106) 상에 형성되어 하부 레일(101)을 따라 횡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한 쌍의 롤러(180a,180b)는 상부 레일(102) 상에서 구름 접촉하면서 상기 수직 포스트(11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고장치(100)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프레임(135)은 하부 레일(101) 상에서 이동하며, 입출고장치(100)의 상부는 적재부(105)에 형성된 상부 레일(102) 상에서 이동하는데, 이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입출고장치(100)를 고정시키는 이유는 이동 유닛(130)에 중량품(重量品)이 탑재되었을 경우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동 유닛(130)은 수직 포스트(11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수직 포스트(110)가 기울어지지 않으면 이동 유닛(130) 또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수직 포스트(110)는 중량품에 의해 적재부(105)를 향하여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상기 한 쌍의 롤러(180)가 이를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촉부(183)는 플라스틱 수지 재질이고, 상기 코어(181) 및 덮개부(185)는 스테인리스 재질를 포함한 철재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접촉부(183)가 상부 레일(102)과의 마찰에 의해 닳아서 덮개부(185)의 반경과 동일해지는 경우에는 이를 교체해야 한다. 즉, 상기 롤러(180)의 표면이 닳아 마모되거나 부서지게 되면 상기 롤러(180)와 상기 상부 레일(102)과의 간격이 점점 멀어지게 되어 롤러(180)가 연결부(120), 나아가 입출고장치(100)를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게 된다. 롤러(180)의 접촉부(183)가 닳게 되면 철재의 코어(181)가 외부에 노출되는데, 코어(181)가 상기 상부 레일(102)에 직접 접촉하게 되면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롤러(180)를 교체해야 한다.
종래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형성된 접촉부(183')가 닳은 경우에는 코어(181')를 포함한 롤러(180) 전체를 교체해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부(183)만을 쉽게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지지부(170) 및 한 쌍의 롤러(180)는 상기 연결부(120)를 따라 다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한 쌍의 롤러(180)가 안정적으로 상기 상부 레일(102)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35)을 횡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120)에는 상기 연결부(120)를 횡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수직 포스트(110), 이동 유닛(130), 지지 프레임(135) 및 연결부(120)가 일체로 횡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입출고장치, 101: 하부 레일, 102: 상부 레일, 105: 적재부, 106: 베이스부재, 107: 롤러, 110: 수직 포스트, 111: 전면, 112: 후면, 113: 외측면, 114: 내측면, 120: 연결부, 130: 이동 유닛, 135: 지지 프레임, 140: 측면지지부, 141: 전면부, 142: 후면부, 143: 외측부, 144: 내측부, 151: 제1 플레이트, 152: 제2 플레이트, 154: 제4 플레이트, 161: 제1 롤러부, 163: 제2 롤러부, 165: 제3 롤러부, 165a: 제1 롤러, 165b: 지지부재, 167: 제4 롤러부, 170: 지지부, 171: 제1 체결구, 172: 제2 체결구, 180: 한 쌍의 롤러, 181: 코어, 181a: 관통홀, 183: 접촉부, 185: 덮개부, 187: 제1 고정부재, 188: 제2 고정부재, 191: 하부 스프로킷, 192: 상부 스프로킷, 195: 체인, 196: 제1 구동부, 197: 회전축

Claims (9)

  1.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하 및 전후 이동하며 화물이 탑재 및 하역되는 이동 유닛; 및
    일측은 상기 이동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유닛과 함께 승하강하고, 타측은 상기 수직 포스트를 감싸도록 외측부, 내측부, 전면부 및 후면부를 포함하며, 내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직 포스트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포스트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제1 및 제2 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지지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구름 접촉하는 제1 및 제2 롤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수직 포스트의 외측 단부보다 더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동시에 접촉하는 하나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제3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는 각각 상기 외측부 및 내측부의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롤러부는 상기 외측부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에는 상기 수직 포스트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1 및 제2 플레이트에 구름 접촉하는 제4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9. 삭제
KR1020170086230A 2017-07-07 2017-07-07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1912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230A KR101912916B1 (ko) 2017-07-07 2017-07-07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230A KR101912916B1 (ko) 2017-07-07 2017-07-07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916B1 true KR101912916B1 (ko) 2018-10-29

Family

ID=6410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230A KR101912916B1 (ko) 2017-07-07 2017-07-07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9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28B1 (ko) * 2018-12-28 2019-05-29 최형식 물류 자동화 창고
AT522343A4 (de) * 2019-07-03 2020-10-15 Angleitner Karl Dipl Ing Lastaufnahmemittel mit teleskopartig ausfahrbaren Teleskoparm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9712B2 (ja) * 2004-07-28 2009-12-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物品移載装置
JP4449867B2 (ja) * 2005-09-08 2010-04-14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装置
JP5105174B2 (ja) * 2008-02-28 2012-12-1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9712B2 (ja) * 2004-07-28 2009-12-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物品移載装置
JP4449867B2 (ja) * 2005-09-08 2010-04-14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装置
JP5105174B2 (ja) * 2008-02-28 2012-12-1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28B1 (ko) * 2018-12-28 2019-05-29 최형식 물류 자동화 창고
AT522343A4 (de) * 2019-07-03 2020-10-15 Angleitner Karl Dipl Ing Lastaufnahmemittel mit teleskopartig ausfahrbaren Teleskoparmen
AT522343B1 (de) * 2019-07-03 2020-10-15 Angleitner Karl Dipl Ing Lastaufnahmemittel mit teleskopartig ausfahrbaren Teleskoparm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828B1 (ko) 물류 자동화 창고
KR101912916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1965209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1946907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1992015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US20150183359A1 (en) Platform shipping rack cart for glass sheets
KR102041985B1 (ko) 승강 장치가 구비된 창고
JPH04333418A (ja) トレーへの荷積み卸し設備
JP2016088683A (ja) 荷積荷降装置、荷積方法、及び荷降方法
CN214217047U (zh) 一种仓储货架
KR102047308B1 (ko) 승강 장치가 구비된 창고
JP6261750B2 (ja) 層高拡張式コンテナ型物流倉庫
KR101588567B1 (ko)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
KR102212047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EP2382150A1 (en) A mechanism used for loading and unloading boxes to the transportation means
US20230415991A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SU121454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рузов
JPS6374813A (ja) 荷物搬入搬出用2段昇降ステ−シヨン
JP2017039596A (ja) 自動倉庫
JPH04153125A (ja) ベルトシュータ式積込み装置
JPH0721612U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の荷物載置台
JP7147236B2 (ja) 搬送装置
JP2023031998A (ja) 荷物移載方法及び荷物移載装置
JP3807255B2 (ja) 棚設備
JPS6382203A (ja) 棚積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